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8061A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 Google Patent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061A
KR20170108061A KR1020177023429A KR20177023429A KR20170108061A KR 20170108061 A KR20170108061 A KR 20170108061A KR 1020177023429 A KR1020177023429 A KR 1020177023429A KR 20177023429 A KR20177023429 A KR 20177023429A KR 20170108061 A KR20170108061 A KR 2017010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cent
polycarbonate
ppb
polymer blend
cataly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젠드라 카쉬나스 싱흐
엘란고 소마순다람
타리크 시에드
압둘라 샴로크 알-오타이비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10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0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C08G81/027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containing polyester or polycarbonat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 components which can react with one ano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로부터 유도되면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한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관련 출원
본원은 2015년 2월 26일 출원된 유럽 특허출원 번호 15382082.4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설명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용융 압출, 압출의 생성물 및 폴리머로부터 형성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는 높은 투명도(유리와 대등), 표면 경도, 낮은 복굴절, 양호한 UV 저항성, 양호한 내후성 및 내약품성을 가진다. 폴리카보네이트(PC)에 비교하여, 이것은 가공하기가 쉽고 비용이 낮다. 부정적인 양태에서 PMMA는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치수 안정성, 낮은 충격 강도(취성), 및 저온 안정성을 갖는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고온 안정성, 양호한 치수 안정성, 높은 충격 강도, 양호한 모듈러스, 및 양호한 투명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내스크래치성, UV 저항성, 내약품성, 및 응력 복굴절과 같은 특성을 개선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다.
PMMA 및 PC의 블렌드를 생성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PC와 PMMA의 용융 블랜드는 열역학적으로 혼화성이 없으므로 블렌드를 광학적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하는 투명도의 손실(불투명)을 초래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결점을 극복하는 투명한 폴리머가 당해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요약
본 개시내용은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로부터 유도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을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의 투명한 블렌드를 제공한다. 정상적으로 투명하지 않은 폴리머의 조합으로부터 투명도를 달성하는 것은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어 "용융 압출"은 "반응성 용융 압출"과 동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에 구속되고자 하려는 의도 없이, 본 발명자는 용융 압출 동안 촉매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안정적인 블렌드의 형성에 유리한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는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들"은 코폴리카보네이트, 호모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폴리카보네이트는 조성물이 식 (1)의 반복 구조 단위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R1 기의 총 수 중 적어도 60 퍼센트는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그리고 이들의 나머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추가 양태에서, 각 R1은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식 (2)의 라디칼이다:
-A1─Y1─A2- (2),
여기서 각각의 A1 및 A2는 단환식 2가 아릴 라디칼이고 Y1은 A1을 A2로부터 분리하는 1 또는 2 원자를 갖는 브릿징 라디칼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일 원자가 A1을 A2로부터 분리한다. 예를 들면, 이 유형의 라디칼은, 비제한적으로, 라디칼 예컨대 -O-, -S-, -S(O)-, -S(O2)-, -C(O)-,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메틸렌, 2-[2.2.1]-바이사이클로헵틸리덴, 에틸리덴, 이소프로필리덴, 네오펜틸리덴, 사이클로헥실리덴, 사이클로펜타데실리덴, 사이클로도데실리덴, 및 아다만틸리덴을 포함한다. 브릿징 라디칼 Y1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기 또는 포화된 탄화수소 기 예컨대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리덴, 또는 이소프로필리덴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물질은 다양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되어 지는, 미국 특허 번호 7,786,246에 개시된 및 기재된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질적으로 할로겐 원자가 없다. "실질적으로 없는"에 의해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1 중량% 미만이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공정은 용융 단계에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공급원의 연속 반응에 기반된다. 