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0651A -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651A
KR20170090651A KR1020160011263A KR20160011263A KR20170090651A KR 20170090651 A KR20170090651 A KR 20170090651A KR 1020160011263 A KR1020160011263 A KR 1020160011263A KR 20160011263 A KR20160011263 A KR 20160011263A KR 20170090651 A KR20170090651 A KR 2017009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mage
building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651A/ko
Publication of KR2017009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6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02
    • F24F11/0009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F24F2011/009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을 3D 도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건물의 구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위치 및 동작상태, 상기 건물 내 바람의 흐름을 상기 3D 도면 상에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건물 내 공기조화기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3D 이미지을 생성하고 각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전방부에 공기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나 필터 등의 공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건물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건물을 나타내는 도면에는 상기 건물에 배치된 공기조화기가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는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표시된 건물의 도면을 이용하여 건물 내 공기조화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물체를 3D 이미지로 표시하는 기술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물체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을 3D 이미지로 나타내어 관리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건물 내 공기조화기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을 3D 이미지으로 나타내어, 각 공기조화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상기 3D 이미지에 각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2D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하고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3D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는 레이어를 기반으로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을 3D 이미지로 표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3D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건물의 구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건물 내 바람의 흐름이나 특정 지점의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건물 내의 재실자를 상기 3D 이미지 상에 표시하고, 재실자가 없는 구역의 공기조화기 동작를 정지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01), 디스플레이부(102), 이미지 입력부(103), 통신부(104), 재실자 감지부(105) 및 사용자 입력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고, 이외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미지 입력부(103)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를 제어부(101)로 입력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입력부(103)에는 건물의 2D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 저장될 수 있다. 건물의 2D 이미지는 건물의 설계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1)는 이미지 입력부(103)로부터 건물의 2D 이미지가 입력되면, 건물의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CAD(Computer Aided Design) 표준 포멧인 DWG 2D 데이터에서 레이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건물의 2D 이미지에서 추출된 레이어를 기반으로, 건물의 2D 이미지의 2D 데이터를 3D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3D 모델링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가 배치된 건물의 구조, 및 건물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어부(101)는 생성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한다.
통신부(104)는, 건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10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의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한다.
공기조화기(201, 202)가 송신하는 동작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 각각의 설정 온도, 운전 모드, 풍량, 풍향 및 에러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공기조화기는 동작, 설정 및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공기조화기(201, 202)의 동작 상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의 설정 온도, 운전 모드, 풍량, 풍향, 정상 동작 여부, 고장 여부 및 고장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제어부(101)는,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201, 20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어떠한 설정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동작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그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한다.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된 건물의 3D 이미지 상에, 건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각각의 위치를 표시하고, 표시된 위치에 해당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건물 내에서의 공기조화기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각 공기조화기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건물 전체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4)를 통해 수신되는 동작 데이터와, 3D 이미지에 나타나는 건물의 구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 또는 냉기의 흐름을 3D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01)는, 동작 데이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설정 온도, 풍향 및 풍량을 파악하고, 건물의 3D 이미지로부터 바람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의 구조를 파악하여, 건물 내 바람 또는 냉기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예측된 바람 또는 냉기의 흐름을 건물의 3D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01)는, 이미지 입력부(103)로부터 입력되는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건물 전체의 3D 이미지 또는 건물의 층별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입력부(103)로부터 입력되는 2D 이미지는 건물의 모든 층별 2D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생성된 건물 전체의 3D 이미지 또는 건물의 층별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106)는 버튼,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된 3D 이미지에 대한 회전, 확대 및 축소 중 하나의 명령을 입력 받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6)는 건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어부(101)는, 사용자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확대 및 축소 중 하나의 명령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된 3D 이미지를 회전시키거나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된 3D 이미지를 회전시키거나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01)는, 사용자 입력부(106)에 입력되는 동작 제어 명령을 통신부(104)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송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06)에 입력되는 동작 제어 명령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중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풍향, 풍량 및 설정 온도 및 운전 모드 등을 제어하는 명령이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4)를 통하여 동작 제어 명령의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중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에 동작 제어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동작 제어 명령의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중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가 동작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이미지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6)는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된 건물 내 특정 위치와 설정 온도를 입력 받고, 제어부(101)는 사용자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되는 건물 내 특정 위치의 온도가 입력되는 설정 온도가 되도록 건물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1)가 건물 내 특정 위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한 후, 건물 내 특정 위치의 온도를 확인하기 위해, 건물 내에 여러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2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온도 감지부(204)로부터 감지된 온도를 전달 받는다. 온도 감지부(204)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열감지 카메라일 수 있고, 온도 감지하는 수단이면 족하고 이외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온도 감지부(204)에 의해 감지된 온도는 통신부(104)를 통해 제어부(101)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06)를 통하여 건물의 3D 이미지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지점의 설정 온도를 입력하면, 제어부(101)는 선택된 특정 지점의 주변에 존재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특정 지점의 온도가 입력된 설정 온도가 되도록 한다.
재실자 감지부(105)는 건물 내에 존재하는 재실자를 감지한다. 재실자 감지부(105)는 카메라, 열감지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일 수 있고, 재실자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고, 이외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재실자 감지부(105)는 감지된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04)로 송신하고, 통신부(104)는 감지된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제어부(101)는, 재실자 감지부(105)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를 건물의 3D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재실자 감지부(105)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건물 내에 재실자가 존재하지 않는 층 또는 방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는 건물 내 재실자가 존재하지 않아 공기조화기가 동작할 필요없는 경우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01)는, 재실자 감지부(105)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건물 내에 재실자가 존재하는 층 또는 방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 재실자에게 더욱 쾌적한 환경이 제공될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어부(101)는, 이미지 입력부(10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가 입력되면(S10), 건물의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한다(S11).
제어부(101)는, 건물의 2D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레이어를 기반으로, 건물의 2D 이미지에 포함된 2D 데이터를 3D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3D 모델링을 수행한다(S12).
제어부(101)는 건물의 2D 이미지의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한다(S13). 3D 이미지에 건물의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기 위해, 건물의 2D 이미지에는 건물의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 있다.
제어부(101)는, 통신부(104)를 통해 건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면(S14),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각각의 동작 상태를, 3D 이미지 상에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각각의 위치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각각의 동작 상태가 포함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한다(S15).
제어부(101)는, 통신부(104)를 통해 건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S14), 건물의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02)에 표시한다(S1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공조 제어 장치
101: 제어부
102: 디스플레이부
103: 이미지 입력부
104: 통신부
106: 사용자 입력부
201: 공기조화기1
202: 공기조화기2
203: 재실자 감지부
204: 온도 감지부

