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97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2497A KR20170112497A KR1020160039594A KR20160039594A KR20170112497A KR 20170112497 A KR20170112497 A KR 20170112497A KR 1020160039594 A KR1020160039594 A KR 1020160039594A KR 20160039594 A KR20160039594 A KR 20160039594A KR 20170112497 A KR20170112497 A KR 20170112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mobile terminal
- output
- function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04M1/72519—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바디(body)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일측 단부가 개방된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에 구비된 복수의 키(key) 중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된 제1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따라,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바디(body)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일체형의 바디에 구비된 부품들 또는 버튼들을 통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단말기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가하였다. 이러한 일체형 바디를 갖는 단말기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그 기능이 향상되는 것은 가능하나, 일체형 바디가 갖는 물리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하드웨어적인 구성 보강은 실질적으로 어려웠으며, 따라서, 하드웨어적인 구성 보강을 통해 단말기의 기능이 향상되는 것은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바디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메인 바디(또는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서브 바디(또는 제2 바디)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메인 바디에 결합된 서브 바디가 갖는 고유의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할당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일측 단부가 개방된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에 구비된 복수의 키(key) 중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된 제1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따라,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현재 구동 모드가 상기 촬영 모드인지 또는 일반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에 대한 조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과 다른 기준에 근거하여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과 다른 제2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모드에서, 상기 제1 키 조작되는 경우, 서로 다른 필터링 기준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 포함하는 리스트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조그 휠 방식의 제2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필터링된 결과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키가 조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 중 다른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영상 첨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촬영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첨부 파일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과 다른 제2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기 촬영된 영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정보가, 상대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촬영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활성화된 카메라의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초점 조절 기능 수행 후, 특정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다시 상기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도록 가압된 경우,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 결과,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출력하고, 출력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상기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에서,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가 유지되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기 촬영된 사진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출력시키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면, 기 촬영된 제1 영상을 출력시키며,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기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제2 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바디부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에 구비된 복수의 키(key) 중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구동 모드가 상기 제2 바디부에 정의된 구동 모드 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에 정의된 구동 모드는 촬영 모드이고, 상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서브 바디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활용하여, 메인 바디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메인 바디에 복수의 또는 서로 다른 서브 바디를 결합하여, 서브 바디 각각에 할당된 고유의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에 따른 구동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들을 다른 구동 모드에서의 제어 키로 활용함으로써, 복수의 메뉴 선택 없이 특정 기능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구동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에서 살펴본 기능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할당된 기능을 다른 기능과 조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도 16, 도 17a, 도 17b 및 도 18, 도 19,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서브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2a 및 도 2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갤러리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구동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에서 살펴본 기능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할당된 기능을 다른 기능과 조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도 16, 도 17a, 도 17b 및 도 18, 도 19,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서브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2a 및 도 2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갤러리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바디(body)(또는 복수의 바디부)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바디 중 디스플레이(151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바디는, "제1 바디", "제1 바디부" 또는 "메인 바디(main body)"라고 명명하고, 디스플레이(151)가 배치되지 않은 바디는, "제2 바디", "제2 바디부" 또는 "서브 바디(sub body)"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바디의 결합에 의하여,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서브 바디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보다 확장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복수의 바디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먼저 살펴본 후,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에서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좌표계(coordinate system)는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인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좌표계인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디(BD)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BD)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에 비하여 Y축 상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Y축 상에서 멀리 있을수록 상부(upper part), 가까이 있을수록 하부(lower part)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는, 결합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결합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걸림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결합부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가 결합된 또는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시와 같이, 제1 바디(BD1)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바디(BD1)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베젤(BZ)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의 결합 및 분리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battery) 교환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battery, BT)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는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배터리(BT)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바디(BD1, BD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바디(BD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BD1)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배터리(BT)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제1 및 제2 바디(BD1, BD2)가 결합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전원 인가 명령이 가해진 후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바디(BD1)에는 보조 배터리(또는 비상 전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배터리(BT)의 교체를 위하여, 또는 기 결합된 제2 바디(BD2)를 다른 바디로 교체하기 위하여,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가 분리되는 경우, 제1 바디(BD1)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BT)는,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바디(BD1, BD2)가 분리되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배터리(BT)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조 배터리(BT)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동작 전원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바디(BD2)가 제1 바디(BD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전원공급을,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배터리(BT)가 아닌, 보조 배터리로부터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출 키(EK)는 제1 바디(BD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 키(EK)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의 분리와 결합에 관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user)가 배출 키(EK)를 조작함으로써,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대부분은, 제1 바디(BD1)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바디(BD1)는,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이기만 하면, 이동 단말기의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제1 바디(BD1)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12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는, 1개의 카메라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2개의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1 바디(BD1)와 결합되는 제2 바디(BD2)는, 그 고유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BD2)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케이스의 구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바디(BD2)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동 단말기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향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바디(BD2)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카메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바디(BD2)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한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고유의 기능을 갖는 제2 바디(BD2)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3)는 푸쉬 키 및 터치 키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지문 인식 센서를 구비할 수 잇으며,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기능을 확장시키는 제2 바디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 녹화를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바디(BD2)는, 사용자가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할 때, 이동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영상 촬영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보다 편리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2 바디(BD2)는,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바디(BD2)에 사용자의 손을 위치시킴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BD2)는 제1 바디(BD1)에 비하여 Z축 상으로 두꺼울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제2 바디(BD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을 향하여 볼록(convex)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BD2)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또는 기능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가 조작되는 것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키는, 카메라 기능과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기능 키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BD2)에는, 녹화 기능 키(RK), 셔터 키(SK),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 및 촬영 모드 전환 키(MK)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녹화 기능 키(R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 녹화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할 수 있다.
