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 사용자, 설치자는 중복 또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사용자, 설치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유저(user)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 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인터페이스 유닛(5), 단말기(470)를 포함한다.
공조 유닛(1)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Supply Air),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Return Air),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Outdoor Air),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양을 조절하고, 열교환 된 급기(Supply Air)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실외기(2)는 설정에 따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어 공조유닛(1)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실외기(2)는 공조유닛(1)에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기 이외에도 다른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 지열판 등을 통해 열원의 공급이 가능하다.
실외기(2)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4)는 공조유닛(1)의 구동 및 순환하는 공기의 정도를 제어하고 설정된 온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4)는 실외기(2)와 통신하여 실외기에 목표온도를 설정하거나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기(4)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실외기가 추가로 동작하거나 동작중인 실외기의 일부가 동작 정지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에 연결되어 제어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 또는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유닛 또는 실외기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470)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통신한다. 여기서, 단말기(470)와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의 통신은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470)와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의 통신은 제3자로부터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470)와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의 통신은 이더넷(Ethernet)기반의 통신 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건물의 크기 및 규모에 따라 공조유닛(1) (1a 내지 1c)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실외기(2) (2a 내지 2c)를 포함하는 열원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에는 각각 공조 유닛(1)의 용량에 대응하는 정도의 실외기(2)가 연결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공조 유닛(1)에 포함되는 팬 모듈에 포함된 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공조 유닛(1)에 포함되는 각 팬은 모듈화 되어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은 필요에 따라,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팬을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팬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의 총량이 가변될 수 있다.
공조 유닛(1)은 덕트(3) (3a 내지 3c)로 연결되어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각 실별, 실내온도는 실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덕트(3)의 끝단, 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또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공조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조유닛(1)은 흡기 모듈(100),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모듈은 필요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 흡기 모듈(100),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누기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밀착시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조대상은 실내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흡기 모듈(100)은 환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4)를 구비하고, 흡입된 환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와 연결된다. 이때, 환기는 실내를 순환한 후 공급되는 공기이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로부터 환기를 흡입하여 혼합기 모듈(200)에 공기를 공급한다. 흡기 모듈(100)은 실내로부터 환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모듈(56) 및 제1 팬 모듈(56)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부(4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 (57)에 연결되어 제어기(4)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동작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한다. 여기서, 제1 팬 모듈(56)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팬 모터(5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혼합기 모듈(200)은 흡기 모듈(100)과 연결되어 흡기 모듈(100)로부터 환기를 공급받는다.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와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 중 0~100%를 외부로 배출하고, 100~0%의 외기를 흡입한다.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라고 명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기 모듈(200)은 배기를 배출한만큼 외기를 흡입한다. 예를들어, 30%의 배기를 배출하면, 30%의 외기를 흡입한다. 이경우, 혼합기 모듈(200)은 흡기 모듈(1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와 실외에서 공급받은 외기를 7:3으로 혼합한다. 이때, 환기와 외기가 혼합된 공기를 혼합기(Mixed Air)라 명명할 수 있다. 혼합기의 혼합비율은 공기의 청정도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혼합기 모듈(200)은 환기, 외기 또는 혼합기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혼합기 모듈(200)은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혼합기 댐퍼(53)을 포함한다.
외기 댐퍼(51)는 외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한다.
배기 댐퍼(52)는 배기의 유출 정도를 조절한다.
혼합기 댐퍼(53)는 환기 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및 혼합기 댐퍼(53)는 제어기(4)의 제어 명령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다.
혼합기 댐퍼(53) 및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는 각각 상호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때,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고, 상기 각각의 댐퍼(51,52,53)의 개도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결정된다. 이경우, 공조유닛의 내부 압력에 따라 배기와 외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혼합기 댐퍼(53)가 약 67도 오픈되면, 배기 댐퍼(52)는 23도 오픈되어 30%의 환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외기 댐퍼(51)는 23도 오픈되어 외기가 공급된다.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고, 30%가 배기로 배출되는 경우,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배기가 배출된 만큼 외기가 30% 공급되어 급기는 70%의 환기와 30%의 외기로 구성된 혼합기가 된다.
또한, 혼합기 댐퍼(53)가 닫히고, 배기 댐퍼(52)가 90도 오픈, 외기 댐퍼(51)가 90도 오픈되는 경우, 환기는 모두 배기로써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외기 100%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하, 외기(Exhaust Air)가 100% 급기로써 공급되는 것을 전외기라 한다.
