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23968A -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968A
KR20170123968A KR1020160053382A KR20160053382A KR20170123968A KR 20170123968 A KR20170123968 A KR 20170123968A KR 1020160053382 A KR1020160053382 A KR 1020160053382A KR 20160053382 A KR20160053382 A KR 20160053382A KR 20170123968 A KR20170123968 A KR 2017012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opy alloy
composite material
metal composite
high entropy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호진
홍순형
이빈
이준호
강병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5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968A/ko
Publication of KR2017012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9Mixtures of metallic powders
    • B22F1/0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 C22C1/051Making hard metals based on borides, carbides, nitrides, oxides or silicides; Preparation of the powder mixtur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therefor
    • C22C1/057Making hard metals based on borides, carbides, nitrides, oxides or silicides; Preparation of the powder mixtur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therefor with in situ formation of phases other than hard compounds by solid state reaction sintering, e.g. metal phase formed by reduction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84Alloys containing non-metals by mechanical alloying (blending,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1/00Treatment under specific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203/00Controlling
    • B22F2203/11Controlling temperature, temperature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 및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을 포함하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시츄 반응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 미세 강화상을 형성하므로, 향상된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IN-SITU STRENGTHENED HIGH ENTROPY POWDER, ALLOY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금속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엔트로피 합금은 4개 이상의 원소가 거의 동일한 원자 분율(equiatomic)로 단상을 구성하는 금속 합금이다. 이러한 합금은 고엔트로피 효과로 인하여 다성분 원소가 단순 고용체를 형성하며, 고용강화를 통해 우수한 강도를 나타낸다. 한편, 세라믹 또는 금속간 화합물 등의 석출물은 고온 강도가 우수하며 경도,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금속합금기지의 강화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에 고엔트로피 합금 기지에 세라믹 또는 금속간 화화물 등의 강화상(reinforcing phase)의 도입을 통해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아크 용해와 같은 주조(casting) 방법과 강화상 분말과 고엔트로피 분말의 혼합 및 소결 방법과 같은 분말야금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주조 방법은 저비용으로 금속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공정 온도가 높아 결정립 크기가 조대화되며, 강화상과 기지 간의 밀도 차이에 의해 강화상의 균질 분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분말야금법에 의해 석출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조할 경우, 강화상의 균질 분산이 용이하나, 강화상을 외부에서 제조하여 투입할 경우 강화상과 기지 간의 양호한 계면 형성이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석출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복합소재 제조 시 기지와 강화상 간의 계면특성이 우수하여 상온과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제조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엔트로피 합금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미세 강화상이 형성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분말, 합금(금속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 및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을 포함하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화재는, 상기 다원계 성분 간 반응 석출물; 상기 다원계 성분 중 어느 하나의 탄화물, 질화물, 산화물 및 붕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화재는, 상기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대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화재는, 0.05 ㎛ 내지 50 ㎛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경도는 800(H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Fe, Ni, Al, Cu, Co, Mn, Zr, Hf, Re, W, Mo, Ti, V, Cr, Nb 및 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WMoCrNb, WVCrTa, MoVCrNb, VCrZrTa 또는 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4원계 합금; WNbTiVMo, NbMoVTaW, WMoVCrTa, WVCrNbTa, WVNbZrTa, MoVCrZrTa 또는 V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5원계 합금; 또는 WMoVCrZrTa, WMoCrNbZrTa, WVCrZrHfTa, MoVCrZrReHf 또는 VCrNbZrHfTa 중 어느 하나인 6원계 합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합금 구성원소 및 강화재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다원계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내 인시츄 반응에 의하여 강화재가 분산되어 형성되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에너지 볼 밀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진공 분위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 산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위기; 에서 수행되고,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100 ℃ 내지 2500 ℃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화재 구성성분은,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금 기지와 인시츄(in-situ) 반응 생성 강화재 간의 계면특성이 우수하여 상온과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온 소결 시 인시츄반응에 의해 강화재가 형성되므로, 기존의 주조 방법 및 분말야금법 등에 비하여 합금 금속복합소재 내에 미세하고, 균일한 분산 상태의 강화재가 형성되고, 이러한 강화재에 의한 강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는, 합금 기지 내에 