셔터 키(SK)는, 촬영 명령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키로서, 제어부(180)는,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셔터 키(SK)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셔터 키(SK)는, 복수의 기준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힘 및 제1 기준 힘보다 큰 제2 기준 힘 사이의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힘보다 큰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와 다른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제어 신호는, 초점 조절 기능에 대응되고, 제2 제어 신호는, 영상 촬영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휠 키(HK)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구조 및 수직 방향으로 푸쉬가 가능한 푸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그 키(JK)는, 조그 셔틀(jog shuttle)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휠 키(HK) 또는 조그 키(JK)는 줌인/줌아웃(zoom in/zoom out)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촬영 모드 전환 키(MK)는, 이동 단말기를, 일반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키로서,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는 경우, 카메라를 활성화 하고,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동 단말기를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면,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이동 단말기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카메라 기능을 통한 영상 촬영 기능이 수행되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촬영 모드”라고 명명하고, 그 외의 상태를 “일반 모드”로 명명한다.
추가적으로, 제2 바디(BD2)에는, 램프(LP)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램프(LP)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알리는 광(光)을 출력시킬 수 있다. 램프(LP)는, 카메라(121)의 작동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LP)는, 카메라(121)가 작동 중일 때 켜질 수 있다. 도 2c는 도 2a의 이동 단말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Y축을 따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가 위치하는 영역의 이동 단말기(100) 두께는, 카메라가 위치하지 않은 일부 영역의 이동 단말기(100) 두께에 비하여 얇을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디(BD2)가 위치한 부분의 두께는, 제1 바디(BD1)만 위치한 부분 보다 두꺼우며, 이는, 이동 단말기(100)의 그립(grip) 감각과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바디(BD2)의 두꺼운 그립감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손에 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2 바디(BD2)의 측면에 위치한 복수의 키들을 통하여, 영사 촬영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실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i)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바디 및 제2 바디(BD1, BD2)가 결합된 제1 상태, ii)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바디(BD1, BD2)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2 바디(BD2)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바디(BD1)내부 공간에 삽입된 제2 상태, iii)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바디 및 제2 바디(BD1, BD2)가 완전히 분리된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BD1) 및 제1 바디(BD1)와 결합되고, 교체 가능한 제2 바디(BD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BD2)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카메라 기능 확장 또는 음향 기능의 확장을 위한 고유 기능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2 바디(BD2)가 갖는 고유의 기능 외에,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을 활용하여, 제2 바디(BD2)가 활용되는 특정 모드(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음악 청취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도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일반 모드에서도,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의 조작을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바디(BD2)가 갖는 본래 목적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를, “이동 단말기가 특정모드(또는 해당 모드의 이름으로 명명(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음악 청취 모드 등))에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BD2)가 갖는 본래 목적에 따른 기능과 다른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를, “이동 단말기가 일반 모드에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e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2 바디(BD2)가 영상 촬영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목적의 구성인 경우, 카메라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를, “이동 단말기가 특정 모드(또는 촬영 모드)”에 있다라고 표현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특정 모드 및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BD2)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복수의 바디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서로 다른 구동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1 바디(BD1)에 포함된 구성요소 및 제2 바디(BD2)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촬영 모드를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모드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기 위한 모드로서,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영상 촬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모드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바디(BD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51)를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진입되거나, 사용자의 음성 명령 또는 제1 바디(BD1)에 구비된 하드웨어 키를 통하여 진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촬영 모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제2 바디(BD2)에는,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구비될 수 있다. 촬영 모드 전환 키(MK)는, 이동 단말기를, 일반 모드에서,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키로서,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는 경우, 카메라를 활성화 하고,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동 단말기를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면,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이동 단말기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가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도 2a 내지 도 2b에서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키는, 카메라 기능과 관련된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기능 키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BD2)에는, 녹화 기능 키(RK), 셔터 키(SK),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 및 촬영 모드 전환 키(MK)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녹화 기능 키(R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 녹화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할 수 있다. 셔터 키(SK)는, 촬영 명령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키로서, 제어부(180)는,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셔터 키(SK)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셔터 키(SK)는, 복수의 기준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힘 및 제1 기준 힘보다 큰 제2 기준 힘 사이의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힘보다 큰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와 다른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제어 신호는, 초점 조절 기능에 대응되고, 제2 제어 신호는, 영상 촬영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휠 키(HK)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휠 구조 및 수직 방향으로 푸쉬가 가능한 푸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그 키(JK)는, 조그 셔틀(jog shuttle)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휠 키(HK) 또는 조그 키(JK)는 줌인/줌아웃(zoom in/zoom out)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디(BD2)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2 바디(BD2) 부분을 손에 쥐고 영상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촬영 시 실제 카메라를 쥐고 영상을 촬영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영상 촬영을 제어함으로써, 촬영 명령을 인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51)에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프리뷰 영상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제2 바디(BD2)를, 제2 바디(BD2)가 갖는 고유의 목적대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에도 확장하여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 모드 및 촬영 모드에서 제2 바디(BD2)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BD1)와 제2 바디(BD2)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된다(S410).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바디(BD1) 및 제2 바디(BD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조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과정이 진행된다(S420). 여기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는, 앞서 살펴본, 셔터 키(SK), 녹화 기능 키(RK), 조그 키 (JK) 및 휠 키(HK)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키(또는 특정 키)로 명명한다.
