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100369A -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369A
KR20170100369A KR1020160022851A KR20160022851A KR20170100369A KR 20170100369 A KR20170100369 A KR 20170100369A KR 1020160022851 A KR1020160022851 A KR 1020160022851A KR 20160022851 A KR20160022851 A KR 20160022851A KR 20170100369 A KR20170100369 A KR 2017010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lower leaf
activity
composition
antioxid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익
안은미
김은혜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369A/ko
Publication of KR2017010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6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엽 분획물은, DD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보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대장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으며,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항산화 및 항균 용도에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NELUMBO NUCIFERA GAERTNER EXTRACT FO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은 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연은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로 불교에서 신성한 식물로 꽃은 관상용과 차제로 이용하여 왔으며, 잎과 뿌리는 식용하여 왔다. 한방에서 잎은 하엽이라 하며 설사, 두통과 어지러움,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인다. 그래서 더위와 습기로 인해 설사가 나는 것을 멎게 하고 갈증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에 쌓인 풍과 열을 맑게 하여 어지럼증을 치료하고, 각혈이나 코피, 뇨혈, 자궁출혈 등의 각종 출혈증의 치료에 좋다.
한방 문헌에 보면 연잎은 해독작용이 있어 바닷게를 먹고 중독된 경우에 좋다고 나와 있다. 그밖에 연잎 중에서 둥글고 큰 잎을 '부용(芙蓉)'이라고 하는데, 부용은 미녀를 상징하는 것으로 잎이 깨끗하기도 하지만 피부 미용에도 좋기 때문이다. 연잎은 항균작용과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미용과 정력에도 도움을 준다고 한다. 최근에는 연잎을 이용하여 차를 만들기도 하고 잎에 싸서 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엽의 다양한 생리활성 연구에도 불구하고, 하엽의 항균활성, 항산화효과, 미백활성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국내공개특허 2009-0021644호 및 2014-0015662호에서는 하엽 추출물은 대사질환과 관련된 약리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엽 추출물은 약용식물로 널리 시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및 항균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는 확인되지 못했다.
본 발명자들은 하엽으로부터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산화, 항균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한 결과, 하엽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진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엽 (Nelumbo nucifera GAERTNER) 추출물은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DD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보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대장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항산화, 항균, 및 미백 효과가 있는 다용도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하엽의 분획물에 따른 농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하엽의 분획물에 따른 농도별 ABTS radical 소거활성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하엽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Tyrosinase 활성 억제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하엽의 부가적인 생리활성 탐색을 위해 건조 하엽으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균효과,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효과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하엽 분획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500μL/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S. aureus에 대한 각 시료의 항균력은 n-BuOH > EtOAc > Water 순이며, E.coli에 대한 각 시료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10, 50, 100 pp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하엽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엽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하엽 건조 중량의 1 내지 10배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배이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하엽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ethylacetate, n-Butanol 및 수층의 용매별로 순차 분획할 수 있고, 상기 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엽 추출물과 함께 항산화 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및 항균 효과의 증진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엽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엽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하엽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엽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방법
재료
본 실험에서 사용된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은 경북 영천시 화산면에 있는 연근 밭에서 직접 잎을 채취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추출용매로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하엽 300g을 추출용매 3000mL에 혼합하여 25℃에서 24시간씩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후 Whatman No.1로 여과하여 회전감압농축기 (EYELA, Japan)에서 농축하여 ethanol을 제거한 후 그 추출물을 다시 ethylacetate, n-Butanol 및 수층의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층을 감압 농축한 후 농축한 분획물을 DMSO에 일정 농도로 녹인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 하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방법
(1) DPPH radical 소거활성
DPPH(a,a-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은 Blois(5)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하엽 분획물을 각각 DMSO (dimethylsulfoxide)에 일정농도로 녹인 후 100, 200, 500, 1000, 2000 ppm 농도별로 준비하여 각 sample 100μL에 2
Figure pat00001
M DPPH 용액 100μL 을 넣어 10초간 잘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파장525nm에서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제거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itivity(%)=(1-(Atest-Ablank/Bcontrol))ㅧ100
Atest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Ablank : blank의 흡광도
Bcontrol :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2) ABTS radical 소거활성
ABTS(2,2-azino-bis-3-ethylbonzo-thiazoline-6-sulfonic acid)에 의한 항산화능 측정은 Re (5)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ABTS를 7mM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다음 2.4 mM의 potassium persulfate를 가하여 ABTS radical을 생성시키기 위해 실온의 암소에서 20~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radical이 생성된 ABTS 용액을 94% ethanol로 희석하여 700nm에서 흡광도가 0.70
Figure pat00002
0.02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소거능은 ABTS 용액 100μL와 100, 200, 500, 1000, 2000 ppm 농도별 하엽 분획물 100μL를 혼합하여 6분간 반응 후, 파장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제거능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다.
ABTS radical scavenging acitivity(%)=(1-(Atest-Ablank)/ Bcontrol))ㅧ100
Atest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
Ablank : blank의 흡광도
Bcontrol : 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3) 항균 효과
(1) 사용 균주
Strains Strains No.
Escherichia coli KCTC1682
Staphylococcus aureus KCTC1916
식중독의 원인균 중에서 그램 양성균 Escherichia coli (E. coli)균 및 Staphylococcus aureus 총 2종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 Korea Biological Resource Center , KCT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각 미생물 균주의 균종과 번호는 상기 표 1과 같다.