본 반응은 촉매, 온도, 진공, 및 진탕의 조합된 효과는 모노머 반응 및 반응 부산물의 제거를 허용하여 반응 평형을 이동시키고 폴리머 사슬 성장에 효과가 있는 일련의 반응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용융 중합 반응에서 제조된 일반적인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페닐 카보네이트(DPC)와 반응을 통해 비스페놀 A (BPA)로부터 유도된다. 이 반응은, 예를 들면, 제1 중합 장치에 도입되기 전에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는 테트라 메틸 수산화암모늄(TMAOH) 또는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아세테이트(TBPA), 및 제1 반응기 또는 제1 반응기의 업스트림 및 모노머 혼합기 후에 첨가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NaOH)에 의해 특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는 (그러나 이것은 요구사항이 아니지만) 중량으로 33 십억분율(ppb) 이하, 구체적으로 20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ppb 이하, 구체적으로 20ppb 이하 바나듐; 33ppb 이하, 구체적으로 20ppb 이하 크로뮴; 75ppb 이하, 구체적으로 50 ppb 이하 티타늄; 375ppb 이하, 구체적으로 250ppb 이하의 니오븀; 33ppb 이하, 구체적으로 20ppb 이하의 니켈; 10ppb 이하, 구체적으로 5ppb 이하 지르코늄; 10ppb 이하, 구체적으로 5ppb 이하의 철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세부사항은 유럽 출원 13382087.8 및 13382085.2에 나와있고, 이 둘 모두의 출원은 임의의 및 모든 목적으로 그것의 전체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된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됨 없이, 디아릴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전술한 순도 수준은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의 투명도, 색상, 또는 둘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계면 중합에 의해 생산된 폴리카보네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공정에서,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이 계면 중합 방법에서 반응된다. 전형적으로, 비스페놀 A의 디소디움 염이 물에 용해되고 그리고 물과 혼화성이 아닌 용매(예컨대 메틸렌 염화물과 같은 염소화된 유기 용매)에 전형적으로 용해된 포스겐과 반응된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용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또는 PMMA)는 용어들 폴리(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동의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본 용어는 다른 아크릴 모노머가 조성물 중 최대 35중량%의 정도로 존재하는, 예를 들면,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다른 아크릴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뿐만 아니라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자외선 및 열 안정제로 안정화될 수 있고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
임의의 적합한 에스테르교환 촉매가 본 발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촉매는 주석 촉매이다. 일 바람직한 주석 촉매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이다. 투명한 블렌드를 형성하는 것을 성취하는 임의의 양의 촉매가 사용될 수 있지만, 촉매의 양은 폴리머 블렌드의 0.01 내지 0.1 중량 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촉매의 양은 폴리머 블렌드의 0.01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이다.
추가의 구성요소
첨가제 조성물은 충격 보강제, 흐름 조절제, 충전제(예를 들면, 미립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유리, 탄소, 미네랄, 또는 금속), 보강제(예를 들면, 유리 섬유), 항산화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UV) 광안정제, UV 흡수 첨가제, 가소제, 윤활제, 이형제(예컨대 금형 이형제), 정전기방지제, 방무제, 항미생물제, 착색제(예를 들면, 염료 또는 안료), 표면 효과 첨가제, 방사선 안정제, 난연제, 적하방지제(예를 들면, PTFE-캡슐화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TSAN)), 또는 전술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안정제, 금형 이형제, 및 자외선 광안정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첨가제는 유효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양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충격 보강제, 충전제, 또는 보강제이외의) 첨가제 조성물의 총량은 조성물 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1 내지 10.0중량%, 또는 0.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는 이 유형의 폴리머 내에 통상적으로 편입된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단, 본 첨가제(들)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요망된 특성(예를 들면 양호한 혼용성)에 유의미하게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혼합하는 동안 적합한 시간에 혼합될 수 있다. 첨가제는 본 첨가제가 촉매에 의해 촉매된 바와 같은 요망된 반응의 효율을 억제하거나 또는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용융 압출 동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첨가제는 또한 제2 용융 혼합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충격 보강제의 예는 천연 고무, 플루오로엘라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부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고무(EPDM), 아크릴레이트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HNBR), 실리콘 엘라스토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SE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티렌(AE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고탄성 그라프트(HRG),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한다. 일부 적합한 충격 보강제는 PC(폴리카보네이트)/ABS(예컨대 사이콜로이 PC/ABS) 및 MBS 유형 제형을 포함한다.