한편, 공조 유닛(1)이 환기 모듈(100)을 포함하지 않고, 혼합기 모듈(200), 열교환 모듈(300) 및 급기 모듈(400)로 구성되는 경우,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 없이 외기만이 급기로써 공급되는 전외기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열교환 모듈(300)은 혼합기 모듈(200)과 연결되어 혼합기 모듈(200)로부터 혼합기를 공급받는다. 열교환 모듈(300)은 혼합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열교환 모듈(300)은 열교환기(60) 및 팽창밸브(61)를 포함한다. 실외기(2)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60)로 유입된다. 열교환기(300)를 통과하는 혼합기는 열교환되어 소정 온도의 공기가 된다. 이때, 열교환기(60)는 수랭식, 공랭식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결합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급기 모듈(400)은 열교환 모듈(300)과 연결되어 열교환 모듈(300)로부터 승온 또는 감온된 혼합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열교환 모듈(300)로부터 승온 또는 감온된 혼합기를 급기로 명명할 수 있다. 급기 모듈(400)은 급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급기 모듈(400)은 실내로 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팬 모듈(58) 및 제2 구동부(4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2 팬 모터(59)에 연결되어 제어기(4)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동작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한다. 여기서, 제2 팬 모듈(58)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팬 모터(59)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어기(4)는 급기방식 또는 환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설정에 따라, 급기부에서 공급되는 급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써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 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급기방식인 경우 급기(Supplay Air)의 온도가 목표온도가 되도록 하여 공급하고, 환기방식인 경우 환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목표온도에 따른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어기(4)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1)의 동작상태 및 공기흐름을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 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및 인터페이스 유닛(5)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공기조화기(400) 및 단말기(470)를 포함한다.
공조 유닛(1)은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혼합기 댐퍼(53), 제1 팬 모듈(56), 제1 구동부(427), 제2 팬 모듈(58), 제2 구동부(427), 열교환기(60), 온도센서(61), 습도센서(62), 압력센서(63), 유속센서(64), CO2센서(65) 및 연기감지센서(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유닛(1)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양을 조절하고, 열교환 된 급기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공조 유닛(1)은 혼합기를 승온 또는 감온 하여 실내에 제공한다. 여기서 혼합기는 실내 순환 후 공급되는 환기 및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를 혼합한 공기이다.
외기 댐퍼(51)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외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외기 댐퍼(51)의 개도를 조절한다.
배기 댐퍼(52)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배기의 유출 정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배기 댐퍼(52)의 개도를 조절한다.
혼합기 댐퍼(53)는 제어기(4)의 제어를 받아, 환기 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어기(4)는 제어 명령을 통해 혼합기 댐퍼(53)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1 팬 모듈(56)은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팬 모듈(56)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제1 팬 모터(도 3의 5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은 회전한다. 제1 팬 모듈(56)은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환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각각의 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1 구동부(427)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1 팬 모듈(56)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팬 모터(도 3의 57)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제1 인버터(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427)는 제1 인버터(426)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1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제2 팬 모듈(58)은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2 팬 모듈(58)은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각각의 팬들은 각각 제1 팬 모터(도 3의 59)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여기서, 제2 팬 모터(도 3의 59)는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2 팬 모듈(58)은 회전한다. 제2 팬 모듈(58)은 제2 팬 모터(도 3의 59)에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기초하여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팬 모듈(58)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도 3의 59)에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2 구동부(427)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2 팬 모듈(58)에 포함된 팬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팬 모터(도 3의 59)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제2 인버터(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429)는 제2 인버터(428)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2 팬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열교환기(60)는 냉매, 물 또는 스팀을 이용해 혼합기의 열에너지를 교환한다.
온도센서(61)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61)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는 실시예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설치될 수 있다.
환기 온도센서(61a)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의 기동 또는 정지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61b)는 외기냉방운전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61b)는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해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이 동작하는 경우에만 측정할 수 있다.
혼합기 온도센서(61c)는 난방 운전시 예열운전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급기 온도센서(61)는 제상 운전시, 토출 온도가 목표값보다 낮은 경우, 전기 히터를 추가적으로 가동하는데 기준 온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습도센서(62)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습도센서(62)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62)는 실시예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습도센서(62)는 전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환기 습도 센서(62a)는 가습기의 기동 또는 정지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기 습도 센서(62b)는 외기냉방운전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기 습도센서(62b)는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해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이 동작하는 경우에만 측정할 수 있다.
