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22628A -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 Google Patents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628A
KR20170122628A KR1020160051852A KR20160051852A KR20170122628A KR 20170122628 A KR20170122628 A KR 20170122628A KR 1020160051852 A KR1020160051852 A KR 1020160051852A KR 20160051852 A KR20160051852 A KR 20160051852A KR 20170122628 A KR20170122628 A KR 20170122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perforation
mulch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수연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연, 김민수 filed Critical 김수연
Priority to KR102016005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628A/ko
Publication of KR2017012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2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A01G13/027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A01G13/33Sheets or 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지 또는 비닐하우스 등의 멀칭비닐이 씌어진 두둑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일정 간격에 맞춰 재식공을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동력 소모를 현저히 줄여주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바퀴로 측정된 이동 거리에 따라 천공부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 소모를 현저히 줄인 상태에서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Semiautomatic Type Mulching Vinyl Planting Hole Pu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재식공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지 또는 비닐하우스 등의 멀칭비닐이 씌어진 두둑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일정 간격에 맞춰 재식공을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동력 소모를 현저히 줄여주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작물이 심어지는 경작지 토양(이랑)의 수분을 유지하고, 강우시 빗물에 의한 토양유실을 방지하며, 잡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작지 토양을 피복재로 멀칭(Mulching)한다.
멀칭(Mulching)은 작물을 재배할 때 경지 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것을 말하며 농작물 재배용 멀칭필름(Mulching Film)은 멀칭이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막을 말하며 토양의 수분방지, 지온조절, 잡초 성장억제, 토양 전염성 병균방지, 토양 오염방지 등으로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로 인하여 경지 토양이 씻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등의 모상에서 작물의 씨앗을 파종하고, 작물을 적절한 크기의 모종으로 키운 후,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토양의 수분과 영양소가 증발되지 않도록 두둑에 농작물재배용 멀칭필름을 씌우고, 농작물 재배용 멀칭필름의 표면을 둥근 모양으로 천공하여, 이 천공된 부분에 작물의 모종을 이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4926호에는 경사진 천공날이 형성된 천공부재와, 천공부재와 연결된 손잡이부재를 통해 멀칭비닐 표면을 천공할 수 있는 멀칭비닐 천공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천공기를 들고 이동하면서, 힘을 가해 멀칭비닐을 천공해줘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천공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KR 20-0424926 Y1 KR 20-0427406 Y1 KR 20-0340487 Y1 KR 20-0470481 Y1 KR 10-1536733 B1
본 발명의 목적은 노동력 소모를 현저히 줄인 상태에서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천공할 수 있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멀칭비닐이 씌워진 두둑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면서 두둑의 길이 방향 형상에 맞추어 자동으로 일정 간격에 따라 재식공을 천공할 수 있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공부 설치공(112)이 천공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에 양옆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측면판(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판(130)이 구비되어 멀칭비닐(20)이 씌어진 두둑(10)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1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가이드부(100); 상기 두둑(10)과 상기 상판(110)의 하부 사이와, 상기 두둑(10)과 상기 측면판(12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이동시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부(100)가 상기 두둑(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두둑(10)의 손상을 방지하는 롤러부(200); 상기 천공부 설치공(112)에 설치되며, 하부에 열선부(310)가 구비되고, 중앙에 제자리에서 승하강 운동하면서 상기 두둑(20)과 접촉하여 상기 열선부(310)로 상기 멀칭비닐(20)을 천공하여 재식공(30)을 형성하는 천공로드(330)가 구비된 천공부(300); 상기 수평판(1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회전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410)가 구비된 바퀴(400); 상기 수평판(130)의 후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이 연장되며,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상단에 손잡이(5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5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받침대(530)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20)에 인접하게 버튼부(540)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00);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선부(310), 상기 천공로드(330), 상기 거리측정부(410) 및 상기 버튼부(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5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천공로드(330)를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열선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선부(310), 상기 천공로드(330), 상기 거리측정부(410), 상기 버튼부(530) 및 상기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100)는, 상기 천공부 설치공(112)의 양단에서 상기 천공부 설치공(112)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42)이 