제어부(180)는, 제 2바디(BD2)에 구비된 제1 키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키가, 촬영 모드 전환 키(MK)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조작된 키가, 촬영 모드 전환 키(MK)인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를,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 전환 키(MK)의 조작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기 전 수행되던 기능의 종류에 관계없이, 촬영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모드에 따른, 영상 촬영 기은, 종래 수행되고 있던 기능과 멀티 태스킹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이미 영상 촬영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또다시 촬영 모드 전환 키(M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종료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품 출고시 옵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S420 단계에서, 조작된 특정 키 (또는 제1 키)가, 촬영 모드 전환키가 아닌 경우, 제어부(180)는, 특정 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의 모드가, 촬영 모드 인지 또는 일반 모드 인지 판단한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서, 특정 키(또는 제1 키)가 조작되어,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에 근거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를 판단한다. 그리고, 구동 모드 판단 결과,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촬영 기능을 제어한다(S440). 그리고, 제어부(180)는, 구동 모드 판단 결과,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 영상 촬영 기능과 무관하게,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키 조작에 대응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을 제어하거나, 또는 일반 모드에서 상기 조작된 키에 할당된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특정 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실행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모드에서 어떤 기능이 수행될지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70)에 기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450).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키(또는 제1 키)의 조작을,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지에 대한 결정을, 현재 디스플레이(151)에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또는 실행화면)이 출력되고 있는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 키(또는 제1 키)의 조작이 감지되고,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 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키가 조작될 당시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정보(또는 현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를, 이동 단말기의 모든 상황에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가 조작된 경우, 어떤 제어가 일어나는지 또는 어떤 기능이 수행되는 지에 대한 다양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앞서 도 4와 함께 살펴본 판단 과정을 거친 후 수행되는 것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a에서 살펴본 기능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특정 키(또는 제1 키)의 조작이 감지되고,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 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키가 조작될 당시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은, '현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와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정보(501)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기준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되거나,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또는 제품 출고 시 제작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필터링된 결과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는, 제1 키(예를 들어, 푸쉬키 방식으로 가정)에 대한 푸쉬가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결과 정보는, 제1 키에 대한 푸쉬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플레이(151)에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한번 제1 키가 푸쉬 되거나, 제1 키와 다른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2 키가 조작되는 경우, 필터링된 결과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필터링된 결과 정보의 출력 유지 및 출력 종료에 대한 제어명령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필터링 기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리스트(예를 들어, 연락처 리스트)를 포함하는 화면정보(5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1 키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화면정보(501)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 정보(502)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킨다.
나아가, 필터링된 결과 정보(50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상기 제1 키 또는 다른 제2 키)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링된 결과 정보(502)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키(예를 들어, 조크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필터링된 결과 정보(502)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현재 선택 대상 항목(502a)은, 다른 항목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팅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에 포함된 항목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제1키 또는 다른 키)를 통하여 선택되거나, 제1 바디(BD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 키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에 포함된 특정 항목(502a)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항목의 상세 정보(503)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일반 모드에서, 특정 기능(예를 들어, 필터링 기능)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복수회의 메뉴 선택 과정을 건너뛸 수 있다.
필터링 기능의 다른 예에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파일(또는 특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1 키가 조작되면, 이미지와 관련된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의 기준은 다양할 수 있으며, 텍스트, 음악, 동영상 등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511)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의 특정키(또는 제1 키(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모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1 키에 대한 조작이 감지되면, 메모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메모 데이터 중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 결과,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모 항목들(512)이 필터링 결과로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링된 결과 정보(51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상기 제1 키 또는 다른 제2 키)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링된 결과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모 항목들, 512)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키(예를 들어,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필터링된 결과 정보(512)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현재 선택 대상 항목(512a)은, 다른 항목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팅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512)에 포함된 항목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제1키 또는 다른 키)를 통하여 선택되거나, 제1 바디(BD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 키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에 포함된 특정 항목(512a)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항목의 상세 정보(선택된 메모 항목에 대응되는 메모 내용, 513)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어떠한 기준으로 필터링을 수행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고, 제1 키가 다시 조작되는 것에 근거하여 변경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예는,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항목들(521)이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컨텐츠 항목들(521)을 기 설정된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1 키가 조작되면, 이미지 또는 동영상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컨텐츠만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은 컨텐츠만 필터링될 수 있다. 도 5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521)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의 특정키(또는 제1 키(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만 필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텍스트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필터링 대상 컨텐츠들에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또는 동영상 파일)만 필터링 결과로서, 도 5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 5c의 (a)에서, 텍스트를 포함한 파일(또는 항목, 521a, 521b, 521c, 521d)는, 도 5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링 결과에서 제외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링된 결과 정보(522)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상기 제1 키 또는 다른 제2 키)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링된 결과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 파일 항목들, 522)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키(예를 들어, 조크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필터링된 결과 정보(522)에 포함된 항목들에 대한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선택 대상 항목(522a)은, 다른 항목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팅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522)에 포함된 항목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제1키 또는 다른 키)를 통하여 선택되거나, 제1 바디(BD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 키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에 포함된 특정 항목(522a)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5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항목의 상세 정보(선택된 이미지 파일 항목에 대응되는 이미지,523)을 출력시킬 수 있다.