혼합기 습도 센서(62c)는 외기와 환기가 혼합될 때, 혼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급기 습도 센서(62d)는 혼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력센서(63)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압력센서(63)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2)는 실시예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압력센서(63)는 전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압력센서(63)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혼합기 모듈(도 3의 200)에 포함된 필터(미도시)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차압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압센서(미도시)는 필터의 교체 여부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압센서(미도시)는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해 제2 팬 모듈(58)이 정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측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유속센서(64)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유속센서(64)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각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센서(64)는 실시예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유속센서(64)는 전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속센서(64)는 환기, 외기, 혼합기, 급기 각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O2센서(65)는 환기의 CO2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CO2센서(65)에서 감지된 CO2농도를 기준으로, 제어기(4)는 자동 환기 운전여부를 판단한다.
연기감지센서(66)는 환기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연기감지센서(66)에서 감지된 연기의 농도를 기준으로, 제어기(4)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실외기(2)는 설정에 따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어 공조유닛(1)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제어기(4)는 공조 유닛(1)과 실외기(2)를 제어한다. 제어기(4)는 공조유닛(1)의 구동 및, 순환하는 공기의 정도를 제어하고 설정된 온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4)는 실외기(2)와 통신하여 실외기에 목표온도를 설정하거나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기(4)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실외기가 추가로 동작하거나 동작중인 실외기의 일부가 동작 정지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운전 정보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상태, 운전 이력 또는 고장이력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에 연결되어 제어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 또는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유닛 또는 실외기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고, 제어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470)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통신한다. 여기서, 단말기(470)와 제어기(4)와의 통신은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470)와 제어기(4)와의 통신은 제3자로부터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 통신망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조 유닛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 기계실에 설치된다. 따라서, 관리자나 사용자는 기계실 또는 관리실에서 공조 유닛의 운전 상태를 확인하고 공조 유닛의 제어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단말기(470)와 인터페이스 유닛(5)간의 통신을 통해, 별도의 장비나 추가 작없 없이, 장소에 대한 제약 없이, 공조 유닛의 운전 상태를 확인하고 공조 유닛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4)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4)는 제어기 입력부(451), 제어기 통신부(452), 제어기 출력부(453), 제어기 메모리(454) 및 제어기 프로세서(455)를 포함한다.
제어기 입력부(451)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제어기 입력부(451)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유닛 출력부(453)의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경우, 터치 스크린은 제어기 입력부(451) 및 제어기 출력부(45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유닛(5)이 제어기(4)에 부착된 상태에서, 입력부(451)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제어기(4)와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유선 또는 무선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연결된 기기와 통신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 또는 단말기(470)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감지부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52)는 온도센서(61), 습도센서(62), 압력센서(63), 유속센서(64), CO2센서(65), 연기감지센서(66)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기 프로세서(455)로 전송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기 통신부(452)는 수신한 운전 정보를 제어기 프로세서(455)에 전송한다.
제어기 출력부(453)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출력부(453)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인터페이스 유닛(5)이 제어기(4)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어기 출력부(453)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기 메모리(454)는 제어기(4)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통신부(45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입력부(451)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 출력부(453)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 메모리(454)를 통해 블랙박스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 메모리(454)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이력, 고장 이력, 각종 센서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함으로써,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랙박스 기능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동안 동작될 수 있다. 블랙박스 기능이 항상 동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기 메모리(454)는 제어기 프로세서(455)의 제어를 받아, 최근부터 역순으로 일정 기간의 데이터를 저장한채,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터 차례로 삭제한다.
한편, 제어기(4)는 블랙박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블랙박스 메모리는 제어기(4)에 탈,부착 가능한 외장 메모리일 수 있다. 상술한 블랙박스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 블랙박스 메모리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이력, 고장 이력,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블랙박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기능은 공기 조화기 문제 발생 시, 정확한 원인 분석 및 품질 향상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제어기 메모리(453)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프로세서(455)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기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실외기(2)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외기(2)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실외기(2)의 동작상태에 따라 공조 유닛(1)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 프로세서(455)는 온도센서(61), 습도센서(62), 압력센서(63), 유속센서(64), CO2센서(65), 연기감지센서(66)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 프로세서(455)는 각종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기 프로세서(455)는 통신부(452)를 통해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유닛(5)은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 인터페이스 유닛 메모리(464) 및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에서 수신한 입력은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를 통해 제어기(4)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경우, 터치 스크린은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 및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는 운전 정보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는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의 제어에 따라, 제어기(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GUI로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구현하여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의 입력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출력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제어기(4)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유선 또는 무선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연결된 기기와 통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수신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정보를 제어기(4)로부터 수신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수신한 운전 정보를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에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메모리(464)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공조 유닛(1)에 대한 운전설정을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 메모리(464)는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를 통해 입력되어 제어기(4)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메모리(46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의 입력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4)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이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운전 정보를 인터페이스 유닛 표시부(462)에 모니터링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운전 정보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상태, 운전 이력, 운전 스케줄 또는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인터페이스 유닛 입력부(461)에서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단말기(470)와 통신 연결 시, 단말기(470)의 요청에 따라 운전 정보를 단말기(47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인터페이스 유닛 프로세서(465)는 단말기(470)와 통신 연결 시, 단말기(47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470)는 단말기 입력부(471), 단말기 표시부(472), 단말기 통신부(473), 단말기 메모리(474) 및 단말기 프로세서(475)를 포함한다.