형성된 가이드돌기(140)과, 상기 가이드홈(142)에서 상기 가이드홈(1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복수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상기 측면판(120)의 내측에 복수 설치되는 측면롤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천공부(300)는, 상기 가이드판(150)의 상부에 고정되는 천공프레임(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천공프레임(340)은, 상기 가이드판(1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판(15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42)과, 상기 고정판(342)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기둥관(34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천공로드(330)는 상기 기둥관(344)에 설치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열선부(310)는, 상기 천공로드(3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10)과 접촉하여 열로 상기 멀칭비닐(20)을 원형으로 녹여 상기 재식공(30)을 천공해주는 열선(312)과, 상기 열선(3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선(312)이 상기 두둑(10)에 접촉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열선(312)에 전기를 흘려보내도록 해주는 접촉스위치(3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열선부(310)는, 상기 열선(312)이 상기 천공로드(330)의 하단 둘레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천공로드(33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두둑(10)과 상기 천공로드(33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31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초음파센서(3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초음파센서(316)의 거리 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천공로드(330)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상판(110)의 양단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중앙을 표시해주는 지시돌기(160)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퀴(400)로 측정된 이동 거리에 따라 천공부(30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멀칭비닐(20)에 재식공(30)을 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력 소모를 현저히 줄인 상태에서 멀칭비닐(20)에 재식공(30)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드부(100)와 롤러부(200)로 두둑(1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하면서, 바퀴(400)로 측정된 이동 거리에 따라 천공부(30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멀칭비닐(20)에 재식공(30)을 천공함으로써, 두둑(20)의 길이 방향 형상에 맞추어 멀칭비닐(20)에 재식공(30)을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가 두둑(10)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가 두둑(10)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에서 천공로드(330)가 두둑에 재식공(30)을 천공하는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는, 천공부 설치공(112)이 천공된 상판(110)과, 상판(110)에 양옆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측면판(120)과, 측면판(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판(130)이 구비되어 멀칭비닐(20)이 씌어진 두둑(10)에 설치되어 두둑(1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가이드부(100)와, 두둑(10)과 상판(110)의 하부 사이와, 두둑(10)과 측면판(12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00)가 이동시 제자리 회전하면서 가이드부(100)가 두둑(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면서 두둑(10)의 손상을 방지하는 롤러부(200)와, 천공부 설치공(112)에 설치되며, 하부에 열선부(310)가 구비되고, 중앙에 제자리에서 승하강 운동하면서 두둑(20)과 접촉하여 열선부(310)로 멀칭비닐(20)을 천공하여 재식공(30)을 형성하는 천공로드(330)가 구비된 천공부(300)와, 수평판(130)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1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회전수에 따라 가이드부(1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410)가 구비된 바퀴(400)와, 수평판(130)의 후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이 연장되며, 고정프레임(510)의 상단에 손잡이(520)가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프레임(5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받침대(530)가 형성되며, 손잡이(520)에 인접하게 버튼부(540)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00)과,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열선부(310), 천공로드(330), 거리측정부(410) 및 버튼부(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540)의 조작에 따라 천공로드(330)를 승하강시키면서, 열선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열선부(310), 천공로드(330), 거리측정부(410), 버튼부(530) 및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가이드부(100)는 모종을 파종하는 밭에 형성된 두둑 위에 놓여서, 두둑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이드부(100)를 통해 본 발명의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는 두둑의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밭에 두둑을 형성할 때 지형 또는 밭의 토질에 따라 완전한 직선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일정 부분 휘어질 수 가 있는데, 가이드부(100)를 통해 두둑에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재식공을 두둑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가요성의 얇은 금속재 재질로 형성된 상판(110)과, 상판(110)의 양옆 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판(120)이 구비된다. 아울러 측면판(120)의 옆에는 수평판(130)이 각각 구비된다.
상판(110)에는 측면판(120)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14)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또한 측면판(120)에는 결합공(114)에 대응되도록 적어로 1개 이상의 복수로 고정공(122)이 관통 형성된다.
상판(110)은 장방형의 판으로 형성되나 상부 방향을 향하여 곡면을 이루도록 휜 상태에서 결합공(114)에 측면판(120)의 고정공(122)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나사(2)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때, 결합공(114)과 고정공(122)은 서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2개소 이상 형성된다.