미세한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가 균질 분산되고, 고온 및 저온에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합금 기지이며, Fe, Ni, Al, Cu, Co, Mn, Zr, Hf, Re, W, Mo, Ti, V, Cr, Nb 및 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원소;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WMoCrNb, WVCrTa, MoVCrNb, VCrZrTa 또는 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4원계 합금; WNbTiVMo, WNbTaVMo, WMoVCrTa, WVCrNbTa, WVNbZrTa, MoVCrZrTa 또는 V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5원계 합금; 또는 WMoVCrZrTa, WMoCrNbZrTa, WVCrZrHfTa, MoVCrZrReHf 또는 VCrNbZrHfTa 중 어느 하나인 6원계 합금;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WNbTaVMo 및 WNbTiVMo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을 구성하는 각 원소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에 대해 5 내지 35 원자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원소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원자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고온 소결 과정에서 인시츄 반응에 의해 석출된 강화상((reinforcing phase, 또는 세라믹 상)이며, 인시츄 반응으로 석출되므로, 미세한 입자 크기로 합금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합금 기지와 강화상 간의 양호한 계면 상태를 형성하여 강화상에 의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는, 상기 합금 기지에서 다원계 성분 간 반응 석출물; 상기 다원계 성분 중 어느 하나의 탄화물, 질화물, 산화물 및 붕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물은, Al2O3, TiO2, ZrO2, Ta2O5, CrO2, WO2, W2O3, 및 W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탄화물은, TiC, ZrC, HfC, VC, NbC, TaC, Mo2C, 및 W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질화물은, TiN, ZrN, HfN, VN, NbN, TaN, AlN, 및 Al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붕화물은, TiB2, ZrB2, HfB2, VB2, NbB2, TaB2, WB2, 및 MoB2,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는, 상기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대해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5 중량%; 일 수 있으며, 상기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미세한 강화상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강화상에 의한 기계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는, 0.05 ㎛ 내지 50 ㎛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강화재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합금 기지와 강화상 간의 우수한 계면 특성을 제공하고, 강화상의 입자 크기 증가에 따른 강화상의 균질 분산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경도는 800 (HV) 이상; 또는 800 (HV) 내지 1500(HV)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기존의 분말야금 또는 주조법에 의해 강화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비하여 강화 효과가 향상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다원계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S2); 및 고온 소결하는 단계(S3);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다원계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는, 합금 구성원소 및 강화재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는 분말 혼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합금 구성원소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기지를 구성하는 원소이며,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강화재 구성성분은, 인시츄 반응으로 강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성분이며, 예를 들어,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S2)는,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여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S2)는, 공기 분위기; 또는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위기;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S2)는, 기계적 분말 혼합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 에너지 볼 밀링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동 밀, 유성 밀, 어트리션 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500 내지 800 rpm으로 1시간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고온 소결하는 단계(S3)는,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여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형성하는 단계이며,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는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에 의해 강화된 합금이다. 고온 소결하는 단계(S3)는,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내 인시츄 반응에 의하여 강화상이 균질하게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화상은, 소결 과정에서 다원계 성분 간 반응 석출물 및/또는 다원계 성분과 강화재 구성성분에 의한 반응으로 석출된 미세한 입자상으로 형성되며, 합금 기지와 양호한 계면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소결하는 단계(S3)는, 정상 소결법, 반응 소결법, 가압 소결법, 등압 소결법, 가스압 소결법, 분위기 가압 소결법,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 또는 고온 가압 소결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은, 기계적 물성, 즉 경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계적 합금화 분말에서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의 미세화 및 균질 분산을 유도할 수 있으며, 강화 효과가 향상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소결하는 단계(S3)는, 강화재 구성성분에 따라 균일한 분산을 갖는 강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소결 분위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진공 분위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 산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위기;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온 소결하는 단계(S3)는 1250 ℃ 내지 1800 ℃ 온도로 5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 실시예 1a]
동일한 원자비%로 합금 기지 원소(W, Nb, Ta, Mo, V) 및 탄소분말 0.4 wt.%을 혼합한 이후에 유성 볼 밀링(볼 대 혼합 분말=10:1(질량비))으로 상온에서 300 rpm으로 최대 40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화하여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획득하였다.
