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1109A -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 - Google Patents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109A
KR20170101109A KR1020170012600A KR20170012600A KR20170101109A KR 20170101109 A KR20170101109 A KR 20170101109A KR 1020170012600 A KR1020170012600 A KR 1020170012600A KR 20170012600 A KR20170012600 A KR 20170012600A KR 20170101109 A KR20170101109 A KR 2017010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lid
mask
filter
multi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ublication of KR2017010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기능 마스크는, 사람의 얼굴의 하반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덮개부; 일부 영역은 사람의 코의 일부를 덮되 나머지 영역은 코끝으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콧김이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코 덮개부; 그물 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 제1 및 제2 필터부;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탄성부재; 를 구비하며, 제1 필터부, 코 덮개부, 제1 덮개부, 제2 필터부, 제2 덮개부가 순서대로 고정 장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코 덮개부는 콧등에 안착되어 콧김이 착용자의 안경쪽으로 흘러가지 않고 코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콧김에 의한 안경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필터부에 의해, 먼지 등에 대한 필터 기능 뿐만 아니라 마스크와 입 등의 얼굴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방진, 방습, 방한 등의 기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Multi function mask for protecting from fogging eyeglasses}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경의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한두겹의 직물지를 겹쳐 제작되며, 방진 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수 제작된 필터지가 중간에 삽입되거나, 직물지에 특수 코팅 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특수 제작된 마스크는 세탁시에 필터 성능이 급감하여 방진 마스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마스크는 코와 입을 모두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콧김이 마스크 주변으로 새어나오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마스크 주변으로 새어나온 콧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가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콧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여러번 반복 세탁이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8158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의 김서림 방지가 가능하면서, 자외선 차단, 방풍, 방진 등의 다기능을 갖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사람의 얼굴의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덮개부; 사람의 코끝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는 본체, 및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하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콧김이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코 덮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 중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이루어진 날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람의 얼굴의 눈 이하의 영역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덮개부에 고정 장착되되, 덮개부와 필터부의 사이에 코 덮개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샤워 타월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필터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노출된 부분은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사람의 얼굴의 하반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덮개부; 사람의 코끝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는 본체, 및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하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콧김이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코 덮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겹쳐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 덮개부는 착용시 얼굴과 맞닿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되, 제1 덮개부의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이루어진 날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 제1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어, 착용시 얼굴과 맞닿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제1 필터부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갖는 제2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는 샤워 타월(shower towel)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제1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필터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노출된 부분은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콧김이 착용자의 안경쪽으로 흘러가지 않고 코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질 등의 코덮개부를 마스크내에 장착시킴으로써, 코 덮개부에 의하여 콧김이 안경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가 안경을 끼고 있더라도 콧김에 의한 안경 김서림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필터부를 구비하여, 마스크와 입 등의 얼굴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방습, 방한 등의 기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덮개부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제작함으로써, 착용자의 눈 아래부터 턱 밑까지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좌우로는 머리 뒤로 그 끝을 서로 묶거나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양 끝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하고, 방풍, 방한, 방진 및 방습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직물지로 구성됨에 따라 세탁이 가능하며, 그 결과 반복 세탁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코 덮개부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4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코 덮개부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콧등에 안착되어 콧김이 착용자의 안경쪽으로 흘러가지 않고 코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질 등의 코덮개부를 마스크내에 장착시킴으로써, 콧김에 의한 안경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필터부를 구비하여, 마스크와 입 등의 얼굴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방습, 방한 등의 기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는, 덮개부(100), 코 덮개부(110), 필터부(120) 및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130)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100)는 사람의 얼굴의 하반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상부의 양 끝쪽에는 서로 대응되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140, 142)를 각각 부착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서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코 덮개부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 덮개부(110)는, 본체(112)와 하방 돌출부(119)로 이루어지며, 본체는 사람의 코끝으로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하방 돌출부는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거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방 돌출부에 의해 콧김이 아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콧김이 착용자의 안경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플라스틱 사출 구조로 형성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 중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코 덮개부(110)는 외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관통구를 구비하여, 