상판(110)을 두둑 상부의 형상에 맞게 휜 상태에서 측면판(120)을 고정시켜준다.
고정공(122)의 위치를 결합공(114)을 따라 위아래로 조절함으로써 상판(110)에 고정되는 측면판(1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측면판(120)은 상판(110)에 대응되는 크기로 장방형의 얇은 금속재 재질로 형성되나, 상판(110)보다는 두껍게 형성된다.
가이드부(100)가 놓이는 두둑의 형상에 따라 상판(110)의 휨 정도와, 측면판(120)의 높낮이를 알맞게 조절해준다. 그래서 가이드부(100)가 이동 시 두둑에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평판(130)은 측면판(120)의 하부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평판(130)은 측면판(120)과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넓이를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수평판(130)의 길이는 측면판(120)보다 짧게 형성된다.
수평판(130)의 중앙에는 바퀴(4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바퀴(400)가 설치됨에 따라 수평판(130)은 지면에서 이격되게 된다. 바퀴(400)이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100)가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판(110)의 상부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공부 설치공(112)이 관통형성된다. 천공부 설치공(112)의 양단 둘레에는 상판(110)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돌기(140)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40)에는 중앙에는 길이바향으로 따라 가이드홈(142)이 파여져 형성된다.
가이드홈(142)에는 가이드판(150)이 가이드홈(1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판(150)은 장방형의 판으로 형성되데, 양단을 가로지르는 프레임막대(152)가 형성되고, 프레임막대(152)는 가이드홈(142)에 설치된다.
가이드판(150)의 중앙에는 천공로드(330)가 통과할 수 있는 로드공(154)이 관통형성된다. 로드공(154)은 천공로드(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판(150)의 각 모서리에는 고정공(156)이 관통형성된다.
지시돌기(160)는 상판(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판(110)의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지시돌기(160)는 상판(110)의 중앙에 형성된다. 지시돌기(160)를 통해 사용자는 위에서 두둑을 바라보았을 때 중심을 확인할 수 있다. 지시돌기(160)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를 전진시키면서 중심을 간편하게 맞춰줄 수 있다.
롤러부(200)는 상판(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측면판(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측면롤러(220)를 포함한다.
상판(110)의 하부에는 천공부 설치공(112)을 기준으로 전방에 1개소, 후방에 1개소 씩 상부롤러고정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롤러(210)는 상부롤러고정구(116)에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상부롤러(210)는 상판(110)에서 천공부 설치공(112)을 제외한 공간에 적어도 2개소 이상 복수 설치된다.
측면판(120)의 내측에는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측면롤러고정구(124)가 형성된다. 측면롤러(220)는 각 측면롤러고정구(124)에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상부롤러(210)와 측면롤러(220)는 푹신푹신한 스펀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래서 가이드부(100)가 두둑 위에 올려졌을 때, 두둑에 씌어진 멀칭비닐의 손상을 최소화해준다.
한편, 상부롤러(210)의 경우 천공부 설치공(112)을 기준으로 양옆을 동시에 눌러줌으로써, 열선부(310)가 멀칭비닐을 천공할 때, 멀칭비닐이 두둑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해준다.
천공부(300)는 제자리 직선왕복 운동하면서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천공해주는 것으로 하단에 열선부(310)가 구비되며, 원형 막대 형상의 천공로드(330)와, 천공로드(330)를 지지해주는 고정판(340) 및 기둥관(350)을 포함한다.
열선부(310)는 멀칭비닐에 열을 가해 재식공을 천공해주는 것으로 천공로드(330)의 하단 둘레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 열선(312)과, 열선(312)과 천공로드(33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 접촉스위치(314) 및 천공로드(330)의 하단 둘레 외측에 설치된 초음파센서(316)을 포함한다.
열선(312)은 원형 링 형상으로 멀칭비닐과 접촉하여 멀칭비닐을 열선(3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녹여준다. 그러면 멀칭비닐에 재식공이 천공된다.