단말기(470)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통신하여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기(470)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기(470)와 인터페이스 유닛(5)과의 통신은 이더넷(Ethernet) 기반 통신일 수 있다.
단말기(470)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 화면, 공기조화기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화면 및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한다. 단말기(470)는 제어 메뉴 화면 또는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하여,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470)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단말기 입력부(471)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를 제어하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말기 입력부(471)에서 수신한 입력은 단말기 프로세서(475)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단말기 통신부(473)를 통해 제어기(4)로 전송된다.
단말기 입력부(471)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단말기 표시부(47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경우,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 입력부(471) 및 단말기 출력부(47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471) 및 단말기 출력부(47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 화면, 공기조화기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화면 및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제어 메뉴 화면 또는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제어기(4)로 전송한다.
단말기 표시부(472)는 운전 정보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표시한다. 단말기 표시부(472)는 단말기 프로세서(475)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 표시부(472)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도록 GUI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표시부(472)는 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 화면, 공기조화기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화면 및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운전 정보는 공기조화기(400)의 운전 상태, 운전 이력, 운전 스케쥴 또는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단말기 표시부(472)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 표시부(472)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구현하여 출력한다. 또한, 단말기 입력부(471)의 입력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출력한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유선 또는 무선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연결된 기기와 통신한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 프로세서(475)로 전송한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 통신부(463)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정보를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한다. 단말기 통신부(473)는 수신한 운전 정보를 단말기 프로세서(475)에 전송한다.
단말기 메모리(474)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공조 유닛(1)에 대한 운전설정을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 메모리(474)는 단말기 입력부(471)를 통해 입력되어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말기 메모리(47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단말기 통신부(473)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단말기 입력부(471)의 입력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이 단말기 표시부(472)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4)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운전 정보를 단말기 표시부(472)에 모니터링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운전 정보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 상태, 운전 이력, 운전 스케줄 또는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 화면, 공기조화기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화면을 단말기 표시부(47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4)와 통신 연결 시, 제어기(4)의 요청에 따라 운전 정보를 제어기(4)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통신 연결 시, 인터페이스 유닛(5)의 요청에 따라 운전 정보를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말기(47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경우, 단말기(47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공기조화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망은 3G,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A-LET(Advanced LTE) 망등 공지의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기(470)는 스마트 폰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47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로그인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AHU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여기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AHU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니터링 화면,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뉴 화면, 공기조화기의 설정을 위한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AHU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로그인화면(204)에는 각각 로그인 권한에 따라 관리자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된다.
도 8의 (c) 및 도 8의 (d)를 참조하면, 관리자 및 사용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비밀번호 입력영역을 표시한다. 이때, 비밀번호 입력영역에는 복수의 키와, 선택된 키가 표시되는 입력영역이 포함된다.
비밀번호 수신 후 확인이 선택되는 경우,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성공의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모니터링 화면, 제어 메뉴 화면 또는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불일치에 따른 안내와 함께 비밀번호를 재 입력하도록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별도의 경고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표시되는 시스템 보기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조 유닛(1)에 대한 모니터링화면을 단말기 표시부(472)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470)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구현하여 단말기 표시부(472)를 통해 표시한다.
도 8에서 설명한 로그인이 완료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홈 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홈화면 상단에 사용자 표시 영역(910), 운전상태 표시 영역(911) 및 운전모드/부가운전 설정 영역(912)을 표시한다.
사용자 표시 영역(910)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를 표시한다. 사용자 표시 영역(910)에 관리자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관리자가 로그인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만약, 사용자 또는 설치가 모드로 로그인되는 경우, 사용자 또는 설치자로 표시된다.
운전 상태 표시 영역(911)은 공기조화기가 운전 또는 정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운전"이라고 표시된 상태에서, 운전 상태 표시 영역(911)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운전" 표시는 "정지" 표시로 바뀐다. 이와 동시에,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4)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운전을 정지한다. "정지"라고 표시된 상태에서, 운전 상태 표시 영역(911)에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정지" 표시는 운전 표시로 바뀐다. 이와 동시에,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4)에 운전 명령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운전을 시작한다.
