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848B1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Google Patents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4848B1 KR101694848B1 KR1020150086652A KR20150086652A KR101694848B1 KR 101694848 B1 KR101694848 B1 KR 101694848B1 KR 1020150086652 A KR1020150086652 A KR 1020150086652A KR 20150086652 A KR20150086652 A KR 20150086652A KR 101694848 B1 KR101694848 B1 KR 1016948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coupled
- linear motion
- arm
- rob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7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152 Cereb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431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기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골반관절축, 일측이 상기 골반관절축과 결합되는 제1 아암(Arm), 상기 제1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는 제2 아암(Arm), 상기 제2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2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며 타측에 발목관절축이 설치되는 연장편, 상기 발목관절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고정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포함하는 로봇 몸체; 및 상부 프레임,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행기;를 포함하되, 상기 로봇 몸체와 상기 보행기는 결합 모듈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재활 로봇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for assisting a patient in rehabilita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patient, comprising: a fixation band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patient; a pelvic joint shaft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xation band; a first arm coupled to the pelvic joint axis on one side; A first connecting joint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arm, a second arm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joint shaft, a second connecting joint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rm, And a linear motion guide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xed band, wherein the linear motion guide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joint axis, Robot body; And a walker includ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erein the robot body and the walker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odule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착용하는 로봇 몸체와 환자의 보행을 지지하는 보행기를 포함하는 재활 로봇으로서, 로봇 몸체와 보행기가 결합되어 있어 환자가 보행할 때 환자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설치하여 환자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보행하도록 지원하는 보행 재활 로봇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robot for assisting a rehabilitation of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habilitation robot including a robot body worn by a patient and a walker supporting a patient's walk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rehabilitation robot that allows a patient to move stably while a patient is walking while supporting a linear motion guide to allow a patient to naturally move and walk.
최근 뇌졸중 같은 뇌질환의 증가와 고령화, 척수손상 등으로 인해 하지를 움직이기 어렵거나 하지가 마비된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재활 치료를 도울 수 있는 보행 재활 로봇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patients who are hard to move the legs due to the increase of cerebral diseases such as stroke, aging, and spinal cord injuries is increasing. Therefore, a lot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gait rehabilitation robot which can help patients' rehabilitation treatmen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5066호에는 로봇 몸체와 보행기로 구성되며 환자의 신체 체형에 상관없이 착용 가능한 보행 재활 로봇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5066호의 도면 1을 나타내는 본 명세서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로봇 몸체(110)는 환자의 하체에 착용되고, 로봇 몸체(110)와 보행기(120) 사이에는 환자가 보행기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수단(125)으로서 와이어 또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설치된다. 또한, 로봇 몸체의 관절 중 골반관절축(112)과 제2 연결관절축(116)은 구동 관절로 구성되고, 제1 연결관절축(114)과 발목관절축은 수동 관절로 구성되어 있어, 보행 재활 로봇은 골반관절축(112)과 제2 연결관절축(116)을 구동하여 환자가 걸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25066 discloses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which is composed of a robot body and a walker, and can be worn regardless of the body shape of the patient. 6, the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25066호의 재활 로봇은, 보행 시 환자가 몸을 지탱하기 위해 보행기를 잡고 보행을 해야 하는데, 환자가 착용한 로봇 몸체와 환자가 몸을 지탱하는 보행기는 단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므로, 바퀴가 달린 보행기를 잡고 보행하는 환자는 온전히 환자 자신의 힘으로 몸을 지탱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보행 시 보행기로부터 견고한 지지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habilitation robo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25066, the patient has to walk while holding the walker in order to support the body. The robot body worn by the patient and the walker supporting the body are connected by a ca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tient who takes the walker with the wheel and is walking should have to support the body with his / her own strength and can not receive solid support from the walker at the time of walking.
