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764A - 미아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아방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3764A KR20170083764A KR1020160003040A KR20160003040A KR20170083764A KR 20170083764 A KR20170083764 A KR 20170083764A KR 1020160003040 A KR1020160003040 A KR 1020160003040A KR 20160003040 A KR20160003040 A KR 20160003040A KR 20170083764 A KR20170083764 A KR 201700837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ed
- unit
- child
- management server
- appl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547 anomalous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78 picn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 G06Q50/30—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4—Display details on parent unit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 대상자가 기 설정된 셀 존(cell zone) 이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아 발생 시 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미아 발생 상황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미아 발생 여부 및 이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이 기 제작된 가상 맵에 보호자 및 보호 대상자의 현재위치를 맵핑하여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보호자의 현재위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정보전달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미아 발생 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한 후 기 설정된 테이블을 탐색하여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신고센터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는 미아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아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미아 발생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예측 및 방지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 어린이 등의 경우 지각능력이 부족하여 뜻하지 않게 인도자 또는 보호자의 통제를 벗어나는 일이 빈번하여 미아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영유아 교육에 대한 관심 및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주말이나 공휴일의 가족 나들이, 어린이집의 단체 학습 및 소풍 등이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현상에 비례하여 미아 발생률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영유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지능화되고 증가함에 따라 미아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908호(발명의 명칭 : 미아방지 가방)에는 일단부가 아이가 메는 가방에 부착되되 타단부는 보호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스트립을 구비한 미아방지 가방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미아방지 가방은 항상 보호자가 스트립을 파지해야만할 뿐만 아니라 아이로부터 항상 인접한 위치에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미아방지 가방은 아이가 소수인 경우에는 유용하나, 아이가 다수인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 미아방지 가방은 미아가 발생할 경우 미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아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42721호(발명의 명칭 미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의 미아 방지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미아 방지를 위해 동작하는 보호자의 디바이스(110) 및 보호 대상자의 디바이스(120)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130), 통신 모듈(140), 서버(150) 및 보조자의 디바이스(160)를 포함한다.
보호자의 디바이스(110) 및 보호 대상자의 디바이스(120)는 무선 통신(14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대상자의 디바이스(120)는 GPS 수신기(130)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140)을 통해 보호자의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은 3G, 4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 디바이스(110)는 보호 대상자의 디아비스(120)로부터 전송받은 GPS 정보를 통해 보호 대상자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또는 보호 대상자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대상자 디바이스(120)는 만약 보호 대상자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외이면, 보호자 디바이스(110)로 호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보호자가 미리 설정한 범위 이내에 보호 대상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아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보호자 디바이스(110) 및 보호 대상자 디바이스(120)가 3G, 4G 등의 무선 통신(14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출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보호 대상자가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상황이 발생(미아 발생)되는 경우 보호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보호자가 미아 발생을 인지하더라도 현재 위치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보호자 및 경찰이 미아 발생 시 가장 걱정하는 점은 보호대상자가 유괴 등의 범죄에 의한 사건인지에 대한 여부이고, 경찰에서는 미아 발생 시 유괴를 염두에 두고 미아 발생에 대한 대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경찰의 대처에 가장 중요한 점은 보호 대상자의 현재 이동속도이다.