필터링된 결과 정보는, 제1 키(예를 들어, 푸쉬키 방식으로 가정)에 대한 푸쉬가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될 수 있다(도 5c의 (d) 참조). 또한, 필터링된 결과 정보는, 제1 키에 대한 푸쉬가 해제되더라도 디스플레이(151)에 계속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한번 제1 키가 푸쉬 되거나, 제1 키와 다른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제2 키가 조작되는 경우, 필터링된 결과 정보의 출력이 종료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필터링된 결과 정보의 출력 유지 및 출력 종료에 대한 제어명령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기준으로 필터링을 수행한 후, 다시 제1 키(또는 다른 제2 키)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으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1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된 후, 제1 키(또는 다른 제2 키)가, 선택되면, 다른 필터링 기준으로, 필터링 대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것에 근거하여, 제1 기준(예를 들어, 최근 사용한 연락처)로 데이터가 검색되고, 검색된 결과가 출력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특정키 또는 다른 제2 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1 기준(예를 들어, 최근 사용한 연락처)과 다른 제2 기준(예를 들어, 우리팀 연락처)을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필터링 대상 연락처 중 제2 기준(예를 들어, 우리팀 연락처)를 기준으로, 연락처(또는 주소록) 데이터를 검색하고, 도 6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결과(603)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의 조작만으로, 필터링 대상을 순차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터링 대상을 선택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필터링 기준의 전환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조그 키(또는 휠키)가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그 키(또는 휠키)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조작되는 경우, 현재 필터링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그 키(또는 휠키)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조작되는 경우, 바로 직전의 필터링 기준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조그 키(또는 휠키)가 조작되는 방향에 따라, 다음번 필터링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전번 필터링 기준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원발명에서는, 제1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된 후, 다시 제1 키(또는 다른 제2 키)가 선택되는 경우, 어떤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될지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151)의 일 영역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가이드 정보에는 사용자가 직접 필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윈도우 또는 관련 유저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필터링 기준을 설정하여, 원하는 정보에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정보(501)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6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모드에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필터링 기준을 선택받기 위한 윈도우(602)를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일반 모드에서 특정 키가 선택되면, 서로 다른 필터링 기준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들을 출력시키며, 이러한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 기준을 선택받기 위한 입력은, 도시와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입력 또는 제1 바디(BD1)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필터링 기준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6b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기준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필터링 기준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6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링 결과 정보(603)를 디스플레이(151)에 전체적으로 출력하거나, 팝업 윈도우를 통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6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51)의 화면 영역을 분할하여, 일 영역(604)에는 필터링 결과를 출력하고, 다른 일 영역(605)에는 필터링 전에 출력되고 있었던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복수의 영역들(604, 605)에 출력된 정보는 독립적으로 스크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래 사용하고 있었던 정보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으로 필터링이 수행된 후, 다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특정키 또는 다른 제2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필터링 기준에 따른 필터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다른 정보로의 접근이 필요한 경우, 빠르게 이에 접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가 갖는 고유의 목적의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어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특정 항목에 대한 선택 및 탐색 기능뿐만 아니라, 특정 항목에 포함된 세부 항목을 탐색하는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으로 그룹화 하거나, 현재 선택된 항목을 세부항목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에 따른 흐름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7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정보(701)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사용자의 의해 선택된 기준이거나, 제어부(180)에 의해 선택된 기준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정보(701)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종류 및 내용을 분석한 뒤, 적절한 구분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정보가 사진과 관련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진이 촬영된 위치(또는 장소)를 기준으로, 사진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다. 한편, 도시와 같이, 복수의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더욱 세부화된 기준으로 그룹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들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기준(예를 들어, "국가" 기준)으로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분류된 결과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준으로 사진들이 분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그룹(예를 들어, "대한 민국"에서 촬영된 사진 그룹)이 선택되고, 상기 특정키(또는 다른 특정 키에 의해)조작되는 경우,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그룹을, 상기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제1 기준과 제2 기준은, "지역"이라는 공통된 속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공통된 속성을 갖는 기준으로, 데이터들을 점차적으로 세분화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해, 특정 그룹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 등을 통해 특정 그룹이 선택되면, 그룹화 하는 것을 중단하고, 선택된 그룹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가 선택되는 경우, 점차적으로 뎁스(depth)를 두어, 데이터를 그룹화할 수 있다. 한편, 그룹들의 선택 및 그룹을 선택하기 위하여 그룹간의 이동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조그 키(또는 휠키)가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정보를 필터링하거나, 그룹화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의하여 정렬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정렬 대상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렬이 가능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이러한 필터링 기능은, 일반 모드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선택되는 경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콘들 또한, 특정 기준에 의하여 필터링 되거나, 그룹화될 수 있다. 필터링 또는 그룹화된 결과는 현재 출력된 홈 스크린 페이지에 오버랩 방식으로 출력되거나, 별도의 홈 스크린 페이지가 생성되어, 생성된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새롭게 생성된 홈 스크린 페이지는, 필터링 또는 그룹화된 결과의 출력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삭제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바디(BD2)가 영상 촬영 관련 기능이라는 고유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일반 모드에서도, 일반 모드에서 수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영상 촬영 기능을 서로 연계시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할당된 기능을 다른 기능과 조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다 보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영상 촬영이 필요한 순간들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중,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된 사진 촬영 메뉴에 진입하거나, 갤러리 메뉴에 진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바디(BD2)가 앞서, 도 2a 내지 도 2e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구성인 경우, 이러한 구성을 활용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 사용 중에도 곧바로 영상 촬영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촬영된 사진을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에게 사진 전송이 필요한 순간이 존재하거나, 통화 상대방, 또는 특정 상대방에게 사진 전송이 필요한 순간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메인으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메신저 기능(또는 메시지 기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상대방에게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51)에 메신저 기능(또는 메시지 기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 시킨다(이때,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임을 판단하는 과정은 기 진행된 상태이다). 이때, 메시지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구동 중인 상태이다. 제어부(180)는, 도 8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행화면(802)의 일 영역(802)에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화면과 함께, 프리뷰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메시지 기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대신, 프리뷰 영상을 전체적으로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난 후,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도 8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시지 기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첨부 파일로서, 활용한다. 