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732A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전선 수용 프로텍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1732A KR20170091732A KR1020177018470A KR20177018470A KR20170091732A KR 20170091732 A KR20170091732 A KR 20170091732A KR 1020177018470 A KR1020177018470 A KR 1020177018470A KR 20177018470 A KR20177018470 A KR 20177018470A KR 20170091732 A KR20170091732 A KR 201700917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or
- elastic
- protector body
- engaging
-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록 기구의 컴팩트화에 의한 전선 수용량의 증대와, 조립 작업성의 향상과, 록 기구의 정규 결합의 확인성의 향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근방에 덮개(16)측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 돌기(34)가 설치되는 한편, 덮개(16)에는, 평면에서 볼 때 감합 돌기(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이 관통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 관통 유지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등의 전장계에 있어서는,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삽입 관통 유지하여 적소에 고정함으로써, 전선을 외부의 간섭 부재로부터 보호하거나 전선의 경로를 규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는, 일본 실용 공개 평6-70415호 공보(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통형의 프로텍터 본체와,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전선을 프로텍터 본체에 삽입 관통시킨 후,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록 기구를 통해 덮개를 프로텍터 본체에 고정함으로써, 다수의 전선을 수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서는,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록 기구의 형성 스페이스만큼, 프로텍터 본체의 전선 수용부의 용적을 작게 해야 한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의 컴팩트화의 요구에 더하여 차재 전장품도 증가 경향이 있어,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를 크게 하지 않고, 프로텍터 본체의 수용 스페이스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고, 프로텍터의 수용량에 비해 전선이 지나치게 많아 프로텍터 본체에 덮개를 록 감합하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2880호 공보(특허문헌 2)에 있어서, 덮개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프로텍터 본체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돌출편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고 상면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구멍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부에 삽입 관통되는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결합 돌기가, 탄성 돌출편 삽입 구멍의 내면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덮개의 프로텍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안했다.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의하면,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의 최대 범위까지 넓혀서 형성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프로텍터 본체 주변의 데드 스페이스를 삭감하여, 프로텍터 본체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록 기구를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해야 하고, 위치 확인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한 삽입 관통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록 기구가, 탄성 돌출편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부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결합 돌기와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도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록 기구의 컴팩트화에 의한 전선 수용량의 증대와, 조립 작업성의 향상과, 록 기구의 정규 결합의 확인성의 향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와, 그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와 상기 덮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록 기구가, 상기 덮개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의 외면에 결합 돌기가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과,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고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상기 탄성 돌출편의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상기 덮개측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 돌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덮개에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에 의하면,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컴팩트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의 최대 범위까지 넓혀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텍터 본체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상면에 있어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감합 돌기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덮개에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을 프로텍터 본체에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조립할 때에,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프로텍터 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감합 돌기를 안표로 하여 탄성 돌출편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덮개에는, 평면에서 볼 때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관통 형성되기 때문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에 대한 감합 돌기의 수용 상태를 상측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록 기구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으로부터 감합 돌기의 꼭대기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는, 록 기구가 반결합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감합 돌기를 감합 돌기 수용 구멍에 삽입 관통 배치함으로써, 프로텍터 본체에 덮개가 맞지 않아 덜컹거리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의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정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감합 돌기의 선단면이, 상기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 개구부가 개구되는 덮개 상면과 동일면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록 기구의 정규 결합 상태로, 감합 돌기의 선단면이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 개구부가 개구되는 덮개 상면과 동일면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감합 돌기의 선단면이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주위의 덮개 상면과 동일면의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로부터 육안이나 촉감에 의해 한층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의 프로텍터 본체에 대한 비정규 조립 상태를 한층 더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감합 돌기가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감합 돌기의 선단부가 다른 부재에 간섭하는 등의 문제도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폭 방향 양측의 근방에 한 쌍 설치되는 한편, 상기 덮개에도,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한 쌍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폭 방향 양측의 근방에 한 쌍의 감합 돌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위치 확인이 한층 더 용이해져, 조립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도모된다. 