Claims (14)

  1.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를 입력하는 이미지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 입력부로부터 상기 2D 이미지가 입력되면, 상기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3D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하고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공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 각각의 설정 온도, 운전 모드, 풍량, 풍향 및 에러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설정 온도, 운전 모드, 풍량, 풍향, 정상 동작 여부, 고장 여부 및 고장 원인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프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3D 이미지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각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의 위치에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는 동작 데이터와 상기 3D 이미지에 나타나는 상기 건물의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 또는 냉기의 흐름을 상기 3D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2D 이미지에 대응하는 건물 전체의 3D 이미지 또는 건물의 층별 3D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3D 이미지에 대한 회전, 확대 및 축소 중 하나의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확대 및 축소 중 하나의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3D 이미지를 회전시키거나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는 공조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동작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동작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건물 내 특정 위치와 설정 온도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건물 내 특정 위치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의 재실자를 감지하는 재실자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재실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실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를 상기 3D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공조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실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재실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건물 내에 재실자가 존재하지 않는 층 또는 방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건물 내에 재실자가 존재하는 층 또는 방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키는 공조 제어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건물의 2D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2D 이미지에서 레이어(Layer)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는 레이어를 기반으로 3D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건물의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배치가 나타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디스프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3D 이미지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각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동작 데이터와 상기 3D 이미지에 나타나는 상기 건물의 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흐름을 상기 3D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11263A 2016-01-29 2016-01-29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eased KR20170090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63A KR20170090651A (ko) 2016-01-29 2016-01-29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63A KR20170090651A (ko) 2016-01-29 2016-01-29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651A true KR20170090651A (ko) 2017-08-08

Family

ID=5965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63A Ceased KR20170090651A (ko) 2016-01-29 2016-01-29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6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023A (zh) * 2018-12-18 2019-04-2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送风轨迹的显示方法、装置
CN111076365A (zh) * 2019-12-03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空调制冷量、制热量的方法及空调
CN111238001A (zh) * 2020-02-25 2020-06-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送风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CN112212477A (zh) * 2020-09-23 2021-01-12 北京嘉木科瑞科技有限公司 一种AIoT数据中心空调能效智控系统及智控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023A (zh) * 2018-12-18 2019-04-2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送风轨迹的显示方法、装置
CN111076365A (zh) * 2019-12-03 2020-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空调制冷量、制热量的方法及空调
CN111238001A (zh) * 2020-02-25 2020-06-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送风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CN112212477A (zh) * 2020-09-23 2021-01-12 北京嘉木科瑞科技有限公司 一种AIoT数据中心空调能效智控系统及智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5393B2 (en) Mobile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101912795B1 (ko) 3차원 정보제공장치
CA2762085C (en) Method for linking control system inputs and outputs to symbolic controls
US20110087988A1 (en) Graphical control elements for building management systems
US20160011753A1 (en) Integration of building automation systems in a logical graphics display without scale and a geographic display with scale
CN108605172B (zh) 远程控制装置
US8655489B2 (en) Air-conditioning controller
EP2982911B1 (en)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air-conditioning device
US20150094863A1 (en)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controller
KR20170090651A (ko) 공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225590A (ja) 局所空調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
US9863658B2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g rooms based on air conditioner state and room temperature
JP2008170047A (ja) 空調機システム、空調機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
US11249449B2 (en) Operation terminal,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ir-conditioning system
CN110140015A (zh) 空调设备、空调设备的中央控制设备、空调设备的远程控制设备、空调设备的室内设备及它们的控制方法
JPWO2015193976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2172910A (ja) 室内環境調整用機器の操作システム
WO2021053842A1 (ja) 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方法
KR10159299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20646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6362233B1 (ja) 建築設備に関する情報の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39439A (ko) Hvac 컨트롤러
JP5835262B2 (ja) 表示装置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6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