접촉스위치(314)는 열선(312)의 전원 공급을 물리적으로 제어해주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천공로드(330)가 멀칭비닐과 접촉한채 두둑을 누르게 되면 접촉스위치(314)가 On 상태로 열선(312)에 전원을 공급해주고, 열선(312)에 의해 멀칭비닐에 재식공이 형성된다. 천공로드(330)가 두둑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촉스위치(314)가 Off 상태를 유지한다.
초음파센서(316)는 멀칭비닐과 천공로드(330)의 끝단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를 제어부(700)로 보내준다. 제어부(700)는 측정 거리 신호를 받아서, 그에 맞춰서 천공로드(330)를 전진시켜주도록 제어한다. 초음파센서(316)를 통해 멀칭비닐과 천공로드(330)의 미세한 거리를 측정하여,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만 천공로드(330)를 하강 시켜주게 된다.
천공로드(330)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천공프레임(340)에 안내되어 승하강 운동한다. 천공로드(330)는 전기식 또는 유압식의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동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판(340)은 가이드판(1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판으로 각 모서리에 고정공(342)이 관통형성된다. 고정판(340)의 고정공(342)과 가이드판(150)의 고정공(156)이 맞닿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됨으로써 고정판(340)이 가이드판(150)에 고정된다.
고정판(150)의 중앙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관(350)이 돌출형성된다. 기둥관(350)은 천공로드(330)가 헐거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기둥관(350)의 상부에는 절개부(352)가 형성된다.
고정판(340)과 기둥관(350)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판(150)에 고정된 채, 가이드홈(142)에 안내되어 세로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프레임막대(152)에 위치한 나사가 가이드돌기(140)를 향해서 조여짐으로써 가이드판(150)이 가이드돌기(14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바퀴(400)는 수평판(130)의 양옆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퀴(400)에 의해 가이드부(100)는 지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두 개의 바퀴(400) 중 어느 하나에는 거리측정부(410)가 설치된다. 거리측정부(410)는 기어가 내장되어 바퀴(400)와 연결되어, 기어의 회전으로 바퀴(400)의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바퀴(400)의 회전수로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거리측정부(41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거리 측정 신호를 보내준다.
고정프레임(500)은 사용자가 파지한 채 밀거나 끌어줌으로써, 바퀴(400)를 통해 가이드부(1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켜줄 수 있다. 고정프레임(500)은 수평판(130)의 후단에서 각각 고정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바(510)와, 고정바(5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520)와, 고정바(510)의 하부 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받침대(530)와, 손잡이(520) 상에 설치된 버트부(540)를 포함한다.
고정바(510)는 수평판(130)에서 후단에서 각각 고정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고정바(510)의 최종 높이는 사용자의 허리 높이가 적당하다.
고정바(510)는 각각의 수평판(130)에서 한 개씩 형성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바(510)의 하부측에는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받침대(530)가 형성된다. 받침대(530)는 장방형의 판이다.
손잡이(520)는 고정바(510)의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손잡이(520)를 파지 한 채 고정프레임(50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손잡이(520)를 파지한 채, 고정프레임(500)과 연결된 가이드부(100)를 바퀴(400)를 통해 손쉽게 움직일 수 있다.
버튼부(540)는 천공부(300)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천공부(300)를 통해 멀칭비닐에 재식공을 천공하는 간격을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버튼부(540)는 다이얼 방식으로 40Cm, 50Cm, 60Cm, 70Cm, 80Cm 등의 천공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버튼부(540)는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부(540)의 설정 값을 제어부(700)로 보내준다.
제어부(700)는 천공부(300) 및 거리측정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어부(700)는 버튼부(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540)에서 설정된 천공 간격에 따라 천공부(300)가 구동되도록 해준다. 제어부(700)는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터리(800)는 천공부(300), 거리측정부(41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800)는 대용량의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축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800)는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가 두둑(10)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가 두둑(10)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의 저면도이다.
롤러부(200)에서 상부롤러(210)는 가이드부(100)의 상판(110) 하부에서 상부롤러고정구(116)에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상부롤러(210)는 두둑(10)에 씌어진 멀칭비닐(20)의 상부측을 눌러준다.