운전모드/부가운전(912)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난방 모드, 냉방 모드, 송풍 모드, 외기냉방 모드, 제습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공조 유닛(1)은 냉방모드로 운전한다. 이때,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냉방모드 설정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어기(4)로 전송한다. 제어기(4)는 공조 유닛(1)이 냉방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4)는 실외기(2)가 냉방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냉방 모드 선택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도, 제어기(4)를 통해 수신되는 공조 유닛(1)의 운전 모드가 송풍모드인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운전모드를 송풍모드로 표시한다. 이후에, 공조 유닛(1)의 운전모드가 냉방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운전모드를 냉방모드로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된 장치에 대응하여 특정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 또는 외기에 온습도 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외기만으로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외기냉방 모드는 비활성화되어 선택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부가운전 모드는 가습, 자동환기 등의 공조 유닛(1)의 부가 기능에 대해 설정하는 메뉴로, 공조 유닛(1)에 설치되는 장치에 대응하여 해당 장치에 대한 운전을 설정한다.
부가운전 모드는 선택된 설정에 따라 운전모드/부가운전 영역(912)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선택한 횟수에 따라 가습, 자동환기, 가습 및 자동환기, 사용안함의 순서로 상기 운전모드/부가운전 영역(912)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된다.
공조 유닛(1)에 가습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즉 가습기가 공조 유닛(1)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가습기능은 선택이 불가능하다. 또한, CO2센서가 공조 유닛(1)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환기기능은 비활성되므로 선택 불가능하다. 비활성 기능이 선택되더라도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해당 기능에 대해 설정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안함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운전모드가 제습 또는 외기냉방으로 선택된 경우, 가습, 자동환기를 설정할 수 없다.
가습기능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자동환기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사용안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홈화면 하단에 홈키(920), 스케줄키(930), 이력키(940) 및 설정키(950)를 표시한다.
홈키(920)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 또는 실외기(2)의 운전상태에 대한 모니터링화면을 표시한다. 홈키(920)는 시스템 보기(921), 상세보기(922) 및 실외기 상태(923)의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스케줄키(930)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조화기 운전 스케줄 화면을 표시한다. 스케줄키(930)는 스케줄 메인(931), 스케줄 보기(932) 및 스케줄 편집(933)의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이력키(940)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이력 또는 고장이력 화면을 표시한다.
설정키(950)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홈키(920)의 하위 메뉴중 시스템 보기(921)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공조 유닛(1)의 모니터링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에서 측정된 데이터, 온도, 습도, 밸브의 상태, 기동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실제 감지된 데이터값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급기 온도와 흡기 온도를 각각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값은 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에 설치되는 부품 또는 장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 데이터를 구비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1)의 부품 및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당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모니터링 화면에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이미지 또는 아이콘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그에 따라,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각 장치의 동작상태를 아이콘 또는 이미지의 형상을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정상 동작하는 팬의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팬이 회전하는 형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에러가 발생된 팬의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정지한 상태에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팬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거나 별도의 경고알림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모니터링 화면에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기의 흡입 및 배기에 따른 환기(237), 배기(235), 외기(236), 그리고 급기(238)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각각 구비되는 장치, 댐퍼, 밸브, 센서, 필터 등이 각각 이미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값을 표시한다. 이때, 각 장치에 대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은 실체 설치되는 장치에 대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에 대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은 실체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장치인 경우, 그에 대응하여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가변되는 형태로 표시되어,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별도의 알람을 출력하고, 화면상에 에러발생에 따른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추가 표시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환기(237)측에 연기감지센서(66)가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연기감지센서에 대응한 연기감지 아이콘(247)을 표시한다. 환기(237)측에 CO2센서 가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CO2의 농도(248)를 표시한다. 환기(237)측에 습도센서,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습도센서(249), 온도센서(250)에 대한 이미지를 각각 표시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값을 각각 표시한다. 