균주들의 배양액을 121℃에서 30분간 autoclave에서 멸균한 후 25℃까지 냉각하고 균체는 동결 건조된 균을 loop를 사용하여 고체 배지에 도말한 후 30℃ Incubator(SANYO, Japan)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250mL 삼각플라스크에 액체 배지 100mL를 넣고 멸균시킨 후 고체 배지에서 자란 균의 단일 colony를 취해서 액체 배지에 넣어 30℃ 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항균 효과
각 시료의 항균효과는 E. coli, S. aureus를 대상으로 결과의 정확도가 높고 오염률이 낮은 고체배지를 이용한 Disc paper method로 측정하였다. 도말 평판배지는 계대 배양된 각 균주를 멸균 spread stick을 이용하여 1mL씩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시료를 각 disc당 10mg이 되도록 멸균한 핀셋으로 8mm disc paper (ADVANTEC, Japan)에 흡수시켜 건조시켰다. 건조과정을 거쳐 평판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37℃의 Incubator(SANYO, Japan)에서 24시간 배양하여 disc 주변에 생성된 clear zone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Tyrosinase 활성 측정
Tyrosinase 활성 측정은 Tyrosinase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DL-β-3,4-dihydroxypheyl alanine(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Masanoto등(1)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Melanin 형성 효소인 Tyrosina
se에 작용해 멜라닌 색소의 생산을 억제하고, 피부에서 활성산소종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하엽 분획물의 Tyrosinase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활성도는 96wel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DL-DOPA solution 170μL, Pho
spate buffer 10μL 및 시료용액 10μL에 Tyrosinase 20μL를 첨가하여 3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따라 Tyrosinase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실험결과
1) 하엽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1) DPPH radical 소거활성
DPPH radical은 phenol acid 와 flavonoids 및 기타 phenol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작용의 지표인 전자공여능 측정에 이용되는 간편하고 신뢰성 높은 방법으로, 전자 공여할 수 있는 항산화 물질과 반응하게 되면 본래의 자색이 엷어지는 특성이 있다.
하엽의 분획물에 따른 농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Water의 경우 대체로 낮은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나 n-BuOH와 EtOAc의 경우 높은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n-BuOH와 EtOAc는 2000ppm에서 각각 56%와 75%를 나타내었다.
(2) ABTS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로써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상관관계가 높으며, 시료 중의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특유의 청록색이 탈색되는 원리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엽의 분획물에 따른 농도별 ABTS radical 소거활성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ABTS 또한 water의 경우 대체로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EtOAc와 n-BuOH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EtOAc와 n-BuOH의 경우 2000PPM과 1000PPM 에서 각각 EtOAc는 99.5%와 98.4%를 n-BuOH는 99.9%와 94.5%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BHA가 1000ppm에서 94%인 것에 비교하여 EtOAc와 n-BuOH의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하엽 분획물의 항균 효과
E. coli, S. aureus 총 2종을 검정균으로 disk paper method에 의하여 하엽 분획물의 항균력을 검정하였다. 항균 효과는 총 2종의 균에 하엽 분획물을 일정농도 100, 200, 500mg/mL 로 처리하였을 때 형성된 생육저해환의 크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 균주에서 EtOAc층은 500ppm에서 16mm의 항균활성효과를 보였고 n-BuOH층에서는 19mm의 항균활성효과를 보였으며 Water층의 경우 13mm의 항균활성 효과를 보였다. S. aureus균주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항균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실시예의 결과로 각각의 균주에 따라 각 분획층별 항균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결과를 관찰해 볼 때 E. coli균주에서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3)Tyrosinase 활성 측정
본 실시예에서는 하엽 분획물 성분이 멜라닌 합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의 활성 억제 효과를 in vitro방법으로 측정해 보았다. 각 농도별 sample을 첨가한 후의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와 비교 측정한 결과이며 하엽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엽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은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서 하엽 분획물의 효과를 확인해보았다. 항산화 효과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하엽 분획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500μL/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S. aureus에 대한 각 시료의 항균력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10, 50, 100 pp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 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하엽 추출물 200㎎
유당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하엽 추출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하엽 추출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의 제조
하엽 추출물 200㎎
만니톨 100㎎
Na2HPO412H2O 2㎎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하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하엽 추출물 20-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하엽 추출물 0.2-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하엽 추출물 0.5-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하엽 추출물 0.1-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하엽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하엽 추출물 5-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하엽 추출물 10-15%,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5-80%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었다.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하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하엽 추출물(고형분 2.5%, 97.16%), 대추 엑기스(65 brix, 2.67%), 과체복합 추출물(고형분 70%, 0.12%), 비타민 C(0.02%), 판톤텐산칼슘 (0.02%), 감초 추출물(고형분 65%, 0.01%)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하엽 추출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하엽 추출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하엽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4.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건강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하엽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건강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건강식품 조성물.
  7.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하엽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2851A 2016-02-25 2016-02-25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Ceased KR2017010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51A KR20170100369A (ko) 2016-02-25 2016-02-25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51A KR20170100369A (ko) 2016-02-25 2016-02-25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69A true KR20170100369A (ko) 2017-09-04

Family

ID=5992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851A Ceased KR20170100369A (ko) 2016-02-25 2016-02-25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9A (ko) * 2019-05-24 2020-12-02 이승호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929A (ko) * 2019-05-24 2020-12-02 이승호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46621B1 (ko) 천일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06737B1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KR20120031695A (ko) 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873180B1 (ko)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20133135A (ko)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265215A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
EP2990035B1 (en) 1,5-anhydro-d-glucitol-containing collagen production accelerator
KR101906245B1 (ko) 특정 발아 상태의 메밀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70100369A (ko) 하엽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균 조성물
KR101855989B1 (ko)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KR101178228B1 (ko) 소취제,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음식품
KR101793929B1 (ko) 청포도, 미나리, 및 비트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29197B1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2006905A (ja) 美肌用組成物
KR101315805B1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조성물
KR20220022427A (ko) 사포나린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6220B1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1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