[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30656A -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656A
KR20170130656A KR1020160060766A KR20160060766A KR20170130656A KR 20170130656 A KR20170130656 A KR 20170130656A KR 1020160060766 A KR1020160060766 A KR 1020160060766A KR 20160060766 A KR20160060766 A KR 20160060766A KR 20170130656 A KR20170130656 A KR 2017013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ng
test tube
thin
extraction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후
허성열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이지후
허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후, 허성열 filed Critical 이지후
Priority to KR102016006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656A/ko
Publication of KR2017013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65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01N2001/2846Cytocentrifuge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01N2001/366Moulds; Demou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원심분리기에 의해 나눠진 여러 액체층에서 원하는 물질만 추출 하고자 할 때, 기존 시험관은 박피처럼 얇은 층에서 원하는 물질(22)만을 추출하는데는 상당히 어려움이 많았다.
허나 가늘고 길게 세워진 추출관(2)을 설치하여 추출하면 표본액을 정확하고 손쉽게 추출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A Sampling extraction method and device on testtube}
본 발명은 원심분리등에 의해 여러층으로 나눠진 액체중에서 박피처럼 얇은 층에 있는 액체만을 정확하고 쉽게 추출하기 위한 시험관 변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험관은 원심분리된 액체 중 얇은 박피층의 액체를 추출 하려면 경계면에 있는 다른 성분도 함께 추출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넓게 퍼져 있는 박피층을 부피에 변화없이 가늘고 길게 세울 수 있다면 시험관 측면을 통해 얼마든지 쉽게 추출할 수 있을 것 이다.
여러 성분이 혼합된 용액을 시험관에 담아 원심분리기로 돌리면 무게에 따라 각 성분별로 층을 이루며 나뉘게 된다.
이 중 양이 아주 적어 그 층의 두께가 얇은 박리층의 용액을 뽑아 내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설사, 스포이드를 가지고 어렵게 뽑더라도 층이 얇은 반면 경계면이 워낙 넓어 자칫하면 주위의 다른 물질도 같이 빨려오기 마련이다.
결국 이렇게 섞인 표본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시 분리 추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남는다.
다음은 과제의 예이다.
1단계 도 1의 시험관 액체를 돌렸더니 도 2 처럼 성분별로(21, 22, 23) 나뉘었다.
이 때 추출하려는 목적성분(22)은 층이 매우 얇다.
2단계 도 3에서 스포이드로 추출 목적 성분(22)을 추출하려 하지만 층이 얇다. 경계면에 있는 성분(21, 22)도 함께 추출 되었다. 이들은 스포이드 관안에서 섞이게 된다.
이렇게 박피표본처럼 얇은 층의 액체를 온전히 추출하기 위해서는 1~3단계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험관의 중간 부분을 오목하게 하여 가늘고 긴 관모양으로 변화시킴으로 원심분리 후 기존 시험관에서는 넓고 얇게 퍼졌던 박리층 용액이 가늘고 길게 세워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 추출관(2)에는 엷은 막으로 되있는 구멍(3)이 있어 주사기등으로 표본 용액을 추출한다.
해결 하려는 과제에서 보았듯이 기존 시험으로는 서로 다른 물질 사이에 끼여있는 얇은 박리층 용액을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발명은 가늘고 긴 관을 통해 이 박리층 용액을 가늘고 길게 세우므로 자연히 다른 용액과의 경계표면적이 현저하게 줄게 되어 종래에 경계면 주위용액이 함께 추출되는 문제점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추출하려는 용액이 아무리 소량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면 가는 추출관(2) 안에 모을 수 있다.
이에 순수한 표본용액을 한번에 추출해 낼 수 있게 되어 연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실험에 편리성과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액체가 들어가 있는 기존 시험관
[도 2] 원심분리 후 용액이 각각 층을 이루며 나뉜 기존시험관
[도 3] 기존 방식으로 얇은 박피층을 스포이드로 추출하는 그림
[도 4] 본 발명의 기술원리가 담겨진 것으로 시험관의 중간을 오목하게 조여 용액을 원심분리한 시험관 수직 단면도
(기존 시험관에서는 박리층이였던 것이 가늘고 길게 세워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5] 본 발명에 의한 추출 장치 분리도
[도 6] 본 발명에 의한 결합도
[도 7] 액체를 넣은 기존 시험관과 발명된 시험관의 비교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원리로서 도 2의 박피층 부분의 시험관 지름을 현저히 줄였더니 도 4의 그림 같이 얇았던 용액이 가늘고 길게 세워졌다. 따라서 그 자리에 가늘고 긴 추출관(2)을 넣고 원심분리 하면 도 4와 같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이다.
이에 추출을 쉽게하기 위해 추출관(2) 가운데 추출구(3)을 뚫고 주사기등으로 표본용액을 추출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분리도이며 원통부(11)와 추출부(12)로 구성 되었다. 추출부(12)는 원통부(11)와 탈착이 가능하며 추출관(2)과 추출구(3)로 되어 있다.
끝으로 액체를 넣은 일반 시험관과 발명된 시험관의 비교 도면을 보면(도 7)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추출하기 힘든 박리층을 길게 세움으로 원하는 표본물질을 순도 높게 분리 추출 해 낼 수 있음은 물론, 한번에 신속 정확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고정대
2; 추출관
3; 얇은 막이 덮인 추출구
11; 원통부
12; 추출부
17; 스포이드
18; 주사기
20; 분리전 용액
21; 혼합 용액 중 한성분
22; 혼합 용액 중 한성분, 추출하려는 성분으로 그 양이 매우적다
23; 혼합 용액 중 한성분

