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885A - 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9885A KR20170069885A KR1020160001033A KR20160001033A KR20170069885A KR 20170069885 A KR20170069885 A KR 20170069885A KR 1020160001033 A KR1020160001033 A KR 1020160001033A KR 20160001033 A KR20160001033 A KR 20160001033A KR 20170069885 A KR20170069885 A KR 201700698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user
- arm
- connection frames
- b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740 Muscle Rigid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that is resiliently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ttom plate is widened with respect to the top plate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arm of the user, the general person can bend the bottom plate repeatedly with respect to the top plate without any restriction or economic burd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tness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an arm muscle strength so as to efficiently enhance arm muscle strength.
The exercis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rotating connection frame formed by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each of which has a bending portion mutually hinged, A coil spring tha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 coil spring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on frames, An upper fram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and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to hold the gap between the pivotal connection frames, And a bottom fram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팔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건강 유지를 위한 운동과 재활치료 등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신체부위에 맞는 운동기구 또는 근력강화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팔의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도 많이 제안되고 있다.As the interest of modern people on exercise for health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is increasing, a fitness device or a muscle strengthening device suitable for various body parts is being developed. Among these, various types of fitness devices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re proposed .
이러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23014호(2015.05.26)에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팔을 지지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지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지 운동부는 사용자가 좌우 팔을 선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 반전할 수 있는 상지 근력 강화장치가 공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an arm strengt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3014 (May 2015.05.26), which includes a body part and a body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upper limb exercising unit includes a limb strength enhancing device capable of reversing the position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orso so that a user can selectively mount the left and right arms.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38407호(2015.07.22)에는 팔의 근력 강화를 보조하기 위한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통과 팔의 상박을 기대어 거치할 수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하박을 거치할 수 있고, 팔꿈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제 1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박이 상기 지지 부재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사용자의 팔꿈치가 관절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팔의 근력 강화를 보조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는 상기 사용자의 근력 강화 운동을 돕기 위한 보조원이 파지할 수 있는 보조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38407 (2015.07.22) discloses an upper arm strength enhancing assisting device for assisting strengthening of arm strength, comprising: a frame; a frame formed on the frame, A rotatable member extending forward of the frame and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droppings and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on the basis of an elbow rotation axis; 1 motor,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rm of the user is resting on the support member, the rotation member rotates to assist the strengthening of the arm by allowing the user's elbow to move jointly, Wherein an auxiliary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an assistant for assisting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is formed, A second device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설치장소에서만 사용 가능한 장소적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없이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the arm muscl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position that can be used only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structure itself is complicated, so that there is a limit in using the apparatus without any economic burden.
최근에는 사용자의 팔에 직접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팔근력강화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815477호(2008.03.20. 공고)에는 강직증상이 있는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를 반복적으로 접고 펼치는 동작을 통해 해당 신체부위의 재활 및 치료를 수행하는 물리치료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상박부 또는 상퇴부를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환자의 하박부 또는 하퇴부를 지지하며, 환자가 상지 또는 하지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받침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를 제1받침대에 대하여 양방향 회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2받침대의 동작범위 설정시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환자의 상지 또는 하지가 접혀질 때 해당 신체부위의 강직도에 따라 부하되는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센서와, 상기 모터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토크센서로부터 입력된 토크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받침대의 최대펼침위치값과 최소펼침위치값을 검출하여 이 값들 범위 내에서 상기 제2받침대가 회동되도록 모터의 회전범위를 설정 및 저장하고, 치료시에 설정된 회전범위 내에서 양방향 회전되도록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한 모터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장치가 공개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posed a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n arm strength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arm is directly worn on the user's arm. An example of such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n ar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5477 (published on Mar. 20, 2008) A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of a body part by repeatedly folding and unfolding the upper limbs or lower limbs of a patient having symptoms of rigidity, comprising: a first pedestal supporting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patient; A second pedestal supporting the thin part or the lower part and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pedestal so that the patient can fold or unfold the upper limb or the lower limb, a motor for bi- directionally rotating the second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first pedestal, When the upper limb or the lower limb of the patient is fold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t the time of setting the operation range of the second pedestal, it is loaded according to the rigidity of the body part A torque sensor for measuring a torque,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torque value input from the torque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a maximum spread position value and a minimum spread position value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so as to be rotated in the bi-directional direction within the set rotation range at the time of the treatment The physical therapy apparatus for limb-stiff patients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착용형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건강관리를 운동이 아니라 고령자나 환자의 재활을 위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일반인들이 운동 목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wearable arm muscles is not for exercise but for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or patients, and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it for exercis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ask of providing an exerciser for strengthening arm muscles so that the arm muscular strength can be efficiently enhanced by repeatedly bending the hab to the upper arm.