[ 실시예 1b]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1300 ℃(승온속도 100 ℃/min)에서 5분 동안 방전 플라즈마 소결하여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합금의 SEM 이미지, XRD 및 경도를 측정하여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1]
강화상 분말(TiC) 0.4 wt.%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계적 합금화와 소결하여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합금의 경도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b의 WNbTaVMo 고엔트로피 합금은, 기계적 합금화를 통해 체심입방격자 (Body 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지게 되고, 소결 이후에 in-situ 반응에 의한 금속카바이드 세라믹 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b의 합금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포된 in-situ 반응에 의한 카바이드 세라믹 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in-situ 반응이 아닌 강화재로 금속카바이드 분말이 첨가된 WNbTaVMo 고엔트로피 합금(비교예 1)은, in-situ 반응에 의해 생성된 실시예 1b의 금속카바이드를 포함하는 WNbTaVMo 고엔트로피 합금에 비하여 경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강화상을 외부에서 제조하여 투입하는 것 보다, in-situ 반응에 의해 강화상을 석출할 경우에, 합금 기지 내에 강화상이 균일하게 분포하고, 합금 기지와 강화상의 계면 특성이 개선되어 기계적 물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온 소결에서 인시츄 반응에 의해 합금 기지 내에 미세하고 균일한 분산도를 갖는 강화상이 형성되므로, 강화 효과가 향상된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시츄 반응 생성 강화재; 및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을 포함하는,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상기 다원계 성분 간 반응 석출물; 상기 다원계 성분 중 어느 하나의 탄화물, 질화물, 산화물 및 붕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상기 합금 금속복합소재에 대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0.05 ㎛ 내지 50 ㎛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경도는 850(HV) 이상인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Fe, Ni, Al, Cu, Co, Mn, Zr, Hf, Re, W, Mo, Ti, V, Cr, Nb 및 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은,
    WMoCrNb, WVCrTa, MoVCrNb, VCrZrTa 또는 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4원계 합금;
    WNbTiVMo, NbMoVTaW, WMoVCrTa, WVCrNbTa, WVNbZrTa, MoVCrZrTa 또는 VCrNbZrTa 중 어느 하나인 5원계 합금; 또는
    WMoVCrZrTa, WMoCrNbZrTa, WVCrZrHfTa, MoVCrZrReHf 또는 VCrNbZrHfTa 중 어느 하나인 6원계 합금; 인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
  8. 합금 구성원소 및 강화재 구성성분을 혼합하는 다원계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내 인시츄 반응에 의하여 강화재가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진공 분위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 산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위기; 에서 수행되고,
    상기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100 ℃ 내지 2500 ℃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구성성분은,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산소, 질소; 붕소; 및 탄소;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다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금속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20160053382A 2016-04-29 2016-04-29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eased KR20170123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382A KR20170123968A (ko) 2016-04-29 2016-04-29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382A KR20170123968A (ko) 2016-04-29 2016-04-29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515A Division KR101966584B1 (ko) 2018-03-22 2018-03-22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68A true KR20170123968A (ko) 2017-11-09

Family

ID=6038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382A Ceased KR20170123968A (ko) 2016-04-29 2016-04-29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968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12A (ko) * 2018-03-14 2019-09-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체심입방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구상 분말의 제조방법
KR20190108413A (ko) * 2018-03-14 2019-09-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체심입방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
CN111085689A (zh) * 2018-10-23 2020-05-01 天津大学 一种FeCoCrNi系高熵合金选区激光熔化原位增材制造方法及产品