Claims (2)

  1. 시험관 박피용액 추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으로 도 4와 같이 시험관 중간의 지름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서, 기존의 얇고 넓게 나왔던 박피용액(22)을 추출하기 쉽도록 가늘고 길게 세워 원심분리로 나눠진 용액의 추출 할 수 있도록 한 방법.
  2. 도 5와 도 6에서 나타낸 추출관(2), 추출구(3)가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추출부(12)를 결합한 도 6의 발명된 시험관 장치(13)
KR1020160060766A 2016-05-18 2016-05-18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70130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66A KR20170130656A (ko) 2016-05-18 2016-05-18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66A KR20170130656A (ko) 2016-05-18 2016-05-18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656A true KR20170130656A (ko) 2017-11-29

Family

ID=6081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66A Withdrawn KR20170130656A (ko) 2016-05-18 2016-05-18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6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3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fluids containing multiple components
US79725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JPH09304398A (ja) 血清分取補助装置
JP4811404B2 (ja) 検体採取液容器
US11808757B2 (en) Depth filtration device for separating specimen phases
WO200406141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JP6288274B2 (ja) 遠心分離による定容量分取又はさらに保管のための器具
CN204544220U (zh) 一种旋转离心全血分离芯片
US20110124106A1 (en) Separation device
WO2017122314A1 (ja) 試料採取装置、その試料採取装置用ホルダ及びその試料採取装置を用いた試料前処理方法
CA2124702A1 (en) Phase-separation tube
WO2017015243A1 (en) Automatic plasma separation and metering
US201401128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 supernatant of a liquid sample, and use of a valve device having a soluble membrane
JP6907183B2 (ja) サンプル分離および収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00398225A1 (en) Surface tension driven filtration
KR20170130656A (ko) 시험관 안 박피 액체의 표본추출 방법 및 장치
WO2013045695A2 (en) Method for delivering a sample of body fluid to an analysing system, a syringe designed for use therein and a kit comprising such a syringe
KR102091124B1 (ko)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JP6960414B2 (ja) サンプリング装置
US20150202622A1 (en) Concentrated quantification centrifugal tube
JP3062082B2 (ja) 液体の遠心分離用沈殿管
EP3525932B1 (en) A device for collecting and/or handling a liquid sample and for separating said liquid sample into different component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9207355B (zh) 一种离心管
CN113866092B (zh) 中空纤维膜萃取结合sers对鸡蛋中抗生素萃取检测一体化装置
US11566727B2 (en) Fluid hand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uid hand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