열 안정제 첨가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예를 들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혼합된 모노- 및 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 포스포네이트(예를 들면, 디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 등), 포스페이트(예를 들면,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등), 또는 전술한 열 안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열 안정제는 IRGAPHOSTM 168로서 이용가능한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열 안정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 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가소제, 윤활제, 및 금형 이형제 중에는 상당한 중복이 있고,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GTS), 프탈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옥틸-4,5-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레이트), 트리스-(옥톡시카보닐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테아린, 디- 또는 다작용성 방향족 포스페이트(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테트라페닐 디포스페이트(RDP), 하이드로퀴논의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의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 폴리-알파-올레핀; 에폭시화된 대두 오일;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 디페닐 실록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알킬 스테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기타 동종의 것), 왁스(예를 들면, 밀랍, 몬탄 왁스, 파라핀 왁스, 등), 또는 전술한 가소제, 윤활제, 및 금형 이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광안정제, 특히 자외선 광(UV) 흡수 첨가제, 또한 일명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사닐라이드, 벤즈옥사지논(예를 들면, 2,2'-(1,4- 페닐렌)비스(시텍 사로부터 상표명 CYASORB UV-3638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4H-3,1-벤즈옥사진-4-온), 아릴 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예를 들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시텍 사로부터 상표명 CYASORB 5411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또는 전술한 광안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UV 안정제는 조성물 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0.5중량%,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0.15 내지 0.4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가능한 충전제 또는 보강제는, 예를 들면, 마이카, 점토, 펠드스파, 석영, 규암, 펄라이트, 트리폴리, 규조토,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멀라이트), 합성 칼슘 실리케이트, 융합된 실리카, 발연 실리카, 모래, 붕소-니트라이드 분말, 붕소-실리케이트 분말, 황산칼슘, 탈산칼슘(예컨대 백악, 석회석, 대리석, 및 합성 침전된 탄산칼슘) 탈크 (섬유질, 모듈러, 침상, 및 라멜라 탈크를 포함함), 규회석, 중공형 또는 중실형 유리 구형체, 실리케이트 구형체, 세노스피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또는 (무기구형체), 카올린, 탄화규소의 위스커, 알루미나, 붕소 카바이드, 철, 니켈, 또는 구리, 연속 및 세절된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몰리브데늄 설파이드, 황화아연, 바륨 티타네이트, 바륨 페라이트, 바륨 설페이트, 중정석, TiO2,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또는 섬유질 알루미늄, 청동, 아연, 구리, 또는 니켈, 유리 플레이크, 벗겨진 탄화규소, 벗겨진 알루미늄 디보라이드, 벗겨진 알루미늄, 강철 플레이크, 천연 충전제 예컨대 목분, 섬유질 셀룰로오스, 면, 사이잘, 황마, 전분, 리그닌, 땅콩 쉘, 또는 쌀 곡물 껍질, 보강 유기 섬유질 충전제 예컨대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옥사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방향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비닐 알코올) 뿐만 아니라 전술한 충전제 또는 보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충전제 및 보강제는 전도도를 용이하게 하는 금속 재료의 층으로 코팅될 수 있거나 폴리머 매트릭스와 접착 및 분산을 개선하기 위해 실란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충전제는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항산화제 첨가제는 오르가노포스파이트 예컨대 트리스(노닐 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알킬화된 모노페놀 또는 폴리페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과 같이, 디엔과 폴리페놀의 알킬화된 반응 생성물; 파라-크레졸 또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의 부틸화된 반응 생성물; 알킬화된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록실화된 티오디페닐 에테르; 알킬리덴-비스페놀; 벤질 화합물;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베타-(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 베타-(5-ter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티오알킬 또는 티오아릴 화합물의 에스테르 예컨대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베타-(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또는 전술한 