아울러 롤러부(200)에서 측면롤러(220)는 가이드부(100)의 측면판(120) 내측에서 측면롤러고정구(124)에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이때 측면롤러(220)는 두둑에 씌어진 멀칭비닐(20)의 양측면을 눌러준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520)를 파지한 채 밀어주면 바퀴(400)가 지면(4)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부(10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부롤러(210)는 두둑(10)의 상부에 가이드되고, 측면롤러(220)는 두둑(10)의 양옆에 가이드되면서 전진하게 된다.
한편, 두둑(10)이 형성되는 밭의 지형에 따라 두둑(10)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판(110)과 측면판(120)의 결합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판(110)의 굴곡을 설치하려는 두둑(10)에 맞춰서 굴곡을 주고, 두둑(10)의 넓이 만큼 측면판(120)을 결합시켜준다. 가이드부(100)를 설치하려는 두둑(10)과 유사한 형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520)를 파지한 채 밀어주면 상부롤러(210)와 측면롤러(220)가 멀칭비닐(20) 위에서 회전하면서 가이드부(100)가 두둑(10)의 길이 형상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사용자는 손잡이(520)를 밀면서 상판(110)의 양끝단에 형성된 지시돌기(160)를 확인하면서 두둑(10) 상의 가이드부(100)의 센터를 쉽게 맞춰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두둑(10)의 가운데에 재식공을 편리하게 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가 두둑(10) 상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에서 천공로드(330)가 두둑에 재식공을 천공하는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사용자는 버튼부(540)를 통해 멀칭비닐(20)에 재식공(30)을 천공하는 간격을 설정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 간격을 40Cm라고 설정했다면, 손잡이(530)를 파지한 채 밀어줄 때 거리측정부(410)가 바퀴(4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해주고, 제어부(700)는 40Cm 마다 천공부(300)를 작동하도록 제어해준다.
천공로드(330)가 제어부(7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하강한다. 천공로드(330)의 하단에 형성된 열선부(310)가 멀칭비닐(20)과 접촉한다. 이때 열선부(310)의 접촉스위치(314)가 두둑(10)에 의해 눌리게 되고, 열선(312)에 배터리(800)의 전원을 공급해준다.
그러면 열선(312)이 순간적으로 달궈지고, 멀칭비닐(20)이 열선(312)의 형상에 따라 절개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700)는 접촉스위치(314)가 눌리고 1 내지 2초 후 천공로드(330)를 승강시킨다.
사용자는 손잡이(520)를 파지한 채 계속적으로 밀어준다. 계속적으로 거리측정부(410)가 바퀴(400)의 회전으로 인한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그래서 매 40Cm 마다 제어부(700) 위와 같은 제어를 반복하게 된다.
2 : 나사 4 : 지면
10 : 두둑 20 : 멀칭비닐 30 : 재식공
100 : 가이드부
110 : 상판
112 : 천공부 설치공 114 : 결합공 116 : 상부롤러고정구
120 : 측면판 122 : 고정공 124 : 측면롤러고정구
130 : 수평판
140 : 가이드돌기 142 : 가이드홈
150 : 가이드판
152 : 프레임막대 154 : 로드공 156 : 고정공
160 : 지시돌기
200 : 롤러부
210 : 상부롤러 220 : 측면롤러
300 : 천공부
310 : 열선부
312 : 열선 314 : 접촉스위치 316 : 초음파센서
330 : 천공로드
340 : 고정판 342 : 고정공
350 : 기둥관 352 : 절개부
400 : 바퀴
410 : 거리측정부
500 : 고정프레임
510 : 고정바 520 : 손잡이
530 : 받침대 540 : 버튼부
700 : 제어부
800 : 배터리

Claims (3)

  1. 천공부 설치공(112)이 천공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에 양옆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측면판(120)과, 상기 측면판(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판(130)이 구비되어 멀칭비닐(20)이 씌어진 두둑(10)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1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하는 가이드부(100);
    상기 두둑(10)과 상기 상판(110)의 하부 사이와, 상기 두둑(10)과 상기 측면판(120)의 내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이동시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부(100)가 상기 두둑(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두둑(10)의 손상을 방지하는 롤러부(200);
    상기 천공부 설치공(112)에 설치되며, 하부에 열선부(310)가 구비되고, 제자리에서 승하강 운동하면서 상기 두둑(20)과 접촉하여 상기 열선부(310)로 상기 멀칭비닐(20)을 천공하여 재식공(30)을 형성하는 천공로드(330)가 구비된 천공부(300);
    상기 수평판(13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회전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410)가 구비된 바퀴(400);