그 이유는 보호 대상자의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경찰은 탐색범위를 넓은 영역으로 설정하여야 함과 동시에 차량 위주의 검문을 수행하여야 하고, 반대로 보호 대상자의 이동속도가 느릴 경우 경찰은 탐색범위를 좁은 영역으로 설정하여야 함과 동시에 보행자 위주의 검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만약 보호 대상자의 이동속도가 느린 상황에서 경찰이 차량 위주의 검문을 수행하거나 또는 만약 보호 대상자의 이동속도가 빠른 상황에서 경찰이 보행자 위주의 검문을 수행하는 경우 검문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이러한 특징을 전혀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아 발생 시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 대상자가 기 설정된 셀 존(cell zone) 이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아 발생 시 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미아 발생 상황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미아 발생 여부 및 이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미아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기 제작된 가상 맵에 보호자 및 보호 대상자의 현재위치를 맵핑하여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보호자의 현재위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정보전달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미아 발생 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한 후 기 설정된 테이블을 탐색하여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는 미아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미아를 방지하기 위한 미아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자의 신체에 탈부착되는 미아방지용 디바이스;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의 상기 컨트롤러는 보호대상자가 소지하는 가방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GPS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모듈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GPS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도로가상 맵에 상기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맵핑(mapping)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GPS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가상맵 인터페이스에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자가 이동할 수 있는 안전한 영역으로 정의되는 셀 존(cell-zone)을 설정하는 셀 존 설정부; 상기 셀 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와,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보호대상자가 상기 셀 존 내에 위치하면 상기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상기 보호대상자가 상기 셀 존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제1 이탈 판단부; 상기 제1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경고데이터 생성부;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경고데이터를 음성 및 문자로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보호자로부터 상기 보호대상자의 안전한 이격거리로 정의되는 안전거리(d)를 설정하는 안전거리 설정부;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보호자 및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격거리인 거리차(△d)를 검출하는 위치분석부; 상기 안전거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안전거리(d) 정보와, 상기 위치분석부에 의해 검출된 거리차(△d)를 비교하여 상기 거리차(△d)가 상기 안전거리(d) 미만이면 상기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상기 거리차(△d)가 상기 안전거리(d) 이상이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제2 이탈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2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경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아방지 시스템은 경찰청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가방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기 제작된 경고음성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제1 이탈 판단부 또는 상기 제2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는 이동수단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 예측부는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하는 이동속도 검출모듈과, 이동속도 별로 이동수단이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탐색하여 상기 이동속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검출하는 이동수단 검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동속도(△v) 및 상기 이동수단 정보를 상기 경고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찰청 서버는 상기 경고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동속도(△v) 및 상기 이동수단 정보에 대응하여 탐색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되면,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상시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미아방지용 가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될 때 구동되는 대중교통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중교통 예측부는 기 설정된 주기 동안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가 주기 동안 이동한 경로인 제2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기 저장된 대중교통 수단들 각각의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검출된 제2 이동경로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대중교통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 대상자가 기 설정된 셀 존(cell zone) 이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아 발생 시 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미아 발생 상황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미아 발생 여부 및 이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이 기 제작된 가상 맵에 보호자 및 보호 대상자의 현재위치를 맵핑하여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보호자의 현재위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정보전달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미아 발생 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한 후 기 설정된 테이블을 탐색하여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142721호(발명의 명칭 미아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미아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미아방지용 가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보호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수단 예측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경고데이터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경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미아방지용 가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보호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수단 예측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경고데이터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경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1)은 보호 대상자에게 지급되는 미아방지용 가방(3-1), ..., (3-N)들과,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보호자 단말기(5)와, 보호자 단말기(5)에 설치되어 미아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과,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와, 신고 접수 시 인근 파출소들로 출동 명령 및 수사를 관리하는 경찰청 서버(9)와, 이들 연결대상(3-1), ..., (3-N), (5), (7), (9)들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호자는 부모님 등과 같이 보호대상자의 법적 보호자 및 선생님 등과 같이 현재 보호대상자를 관리하는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유아, 어린이 등의 보호 대상자에게 지급되어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됨과 동시에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5)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보호대상자 단말기가 미아방지용 가방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호대상자 단말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호 대상자의 신체에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장비 및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망(10)은 보호자 단말기(5), 미아방지용 가방(3) 및 경찰청 서버(9)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며,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통신망(WAN), 와이파이(Wi-Fi), 3G, 4G, 5G,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3G, 4G, 5G,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찰청 서버(9)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부터 신고데이터를 접수받으면, 접수받은 신고데이터에 포함된 보호대상자의 GPS 정보,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와, 기 설정된 파출소 및 경찰서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해당하는 파출소 및 경찰서로 신고내용 및 출동명령을 요청한다.