이에 본 발명자는, 환자의 몸을 지탱하면서 동시에 환자가 자연스럽게 보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보행 재활 로봇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intends to propose a gait rehabilitation robot which can support a patient while naturally supporting the patient while walk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보행 중 환자의 몸은 보행기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환자의 보행에 대응하여 로봇 몸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patient to naturally walk by allowing the robot body to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patient's walking while being firmly supported by the walker during the patient's walking.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로봇 몸체를 착용한 후 일어서고자 할 때 무릎에 대응되는 관절축을 구동축으로 함으로써 환자가 편하게 일어서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lp a patient stand up comfortably by making a joint shaft corresponding to a knee a drive shaft when a patient walks after wearing the robot body.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소정의 자리에 앉기 편한 구조의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robo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tient can si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환자의 재활 치료를 돕는 보행 재활 로봇으로서, 상기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골반관절축, 일측이 상기 골반관절축과 결합되는 제1 아암(Arm), 상기 제1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는 제2 아암(Arm), 상기 제2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2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며 타측에 발목관절축이 설치되는 연장편, 상기 발목관절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고정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포함하는 로봇 몸체; 및 상부 프레임,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행기;를 포함하되, 상기 로봇 몸체와 상기 보행기는 결합 모듈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for assist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of a patient, comprising: a fixed band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patient; a pelvic joint shaft rotatably provided to the fixed band; A first arm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arm and a second arm connected to the first arm, a first arm connected to the first arm, a first arm connected to the first arm, A second connecting joint shaft rotatably attached to the ankle joint shaft, an extension piec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joint shaft and an ankle joint shaf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 footrest rotatably installed on the ankle joint shaft, A robot body including a linear motion guide indirectly coupled to the robot body; And a walker includ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erein the robot body and the walker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odul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 중 환자의 몸은 보행기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도 환자의 보행에 대응하여 로봇 몸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a patient is firmly supported by a walker during a walk, and the robot body can move up and down in response to a patient's walking, thereby enabling a natural walking of a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로봇 몸체를 착용한 후 일어서고자 할 때, 무릎에 대응되는 관절축을 구동함으로써 환자가 이질감 없이 일어서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tient walks after wearing the robot body in a sitting state, the joint shaft corresponding to the knee is driven to support the patient to stand up without a sense of discomf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가 소정의 자리에 앉기 편한 구조의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robo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tient can easily si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리니어 모션 가이드와 연결 블록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몸체를 착용한 환자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몸체를 착용한 환자가 보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inear motion guide and the connection block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atient wearing a robo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lking of a patient wearing a robo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로봇(100)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로봇(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로봇(100)은 로봇 몸체(110)와 보행기(120)를 포함할 수 있고, 로봇 몸체(110)와 보행기(120)는 결합 모듈(1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몸체(110)는,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고정밴드(111), 고정밴드(1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골반관절축(112), 일측이 골반관절축(112)과 결합되는 제1 아암(Arm, 113), 제1 아암(113)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관절축(114), 일측이 제1 연결관절축(114)과 결합되는 제2 아암(115), 제2 아암(115)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관절축(116), 일측이 제2 연결관절축(116)과 결합되며 타측에 발목관절축(117a)이 설치되는 연장편(116a), 발목관절축(117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117) 및 고정밴드(11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환자는 허리에 고정밴드(111)를 착용하고, 발을 발판(117)에 안착시킴으로써 로봇 몸체(110)를 하체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로봇 몸체(110)에는 환자의 종아리, 발, 발목 중 어느 한 곳을 고정하는 밴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하체는 로봇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로봇 몸체(110)를 착용한 환자의 신장에 따라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므로, 환자는 신장에 상관 없이 로봇 몸체(110)를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patient can wear the