CN111321312A (zh) * 2020-03-02 2020-06-23 湖南大学 一种原位生成钨颗粒增强高熵合金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1363964A (zh) * 2020-03-10 2020-07-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一种W-Ta-Mo-Nb-Hf-C高温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1926231A (zh) * 2020-08-27 2020-11-13 湘潭大学 制备氧化物弥散强化MoNbTaVW难熔高熵合金方法
US10892766B2 (en) 2018-05-11 2021-01-12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configurable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sensing signal of plurality of sensors into digital value
CN112553488A (zh) * 2020-12-16 2021-03-26 湘潭大学 一种CrAlNbTiVZr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553517A (zh) * 2020-12-04 2021-03-26 湘潭大学 一种耐磨CrMoNiTaHfW高熵合金制备方法与工艺
CN112662929A (zh) * 2020-12-18 2021-04-16 北京有研粉末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851352A (zh) * 2021-01-27 2021-05-28 陕西科技大学 一种超高温高熵碳化物粉体及其制备方法
CN112935252A (zh) * 2021-03-04 2021-06-11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激光选区熔化技术制备高强韧共晶高熵合金的方法
CN113373363A (zh) * 2021-05-26 2021-09-10 北京有研粉末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难熔高熵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03704B1 (ko) * 2020-04-03 2021-09-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연 솔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2891B1 (ko) * 2020-04-21 2021-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쉘 구조 CoCrFeNiTi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4406267A (zh) * 2021-12-08 2022-04-29 西安理工大学 高熵合金浸渗连接CuW和CuCr材料的方法
CN114606419A (zh) * 2022-02-22 2022-06-1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难熔高熵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20102766A (ko) * 2021-01-14 2022-07-21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나노-상분리 고엔트로피 내화금속-산화물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99155A (zh) * 2022-03-30 2022-07-29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5007870A (zh) * 2022-01-04 2022-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5487604A (zh) * 2022-09-23 2022-12-20 东莞市名创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烧结过滤材料
CN115488329A (zh) * 2022-09-26 2022-12-20 华东交通大学 一种激光沉积高熵合金增强铝基复合材料的方法
CN115536398A (zh) * 2022-10-13 2022-12-30 北方民族大学 一种软机械力化学辅助氮化物热还原制备高熵氮化物亚微米粉体的方法
CN115870512A (zh) * 2022-11-18 2023-03-31 哈尔滨工程大学 选区激光增材制造高熵合金组织性能调控方法
CN116732414A (zh) * 2023-06-15 2023-09-1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基于稀土合金化的高熵合金及其成分设计方法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13A (ko) * 2018-03-14 2019-09-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체심입방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
KR20190108412A (ko) * 2018-03-14 2019-09-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체심입방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구상 분말의 제조방법
US10892766B2 (en) 2018-05-11 2021-01-12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configurable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sensing signal of plurality of sensors into digital value
CN111085689A (zh) * 2018-10-23 2020-05-01 天津大学 一种FeCoCrNi系高熵合金选区激光熔化原位增材制造方法及产品
CN111085689B (zh) * 2018-10-23 2022-03-04 天津大学 一种FeCoCrNi系高熵合金选区激光熔化原位增材制造方法及产品
CN111321312A (zh) * 2020-03-02 2020-06-23 湖南大学 一种原位生成钨颗粒增强高熵合金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1363964A (zh) * 2020-03-10 2020-07-03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一种W-Ta-Mo-Nb-Hf-C高温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KR102303704B1 (ko) * 2020-04-03 2021-09-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연 솔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2891B1 (ko) * 2020-04-21 2021-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쉘 구조 CoCrFeNiTi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1926231A (zh) * 2020-08-27 2020-11-13 湘潭大学 制备氧化物弥散强化MoNbTaVW难熔高熵合金方法
CN112553517A (zh) * 2020-12-04 2021-03-26 湘潭大学 一种耐磨CrMoNiTaHfW高熵合金制备方法与工艺