보호자 단말기(5)는 보호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보호자의 공간에 설치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는 통신망(1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 받기 위한 GPS 모듈과, 유저(user)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수단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이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smart-ph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에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 데이터를 요청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응답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는 GPS 모듈을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실시간으로 입력한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셀 존(cell zone)을 설정한다. 이때 셀 존(cell zone)은 보호대상자가 이동할 수 있는 안전한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가 가상 맵에 맵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가 전시됨으로써 보호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열람을 통해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 자신의 위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위치까지의 거리, 셀 존(cell-zone) 내 보호대상자의 이탈 여부, 미아 발생 여부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5)는 미아 발생 시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성이 표출됨으로써 보호자가 미아 방생 여부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미아방지용 가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미아방지용 가방(3)은 통상의 가방(31)과, 가방(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33)와, 가방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트롤러(33)의 제어에 따라 기 제작된 경고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35)와, 긴급버튼(37)으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제작된 경고음성 메시지 및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331)와, 통신망(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모듈(333)과, GPS 위성(11)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전송받는 GPS 모듈(335)과, 데이터 송수신모듈(333)을 제어하여 GPS 모듈(335)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3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모듈(330)은 데이터 송수신모듈(333)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메모리(331)에 저장된 경고음성 메시지를 스피커(35)를 통해 표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에 접속한 유저(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를 매칭시키며, 매칭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매칭정보는 저장된 이후 보호자의 재요청에 의하여 갱신되기 전까지 유효하고,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는 N : N으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5) 및 미아방지용 가방(3)부터 보호자의 현재 위치 및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며,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셀 존(cell-zone)을 설정한 후 설정된 셀 존(cell-zone)을 보호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실제 도로 및 건물에 대응하여 기 제작된 가상 맵에, 보호자의 현재위치,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 셀 존(cell-zone)의 범위를 맵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하 가상 맵 인터페이스라고 함)를 주기적으로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 맵 인터페이스를 해당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으로 전송한다. 이때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은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가상 맵 인터페이스를 보호자 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호자는 가상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위치,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 두 위치의 거리, 셀 존(cell-zone) 내 보호대상자의 이탈 여부, 미아 발생 여부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보호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보호자 단말기(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마트 폰에 구비되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51)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3)와, 유저로부터 문자 및 기호를 입력받는 입력부(55)와, 운전자 단말기의 OS를 담당하여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부(56)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GPS 부(57)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9)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9)는 전술하였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한다.
도 6은 도 2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72)와, 외부 장비(3-1), ..., (3-N), (5), (9)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와,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에 적용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들을 생성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74)와, 보호자 단말기(5)의 감시대상인 미아방지용 가방(3)을 매칭시키는 매칭부(75)와,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요청에 따라 해당 보호대상자의 셀 존(cell-zone)을 설정하는 셀 존 설정부(76)와,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요청에 따라 해당 보호대상자의 안전거리(d)를 설정하는 안전거리 설정부(77)와,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5) 및 미아방지용 가방(3)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들을 분석하여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한 후 이들의 거리차(△d)를 검출하는 위치분석부(78)와, 위치분석부(78)에 의해 분석된 위치정보 및 셀 존 설정부(76)에 의해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를 분석 및 비교하여 보호대상자가 셀 존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 이탈 판단부(79)와, 위치분석부(78)에 의해 검출된 거리차(△d)를 안전거리 설정부(77)에 의해 설정된 안전거리(d)에 비교하여 거리차(△d)가 안전거리(d) 이상일 때 보호대상자가 안전거리(d)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판단하는 제2 이탈 판단부(80)와,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가 셀 존으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기 설정된 최적경로 알고리즘 및 기 설정된 도로맵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최적 이동경로를 검출하는 최적 이동경로 검출부(81)와,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을 예측하는 이동수단 예측부(82)와,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경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경고데이터 생성부(83)와, 이들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71)로 이루어진다.
제어부(71)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외부 장비(3-1), ..., (3-N), (5), (9)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았는지를 탐색한다.