즉, 제어부(180)는, 촬영된 사진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이에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프리뷰 영상이 촬영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예를 들어, 스와이프 터치, 드래그 터치, 더블 터치 등)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별도로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복수의 카메라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영상 촬영 명령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해 하거나, 프리뷰 영상(802)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제1 바디(BD1)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완료되고, 촬영된 사진이 첨부파일로서 첨부되는 경우,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수행되기 전이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특정 키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영상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프리뷰 영상의 출력 종료는, 카메라가 비활성화 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 없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키가 선택되면,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 촬영을 수행하여, 곧바로 촬영된 사진을 첨부파일로서 처리한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기 촬영된 사진 또는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 가능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복수의 키 중 서로 다른 키가 눌러지는 경우, 각각 도 8b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를 활성화 하여,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키거나,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사진 리스트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카메라 활성 후 프리뷰 영상 출력 없이 사진 촬영을 바로 수행하는 것 또한 물론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서로 다른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1 기준 힘 및 제1 기준 힘보다 큰 제2 기준 힘 사이의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8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를 활성화 하여,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제2 기준 힘보다 큰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사진 리스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셔터 키를 서로 다른 힘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하여, 사진 촬영 기능 또는 기 촬영된 사진 첨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사진 리스트에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사진(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8b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기 위하여, 첨부파일로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메신저 기능 등, 컨텐츠 전송 상대방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바디(BD2)를 통한 키 입력에 근거하여, 손쉽게 영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컨텐츠 전송 상대방이 특정되는 상황이기만 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관계 없이, 상대방 단말기로 컨텐츠(사진 또는 동영상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가 특정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중인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도 9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화의 상대방 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통화 기능 실행화면(802)의 일 영역에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화면과 함께, 프리뷰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통화 기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대신, 프리뷰 영상을 전체적으로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난 후,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화의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완료되고, 촬영된 사진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수행되기 전이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특정 키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영상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프리뷰 영상의 출력 종료는, 카메라가 비활성화 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통화의 상대방에게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에는,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윈도우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이에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프리뷰 영상이 촬영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예를 들어, 스와이프 터치, 드래그 터치, 더블 터치 등)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별도로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복수의 카메라가 모두 활성화 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통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기 촬영된 사진 또는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 가능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복수의 키 중 서로 다른 키가 눌러지는 경우, 카메라를 활성화 하여,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키거나, 도 9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사진 리스트(903)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진 촬영 기능을 갖는 셔터 키가 서로 다른 힘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하여, 사진 촬영 기능 또는 기 촬영된 사진 첨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사진 리스트에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사진(사진 또는 동영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9b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a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방 단말기의 특정은, 통화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서, 특정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특정 연락처에 대응되는 상대방 단말기가 특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 대상 상대방 단말기가 특정된 후,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 도 10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된 상대방 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상기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001)의 일 영역에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행화면과 함께, 프리뷰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상기 실행화면 대신, 프리뷰 영상을 전체적으로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난 후,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완료되고, 촬영된 사진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프리뷰 영상은, 영상 촬영이 수행되기 전이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더 이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특정 키가 다시 선택되는 경우, 프리뷰 영상의 출력이 종료될 수 있다. 프리뷰 영상의 출력 종료는, 카메라가 비활성화 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대방 단말기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에는,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받기 위한 윈도우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 카메라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이에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프리뷰 영상이 촬영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예를 들어, 스와이프 터치, 드래그 터치, 더블 터치 등)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되는 카메라 간의 전환은, 별도로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복수의 카메라가 모두 활성화 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지거나, 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기 촬영된 사진 또는 갤러리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 가능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앞선 도 9a 및 도 9b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다른 예로서, 도 10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연락처에 대응되는 화면정보(1010)가 출력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영상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된 영상을, 특정 연락처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도 10b의 1011, 1012 참고). 이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 사진을 설정하기 위한 번거로운 메뉴 설정 과정없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의 선택을 통하여, 간편하게 사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앞서 살펴본 예들과 같이,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는 실시예,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실시 예, 촬영된 영상을 설정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실시 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에 대한 선택에 근거하여 컨텐츠에 대한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탐색 기능은 특정 컨텐츠를 분할하여 출력하거나, 내용을 미리 보기 형식으로 압축하여 출력하거나, 기본 재생속도 보다 빠르게 출력하는 것과 같이, 컨텐츠에 대한 출력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컨텐츠 탐색 기능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일 예로서, 도 11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이미지(1100)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특정 이미지의 제1 일부(1101)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키가 계속하여 눌려지는 경우, 또는 순차적으로 눌러질 때마다, 도 11a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특정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이미지는, 파노라마 뷰 기능, 또는 360도 뷰 기능을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1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컨텐츠가 출력대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 11b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 컨텐츠를, 원래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요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동영상 미리보기" 기능으로 명명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모두 출력시키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한 프레임들만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가압되는 것이 유지되는 동안에,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하고, 특정 키의 가압이 종료되는 경우, 동영상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가압된 후 해제되더라도, 동영상을 계속하여 재생하고, 다시 번, 상기 특정키(또는 다른 특정키)가 가압되면, 동영상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1c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음악 컨텐츠(또는 오디오 컨텐츠)가 출력대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음악 컨텐츠의 일부분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음악 미리듣기(또는 오디오 미리듣기)" 기능으로 명명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악 컨텐츠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출력하기 위하여, 음악 컨텐츠의 가장 첫 부분부터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부분(예를 들어, 1분 후의 부분)부터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가압되는 것이 유지되는 동안에, 음악을을 계속하여 재생하고, 특정 키의 가압이 종료되는 경우, 음악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가압된 후 해제되더라도, 음악을 계속하여 재생하고, 다시 번, 상기 특정키(또는 다른 특정키)가 가압되면, 음악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1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재생되던 동영상의 재생 배속을 조절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재생 배속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출력 대상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 미리 듣기, 또는 확대 보기 등과 같은 탐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메뉴 선택없이 직관적으로 해당 기능에 진입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예들 외에도, 제2 바디에 구비된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또는 제1 키, 예를 들어, 셔터 키(SK))에는, 스크린 동영상 캡쳐 기능이 할당될 수 있다. 스크린 동영상 캡쳐는, 현재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화면을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되는 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일정 시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키가 선택된 후, 스크린 녹화가 진행되고, 다시 한번 상기 특정 키가 선택되면, 녹화가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 바디에 구비된 키의 선택만으로 특정 기능에 곧바로 접근할 수 있는 편의 성이 있다.