    상기 수평판(130)의 후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이 연장되며, 상기 고정프레임(510)의 상단에 손잡이(5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고정프레임(510)을 가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받침대(530)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20)에 인접하게 버튼부(540)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00);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선부(310), 상기 천공로드(330), 상기 거리측정부(410), 상기 버튼부(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5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천공로드(330)를 승하강시키면서, 상기 열선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상기 받침대(5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열선부(310), 상기 천공로드(330), 상기 거리측정부(410), 상기 버튼부(530) 및 상기 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00);를 포함하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복수 설치되는 상부롤러(210)와, 상기 측면판(120)의 내측에 복수 설치되는 측면롤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310)는,
    상기 천공로드(3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두둑(10)과 접촉하여 열로 상기 멀칭비닐(20)을 원형으로 녹여 상기 재식공(30)을 천공해주는 열선(312)과, 상기 열선(3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선(312)이 상기 두둑(10)에 접촉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열선(312)에 전기를 흘려보내도록 해주는 접촉스위치(3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KR1020160051852A 2016-04-27 2016-04-27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Withdrawn KR20170122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52A KR20170122628A (ko) 2016-04-27 2016-04-27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52A KR20170122628A (ko) 2016-04-27 2016-04-27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28A true KR20170122628A (ko) 2017-11-06

Family

ID=6038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852A Withdrawn KR20170122628A (ko) 2016-04-27 2016-04-27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6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530A (zh) * 2019-04-16 2019-07-26 常州大学 一种农用地膜撕剥机
KR102134014B1 (ko) 2019-10-25 2020-07-14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KR20220000252A (ko) 2020-06-25 2022-01-03 홍승일 멀칭매트의 식생 홀 천공장치
CN115804310A (zh) * 2023-02-01 2023-03-17 山东润柏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花生种植用破膜引苗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530A (zh) * 2019-04-16 2019-07-26 常州大学 一种农用地膜撕剥机
KR102134014B1 (ko) 2019-10-25 2020-07-14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KR20220000252A (ko) 2020-06-25 2022-01-03 홍승일 멀칭매트의 식생 홀 천공장치
CN115804310A (zh) * 2023-02-01 2023-03-17 山东润柏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花生种植用破膜引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628A (ko)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KR101856840B1 (ko)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KR101587990B1 (ko) 온실 제작용 퍼린의 자동 성형장치
KR102134014B1 (ko) 농작물 재배용 멀칭매트 천공장치
CN110637558A (zh) 一种蔬菜大棚用自动开沟装置
CN108770416B (zh) 地膜定距打孔装置
KR20160000625U (ko) 커팅기
CN202931761U (zh) 打孔器
KR101286755B1 (ko) 수박 재배용 멀칭 필름
KR101419270B1 (ko) 비닐 피복기용 비닐 절단장치
CN103404399A (zh) 地膜苗孔定位打孔机
CN215011487U (zh) 蔬菜手推滚动型定植打孔器
CN210275061U (zh) 一种连翘种植用连续自动打孔装置
CN110367008B (zh) 一种覆膜覆土机
CN216873767U (zh) 一种农产品种植用的翻地装置
KR102417719B1 (ko) 멀칭매트의 식생 홀 천공장치
KR102389539B1 (ko) 농업용 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 및 영농 지원 시스템
KR20042492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2740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19460Y1 (ko) 멀칭비닐 천공기
CN218302152U (zh) 一种地膜打孔器
CN107347458A (zh) 一种食用菌类立体养植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168428B (zh) 一种园林花苗种植挖坑设备
CN110771415A (zh) 一种蔬菜瓜果大棚种植地块铺膜处理一体机
KR100925529B1 (ko) 잔디 식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