항산화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항산화제는 임의의 충전제를 배제하여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유용한 난연제는 아인산, 브롬, 및/또는 염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비-브롬화된 및 비-염소화된 아인산-함유 난연제, 예를 들면 아인산-질소 결합을 함유하는 유기 포스페이트 및 유기 화합물이 규제상 이유로 특정 적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무기 난연제, 예를 들면 C1 -16 알킬 설포네이트 염의 염 예컨대 칼륨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리마 염), 칼륨 퍼플루오르옥탄 설포네이트, 테트라에틸암모늄 퍼플루오로헥산 설포네이트, 및 칼륨 디페닐설폰 설포네이트; 염 예컨대 Na2CO3, K2CO3, MgCO3, CaCO3, 및 BaCO3, 또는 플루오로-음이온 복합체 예컨대 Li3AlF6, BaSiF6, KBF4, K3AlF6, KAlF4, K2SiF6, 및/또는 Na3AlF6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존재할 때, 무기 난연제 염은 임의의 충전제를 배제하여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 0.02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하방지제, 예를 들면 피브릴 형성 또는 비-피브릴 형성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 또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적하방지제는 단단한 코폴리머,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SAN)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SAN에서 캡슐화된 PTFE는 TSAN으로 공지된다. TSAN은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PTFE 및 50 중량% SAN을 포함한다. SAN은 코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75 중량% 스티렌 및 2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하방지제는 임의의 충전제를 배제하여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특정 폴리카보네이트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말화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다른 선택적인 구성요소는 먼저 고속 혼합기에서 또는 수동 혼합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임의의 충전제와 블렌딩된다. 본 블렌드는 그런 다음 호퍼를 통해 2축 압출기의 목 안으로 공급된다. 대안적으로, 구성요소 중 적어도 1종은 사이드서터퍼를 통해 목 및/또는 다운스트림에서 압출기 안으로 이것을 직접적으로 공급함에 의해, 또는 욕구된 폴리머로 마스터배치 안으로 화합되고 압출기 안으로 공급됨에 의해 조성물 안으로 편입될 수 있다. 압출기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이 유동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높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압출물은 수조에서 즉시 켄칭되고 펠렛화될 수 있다.
폴리머 조성물 및 압출
일부 조성물은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하다.
특정 조성물은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머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폴리머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및 혼합 기술이 폴리머 조성물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압출하는 것은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부 압출은 대략 260℃에서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압출기는 복수의 가열된 구역을 가진다. 일부 공정에서, 용융 압출은 적어도 100rpm의 속도로 작동하는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용융 압출 동안 반응한다.
제조 물품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형상화된, 형성된, 또는 성형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 예컨대 사출 성형, 압출, 회전 성형, 취입 성형 및 열성형에 의해 유용한 성형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또한 필름 및 시트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제작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구성요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촉매 및 임의의 선택적인 구성요소를 용융 혼합하는 것; 및 압출된 조성물을 물품으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압출하는 것은 2축 압출기로 수행된다.
추가 양태에서, 개시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은 자동차 적용에 사용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물품은 컴퓨터 및 사무 기기 하우징 예컨대 모니터용 하우징,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 예컨대 휴대폰용 하우징, 전기 커넥터, 의료 기기, 막 장치, 및 조명 기구, 장식품, 가전 제품, 천장, 온실, 선룸, 수영장 울타리, 및 기타 동종의 것의 구성요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 다른 대표적인 물품은 헤드램프 베젤, 헤드램프, 테일 램프, 테일 램프 하우징, 테일 램프 베젤, 라이센스 플레이트 인클로저, 전기 및 전기통신 장치용 인클로저, 글레이징, 지붕, 윈도우, 바닥, 장식용의 윈도우 마감 또는 처리와 같은 건축 및 건설 애플리케이션; 사진, 페인팅, 포스터, 및 유사 디스플레이 항목용 처리된 유리 커버; 광학적 렌즈; 안과 렌즈; 수정적 안과 렌즈; 이식가능 안과 렌즈; 벽 패널, 및 문; 보호된 그래픽; 야외 및 실내 표지; 자동 현금 인출기(ATM)용 인클로저, 하우징, 패널 및 부품; 인클로저, 컴퓨터 하우징; 데스크-탑 컴퓨터 하우징; 휴대용 컴퓨터 하우징; 랩-탑 컴퓨터 하우징; 팜-헬드 컴퓨터 하우징; 모니터 하우징; 프린터 하우징; 키보드; 팩스 기계 하우징; 복사기 하우징; 전화기 하우징; 이동전화 하우징; 라디오 송신기 하우징; 라디오 수신기 하우징; 조명기구; 조명 교정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하우징; 