CN112553488A (zh) * 2020-12-16 2021-03-26 湘潭大学 一种CrAlNbTiVZr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662929A (zh) * 2020-12-18 2021-04-16 北京有研粉末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20102766A (ko) * 2021-01-14 2022-07-21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나노-상분리 고엔트로피 내화금속-산화물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51352A (zh) * 2021-01-27 2021-05-28 陕西科技大学 一种超高温高熵碳化物粉体及其制备方法
CN112935252A (zh) * 2021-03-04 2021-06-11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激光选区熔化技术制备高强韧共晶高熵合金的方法
CN113373363A (zh) * 2021-05-26 2021-09-10 北京有研粉末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难熔高熵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406267A (zh) * 2021-12-08 2022-04-29 西安理工大学 高熵合金浸渗连接CuW和CuCr材料的方法
CN114406267B (zh) * 2021-12-08 2024-04-26 西安理工大学 高熵合金浸渗连接CuW和CuCr材料的方法
CN115007870A (zh) * 2022-01-04 2022-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5007870B (zh) * 2022-01-04 2024-04-19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4606419A (zh) * 2022-02-22 2022-06-1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难熔高熵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799155A (zh) * 2022-03-30 2022-07-29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4799155B (zh) * 2022-03-30 2024-06-07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5487604A (zh) * 2022-09-23 2022-12-20 东莞市名创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烧结过滤材料
CN115488329A (zh) * 2022-09-26 2022-12-20 华东交通大学 一种激光沉积高熵合金增强铝基复合材料的方法
CN115536398A (zh) * 2022-10-13 2022-12-30 北方民族大学 一种软机械力化学辅助氮化物热还原制备高熵氮化物亚微米粉体的方法
CN115536398B (zh) * 2022-10-13 2023-03-14 北方民族大学 一种软机械力化学辅助氮化物热还原制备高熵氮化物亚微米粉体的方法
CN115870512A (zh) * 2022-11-18 2023-03-31 哈尔滨工程大学 选区激光增材制造高熵合金组织性能调控方法
CN116732414A (zh) * 2023-06-15 2023-09-12 内蒙古工业大学 一种基于稀土合金化的高熵合金及其成分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584B1 (ko)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3968A (ko)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7611B1 (ko)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70314097A1 (en) High-strength and ultra heat-resistant high entropy alloy (hea) matrix composit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422237B1 (ko)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및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KR102084121B1 (ko) 4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조성물, 이를 이용한 4원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626B1 (ko) 고 엔트로피 합금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207829A (zh) 高熵合金与多组元碳化物共晶型复合材料及其原位制备方法
JP7272353B2 (ja) 超硬合金、切削工具および超硬合金の製造方法
US20090105062A1 (en) Sintered Wear-Resistant Boride Material, Sinterable Powder Mixture, for Producing Said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Material and Use Thereof
JP2021527162A (ja) 密度が最適化されたモリブデン合金
KR102084452B1 (ko) Mo-Si-B 합금의 제조 방법
CN113373364A (zh) 颗粒增强难熔高熵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86456B1 (ko) 금속 복합분말, 소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44884B1 (ko)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6259978B2 (ja) Ni基金属間化合物焼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0661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3원계 티타늄 탄질화물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3원계 티타늄 탄질화물 소결체
JPH06228676A (ja) 耐食耐摩耗性にすぐれた複合焼結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05901A1 (en) Method of making a molybdenum alloy having a high titanium content
KR101195066B1 (ko) 질화물 강화 텅스텐 나노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5618364B2 (ja) 超微粒かつ均質なチタン系炭窒化物固溶体粉末の製造方法
JP2004142993A (ja) 六方晶複合炭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77415B1 (ko) 다중 나노-상분리 고엔트로피 내화금속-산화물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7425741B2 (ja) ターゲット及び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KR101659188B1 (ko) 자발 치환 반응을 통해 형성된 질화물로 강화된 금속기지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복합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9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