또한, 프로텍터 본체에 덮개가 맞지 않아 덜컹거리는 것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감합 돌기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덮개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을 구획하는 외주 가장자리부측의 벽부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덮개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에 삽입 관통 배치되는 프로텍터 본체의 감합 돌기를 충분한 강도를 갖고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반원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감합 돌기가,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반원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감합 돌기의 외면측이,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과 평행한 평면으로 넓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감합 돌기의 안표로서의 시인성이나 가이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감합 돌기의 내면측이 원호형이기 때문에, 외면측의 넓은 평면에서 받는 응력을 유리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덮개의 프로텍터 본체에 대한 변위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춘 감합 돌기를 좁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 상면에 유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의하면, 록 기구가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에 설치되어 컴팩트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 비하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의 최대 범위까지 넓혀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텍터 본체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 상면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감합 돌기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덮개의 탄성 돌출편을 프로텍터 본체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상측으로부터 조립할 때,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감합 돌기를 안표로 탄성 돌출편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덮개의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관통 형성되기 때문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에 대한 감합 돌기의 수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록 기구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으로부터 감합 돌기의 꼭대기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는, 록 기구가 반결합 상태이다. 또한, 감합 돌기를 감합 돌기 수용 구멍에 삽입 관통 배치함으로써, 프로텍터 본체에 덮개가 맞지 않아 덜컹거리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에서의 록 기구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3의 V-V 단면 확대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에서의 록 기구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3의 V-V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전선 수용 프로텍터(10)가 도시된다. 이 전선 수용 프로텍터(10)는,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12)와, 프로텍터 본체(12)의 상측 개구부(14)를 덮는 덮개(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10)는, 프로텍터 본체(12) 내에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 관통 상태로 수용하여 이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측이란 도 1 중의 상측, 하측이란 도 1 중의 하측, 또한 전방이란 도 1 중의 좌측, 후방이란 도 1 중의 우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12)는, 저벽(18)과 저벽(18)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벽(20, 20)을 포함하여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또한,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에는, 측벽(20)의 내부를 높이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측벽(20)의 상면(22)으로 개구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은, 안쪽과 앞쪽의 측벽(20) 각각에 2개소 형성되지만, 길이 방향(도 1 중 좌우 방향)으로 격리하여,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수를 설치해도 좋다. 여기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형성 부위에서의 측벽(20)의 내면(26)이, 약간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을 구획하는 외주측 내면(28)의 하방측이 절결되는 것에 의해 대략 요부형의 결합부(30)가 설치되고, 이러한 결합부(30)의 상단면(32)이,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에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폭 방향(도 2 중 좌우 방향) 양측의 근방에 있어서 덮개(16)측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는,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외면(36)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고,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일정한 반원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16)는, 그 외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프로텍터 본체(12)측을 향해 돌출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복수의 탄성 돌출편(40)이 판두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돌출 설치된다. 덮개(16)는, 프로텍터 본체(12)와 동일하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한편, 프로텍터 본체(12)와는 별체 성형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돌출편(40)은, 전술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응하여 4개소에 설치된다. 또한, 탄성 돌출편(40)의 선단부의 외면(42)에는, 판두께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44)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 돌기(44)의 하단면(46)은, 프로텍터 본체(12)와 덮개(16)의 조립 방향에 있어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결합 돌기(44)의 상단면(48)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30)의 상단면(32)과 동일하게,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하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16)에는, 평면에서 볼 때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에 대응하는 위치, 즉 탄성 돌출편(40)이 돌출 설치되는 부위의 폭 방향(도 2 중 좌우 방향) 양측의 근방에 있어서, 한 쌍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 50)이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 50)은, 덮개(16)의 외주면(52)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고, 덮개(16)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일정한 반원 단면 형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은, 평면에서 볼 때 감합 돌기(34)의 약간 큰 닮은꼴로 이루어진다.