및 유사 적용을 포함한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자동차 적용에 사용되는 물품은 기기 패널, 오버헤드 콘솔, 내부 트림, 센터 콘솔, 헤드램프 베젤, 헤드램프, 테일 램프, 테일 램프 하우징, 테일 램프 베젤, 번호판 인클로저, 스티어링 휠, 라디오 스피커 그릴, 밀러 하우징, 그릴 오프닝 보강재, 계단, 해치 커버, 손잡이, 버튼 및 레버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제작 작업은 비제한적으로 몰딩, 금형내 장식, 페인트 오븐에서 베이킹, 적층, 및/또는 열성형과 같은 물품에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은, 고객이 이들 필름을 저온(100℃)에서 형성하는 가능성을 요하고 그리고 추가로 개선된 펀치 연성 및 내약품성을 요하는, 이동전화용 투명한 키패드와 같은 적용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전형적인 이러한 물품은 자동차 트림, 자동차 내장 부품, 휴대용 전기통신 및 가전 제품 프런트이다. 추가 양태에서, 여기서 물품은 필름이고, 이것은 추가로 시각적 효과 안료 (예컨대 코팅된 Al 및 유리 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추가의 양태에서, 물품은 직접적인 필름 적용뿐만 아니라 IMD(금형 내 장식) 같은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더욱 추가의 양태에서, 개시된 코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은 자동차 헤드램프 렌즈, 다른 광학 기기용 커버 및 렌즈뿐만 아니라 투명한 필름 및 시트를 포함하는 조명 적용에 사용된다. 물품은 또한 다양한 성형품 예컨대 의료 기기, 라디오 및 TV 베젤, 휴대 전화 키패드, 노트북 컴퓨터 하우징 및 키, 광학적 디스플레이 필름, 자동차 부품 및 다른 전자 및 소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양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기 양태를 포함한다.
양태 1.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폴리머는 투명하고, 여기서 모든 폴리머 블렌드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2. 양태 1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촉매는 주석을 포함한다.
양태 3. 양태 1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촉매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이다.
양태 4. 양태 1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질적으로 할로겐 원자가 없다.
양태 5. 양태 1-4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폴리머는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6. 양태 1-5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에스테르교환이 용융 압출 동안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일어난다.
양태 7. 양태 1-7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는 충격 보강제, 흐름 조절제, 충전제, 보강제, 항산화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 첨가제, 가소제, 윤활제, 이형제, 정전기방지제, 방무제, 항미생물제, 착색제, 표면 효과 첨가제, 방사선 안정제, 난연제, 및 적하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양태 8. 양태 1-7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페닐 카보네이트와 비스페놀 A의 용융 중합으로부터 유도된다.
양태 9. 청구항 1-8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는 33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ppb 이하의 바나듐; 33ppb 이하의 크로뮴; 75ppb 이하의 티타늄; 375ppb 이하의 니오븀; 33ppb 이하의 니켈; 10ppb 이하의 지르코늄; 10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양태 10. 양태 1-9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서, 여기서 폴리머는 난연제, 적하방지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사슬 연장제, 착색제, 탈형제, 염료, 흐름 촉진제, 흐름 조절제, 광안정제, 윤활제, 금형 이형제, 안료, 켄칭제, 열 안정제, UV 흡수제 물질, UV 반사 물질, 및 UV 안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양태 11. (a)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생성하기 위해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을 하는 단계; 및 (b) 폴리머 블렌드를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물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12. 양태 11의 방법으로, 여기서 성형은 압축 또는 사출 성형을 포함한다.
양태 13. 청구항 11 또는 12의 방법으로, 여기서 용융 압출은 적어도 100rpm의 속도로 작동하는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다.
양태 14. 양태 11-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폴리머는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15. 양태 11-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의 잔기를 포함한다.
양태 16. 양태 11-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ppb 이하의 바나듐; 33ppb 이하의 크로뮴; 75ppb 이하의 티타늄; 375ppb 이하의 니오븀; 33ppb 이하의 니켈; 10ppb 이하의 지르코늄; 10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양태 17.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의 용융 압출을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18. 양태 17의 방법으로, 여기서 상기 용융 압출은 적어도 100rpm의 속도로 작동하는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다.
양태 19. 양태 17 또는 18의 방법으로,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질적으로 할로겐 원자가 없다.