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on frames formed by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each of which is hinged to a bending portion, A coil spring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 coil spring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bending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onnecting frames, An upper frame attached to the top of the second foldable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be worn on the upper edge of the user, And a lifting attachment frame to be worn on the user's lower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되게 착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joi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are wor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elb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ttaching fram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folding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 length adjustable in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of the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has a U-shaped lower frame that is formed in a U-shape and surrounds a low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user, and the upper frame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An upper upper suppor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의하면, 마치 손 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악력기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xerciser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ormed in a simple structure such that it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half is wide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half portion in a state of being worn on the user's arm,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rm muscles can be efficiently strengthened by the repetitive bending of the habbits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without the limitation of the place or the economic burd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작동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tness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tness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fitness device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fitness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arm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사용자가 팔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로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과,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0)과,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40)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가 사용자가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후에 설명될 상박부착용프레임(30)에 대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이 상대회동될 수 있도록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하박부착용프레임(40)를 연결하는 구성부재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은 각각 절곡부위가 상호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로 각각 형성되는데, 이 때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된다.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은 통상 성인의 팔 두께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열되어, 사용자의 팔을 기준으로 양측에 내측면이 접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는 각각 코일스프링(20)의 양단이 결합되는데, 이 코일스프링(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가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힌지결합부위에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Both ends of a
코일스프링(2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는 코일스프링(20)의 양단 후크부가 걸려지는 걸이링부재(21)가 구비된다.End hooks of the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에 걸쳐 상박부착용프레임(30)가 삽입연결되는데, 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은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부재이다.The
상박부착용프레임(30)은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절곡부재(11)의 상단 내에 하측이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2개의 평행봉 형태로 형성된다. 상박부착용프레임(30)의 길이조절가능한 삽입결합을 위해 제 1 절곡부재(11)에는 제 1 절곡부재(11)를 관통한 단부가 상박부착용프레임(30)에 가압지지되는 제 1 삽입길이고정용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The
또한 사용자의 상박부에 대한 착용을 위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31)가 구비되고 상박부착용프레임(30)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33)가 구비된다.In order to wear the upper abutment portion of the user, an upper abutment
상박하부거치대(31)는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박부착용프레임(30)이 사용자의 상박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박상부지지대(33)는 조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전술한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에 걸쳐 하박부착용프레임(40)가 삽입연결되는데, 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은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착용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박부착용프레임(30)과 함께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부재이다.The bottom
하박부착용프레임(40)은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2 절곡부재(13)의 상단 내에 하측이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2개의 평행봉 형태로 형성된다.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길이조절가능한 삽입결합을 위해 제 2 절곡부재(13)에는 제 2 절곡부재(13)를 관통한 단부가 하박부착용프레임(40)에 가압지지되는 제 2 삽입길이고정용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The
또한 사용자의 하박부에 대한 착용을 위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박하부거치대(41)가 구비되고 하박부착용프레임(40)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하박상부지지대(43)가 구비된다. In order to wear the lower part of the user,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user's lower part is formed in a U-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하박하부거치대(41)는 폭방향 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하박부착용프레임(40)이 사용자의 하박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박상부지지대(43)는 조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팔 길이 등에 맞게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에 대한 상박부착용프레임(30) 및 하박부착용프레임(40)의 삽입길이를 조절한다. First, the user adjusts the insertion length of the upper and