한편,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에 구비된 키가 선택되는 경우,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최근 사용된 컨텐츠, 최근 사용된 기능,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 등과 같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151)에 특정 컨텐츠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 또는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색된 정보에 대응되는 항목을 각각 출력하고,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검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151)에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선택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디(BD2)의 조작에 따라, 마우스 커서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우스 커서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컨텐츠가,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서브 바디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활용하여, 메인 바디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메인 바디에 복수의 또는 서로 다른 서브 바디를 결합하여, 서브 바디 각각에 할당된 고유의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에 따른 구동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들을 다른 구동 모드에서의 제어 키로 활용함으로써, 복수의 메뉴 선택 없이 특정 기능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일반 모드에서 제2 바디에 구비된 키가 선택되는 경우, 일반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제어하는 예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제2 바디가 갖는 고유의 기능에 따른 모드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제2 바디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2 바디는, 촬영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여, 이에 따른 제2 바디의 고유 구동 모드는, 촬영 모드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 도 16, 도 17a,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서브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의 조합을 통하여, 각각의 키들에 할당된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도 3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2 바디(BD2)에 구비된 각 키들은, 촬영 모드에서, 영상 촬영과 관련된 서로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각 키들이 복수개 조합되어 눌러지거나, 특정 상태에서 어느 하나가 눌러지는 경우, 각 키가 싱글로 눌러졌을 때의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셔터 키(SK)와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동시에 가압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 리스트(1302)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는, 수직 방향으로 푸쉬가 가능한 푸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가압되는 경우,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뉴 리스트(1302)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뉴 리스트(1302)에 포함된 항목들 간 이동은, 도 13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푸쉬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되는 경우, 줌/아웃 기능을 수행하고,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푸쉬된 상태에서 조작되는 경우, 항목 간 이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항목 간 이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 조작은 다양한 예로 변형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키(SK)는 반셔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셔터 키(SK)는, 촬영 명령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키로서, 제어부(180)는, 셔터 키(SK)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셔터 키(SK)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셔터 키(SK)는, 복수의 기준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힘 및 제1 기준 힘보다 큰 제2 기준 힘 사이의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경우를, "셔터 키(SK)가 반셔터 방식으로 가압되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힘보다 큰 힘으로 셔터 키(SK)가 가압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제어신호와 다른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 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제어 신호는, 초점 조절 기능에 대응되고, 제2 제어 신호는, 영상 촬영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경우를, "셔터 키(SK)가 풀 셔터(또는 풀 프레스(full press)) 방식으로 가압되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셔터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서,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초점이 맞춰진 피사체에 대응되는 추가정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물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초점이 맞춰진 피사체를 분석하고, 분석된 피사체와 관련된 컨텐츠(또는 추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인디케이터(1403, 또는 아이콘, 또는 그래픽 객체)을 디스플레이(151)에 출력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인디케이터(1403)가 선택되는 경우, 도 1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텐츠(1405)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먼저 출력시킨 뒤, 사용자의 추가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의 전체 내용 또는 상세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1501, 1502, 1503)를 하나의 디스플레이(151)에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구분된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프리뷰 영상(1501, 1502, 1503)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 자체에 구비된 카메라 일 수 있고,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연결된 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1501, 1502, 1503)이 출력된 상태에서, 셔터 키(SK),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 중 적어도 하나가 조합되어 조작되는 것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프리뷰 영상을 선택받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프리뷰 영상(1504)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선택된 프리뷰 영상(1504)이 확대된 상태에서 셔터 키(SK)가 조작되면, 도 1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프리뷰 영상(1504)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대응되는 프리뷰 영상(1501, 1502, 1503)이 출력된 상태에서, 셔터 키(SK)가 제2 기준 힘 이상으로 가압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다른 활용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영상 촬영 아이콘(1601)이 선택된 후, 터치가 계속하여 유지되는 경우, 연속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영상 촬영 아이콘(1601)에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촬영 아이콘(1601)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줌 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연속 촬영 중에, 카메라 줌 인 또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 연속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활용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1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셔터 키(SK)가 특정 방식(예를 들어, 반셔터 방식)으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셔터 키(SK)와 다른 키가 조합되어 가압되는 경우, 도 17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1702)과 바로 직전에(또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1703)을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기능은, 촬영 모드에서, 특정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예를 들어, 전문가 모드 등)에서만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는, 바로 직전에 촬영된 영상과 현재 프리뷰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카메라의 설정을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지 인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앞서 도 17a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셔터 키(SK)가 특정 방식(예를 들어, 반셔터 방식)으로 가압되는 경우, 또는 셔터 키(SK)와 다른 키가 조합되어 가압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1702)과 바로 직전에(또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1703)을 함께 출력(도 17b의 (a) 및 (b)참조)시키는 것과 함께, 도 17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뷰 영상(1712)과 직전에 촬영된 영상(1713) 사이의 다른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프리뷰 영상(1712)과 직전에 촬영된 영상(1713) 들의 영상 촬영 설정 값, 예를 들어, 밝기, 명암, 대비, 노출 값 등, 을 분석하고, 서로 다른 설정 값을 갖는 항목들을 아이콘 형식(1714)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아이콘(171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어느 하나가 프리뷰 영상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7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설정 값을, 프리뷰 영상에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영상이 녹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특정 키(예를 들어, 셔터 키(SK))와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함께 조작되는 경우(또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가압된 상태로 조절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동영상 촬영 