양태 20. 양태 17-1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폴리머는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된 중량 퍼센트 값은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그리고 여기서 모든 중량 퍼센트 값은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양태 21. 양태 17-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폴리머는 추가로 난연제, 적하방지제, 항산화제, 정전기방지제, 사슬 연장제, 착색제, 탈형제, 염료, 흐름 촉진제, 흐름 조절제, 광안정제, 윤활제, 금형 이형제, 안료, 켄칭제, 열 안정제, UV 흡수제 물질, UV 반사 물질, 및 UV 안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함.
양태 22. 양태 17-2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에스테르교환이 용융 압출 도중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일어난다.
양태 23. 양태 17-2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는 33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ppb 이하의 바나듐; 33ppb 이하의 크로뮴; 75ppb 이하의 티타늄; 375ppb 이하의 니오븀; 33ppb 이하의 니켈; 10ppb 이하의 지르코늄; 10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양태 24. 양태 17-2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폴리머 블렌드를 상기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양태 25. 양태 1-10 중 어느 하나의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포함하는 물품.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반대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표준은 본원의 출원 시에 유효한 가장 최근 표준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MaxiGlas™ 888(맥시글라스 코포레이션)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로 사용되었고 그리고 SABIC™ PC 수지 PC0703R(사빅)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로 사용되었다. 추가의 실험은 MaxiGlas™ 515(맥시글라스 코포레이션) 및 Acrypet™ VH 001(디아폴리아크릴레이트 컴파니 리미티드)을 포함하는 다른 PMMA 폴리머 및 LEXAN™ PC1000(사빅) 및 SABIC™ PC4800(사빅)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결과로 수행되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5
폴리머 블렌드는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의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되었다. 수득한 폴리머는 그것의 투명도에 대해 시각적으로 관측되었다.
Figure pct00002
비교예 2 및 실시예 6-7
헤이즈 및 투과 측정은 몇 개의 샘플에서 행해졌다. 투과율(%T) 및 헤이즈(% 헤이즈)는 ASTM D1003에 따라 3.2mm의 두께에서 측정되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8
몇 개의 조성물의 TEM 분석이 수행되었다. 우수한 혼화성은, TEM 이미지에서 관측된 감소된 분리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촉매를 이용하는 블렌드에서 나타났다.
실시예 9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는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의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폴리머 블렌드는 압축 성형을 사용하여 성형품으로 성형된다.
실시예 11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는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의 용융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폴리머 블렌드는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성형품으로 성형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양태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는"은 "구성되는" 및 "본질적으로 구성되는"의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어 지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항에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수많은 용어들가 참조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폴리머"는 단일 종의 반복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호모폴리머") 및 복수의 종류의 반복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소위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맥락상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에 대한 언급은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괄한다.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특정한 값에서부터 또 다른 특정한 값까지로 표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범위가 표현될 때, 또 다른 양태은 하나의 특정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한 값까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근사치로 표현될 때, '약'이라는 전제를 사용하면 특정한 값이 또 다른 양태를 형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범위 각각의 종점은 다른 종점과 관련하고 그리고 다른 종점과는 독립적인 유의미한 양자로 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수많은 값이 있으며, 그리고 각 값은 또한 값 그 자체에 더하여 특정한 값에 대해 "약"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면, 만일 값 "10"이 개시되면, 그러면 "10"이 또한 개시된다. 2개의 특정한 단위들 사이의 각 단위가 또한 개시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예를 들면, 만일 10과 15가 개시되면, 그러면 11, 12, 13, 14도 또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약" 및 "에서 또는 약"은 문제의 양 또는 값이 대략 또는 동일하게 일부 다른 값으로 지정된 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추론되지 않는 한 그것은 ±5% 변동으로 나타낸 명목 값임이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본 용어는 유사한 값이 청구항에 인용된 동일한 결과 또는 효과를 촉진한다는 것을 전하기 위해 의도된다. 즉,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및 다른 양 및 특징은 정확하지 않고 그럴 필요는 없지만, 근사 및/또는 더 큰 또는 더 작은, 바라던 대로, 허용 오차, 변환 인자, 반올림 계수, 측정 에러 및 기타 동종의 것, 및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또는 다른 양 또는 특징은 이러한 것으로 명확히 언급되든 않든 "약" 또는 "근사"이다. 