그 다음에 사용자는 상박하부거치대(31)와 상박상부지지대(33)를 통해 상박부착용프레임(30)을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함과 동시에 하박하부거치대(41)와 하박상부지지대(43)를 통해 하박부착용프레임(40)을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한다. 이 때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 13)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The user then wears the upper attaching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10, 10')의 제 1 및 제 2 절곡부재(11)의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코일스프링(20)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된다.In this case, due to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혔다 폈다 하면 코일스프링(20)에 의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됨에 따라 팔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peatedly bows and loosens the to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covering por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는 마치 손 근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악력기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1)를 사용할 경우 일반인들이 장소적 제한이나 경제적 부담없이 상박부에 대해 하박부를 반복적으로 굽히는 동작을 통해 팔근력을 효율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10 : 제 1 회동연결프레임
10' : 제 2 회동연결프레임
11 : 제 1 절곡부재
13 : 제 2 절곡부재
20 : 코일스프링
21 : 걸이링부재
30 : 상박부착용프레임
31 : 상박하부거치대
33 : 상박상부지지대
40 : 하박부착용프레임
41 : 하박하부거치대
43 : 하박상부지지대
1: Fitness equipment for strengthening arm muscles
10: first rotating coupling frame
10 ': second rotating coupling frame
11: first bending member
13: second bending member
20: coil spring
21: hook ring member
30: Frame for mounting upper side
31: Lower arm rest
33: Upper upper support
40: frame for attachment
41: Lower shelf
43: Habak top support
Claims (5)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하단에 각각 양단이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상박부에 착용되는 상박부착용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에 걸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하박부에 착용되는 하박부착용프레임을 포함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on frames formed by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respectively, where the bending portions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il spr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 top and bottom attachment frame which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bending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to hold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and is worn on the upper side of the user; And
And an upper arm mounting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bending member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on frames to hold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on frames and wor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상기 제 1 및 제 2 절곡부재의 힌지결합부위는 사용자의 팔꿈치 위치에 대응되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inge joi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members are wor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elbow of the user.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1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회동연결프레임의 제 2 절곡부재의 상단 내로 길이조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side of the upper attaching fram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a first folding me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connection frames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 lower side of the lower attaching frame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connection frames And a length adjustable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ending member.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상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상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상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arm supporte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arm and having a U-shaped upper end and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rm of the user, and an upper arm supporter formed on the upper arm attaching frame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arm of the use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eatures that feature.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의 상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하측을 둘러싸는 하박하부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하박부착용프레임 상에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박부의 상측을 둘러싸는 하박상부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rame has a U-shaped lower frame which is formed in a U-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encircles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of the user. The upper frame has an arcuate upper frame supporting the upper frame of the use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eatures that fe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76982 | 2015-12-11 | ||
KR1020150176982 | 2015-1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9885A true KR20170069885A (en) | 2017-06-21 |
KR101782836B1 KR101782836B1 (en) | 2017-09-29 |
Family
ID=592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2836B1 (en) | 2015-12-11 | 2016-01-05 | 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28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450A (en) * | 2018-01-08 | 2019-07-17 | 박종완 | Assisting device of muscular strength for arm |
CN113907926A (en) * | 2021-09-28 | 2022-01-11 | 浙江国丰集团有限公司 | Wearable bionic elbow joint mechanis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4907B1 (en) | 2021-10-26 | 2022-08-22 | 주식회사 지아이 | Dumbbell lifting exercise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3014B1 (en) | 2014-04-24 | 2015-05-26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supporting a muscular strength and a kit having the same |
-
2016
- 2016-01-05 KR KR1020160001033A patent/KR1017828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4450A (en) * | 2018-01-08 | 2019-07-17 | 박종완 | Assisting device of muscular strength for arm |
CN113907926A (en) * | 2021-09-28 | 2022-01-11 | 浙江国丰集团有限公司 | Wearable bionic elbow joint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2836B1 (en) | 2017-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02934B2 (en) | Upper and lower limb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 |
KR101261650B1 (en) | Training apparatus | |
KR101099078B1 (en) | Electric Elbow Rehabilitation Aids | |
US7048704B2 (en) | Orthotic device | |
US20240350348A1 (en) | Knee joint stimulation device | |
KR101325066B1 (en) | Gait rehabilitation robot for the stroke | |
KR101287134B1 (en) |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 |
KR101694848B1 (en)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
KR101316840B1 (en) | Exoskeleto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 |
KR101782836B1 (en) | Exercise apparatus for reinforcing pysical strength of arm | |
WO2021088664A1 (en) | Ankle-assisted exoskeleton device | |
CN105686933B (en) | Infant creeping is stood walking instrument | |
KR102091227B1 (en) | Assistant apparatus for lumbar motion | |
RU2653811C1 (en) | Device for developing the mobility of the shoulder joint | |
KR20150049848A (en) | Assisting device for rehabilitation | |
KR101872721B1 (en) | Elbow exoskeleton robot | |
KR200477537Y1 (en) | Portable Manual Therapy Assister | |
JP3047035B2 (en) | Lumbar extension tool | |
KR100942618B1 (en) | Rehabilitation fitness equipment | |
CN215459878U (en) |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RU89387U1 (en) | TRAINING APPARATUS | |
KR20110010273A (en) | Training equipment for spinal physiotherapy | |
KR200405261Y1 (en) | Spinal exercise equipment | |
KR100540208B1 (en) | Lumbar correction apparatus | |
KR20130081434A (en) | An exercising device for correcting sp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