또한 제어부(7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주기적으로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 및 미아방지용 가방(3)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위치분석부(78)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셀 존 설정부(76) 및 안전거리 설정부(77)에 의해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 및 안전거리(d)를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제1 이탈 판단부(79) 및 제2 이탈 판단부(8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경고데이터 생성부(83), 최적 이동경로 검출부(81), 이동수단 예측부(82)를 제어하여 이들을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71)는 경고데이터 생성부(83)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 미아방지용 가방(3) 및 경찰청 서버(9)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보호자 단말기(5) 및 미아방지용 가방(3)의 식별정보, 로그인정보 및 개인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인터페이스 관리부(74)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매칭부(75)에 의해 매칭된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의 매칭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셀 존 설정부(76) 및 안전거리 설정부(77)에 의해 설정된 셀 존 위치정보 및 안전거리(d)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기 설정된 도로맵 정보 및 기 설정된 최적경로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이때 도로맵 정보는 실제 도로의 건물, 차도, 인도, 신호등에 대한 위치정보로 정의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기 설정된 테이블이 저장된다. 이때 테이블은 이동속도(v) 별로 이동수단이 매칭된 정보로 정의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3)는 통신망(10)을 통해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 미아방지용 가방(3) 및 경찰청 서버(9)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73)는 주기적으로 보호자 단말기(5) 및 미아방지용 가방(3)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다.
매칭부(75)는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를 매칭시키며, 매칭된 매칭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된다. 이때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는 N 대 N으로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보호자는 N명의 보호대상자를 감시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셀 존 설정부(76)는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요청에 따라 해당 보호자에 매칭된 보호대상자의 셀 존(cell-zone)을 설정하며,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된다. 이때 셀 존은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안전한 영역으로 정의된다.
즉 보호자는 셀 존 설정부(76)에 의해 설정된 셀 존으로부터 미아가 이탈되는 경우 보호대상자가 보호자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안전거리 설정부(77)는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의 요청에 따라 해당 보호자에 매칭된 보호대상자의 안전거리(d)를 설정하며, 설정된 안전거리(d) 정보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된다. 이때 안전거리(d)는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보호자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안전한 이격거리로 정의된다.
위치분석부(78)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5) 및 미아방지용 가방(3)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들을 분석하여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위치분석부(78)는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의 위치들을 활용하여 이들의 거리차(△d)를 검출한다.
제1 이탈 판단부(79)는 위치분석부(78)에 의해 분석된 위치정보 및 셀 존 설정부(76)에 의해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를 분석 및 비교한다.
또한 제1 이탈 판단부(79)는 만약 보호대상자가 셀 존 내에 위치하면,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만약 보호대상자가 셀 존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보호대상자가 셀 존으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판단한다.
제2 이탈 판단부(80)는 위치분석부(78)에 의해 검출된 거리차(△d)를 안전거리 설정부(77)에 의해 설정된 안전거리(d)에 비교한다.
또한 제2 이탈 판단부(80)는 만약 거리차(△d)가 안전거리(d) 미만이면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만약 거리차(△d)가 안전거리(d) 이상이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71)는 제1 이탈 판단부(79) 및 제2 이탈 판단부(8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최적 이동경로 검출부(81), 이동수단 예측부(82) 및 경고데이터 생성부(83)를 구동시킨다.
최적 이동경로 검출부(81)는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가 셀 존으로부터 이탈되었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기 설정된 최적경로 알고리즘 및 기 설정된 도로맵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보호 대상자의 현재 위치까지의 최적 이동경로를 검출한다.
이때 최적 이동경로 검출부(81)에 의해 검출된 최적 이동경로 정보는 인터페이스 관리부(74)에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제공된다.
도 7은 도 6의 이동수단 예측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동수단 예측부(82)는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을 예측한다.
또한 이동수단 예측부(8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분석부(78)에 의해 검출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하는 이동속도 검출모듈(821)과, 기 제작된 테이블을 탐색하여 이동속도 검출모듈(821)에 의해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검출하는 이동수단 검출모듈(823)로 이루어진다.