실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와 필터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있어서, 코 덮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 덮개부(710)는, 본체(712), 하방 돌출부(719), 날개부(714, 715)를 구비하며, 본체(712)는 사람의 코끝으로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하방 돌출부(719)는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거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방 돌출부에 의해 콧김이 아래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콧김이 착용자의 안경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714, 715)는 본체(710)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얼굴의 표면에 밀착되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코 덮개부가 얼굴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 플라스틱 사출 구조로 형성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 중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코 덮개부(710)는 외주면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관통구(718)를 구비하여, 실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와 필터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120)는 그물 구조로 직조되어 기공이 많이 포함된 직물지로 구성되며, 특히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그물 구조로 직조한 샤워 타월지(Shower tow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덮개부에 고정 장착되되, 덮개부와 필터부의 사이에 코 덮개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는 코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되, 얼굴과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나 찬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얼굴과 마스크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습기 등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부는 1 매의 직물지로 구성되거나, 미세한 분진이 있는 경우 방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2매 또는 그 이상의 직물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130)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필터부 또는 덮개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양쪽으로 노출된 부분은 각각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서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130)의 다른 실시 형태는, 덮개부의 양 측에 장착된 각각 귓바퀴 걸이, 양측의 상기 귓바퀴 걸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과 덮개부의 소정 영역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마스크의 착용시 이탈되지 않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는 T자형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는 마스크 착용시 사람의 머리 뒷편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연결 부재가 머리 뒷편에서 흘러내리거나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는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20)는, 제1 덮개부(200), 제2 덮개부(202), 코 덮개부(210), 제1 필터부(220), 제2 필터부(222) 및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2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200. 202)는 사람의 얼굴의 하반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덮개부는 서로 겹쳐져서 상단부가 서로 고정된다.
제1 덮개부는 상부의 양 끝쪽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140, 142)를 각각 부착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머리 뒷쪽에서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 덮개부(210)의 기능, 형상 및 재질은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 덮개부는 제1 필터부와 제1 덮개부(200)의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220, 222)는 그물 구조로 직조되어 기공이 많이 포함된 직물지로 구성되며, 특히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그물 구조로 직조한 샤워 타월지(Shower tow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220)는 제1 덮개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착용시 얼굴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필터부(222)는 제1 및 제2 덮개부(200, 20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 덮개부(210)는 제1 필터부(220)와 제1 덮개부(200)의 사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 필터부가 코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되, 얼굴과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나 찬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얼굴과 마스크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습기 등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는 1 매의 직물지로 구성되거나, 미세한 분진이 있는 경우 방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2매 또는 그 이상의 직물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230)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제1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필터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양쪽으로 노출된 부분은 각각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서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덮개부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제작함으로써, 착용자의 눈 아래부터 턱 밑까지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좌우로는 머리 뒤로 그 끝을 서로 묶거나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양 끝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보다 안정되게 얼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하고, 방풍, 방한, 방진 및 방습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코 덮개부에 의하여 콧김이 안경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가 안경을 끼고 있더라도 안경 김서림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직물지로 구성됨에 따라 세탁이 가능하며, 그 결과 반복 세탁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 제3 실시예 >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70)는, 덮개부(700), 코 덮개부(710), 필터부(720)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700)는 사람의 얼굴 중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의 양측에는 서로 매듭을 지을 수 있는 고정끈을 더 구비한다.
상기 코 덮개부(710)의 기능, 형상 및 재질은 도3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 덮개부는 필터부와 덮개부의 사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720)는 그물 구조로 직조되어 기공이 많이 포함된 직물지로 구성되며, 특히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그물 구조로 직조한 샤워 타월지(Shower tow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20)는 덮개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착용시 얼굴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 덮개부(710)는 필터부(720)와 덮개부(700)의 사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필터부가 코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되, 얼굴과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나 찬 공기가 코나 입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얼굴과 마스크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습기 등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부는 1 매의 직물지로 구성되거나, 미세한 분진이 있는 경우 방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2매 또는 그 이상의 직물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범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 분야에 방진 마스크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0, 20, 70 : 다기능 마스크
100, 700 : 덮개부
110, 210, 710 : 코 덮개부
120, 720 : 필터부
130, 230 :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
200 : 제1 덮개부
202 : 제2 덮개부
220 : 제1 필터부
222 : 제2 필터부
710 : 본체
719 : 전방 돌출부
714, 715 : 날개부
718 : 관통구