정량적 값 이전에 "약"이 사용되는 경우,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파라미터는 또한 특정한 정량적 값 자체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조성물 또는 물품 내 특정한 성분 또는 구성요소의 중량부에 대한 언급은 중량부로 표시되는 조성물 또는 물품 내 성분 또는 구성요소와 임의의 다른 성분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중량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2중량부의 구성요소 X 및 5중량부의 구성요소 Y를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X 및 Y는 2:5의 중량비로 존재하며, 그리고 추가의 구성요소가 화합물에 함유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이러한 비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들 구성요소의 "중량 퍼센트", "중량%(wt. %)", 및 "중량 %"는, 특별히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가 포함되는 폴리머 블렌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만일 조성물 또는 물품 내 특정한 성분 또는 구성요소가 8중량 %를 가지는 것으로 언급되면, 이 백분율은 100중량 %의 총 조성 백분율에 대한 것인 것이 이해되어 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투명한"은 개시된 조성물에 대한 투과율의 수준이 50%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투과율은 적어도 60%, 70%, 80%, 85%, 90%, 또는 95%, 또는 상기 예시된 값으로부터 유도된 투과율 값의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투명한"의 정의에서, 용어 "투과율"은 3.2밀리미터의 두께에서 ASTM D1003에 따라 측정된 샘플을 통과하는 입사광의 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투과율" 또는 "투과율의 퍼센트"는 샘플을 통과하는 특정 파장에서 입사광의 분획을 지칭한다. 투과율은 ASTM D1003에 따라 개시된 폴리머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용어 "에스테르교환"은 에스테르 교환 및 축합 반응과 같은 에스테르, 알코올 및 산 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반응의 기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
    의 용융 압출로부터 유도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로, 상기 폴리머는 투명한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주석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할로겐 원자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다음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교환이 용융 압출 동안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일어나는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는 충격 보강제, 흐름 조절제, 충전제, 보강제, 항산화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 첨가제, 가소제, 윤활제, 이형제, 정전기방지제, 방무제, 항미생물제, 착색제, 표면 효과 첨가제, 방사선 안정제, 난연제, 및 적하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페닐 카보네이트와 비스페놀 A의 용융 중합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33ppb 이하의 몰리브데늄; 33ppb 이하의 바나듐; 33ppb 이하의 크로뮴; 75ppb 이하의 티타늄; 375ppb 이하의 니오븀; 33ppb 이하의 니켈; 10ppb 이하의 지르코늄; 10ppb 이하의 철;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
  10. (i) 9.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5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1 중량 퍼센트의 촉매;
    의 용융 압출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한 폴리머 블렌드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은 적어도 100rpm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할로겐 원자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i) 9.9 내지 30 중량 퍼센트의 폴리카보네이트;
    (ii) 69.9 내지 90 중량 퍼센트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0.0025 내지 0.04 중량 퍼센트의 촉매.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교환이 용융 압출 동안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일어나는 것인,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블렌드를 물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23429A 2015-02-26 2016-02-25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Ceased KR201701080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382082 2015-02-26
EP15382082.4 2015-02-26
PCT/US2016/019530 WO2016138246A1 (en) 2015-02-26 2016-02-25 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methyl methacrylate and polycarbo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061A true KR20170108061A (ko) 2017-09-26

Family

ID=5262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429A Ceased KR20170108061A (ko) 2015-02-26 2016-02-25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30259A1 (ko)
EP (1) EP3262097A1 (ko)
KR (1) KR20170108061A (ko)
CN (1) CN107250210A (ko)
WO (1) WO2016138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3747A1 (en) 2018-10-22 2020-04-2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Transparent and flexible blends of pmma and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
EP3643748A1 (en) 2018-10-22 2020-04-2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ductility blends of pmma and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
CN113227254B (zh) 2018-10-22 2023-08-11 高新特殊工程塑料全球技术有限公司 包括pmma和pc-硅氧烷共聚物的透明共混物的抗滴落组合物
EP3725819B1 (de) 2019-04-18 2021-10-13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carbonat-formmasse
EP3730549A1 (en) * 2019-04-26 2020-10-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cratch resistant pmma and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 compositions