또한 테이블(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속도(△v)가 0 ~ 5km/h일 때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보행’(201)으로 설정되며, 이동속도(△v)가 5 ~ 30km/h일 때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자전거’(220)로 설정되며, 이동속도(△v)가 30km/h 이상일 때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차량’(230)으로 설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테이블(200)의 이동속도 범위 및 이동수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테이블(200)의 이동속도 범위 및 이동수단의 매칭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범위 및 이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경고데이터 생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경고데이터 생성부(83)는 제1 이탈 판단부(79) 또는 제2 이탈 판단부(80)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경고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경고데이터는 보호자의 위치정보 및 인적정보,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인적정보,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경고데이터 생성부(83)에 의해 생성된 경고데이터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 미아방지용 가방(3) 및 경찰청 서버(9)로 전송된다.
이때 제어부(71)는 경고데이터 생성부(83)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되면, 우선 해당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보행’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71)는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미아방지용 가방(3)으로 경고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미아방지용 가방(3)으로 경고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 이유는 미아발생이 범죄에 연루되었다고 가정할 때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보호대상자가 단독 또는 소수의 범죄좌와 한정된 공간(차량 등)에 있을 확률이 높아 미아방지용 가방(3)에서 경고음성이 출력되는 것은 오히려 범죄자에게 미아방지용 가방(3)의 정체를 알려주는 역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반대로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보행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호대상자가 이동하는 주위에 주변 보행자들이 존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미아방지용 가방(3)에서 경고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1)은 보호대상자가 셀 존을 벗어나거나 또는 보호대상자가 보호자로부터 안전거리(d) 보다 이격되는 경우 곧바로 이를 감지하여 보호자 단말기(5)로 경고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이탈되었다는 경고데이터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호자 단말기(5)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보호자 단말기(5)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함으로써 보호자가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보호대상자의 이동수단이 ‘보행’상태인 경우 경고데이터를 미아방지용 가방(3)로 전송한다. 이때 미아방지용 가방(3)은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기 설정된 경고음성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보호대상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이를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7)는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되는 경우 경찰청 서버(9)로 경고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경찰청 서버(9)는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경고데이터에 포함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인접한 경찰서 및 파출소로 출동을 요청한다.
또한 경찰청 서버(9)는 경고데이터에 포함된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통해 탐색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청 서버(9)는 이동수단이 ‘보행’인 경우 탐색범위를 보행대상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작은 범위 이내로 설정함과 동시에 탐색을 사람이 다니는 인도 위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동수단이 ‘차량’인 경우 탐색범위를 보행대상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큰 범위 이내로 설정함과 동시에 탐색을 차량이 다니는 차도 위주로 설정함으로써 즉각적이고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대중교통 예측부(84)는 경고데이터 생성부(83)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될 때 구동되며, 기 설정된 주기 동안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가 주기 동안 이동한 경로인 제2 이동경로를 검출한다.
또한 대중교통 예측부(84)는 기 저장된 대중교통 수단들 각각의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검출된 제2 이동경로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대중교통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 경찰청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경찰청 서버는 대중교통 수단 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대중교통의 업체 또는 관리사로 이를 통보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74)는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생성 및 관리한다.
도 10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74)는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보호대상자(미아방지용 가방)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제공한다.
이때 가상맵 인터페이스(300)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도로가상 맵(310)에 보호자의 현재 위치(320),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330) 및 셀 존(cell-zone)의 영역(340)을 맵핑(mapping)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1은 도 6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경고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74)는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보호자 단말기(5)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보호대상자가 이탈이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경고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경고 인터페이스를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로 제공한다.