이 경우, 연기감지는 연감지센서에 의해 화재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됨으로써 연기감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CO2센서는 CO2의 농도를 측정한다.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의 CO2농도에 따라, 제어기(4)는 자동환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4)는 판단된 자동환기 여부에 따라 외기와 배기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환기팬(246)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표시된 환기팬(246) 상부에 환기팬 각각에 대한 동작상태(251)를 표시한다. 환기팬(246)이 6개의 팬으로 구성된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각각 F1 내지 F6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녹색, 흰색 또는 적색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운전, 정지, 에러로 팬의 상태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배기(235)측에 배기 댐퍼(52)(239)를 표시한다. 환기 중 일부가 배기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배기(235)측에 댐퍼의 개도량(252)을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외기(236)측에 외기 댐퍼(51)(240)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유입되는 외기를 조절하는 외기 댐퍼의 개도량(255)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외기(236)측에 유입되는 외기에 대한 온도(253)와 습도(254)를 표시한다. 외기측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외기 댐퍼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기 댐퍼가 닫힌 상태에서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는 외부온도와 외부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배기 댐퍼(52)(239)의 개도량이 0인 경우, 배기 댐퍼는 닫힌 상태로 환기 100%가 급기로 공급됨을 의미한다. 이때, 배기댐퍼의 개도는 외기댐퍼(51)(240)와 연동하므로, 외기 댐퍼(51)(240) 또한, 개도량이 0이 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배기와 외기 사이에 혼합기 댐퍼(53)(241)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혼합기 댐퍼의 개도량(256)을 표시한다. 이때, 댐퍼의 개도량은 개도각으로 나타나며, 0도일때는 닫힌상태이고 90도일때 최대 개방상태이다. 배기 0%, 외기 0%일때, 환기가 100% 이므로 댐퍼는 90도로 최대 개방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혼합기 댐퍼(241)와 외기 댐퍼(240) 사이에 혼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8)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외기 또는 혼합기측과 급기측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43)(244)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열교환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257)을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42)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필터 청소 주기 또는 필터 청소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필터아이콘(259)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급기(238)측에 압력센서(263), 습도센서(262), 온도센서(261)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급기팬(245)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설치된 팬의 수에 따라 F1 내지 F6로 표시하고, 각각의 팬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되는 팬과 댐퍼는 운전상태에 따라 움직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고, 각 센서는 색상 또는 표시되는 데이터값에 따라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보기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홈키(920)의 하위 메뉴 중 상세 보기(922)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온도/습도(271), 잠금상태(272), 댐퍼 개도(273) 및 팬운전상태(274) 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온도/습도 표시 영역(271)에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희망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온도/습도 표시 영역(271)에 온도 센서(61) 및 습도 센서(62)에서 감지된 환기, 급기, 외기 및 혼합기의 온도 및 습도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잠금 상태 영역(272)에 단말기(470)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에 의한 제어가 잠금 상태인지 여부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댐퍼 개도 영역(273)에 외기 댐퍼(51), 배기 댐퍼(52), 혼합기 댐퍼(53)의 개도량을 표시한다. 이때 댐퍼 개도량은 0°(닫힘) 에서부터 90°(완전개방)까지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팬운전상태 영역(274)에 제1 팬 모듈(56, 예를들면, 환기 팬 모듈) 및 제2 팬 모듈(58, 예를 들면 급기 팬 모듈)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팬 모듈(56) 및 제2 팬 모듈(58)은 복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상기 복수의 팬의 각각의 운전상태를 팬운전상태 영역(274)에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외기 상태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홈키(920)의 하위 메뉴 중 실외기 상태(923)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실외기(2)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2)가 공조 유닛(1)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상기 복수의 실외기(2) 각각의 동작 상태 정보(281, 282, 283, 284, 285, 286)를 표시한다.
한편, 열원이 실외기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보일러 또는 냉각탑 등인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보일러 또는 냉각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 메인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케줄키(930)의 하위 메뉴 중 스케줄 메인(931)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메인 화면에 기 설정된 스케줄 목록(414) 및 각각의 스케줄에 대한 편집키(416)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메인 화면에 기 설정된 스케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줄 선택(411), 선택된 스케줄 운전설정(412) 및 적용키(413)를 표시한다. 여기서, 스케줄 운전설정(412)은 스케줄 모드인 경우 적용으로 표시되고, 로컬 또는 원격모드로 공조유닛(1)이 제어되는 경우 미사용으로 표시된다. 적용키(413)는 스케줄설정메뉴(410)에서 변경된 스케줄, 또는 선택된 스케줄에 대하여 설정을 적용한다.