전술와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10)의 프로텍터 본체(12)에 덮개(16)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프로텍터 본체(12)의 복수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하여 각각 대응하는 덮개(16)의 탄성 돌출편(40)을 삽입한다. 이 때,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에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를 안표로 하여,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가 덮개(16)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 50)에 끼워지도록 덮개(16)를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조립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편(40)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삽입되는 탄성 돌출편(40)은, 탄성 돌출편(40)의 결합 돌기(44)의 하단면(46)이 테이퍼형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 돌출편(40)의 선단부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면측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한 삽입이 허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 돌출편(40)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안쪽으로 더 밀어 넣음으로써, 탄성 돌출편(4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44)가 결합부(30)의 상단면(32)을 넘으면, 탄성 돌출편(40)의 선단부가 탄성 복귀하여 결합 돌기(44)가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덮개(16)가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30)와 탄성 돌출편(40)의 결합 돌기(44)에 의해, 록 기구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록 기구를 구성하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결합부(30)와 탄성 돌출편(40)의 결합 돌기(44)가 정규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합 돌기(34)의 선단면(54)이,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의 상측 개구부(56)가 개구되는 덮개 상면(58)과 동일면으로 설정된다. 또한,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이 평면에서 볼 때 감합 돌기(34)의 약간 큰 닮은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정규 결합 상태에 있어서는, 감합 돌기(34)는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에 대하여 약간의 간극(60)을 두고 여유있게 끼워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10)에 의하면, 록 기구를 구성하는 결합부(30)와 결합 돌기(44)가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컴팩트하게 설계되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 비하여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을 전선 수용 프로텍터(10)의 설치 허용 스페이스의 최대 범위까지 넓혀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텍터 본체(12) 내의 전선 수용 스페이스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수용 프로텍터(10)의 프로텍터 본체(12)에 덮개(16)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에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를 안표로 하여, 한 쌍의 감합 돌기(34, 34)가 덮개(16)에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 50)에 끼워지도록 덮개(16)를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조립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편(40)을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규 결합 상태로, 감합 돌기(34)의 선단면(54)이,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의 상측 개구부(56)가 개구되는 덮개 상면(58)과 동일면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동일면의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로부터 육안이나 촉감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덮개(16)의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한 비정규 조립 상태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감합 돌기(34)가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의 상측 개구부(56)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감합 돌기(34)의 선단부가 근방의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재에 간섭하는 등의 문제도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덧붙여, 감합 돌기(34)가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에 삽입 관통 배치되는 것에 의해, 프로텍터 본체(12)에 덮개(16)가 맞지 않아 덜컹거리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의 근방에 설치되는 감합 돌기(34)와 그것에 대응하는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이 한 쌍 설치되기 때문에, 감합 돌기(34)를 안표로 한 탄성 돌출편(40)의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24)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도모됨과 함께, 프로텍터 본체(12)에 덮개(16)가 맞지 않아 덜컹거리는 것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합 돌기(34)가, 프로텍터 본체(12)의 내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일정한 반원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한 감합 돌기(34)의 외면측이,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과 평행한 평면으로 넓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감합 돌기(34)의 안표로서의 시인성이나 가이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감합 돌기(34)의 내면측이 원호형이기 때문에, 외면측의 넓은 평면에서 받는 응력을 유리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덮개(16)의 프로텍터 본체(12)에 대한 변위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춘 감합 돌기(34)를 좁은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상면(22)에 유리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감합 돌기(34)가, 프로텍터 본체(12)의 측벽(20)의 외면(36)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덮개(16)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을 구획하는 외주 가장자리부측의 벽부(62)의 두께(T)(도 4참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덮개(16)의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에 삽입 관통 배치되는 프로텍터 본체(12)의 감합 돌기(34)를 충분한 강도를 갖고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돌기(34)와 그것에 대응하는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이 한 쌍 설치되었지만,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감합 돌기(34)와 그것에 대응하는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은, 반드시 모든 록 기구에 대하여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덧붙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돌기(34)와 그것에 대응하는 감합 돌기 수용 구멍(50)은 반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직사각형이나 별모양 등 임의의 형상의 것을 채용 가능하다. 또한, 감합 돌기(34)의 선단면(54)은 반드시 덮개 상면(58)과 동일면에 놓일 필요는 없고, 정규 감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라면, 덮개 상면(58)보다 약간 낮은 위치나 높은 위치로 설정해도 좋다.
10 : 전선 수용 프로텍터, 12 : 프로텍터 본체, 14 : 상측 개구부, 16 : 덮개, 20 : 측벽, 22 : 상면, 24 :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록 기구), 30 : 결합부, 34 : 감합 돌기, 36 : 외면, 40 : 탄성 돌출편(록 기구), 42 : 외면, 44 : 결합 돌기, 50 : 감합 돌기 수용 구멍, 54 : 선단면, 56 : 상측 개구부, 58 : 덮개 상면
Claims (5)
- 홈통형으로 연장되는 프로텍터 본체와, 그 프로텍터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프로텍터 본체와 상기 덮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록 기구가, 상기 덮개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의 외면에 결합 돌기가 설치되는 탄성 돌출편과,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측벽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고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 개구됨과 함께,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상기 탄성 돌출편의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여 상기 덮개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근방에 상기 덮개측을 향해 돌출되는 감합 돌기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덮개에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수용 프로텍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의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부가 정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감합 돌기의 선단면이, 상기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의 상측 개구부가 개구되는 덮개 상면과 동일면으로 설정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탄성 돌출편 삽입 관통 구멍의 폭 방향 양측의 근방에 한 쌍 설치되는 한편, 상기 덮개에도,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감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감합 돌기 수용 구멍이 한 쌍 관통 형성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상기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돌기가, 상기 프로텍터 본체의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반원 단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인, 전선 수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5/073729 WO2017033262A1 (ja) | 2015-08-24 | 2015-08-24 | 電線収容プロテク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732A true KR20170091732A (ko) | 2017-08-09 |