이때 경고 인터페이스(400)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도로가상 맵(310)에 보호자의 현재 위치(320),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330), 셀 존(cell-zone)의 영역(340), 최적 이동경로 정보(350)를 맵핑(mapping)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경고 인터페이스(400)는 일측에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가 전시되는 전시란(3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아방지 시스템(1)은 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호 대상자가 기 설정된 셀 존(cell zone) 이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아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아 발생 시 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대상자 단말기를 통해 미아 발생 상황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미아 발생 여부 및 이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6)이 기 제작된 가상 맵에 보호자 및 보호 대상자의 현재위치를 맵핑하여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과 동시에 미아 발생 시 보호자의 현재위치로부터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까지의 최적의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정보전달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미아 발생 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한 후 기 설정된 테이블을 탐색하여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결정하며, 결정된 이동속도(v) 및 이동수단 정보를 경찰청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게 된다.
1:미아방지 시스템
3-1, ..., 3-N:미아방지용 가방
5:보호자 단말기 6: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
7: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9:경찰청 서버
10:통신망 11:GPS 위성 31:가방
33:컨트롤러 35:스피커 37:버튼
51:모니터 53:통신 인터페이스부 55:입력부
56:제어부 57:GPS 부 58:어플리케이션 관리부
71:제어부 72:데이터베이스부 73:통신 인터페이스부
74:인터페이스 관리부 75:매칭부 76:셀 존 설정부
77:안전거리 설정부 78:위치분석부 79:제1 이탈 판단부
80:제2 이탈 판단부 81:최적이동경로 검출부
82:이동수단 예측부 83:경고데이터 생성부
300:가상맵 인터페이스 400:경고 인터페이스
5:보호자 단말기 6: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
7: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9:경찰청 서버
10:통신망 11:GPS 위성 31:가방
33:컨트롤러 35:스피커 37:버튼
51:모니터 53:통신 인터페이스부 55:입력부
56:제어부 57:GPS 부 58:어플리케이션 관리부
71:제어부 72:데이터베이스부 73:통신 인터페이스부
74:인터페이스 관리부 75:매칭부 76:셀 존 설정부
77:안전거리 설정부 78:위치분석부 79:제1 이탈 판단부
80:제2 이탈 판단부 81:최적이동경로 검출부
82:이동수단 예측부 83:경고데이터 생성부
300:가상맵 인터페이스 400:경고 인터페이스
Claims (9)
- 미아를 방지하기 위한 미아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보호대상자의 신체에 탈부착되는 미아방지용 디바이스;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의 상기 컨트롤러는 보호대상자가 소지하는 가방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 받는 GPS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모듈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GPS 모듈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도로가상 맵에 상기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맵핑(mapping)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GPS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가상맵 인터페이스에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자가 이동할 수 있는 안전한 영역으로 정의되는 셀 존(cell-zone)을 설정하는 셀 존 설정부;
상기 셀 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셀 존의 위치정보와,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보호대상자가 상기 셀 존 내에 위치하면 상기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상기 보호대상자가 상기 셀 존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제1 이탈 판단부;
상기 제1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경고데이터 생성부;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의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경고데이터를 음성 및 문자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미아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보호자로부터 상기 보호대상자의 안전한 이격거리로 정의되는 안전거리(d)를 설정하는 안전거리 설정부;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보호자 및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격거리인 거리차(△d)를 검출하는 위치분석부;
상기 안전거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안전거리(d) 정보와, 상기 위치분석부에 의해 검출된 거리차(△d)를 비교하여 상기 거리차(△d)가 상기 안전거리(d) 미만이면 상기 보호대상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하며, 상기 거리차(△d)가 상기 안전거리(d) 이상이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제2 이탈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2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어 상기 경고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아방지 시스템은 경찰청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가방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미아방지용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부터 경고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기 제작된 경고음성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제1 이탈 판단부 또는 상기 제2 이탈 판단부에 의해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는 이동수단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 예측부는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v)를 검출하는 이동속도 검출모듈과, 이동속도 별로 이동수단이 매칭되어 저장되는 테이블을 탐색하여 상기 이동속도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이동속도(△v)에 