로봇 몸체(110)에는 환자의 등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119)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받침대(119)는, 고정밴드(111)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받침대(119)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대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골반관절축(112), 제1 연결관절축(114), 제2 연결관절축(116) 및 발목관절축(117a)은 로봇 관절에 대응될 수 있다. 로봇 관절을 구부리기 위하여 골반관절축(112), 제1 연결관절축(114), 제2 연결관절축(116) 및 발목관절축(117a)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는 모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를 설치한 축은 구동 관절(Active joint)로 불리울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재활 로봇(100)은, 로봇 관절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환자 무릎 관절의 무릎 굽힘 행위 및 무릎 폄 행위를 보조함으로써 환자가 보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골반관절축(112) 및 제1 연결관절축(114)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환자의 보행을 지원하거나, 골반관절축(112) 및 제2 연결관절축(116)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환자의 보행을 지원하는 것을 설명하며, 이는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한편, 로봇 몸체(110)는 연결 블록(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도 2 참조), 연결 블록(140)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연결판(141) 및 연결판(141)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블록(140)이 반드시 로봇 몸체(1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로봇 몸체(110)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느 경우라도 연결 블록(140)의 구성은 동일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논의는 생략한다.2), and the connecting
여기서, 손잡이부(142)는 보행 시 환자가 잡고 지탱할 수 있으며, 연결판(141)은 손잡이부(142)를 통해 결합 모듈(1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와 연결 블록(140)에 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더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기(120)는, 상부 프레임(121), 복수 개의 바퀴(123)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22), 및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에는 결합 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어, 보행기(120)는 결합 모듈(130)을 통해 로봇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재활 로봇(100)에는, 로봇 몸체(110)의 보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환자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근신호 측정 모듈(미도시), 환자의 근신경을 전기로 자극하여 재활을 보조하는 전기 자극(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FES)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 요소 외의 부품 또는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The
도 2는 도 1에서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와 연결 블록(140)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는, 리니어 모션 블록(118b)과 레일(118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리니어 모션 블록(118b)은 레일(118a)을 따라서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데, 더 정확히 말하자면, 리니어 모션 블록(118b)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레일(118a)이 상하로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환자가 보행할 때에 일반적으로 조금씩 위아래로 요동하면서 보행하므로(도 5 참조), 고정밴드(111)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118a)은, 환자가 보행 시에 보이는 요동 패턴을 고스란히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고정밴드(111)의 요동에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에 이와 같은 구조가 없다면, 결합 모듈(130)을 통해 환자의 보행이 견고하게 지지 받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보행 시의 요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바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럽게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결합 모듈(130)을 통해 환자의 보행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를 통해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하게도 한다는 장점이 있다.The
한편, 리니어 모션 블록(118b)에는 연결 블록(140)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판(141)이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리니어 모션 블록(118b)과 연결판(141)의 상대적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At least one connect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모듈(130)의 분리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모듈(130)은, 연결바(132), 연결바(132)의 일측에 위치하며 손잡이부(1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회전 가이드부(131), 연결바(132)의 타측에 위치하며 연결바(132)의 타측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체(133), 및 수용체(133)를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하는 브라켓(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가이드부(131)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연결바(132)와 회전 가이드부(131)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여 결합 모듈(130)과 연결 블록(140)의 결합 관계 및 결합 모듈(130)과 상부 프레임(121)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원통 형상의 손잡이부(142)를 회전 가이드부(131)로 삽입함으로써 결합 모듈(130)과 연결 블록(140)은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134)으로 수용체(133)를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함으로써 결합 모듈(130)과 상부 프레임(121)은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 블록(140)과 결합된 회전 가이드부(131)의 일단에는 연결바(132)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바(132)를 수용체(133)에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연결 블록(140)과 상부 프레임(121)은 결합될 수 있다.3,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 가이드부(131)와 연결 블록(140)을 결합하고, 상부 프레임(121)에 고정된 수용체(133)에 연결바(132)를 삽입 고정하여, 결합 모듈(130)이 로봇 몸체(110)와 보행기(120)를 결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결합 모듈(130)을 결합하는 순서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결합 모듈(130)을 사용하여 로봇 몸체(110)와 보행기(120)를 결합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한편, 로봇 몸체(110)의 손잡이부(142)는 결합 모듈(130)의 회전 가이드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어, 로봇 몸체(110)는 손잡이부(142)를 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환자가 보행 할 때 환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로봇 몸체(110)의 각도(지면에 대하여 로봇 몸체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각도임)에 변화가 발생하면, 로봇 몸체(110)는 손잡이부(142)를 축으로 회전하여 각도가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보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몸체(110)를 착용한 환자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atient wearing a