Claims (17)

  1. 사람의 얼굴의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덮개부;
    사람의 코끝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는 본체, 및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하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콧김이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코 덮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덮개부 중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이루어진 날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람의 얼굴의 눈 이하의 영역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덮개부에 고정 장착되되, 덮개부와 필터부의 사이에 코 덮개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샤워 타월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필터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노출된 부분은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9. 사람의 얼굴의 하반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면직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덮개부;
    사람의 코끝부터 이어지는 코의 일부를 덮는 본체, 및 코끝에 대응되는 본체의 단부로부터 입 쪽으로 일정 폭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하방 돌출부를 구비하여, 콧김이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코 덮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겹쳐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 덮개부는 착용시 얼굴과 맞닿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되, 제1 덮개부의 코를 덮는 위치에 고정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확장되어 이루어진 날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그물 구조로 직조된 직물지로 구성된 제1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어, 착용시 얼굴과 맞닿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제1 필터부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갖는 제2 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덮개부와 제2 덮개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는 샤워 타월(shower towel)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 덮개부는 습기와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덮개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는 착용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고 착용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고정용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의 일부는 제1 덮개부와 코 덮개부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필터부의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노출된 부분은 착용자의 귀바퀴를 거쳐 턱밑에서 묶어 매듭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용 탄성 부재는,
    덮개부의 양 측에 장착된 각각 귓바퀴 걸이;
    양측의 상기 귓바퀴 걸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중심과 덮개부의 소정 영역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마스크의 착용시 이탈되지 않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용 다기능 마스크.





KR1020170012600A 2016-02-26 2017-01-26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 Ceased KR20170101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358 2016-02-26
KR20160023358 2016-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09A true KR20170101109A (ko) 2017-09-05

Family

ID=5992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00A Ceased KR20170101109A (ko) 2016-02-26 2017-01-26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1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289A (zh) * 2021-01-14 2021-04-27 刘德鹏 防漏气口罩
US11213702B1 (en) 2020-08-31 2022-01-04 ResMed Pty Ltd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702B1 (en) 2020-08-31 2022-01-04 ResMed Pty Ltd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US11896854B2 (en) 2020-08-31 2024-02-13 ResMed Pty Ltd Hygiene mask with seal forming structure
CN112704289A (zh) * 2021-01-14 2021-04-27 刘德鹏 防漏气口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9444A1 (en) Fly shield to protect the head of a horse
KR20180063722A (ko) 김 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JP2017036518A (ja) マスク
KR20170101109A (ko) 안경 김서림 방지가 가능한 다기능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JP2006288650A (ja) マスク
KR101343880B1 (ko) 마스크
US12121085B2 (en) Augmented face mask
JP3165625U (ja) マスク
JP2020139237A (ja) マスク
KR200498198Y1 (ko) 마스크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JP2014018624A (ja) フェイスカバー付ネックピロー
KR102128172B1 (ko) 차단 날개 구조의 착용 의류 물품
JP3116947U (ja) マスク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200137627A (ko) 탈부착 입김차단용 마스크
KR102640783B1 (ko) 안경김서림방지패드를 갖는 마스크
JP3116946U (ja) マスク
KR200381634Y1 (ko) 굴곡 밀착구조를 갖는 마스크
JP7205833B2 (ja) フェイスカバー
KR102379408B1 (ko) 비말 차단용 수건
KR102390655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0360802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228042B1 (ko) 농약 살포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