대응되는 이동수단을 검출하는 이동수단 검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동속도(△v) 및 상기 이동수단 정보를 상기 경고데이터에 포함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찰청 서버는 상기 경고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이동속도(△v) 및 상기 이동수단 정보에 대응하여 탐색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되면,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만약 보호대상자의 이동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면 생성된 경고데이터를 상기 경찰청 서버, 상시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미아방지용 가방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는 상기 경고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경고데이터가 생성될 때 구동되는 대중교통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중교통 예측부는 기 설정된 주기 동안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가 주기 동안 이동한 경로인 제2 이동경로를 검출한 후, 기 저장된 대중교통 수단들 각각의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검출된 제2 이동경로에 대응되는 대중교통 수단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대중교통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및 상기 경찰청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방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040A KR20170083764A (ko) | 2016-01-11 | 2016-01-11 | 미아방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3040A KR20170083764A (ko) | 2016-01-11 | 2016-01-11 | 미아방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3764A true KR20170083764A (ko) | 2017-07-19 |
Family
ID=5942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3040A Abandoned KR20170083764A (ko) | 2016-01-11 | 2016-01-11 | 미아방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8376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22635A (zh) * | 2017-10-26 | 2018-01-23 | 苏州橘子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语音分路播报系统 |
KR101878309B1 (ko) * | 2017-07-25 | 2018-07-13 | 강혜림 |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
KR102054887B1 (ko) * | 2019-05-23 | 2019-12-12 | 문병욱 | 휠체어 관리 시스템 |
CN114025306A (zh) * | 2021-11-11 | 2022-02-08 | 深圳市奇果物联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ai大数据的学生防溺水定位方法及系统 |
-
2016
- 2016-01-11 KR KR1020160003040A patent/KR20170083764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8309B1 (ko) * | 2017-07-25 | 2018-07-13 | 강혜림 |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
CN107622635A (zh) * | 2017-10-26 | 2018-01-23 | 苏州橘子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语音分路播报系统 |
KR102054887B1 (ko) * | 2019-05-23 | 2019-12-12 | 문병욱 | 휠체어 관리 시스템 |
CN114025306A (zh) * | 2021-11-11 | 2022-02-08 | 深圳市奇果物联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ai大数据的学生防溺水定位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46351B (zh) | 通信控制系统 | |
US11212653B2 (en) | Terminal device, roadside devic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 |
JP4305457B2 (ja) | 携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異常通知システム | |
WO2020031924A1 (ja) |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US2015004246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Safety Status Indicator System | |
KR101891396B1 (ko) | Gps 기반 위험예방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 | |
KR101459104B1 (ko) |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 |
KR20170083764A (ko) | 미아방지 시스템 | |
TW201944794A (zh) | 遠程管理緊急設備和人員的系統和方法 | |
US20230196489A1 (en) | Mission Critical Neighborhood Safety & Security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nsors, Robotics & Telecommunication | |
KR20100010548A (ko) |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 | |
CN102915618A (zh) | 一种适用于校车的安全监控方法及其系统 | |
CN105761491B (zh) | 交通事故侦测与预警系统 | |
Kaul et al. | Vanet‐TSMA: A traffic safety management approach for smart road transport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 |
US10074258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utput of warning messages | |
Nandagopal et al. | Smart accident detection and rescue system using VANET | |
KR100916315B1 (ko) | 보호 시스템, 보호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 |
KR100912096B1 (ko) | 횡단보도에서 보행 중인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리는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서버의 제어방법 | |
KR101936954B1 (ko) | 차량 내 잠자는 아이 확인 기능을 포함하는 통학버스 위치확인 및 안전등하교 관리 시스템 | |
KR101997236B1 (ko) | 출입통제 영역 관리를 위한 출입자의 위치추적시스템 | |
KR20150125266A (ko) | 돌발상황발생 차량정보 인식을 통한 돌발상황 감시시스템 및 방법 | |
KR20180014631A (ko) |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 |
KR100988288B1 (ko) |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
JP2007193644A (ja) | 異常監視システム | |
Pradeep et al. | An Intelligent IoT based Advanced Accident Detection and Sensor Fusion Categoriz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