EP4015580A1 (de) 2020-12-18 2022-06-22 Covestro Deutschland AG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ansluzenten thermoplastischen polycarbonat/polymethylmethacrylat-formmasse
JP2024525556A (ja) 2021-07-05 2024-07-12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透明熱可塑性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成形コンパウンドを製造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240279404A1 (en) 2021-07-05 2024-08-22 Covestro Deutschland Ag Polycarbonate with carboxy end groups and method for preparing polycarbonate
CN113999413A (zh) * 2021-11-02 2022-02-01 佛山市达孚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两层共挤高耐磨阻燃pc/pmma复合片材及其制备方法
EP4311838A1 (de) 2022-07-25 2024-01-31 Covestro Deutschland AG Carboxy-terminiertes polycarbonat und herstell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00A (en) * 1890-07-08 Carrier for pneumatic dispatch-tubes
DE3230491A1 (de) * 1982-08-17 1984-02-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unststoff-reflektor fuer leuchten, insbesondere fuer leuchten und scheinwerfer von kraftfahrzeugen
KR100234858B1 (ko) * 1991-10-21 1999-12-15 스타르크, 카르크 투명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할수 있고, 세포 비독성이며 조밀한 폴리우레탄 매봉 물질,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물품을 위한 이들의 사용 방법
JP2004143256A (ja) * 2002-10-23 2004-05-20 Nippon Polyester Co Ltd 溶融粘度を高めたポリエステル/ポリカーボネ−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2201832A (ja)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003A (en) * 1980-09-26 1982-03-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ly(methyl methacrylate) 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US7666972B2 (en) 2007-10-18 2010-02-2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 V. Isosorbide-based polycarbonate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00A (en) * 1890-07-08 Carrier for pneumatic dispatch-tubes
DE3230491A1 (de) * 1982-08-17 1984-02-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unststoff-reflektor fuer leuchten, insbesondere fuer leuchten und scheinwerfer von kraftfahrzeugen
KR100234858B1 (ko) * 1991-10-21 1999-12-15 스타르크, 카르크 투명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할수 있고, 세포 비독성이며 조밀한 폴리우레탄 매봉 물질,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의료용 물품을 위한 이들의 사용 방법
JP2004143256A (ja) * 2002-10-23 2004-05-20 Nippon Polyester Co Ltd 溶融粘度を高めたポリエステル/ポリカーボネ−ト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2201832A (ja) * 2011-03-28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8246A1 (en) 2016-09-01
US20180030259A1 (en) 2018-02-01
EP3262097A1 (en) 2018-01-03
CN107250210A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8061A (ko)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블렌드
US10155845B2 (en) 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carbonat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CN1077586C (zh) 阻燃性树脂组合物
KR102273858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미네랄 강화 열가소성 폴리머 조성물
KR101949231B1 (ko)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101910414B1 (ko) 향상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US20050143508A1 (en) Resin compositions with fluoropolymer filler combinations
KR101890789B1 (ko) 향상된 전기도금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WO2015159813A1 (ja) 強化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シート又はフィルム
JP201251408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JP4678338B2 (ja) 有機樹脂難燃化用添加剤、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1963205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서 향상된 내열성
EP2557105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f said resin, and molded body of said resin
KR20150131104A (ko) 개선된 몰드 이형성을 갖는 블렌딩된 폴리머 조성물
CN103534312A (zh) 不含卤素的阻燃性和高刚性聚碳酸酯树脂组合物
US20240132661A1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ransluce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polymethyl methacrylate molding compound
JP2002519444A (ja) 防炎性の熱可塑性成形組成物
WO2016170468A1 (en) Polycarbonate blends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KR20180023977A (ko) 전자 통신 장치용 폴리머 블렌드 조성물
JP4248906B2 (ja) 難燃化された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CN107250209B (zh) 聚碳酸酯和液晶聚合物共混物
JP3923812B2 (ja) 着色難燃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20240174848A1 (en) Composition of methacrylate (co) polymer and poly(carbonate-siloxane) blockcopolymer and its use in scratch and impact resitant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