배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a"방향으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타입 랩스 형식의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타입 랩스 방식의 동영상은,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동영상이 녹화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8의 (a)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a"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b"방향으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슬로 모션 형식의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슬로 모션 방식의 동영상은, 정상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동영상이 녹화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녹화가 진행되는 중에도, 동영상이 녹화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정상속도보다 얼마나 느리게, 또는 얼마나 빠르게 동영상 녹화 속도를 제어할지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19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녹화 기능 키(RK)와 셔터 키(SK)가 동시에 가압되는 경우, 동영상과 정지 영상을 함께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셔터 키(SK)에 대한 가압이 계속하여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정지영상을 연속 촬영 방식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녹화가 진행되는 중에, 셔터 키(SK)가 눌러지면, 녹화를 진행하면서, 정지 영상을 함께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필터 또는 서로 다른 설정 값을 갖는 프리뷰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영상(2101, 2102, 2103)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영상(2101, 2102, 2103)된 상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들 중 복수개가 또는 단일의 키가 기 설정된 방식으로 조작되는 경우(예를 들어, 녹화 기능 키(RK)와 셔터 키(SK)가 함께 가압되는 경우, 도 2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프리뷰 영상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촬영 모드에서,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하는 것에 근거하여, 영상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 촬영된 사진 또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접근하고, 나아가 이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브 바디에 구비된 키를 활용하여, 갤러리 기능과 관련된 확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21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 촬영 모드에서, 갤러리 앨범에 접근할 수 있다. 프리뷰 영상의 일 영역에는 갤러리에 접근 가능한 아이콘(1830)이 출력되면, 이러한, 갤러리 기능 아이콘(1830)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21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장 최근에 촬영된 사진(1802)을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촬영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기 촬영된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1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갤러리 기능 아이콘(1830)에 대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도 21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촬영된 다른 사진(1803)을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것에 대응하여, 영상이 촬영된 순서대로, 기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방향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순서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기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썸네일 형식(1810)으로 기 촬영된 영상을 출력시키고,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것에 대응하여, 영상이 촬영된 순서대로 다른 썸네일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2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갤러리 기능 아이콘(1830)에 대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도 21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51)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일 영역에는 프리뷰 영상(1821)을 출력하고, 다른 일 영역에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영상(1833)을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촬영된 영상(또는 기 저장된 영상(이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가 조작되는 것에 근거하여, 촬영된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편집 기능 아이콘들(1931, 1932)를 출력시킬 수 있고, 편집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1931, 예를 들어, 밝기 조절 기능)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도 22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된 영상의 밝기 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22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편집 기능 아이콘들(1931, 1932)를 출력시킬 수 있고, 편집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1932, 예를 들어, 자르기 기능)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의 출력 크기(확대 또는 축소를 통하여 출력크기 조절 가능) 변경하고,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부분만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51)에 출력된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은, 별도의 파일로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위의 예에서는, 편집 기능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에서, 조그 키(JK) 또는 휠 키(HK)가 조작되는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이와 다르게, 편집 기능 아이콘에 대한 터치가 한번 가해진 후, 해제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제2 바디(BD2)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활용하여, 메인 바디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1 바디에 복수의 또는 서로 다른 제2 바디를 결합하여, 서브 바디 각각에 할당된 고유의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바디에 할당된 고유의 기능에 따른 구동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2 바디에 구비된 키들을 다른 구동 모드에서의 제어 키로 활용함으로써, 복수의 메뉴 선택 없이 특정 기능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고, 일측 단부가 개방된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키(key)들을 구비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에 구비된 복수의 키(key) 중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조작된 제1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 및 일반 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따라,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현재 구동 모드가 상기 촬영 모드인지 또는 일반모드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중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에 대한 조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과 다른 기준에 근거하여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기 설정된 기준과 다른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과 다른 제2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모드에서, 상기 제1 키 조작되는 경우, 서로 다른 필터링 기준에 각각 대응되는 항목 포함하는 리스트 출력하고,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조그 휠 방식의 제2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필터링된 결과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키가 조작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 중 다른 항목에 대응되는 기준으로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영상 첨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촬영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첨부 파일로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과 다른 제2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기 촬영된 영상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정보가, 상대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상기 제1 키와 다른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촬영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1 키가 가압되는 정도가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는 경우, 활성화된 카메라의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초점 조절 기능 수행 후, 특정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다시 상기 제1 기준 압력에 대응되도록 가압된 경우,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 결과,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출력하고,
출력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를 유지하면서, 상기 특정 피사체와 관련된 상기 검색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에서, 프리뷰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가 유지되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기 촬영된 사진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출력시키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면, 기 촬영된 제1 영상을 출력시키며,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경우, 기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제2 영상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및 제2 바디부가 결합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에 구비된 복수의 키(key) 중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구동 모드가 상기 제2 바디부에 정의된 구동 모드 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에 정의된 구동 모드는 촬영 모드이고,