도 4를 참조하면, 환자는 발판(117)에 발을 안착시키고 고정밴드(111)를 착용하여 로봇 몸체(11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 때, 환자가 일어서 있을 때의 다리 길이에 대응하여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 사이의 각도(θ)는 변할 수 있다.4, the patient can wear the
로봇 몸체(110)는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 사이의 각도가 환자가 일어서 있을 때의 각도(θ)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보행 중에 환자의 발이 지면에 끌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로봇 몸체(110)는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 사이의 각도를 제어할 때, θ 에 소정의 각도를 더한 각도(θ’)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골반관절축(112), 제1 연결관절축(114), 제2 연결관절축(116) 및 발목관절축(117a) 각각은 환자의 골반, 무릎, 종아리(정강이), 발목에 대응되며, 골반관절축(112) 및 제1 연결관절축(114)에 모터가 설치되거나 골반관절축(112) 및 제2 연결관절축(116)에 모터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Each of the pelvic
골반관절축(112)과 제1 연결관절축(114)에 모터가 설치되는 경우, 골반관절축(112)과 제1 연결관절축(114)은 구동 관절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연결관절축(116)과 발목관절축(117a)은 수동 관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로봇 몸체(110)를 착용한 환자가 보행할 때, 환자가 무릎을 굽히고자 함이 감지되면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 사이의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고, 환자가 무릎을 펴고자 함이 감지되면 제1 아암(113)과 제2 아암(115) 사이의 각도를 커지도록 하기 위하여, 골반관절축(112)과 제1 연결관절축(114)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할 수 있을 것이며, 제2 연결관절축(116)과 발목관절축(117a)은 환자의 동작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motor is installed on the pelvis
다른 예로서, 골반관절축(112)과 제2 연결관절축(116)에 모터가 설치되는 경우, 골반관절축(112)과 제2 연결관절축(116)은 구동 관절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연결관절축(114)과 발목관절축(117a)은 수동 관절로 사용되어 환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when a motor is installed on the pelvis
다만,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로봇 몸체(110)를 착용한 후 일어설 때, 골반관절축(112) 및 제1 연결관절축(114)을 구동 관절로 사용하는 것이 골반관절축(112) 및 제2 연결관절축(116)을 구동 관절로 사용하는 것보다 환자에게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앉아 있던 사람이 일어나기 위해서 무릎 관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환자의 무릎에 대응되는 제1 연결관절축(114)을 구동시켜 환자가 일어서는 것을 보조함으로써 환자는 안정적으로 일어서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use of the pelvi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몸체(110)를 착용한 환자가 보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는 환자의 보행에 따른 로봇 몸체(110)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므로 보행기(120)는 도시하지 않았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lking of a patient wearing a
도 5를 참조하면, 환자가 보행할 시에 골반관절축(112)이 상하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로봇 몸체(110)는 환자의 보행에 대응하여 각도(제1 아암과 제2 아암 사이의 각도임)가 변화될 수 있고, 골반관절축(112), 제1 연결관절축(114), 제2 연결관절축(116) 및 발목관절축(117a)이 회전할 수 있으며, 리니어 모션 가이드(118)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pelvic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detailed contour lines ar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재활 로봇
110: 로봇 몸체
111: 고정밴드
112: 골반관절축
113: 제1 아암
114: 제1 연결관절축
115: 제2 아암
116: 제2 연결관절축
116a: 연장편
117: 발판
117a: 발목관절축
118: 리니어 모션 가이드
118a: 레일
118b: 리니어 모션 블록
119: 받침대
120: 보행기
121: 상부 프레임
122: 하부 프레임
123: 바퀴
124: 연결 프레임
130: 결합 모듈
131: 회전 가이드부
132: 연결바
133: 수용체
134: 브라켓
140: 연결 블록
141: 연결판
142: 손잡이부100: Rehabilitation robot
110: robot body
111: Fixed band
112: Pelvic joint axis
113: first arm
114: first connection joint axis
115: second arm
116: second connection joint axis
116a: Extension piece
117: Scaffolding
117a: Ankle joint axis
118: Linear Motion Guide
118a: rail
118b: linear motion block
119: Stand
120: walker
121: upper frame
122: Lower frame
123: Wheels
124: connection frame
130: Coupling module
131:
132: Connection bar
133: receptor
134: Bracket
140: connection block
141: connection plate
142:
Claims (9)
상기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골반관절축, 일측이 상기 골반관절축과 결합되는 제1 아암(Arm),
상기 제1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1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는 제2 아암(Arm), 상기 제2 아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관절축, 일측이 상기 제2 연결관절축과 결합되며 타측에 발목관절축이 설치되는 연장편, 상기 발목관절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고정밴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포함하고, 상기 골반관절축과 상기 제1 연결관절축은 구동 관절(Active joint)이며, 상기 제2 연결관절축과 발목관절축은 수동 관절(Passive joint)인 로봇 몸체; 및
상부 프레임,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행기;를 포함하되,
상기 로봇 몸체와 상기 보행기는 결합 모듈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As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for a patient to rehabilitate,
A pelvic joint shaft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xed band, a first arm coupled to the pelvic joint axis on one side,
A second arm coupled to the first joint shaft and a second joint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arm, the first joint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rm, And a linear motion guide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xed band, and a linear motion guide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fixed band, wherein the pivot joint axis and the first joint joint axis are active joints, and the second joint joint axis and the ankle joint axis are passive joints; And
And a walk frame including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Wherein the robot body and the walker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odule.