만약, 스케줄목록(414)에서 스케줄1(415)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1에 설정된 스케줄정보를 표시한다. 선택된 스케줄1의 세부 내용에 대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편집키(416)가 선택되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해당 스케줄에 대한 편집화면을 표시한다. 만약, 스케줄1(415)에 대한 편집키(416)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1에 대한 스케줄편집화면을 표시한다. 스케줄편집 화면에 대한 설명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 보기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케줄키(930)에서 스케줄 보기(932)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기 설정된 스케줄 중 하나의 스케줄의 세부 내용을 표시한다. 스케줄 보기 화면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줄 메인 화면에서 소정의 기 설정된 스케줄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1의 세부 내용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요일별 시간에 때른 스케줄을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케줄 편집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스케줄키(930)에서 스케줄 편집(933)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스케줄 편집 화면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줄 메인 화면에서 소정의 기 설정되 스케줄이 선택되어 편집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편집 화면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케줄 메인 화면에서 편집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편집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스케줄 중 어느 하나의 스케줄에 대해 새로운 스케줄을 추가하거나 기 설정된 스케줄에 대한 수정 또는 삭제를 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스케줄 편집 화면에 편집하고자 하는 요일을 선택할 수 있는 요일선택(421)이 드롭다운 메뉴 형태로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선택된 요일에 대한 스케줄패턴(422)을 표시한다. 만약, 요일이 변경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그에 대응하여 스케줄패턴(422)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또한, 스케줄패턴(422)에 표시되는 시간별 스케줄패턴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그에 대한 운전 시작시간(423)과 운전 정지시간(424)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정키를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시간 스케줄패턴을 변경한다. 이때, 삭제키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입력된 해당 시간 스케줄패턴을 삭제한다. 또한, 기설정된 스케줄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시작시간과 운전정지시간을 입력한 후, 추가키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새로운 스케줄패턴을 추가 입력한다. 이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패턴항목의 추가, 수정, 삭제에 따른 변경된 정보를 스케줄패턴(422)에 표시한다. 저장키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변경된 스케줄패턴을 저장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력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유닛(1)에서 발생된 에러데이터를 제어기(4)로부터 수신한다. 단말기 프로세서는 수신된 에러데이터를 단말기 메모리(474)에 저장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상기 에러데이터를 바탕으로 에러정보(430)를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에러가 발생된 순서에 따라 번호가 부여하여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에러가 발생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발생된 에러에 대한 코드와 에러가 발생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발생된 에러에 관련된 코드 번호 또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만약, 새로고침키(432)가 선택되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새로운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갱신된 에러정보(430)를 표시한다. 만약, 새로운 에러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새로고침키(432) 선택 시,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새로운 에러데이터를 에러정보(430)에 추가하여 표시한다.
만약, 전체삭제(431)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에러정보(430)내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 초기화한다. 이때,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전체삭제(431) 전까지 발생된 에러에 대해 리스트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설정기간 동안 보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관리자설정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설정키(950)에서 제1 관리자설정(951)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온도에 대한 제어기준(321), 냉방 온도 및 습도(322), 난방 온도 및 습도(323), 풍량설정(324), 댐퍼개도(325), 냉방댐퍼개도(326), 난방댐퍼개도(327), 송풍댐퍼개도(328)의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제어기준 설정 영역(32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온도제어의 기준이되는 실내온도를 환기온도로 할지, 급기온도로 할지 선택한다. 환기온도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기(4)는 환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급기온도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기(4)는 급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냉방 온도 및 습도 설정 영역(322)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냉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목표로하는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난방 온도 및 습도 설정 영역(323)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난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목표로하는 온도 및 습도를 설정한다.
상기 냉방 또는 난방 온도 설정은 소정 온도 단위로 입력될 수 있고, 입력가능한 온도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온도는 18 미만으로는 입력할 수 없고 난방온도는 30도를 초과하여 입력할 수 없다. 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풍량설정 영역(324)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조유닛(1)의 풍량을 강, 중, 약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댐퍼개도 설정 영역(325)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댐퍼개도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한다. 만약, 자동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기(4)는 댐퍼 개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냉방댐퍼개도 설정 영역(326)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냉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외기댐퍼, 배기댐퍼 및 혼합기댐퍼의 개도 정도를 설정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난방댐퍼개도 설정 영역(327)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난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외기댐퍼, 배기댐퍼 및 혼합기댐퍼의 개도 정도를 설정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송풍댐퍼개도 설정 영역(328)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송풍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외기댐퍼, 배기댐퍼 및 혼합기댐퍼의 개도 정도를 설정한다.
댐퍼개도(325)가 수동설정인 경우, 제어기(4)는 냉방 모드, 난방 모드, 송풍 모드에서 설정된 개도에 따라 공조유닛(1)을 제어한다. 댐퍼개도(325)가 자동설정인 경우, 설정된 개도를 기본으로 하되, 운전상태 또는 실내환경 변화에 따라 댐퍼의 개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댐퍼의 개도각은 0도일때는 닫힘상태이고 90도 일때는 최대 개방상태이다. 제어기(4)는 외기댐퍼, 배기댐퍼 및 혼합기댐퍼가 상호 연동하여 개도각이 결정되도록 제어한다. 공조유닛(1)에서 배출되는 만큼 외부로부터 유입되므로 배기와 외기의 양은 동일하므로, 외기댐퍼와 배기댐퍼의 개도각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혼합기와 외기의 합은 100이 되므로 개도각 또한 외기댐퍼와 혼합댐퍼의 개도각의 합은 90도가 된다.