상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영상 촬영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구동 모드가 촬영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 정보와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594A KR20170112497A (ko) | 2016-03-31 | 2016-03-3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5/420,261 US10048772B2 (en) | 2016-03-31 | 2017-01-3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EP17162497.6A EP3226541A1 (en) | 2016-03-31 | 2017-03-23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594A KR20170112497A (ko) | 2016-03-31 | 2016-03-3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497A true KR20170112497A (ko) | 2017-10-12 |
Family
ID=5846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594A Withdrawn KR20170112497A (ko) | 2016-03-31 | 2016-03-3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048772B2 (ko) |
EP (1) | EP3226541A1 (ko) |
KR (1) | KR2017011249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54156B1 (en) | 2016-06-12 | 2017-12-26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
DK179471B1 (en) | 2016-09-23 | 2018-11-26 | Apple Inc. | IMAGE DATA FOR ENHANCED USER INTERACTIONS |
DK180007B1 (en) | 2017-05-16 | 2020-01-16 | Apple Inc. | RECORDING AND SENDING EMOJI |
DK179948B1 (en) * | 2017-05-16 | 2019-10-22 | Apple Inc. | Recording and sending Emoji |
US10542245B2 (en) * | 2017-05-24 | 2020-01-2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DK180859B1 (en) | 2017-06-04 | 2022-05-23 | Apple Inc |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
CN107257439B (zh) * | 2017-07-26 | 2019-05-1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
US11112964B2 (en) | 2018-02-09 | 2021-09-07 | Apple Inc. |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
DK180078B1 (en) | 2018-05-07 | 2020-03-31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VATAR CREATION |
DK201870380A1 (en) | 2018-05-07 | 2020-01-29 | Apple Inc. |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
US10375313B1 (en) | 2018-05-07 | 2019-08-06 | Apple Inc. | Creative camera |
US12033296B2 (en) | 2018-05-07 | 2024-07-09 | Apple Inc. | Avatar creation user interface |
US11722764B2 (en) | 2018-05-07 | 2023-08-08 | Apple Inc. | Creative camera |
DK201870623A1 (en) | 2018-09-11 | 2020-04-1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
US11321857B2 (en) | 2018-09-28 | 2022-05-03 | Apple Inc. |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
US11128792B2 (en) | 2018-09-28 | 2021-09-21 | Apple Inc. |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
US11107261B2 (en) | 2019-01-18 | 2021-08-31 | Apple Inc. | Virtual avatar animation based on facial feature movement |
USD891387S1 (en) * | 2019-01-30 | 2020-07-28 | Lg Electronics Inc. | Cellular phone |
CN113504866A (zh) * | 2019-02-22 | 2021-10-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屏幕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DK201970531A1 (en) | 2019-05-06 | 2021-07-09 | Apple Inc |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
US10645294B1 (en) | 2019-05-06 | 2020-05-0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
US11706521B2 (en) | 2019-05-06 | 2023-07-18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
US11770601B2 (en) | 2019-05-06 | 2023-09-26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
CN110187773B (zh) * | 2019-06-04 | 2022-07-29 | 中科海微(北京)科技有限公司 | 增强现实眼镜控制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
KR20210070528A (ko) * | 2019-12-05 | 2021-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학적 객체 인식을 이용한 반셔터 기능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
GB2596044A (en) * | 2020-04-10 | 2021-12-22 | Henning Victor |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
US11039074B1 (en) | 2020-06-01 | 2021-06-1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
EP4139777A1 (en) | 2020-06-08 | 2023-03-01 | Apple Inc. | Presenting avatars in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
US11736795B2 (en) * | 2020-06-28 | 2023-08-22 |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 Shoot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US12200350B2 (en) * | 2020-08-13 | 2025-01-14 | Lg Electronics Inc.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N112083792B (zh) * | 2020-09-16 | 2023-01-06 | 深圳市锐尔觅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
US11212449B1 (en) * | 2020-09-25 | 2021-12-28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
US20220350620A1 (en) * | 2021-04-30 | 2022-11-03 |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 Industrial ethernet configuration tool with preview capabilities |
US11539876B2 (en) | 2021-04-30 | 2022-12-27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
US11778339B2 (en) | 2021-04-30 | 2023-10-0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
US12112024B2 (en) | 2021-06-01 | 2024-10-08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styles |
CN113709737B (zh) * | 2021-08-24 | 2024-01-26 | 深圳艾创力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tws蓝牙耳机的语音通信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0380B1 (ko) * | 2004-03-12 | 2006-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
KR101176943B1 (ko) * | 2006-05-09 | 2012-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
US8843177B2 (en) | 2011-04-22 | 2014-09-23 | Belkin International, Inc. | Mobile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
KR101917689B1 (ko) | 2012-05-22 | 2018-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US9313304B1 (en) * | 2012-05-29 | 2016-04-12 | Oliver Markus Haynold | Single-control image-taking apparatus |
TWM452661U (zh) * | 2012-10-15 | 2013-05-11 | Ozaki Int Co Ltd | 具快門結構的保護殼 |
WO2014091059A1 (en) | 2012-12-13 | 2014-06-1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nal control of mobile device |
US10185478B2 (en) | 2014-09-24 | 2019-01-22 | Sap Se | Creating a filter for filtering a list of objects |
-
2016
- 2016-03-31 KR KR1020160039594A patent/KR2017011249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7
- 2017-01-31 US US15/420,261 patent/US1004877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03-23 EP EP17162497.6A patent/EP3226541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26541A1 (en) | 2017-10-04 |
US20170285764A1 (en) | 2017-10-05 |
US10048772B2 (en) | 2018-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1249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773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32966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67886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1939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4814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11249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11249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13110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3305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7013110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083597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983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48532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1800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953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7002932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1308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517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10485A (ko) |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20180023197A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13190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 | |
KR2018000507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132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51348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