Family
ID=5809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8470A Abandoned KR20170091732A (ko) | 2015-08-24 | 2015-08-24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013654A1 (ko) |
JP (1) | JP6198183B2 (ko) |
KR (1) | KR20170091732A (ko) |
CN (1) | CN107735915A (ko) |
DE (1) | DE112015006048T5 (ko) |
WO (1) | WO20170332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09400B2 (ja) * | 2013-08-29 | 2017-10-04 | 矢崎総業株式会社 | 解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
WO2016168497A1 (en) * | 2015-04-14 | 2016-10-20 | Hubbell Incorporated | Underground composite cable enclosure |
JP6943737B2 (ja) | 2017-11-21 | 2021-10-06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線用外装体及び外装体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
JP7130500B2 (ja) * | 2018-09-10 | 2022-09-0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307087B2 (ja) * | 2018-09-26 | 2023-07-11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電線用外装体及び外装体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
JP7102374B2 (ja) * | 2019-07-19 | 2022-07-1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339184B2 (ja) * | 2020-02-28 | 2023-09-0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116116B2 (ja) * | 2020-03-30 | 2022-08-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083861B2 (ja) | 2020-03-30 | 2022-06-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143361B2 (ja) | 2020-03-30 | 2022-09-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JP7473422B2 (ja) | 2020-08-24 | 2024-04-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樹脂構造体、及び、組み付け状態の検知方法 |
JP7629426B2 (ja) | 2022-09-05 | 2025-02-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 |
JP7614149B2 (ja) | 2022-09-14 | 2025-01-1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57031A (en) * | 1972-05-02 | 1973-09-04 | Thomas & Betts Corp | The like selectively closable protective enclosure for electrical splices and |
JPS63198324U (ko) * | 1987-06-09 | 1988-12-21 | ||
JPH0419935Y2 (ko) * | 1987-07-02 | 1992-05-07 | ||
JPH0419938Y2 (ko) * | 1987-12-17 | 1992-05-07 | ||
US5597980A (en) * | 1994-11-30 | 1997-01-28 | Yazaki Corporation | Detachable mounting mechanism for a fuel injector wiring harness cover |
JP3454730B2 (ja) * | 1998-10-20 | 2003-10-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組立部品のロック構造 |
JP3346340B2 (ja) * | 1999-05-24 | 2002-11-1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ケース本体とカバーの固定構造 |
JP2002082231A (ja) * | 2000-09-11 | 2002-03-22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光ファイバガイド装置 |
EP1363375B1 (en) * | 2002-05-14 | 2010-11-17 | Yazaki Corporation | Wire harness protector |
JP2004159442A (ja) * | 2002-11-07 | 2004-06-03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
JP4470932B2 (ja) * | 2006-09-28 | 2010-06-0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プロテクタ |
JP5333015B2 (ja) * | 2009-07-30 | 2013-11-0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 |
JP5561138B2 (ja) * | 2010-12-08 | 2014-07-3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プロテクタ |
JP2014082880A (ja) * | 2012-10-17 | 2014-05-08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線収容プロテクタ |
NL2013819B1 (nl) * | 2014-11-17 | 2016-10-10 | Lankhorst Eng Products B V | Bekledingskoker voor het omhullen van een onderwater-leiding. |
-
2015
- 2015-08-24 US US15/752,526 patent/US2019001365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8-24 DE DE112015006048.0T patent/DE112015006048T5/de not_active Withdrawn
- 2015-08-24 CN CN201580080822.8A patent/CN107735915A/zh active Pending
- 2015-08-24 WO PCT/JP2015/073729 patent/WO201703326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24 KR KR1020177018470A patent/KR20170091732A/ko not_active Abandoned
- 2015-08-24 JP JP2017516814A patent/JP619818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198183B2 (ja) | 2017-09-20 |
CN107735915A (zh) | 2018-02-23 |
JPWO2017033262A1 (ja) | 2017-08-24 |
WO2017033262A1 (ja) | 2017-03-02 |
US20190013654A1 (en) | 2019-01-10 |
DE112015006048T5 (de) | 2017-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91732A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KR101923844B1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US9326395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6769353B2 (ja) |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 |
KR20170091151A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JP6769354B2 (ja) |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 |
JP6879474B2 (ja) | ハーネスプロテクタ及びハーネスアセンブリ | |
JP5952076B2 (ja) | プロテクタ付コネクタ | |
JP6669008B2 (ja) | ツイストペア線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KR20170091152A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CN107534280B (zh) | 电线收纳保护器 | |
KR101690801B1 (ko) | 커넥터 | |
JP2017182985A (ja) | 誤嵌合防止機能を備えたコネクタ | |
JP6899738B2 (ja) | コネクタブロック、及び、コネクタブロックのコネクタ収容構造 | |
JP6838883B2 (ja) | コネクタ装置 | |
JP2016116347A (ja) |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電線 | |
KR20170091731A (ko) | 전선 수용 프로텍터 | |
JP2019161926A (ja) | 車両用の電気接続箱 | |
JP6432741B2 (ja) | 電気接続箱 | |
JP4492438B2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JP2017073940A (ja) | 電線収容プロテ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