제 1 관리자 설정에서 각 설정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입력되면,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설정된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제어기(4)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이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환기온도 센서 또는 온습도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급기온도를 제어기준(321)으로 한다. 만약, 해당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항목에 대하여 설정값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어기준(321)이 급기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기(4)는 급기온도를 기준으로 공조유닛에 대해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제어기준(321)이 급기로 설정되는 경우, 제 1 관리자설정 화면에는 제어기준(321), 냉방 온도 및 습도(331), 난방 온도 및 습도(332), 풍량설정(324), 댐퍼개도(325), 냉방댐퍼개도(326), 난방댐퍼개도(327), 송풍댐퍼개도(328)가 표시되고, 냉방 온도 및 습도(322)와 난방 온도 및 습도(323)는 제어기준이 환기인 경우와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관리자설정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설정키(950)에서 제2 관리자설정(952)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 유닛AHU)의 타입(335), 공조유닛의 열교환방식(336), 적용센서(337)의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유닛의 타입 설정 영역(335)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전외기 또는 공조기로 설정할 수 있다. 공조유닛의 타입은 공조유닛(1)이 실내로 급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외기와 환기의 혼합기로 공급하는 경우 공조기로, 환기없이 외기만으로 급기를 공급하는 경우 전외기로 분류된다. 즉, 공조유닛이 환기부없이 급기부, 열교환부, 외기부및 배기부로 구성된 경우 전외기에 해당한다. 또한, 환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도, 외기댐퍼와 배기댐퍼를 100%로 최대개방하여 외기만으로 급기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전외기로 분류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유닛의 열교환방식 설정 영역(336)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냉방과 난방에 대한 각각의 열교환 방식(339a)(339b)을 공냉식 또는 수냉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열교환방식 설정을 사용안함으로 설정 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 안함 설정은, 공기조화기가 열교환을 수행하지 않고, 외기만으로 냉방하는 외기냉방의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열교환 방식 설정 영역(336)을 드롭다운메뉴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적용센서 설정 영역(337)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공조유닛(1)에 설치된 센서에 대해 설정한다. 즉, 실제 설치된 센서의 종류가 무엇인지 적용센서 설정 영역(337)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적용센서(337)의 설정 상태에 따라,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 또는 설정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적용센서(337)는 필수센서와 옵션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센서에는 환기센서와 급기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적용 센서 설정 영역(337)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각각에 대해 설치된 센서의 종류(338a)(338b)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환기센서와 급기센서 각각에 대하여 온/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선택메뉴를 드롭메뉴다운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션센서에는 외기 온습도센서, 혼합기 온도센서, CO2센서, 필터 차압센서, 급기 정압센서, 환기 유량 센서, 급기 유량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CO2 센서에서 감지한 농도와 비교하여 오염도 판단을 위한 CO2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필터 차압 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과 비교하여, 에러 또는 경고를 출력하기 위해 판단기준이 되는 기준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적용센서 설정 영역(337)에서, 공조유닛(1)에 설치되지 않은 센서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에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가 공조유닛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나, 제어기(4)는 해당 센서에 관련된 제어를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CO2센서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CO2에 대한 아이콘 등을 모니터링 화면에서 제거하고 그에 관련된 제어메뉴 또한 비활성화시켜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해당 항목을 선택 불가능 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3 관리자설정 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설정키(950)에서 제3 관리자설정(953)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온도습도 모드설정(341), 언어설정(343), 터치 좌표 보정(345), 비밀번호변경(344),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346)의 설정화면을 표시한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온도습도 모드설정 영역(34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온도와 습도에 관련하여 제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모드는 로컬과 원격, 스케줄 중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원격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접점과 모드버스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각 항목을 드롭다운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언어설정 영역(343)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단말기(470)에 표시되는 전체 메뉴에 대하여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설정키가 선택되면, 단말기 변경 가능한 언어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언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비밀번호변경 설정 영역(344)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단말기(470)에서 로그인시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비밀번호는 로그인된 권한의 비밀번호만 변경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사용자 또는 설치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없다.
단말기 표시부(47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터치좌표보정(345)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터치하는 위치에 따라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좌표보정 설정을 할 수 있다.
단말기 프로세서(475)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설정 영역(346)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모니터링, 설정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외부의 프로그램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갱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갱신프로그램은 제어기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단말기(470)가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