상기 로봇 몸체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블록은, (i)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연결판 및 (ii)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모듈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bot body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block,
Wherein the connecting block comprises: (i) a connecting plate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linear motion guide; and (ii) a handle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odule. robot.
상기 결합 모듈은,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회전 가이드부,
상기 연결바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바의 타측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라켓(brack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module comprises:
Connection bar,
A rotation guide portion locat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r and supporting the knob portion to rotate,
A receiver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ar and receives and fixe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ar,
And a bracket for fixing the receiver to the upper frame.
상기 환자의 보행에 따른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 몸체가 상기 손잡이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bot body is rotatable about the handle portion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patient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상기 리니어 모션 가이드는 리니어 모션 블록과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리니어 모션 블록에는 상기 연결판이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리니어 모션 블록과 상기 연결판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near motion guide includes a linear motion block and a rail,
Wherein the linking plate is indirectly or directly coupled to the linear motion block so that a relative position of the linear motion block and the linking plate is fixed.
상기 환자가 보행 시,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리니어 모션 블록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ail supports the fixed ban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inear motion block when the patient is walking.
상기 로봇 몸체에는 상기 환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bot body further includes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waist of the pati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652A KR101694848B1 (en) | 2015-06-18 | 2015-06-18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652A KR101694848B1 (en) | 2015-06-18 | 2015-06-18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9523A KR20150079523A (en) | 2015-07-08 |
KR101694848B1 true KR101694848B1 (en) | 2017-01-13 |
Family
ID=5379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6652A Active KR101694848B1 (en) | 2015-06-18 | 2015-06-18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48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4490B (en) * | 2017-06-02 | 2019-01-29 | 浙江大学 | A kind of movable type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
EP3524220B1 (en) * | 2018-02-13 | 2021-03-31 | LG Electronics Inc. -1- | Adaptive assistive and/or rehabilitative device and system |
CN110882133B (en) * | 2018-09-07 | 2022-06-17 | 北京大艾机器人科技有限公司 | Balance assisting device and method for exoskeleton robot |
CN110916987B (en) * | 2019-11-29 | 2021-04-16 | 山东大学 | An autonomously movable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
CN110812141A (en) * | 2019-12-11 | 2020-02-21 | 长春大学 | Joint training devic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stand |
KR102547426B1 (en) * | 2020-12-07 | 2023-06-23 |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controlling ankle muscle training apparatus |
CN113975096A (en) * | 2021-11-11 | 2022-01-28 | 深圳职业技术学院 | An omnidirectional mobile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37818A (en) * | 2007-03-29 | 2008-10-09 | Kumagai Gumi Co Ltd | Walking support apparatus |
KR101325066B1 (en) * | 2012-10-22 | 2013-11-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Gait rehabilitation robot for the stroke |
-
2015
- 2015-06-18 KR KR1020150086652A patent/KR1016948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37818A (en) * | 2007-03-29 | 2008-10-09 | Kumagai Gumi Co Ltd | Walking support apparatus |
KR101325066B1 (en) * | 2012-10-22 | 2013-11-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Gait rehabilitation robot for the stro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9523A (en)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4848B1 (en)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
US860847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ait training | |
JP6113293B2 (en) | Robot for walking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 |
US8257232B2 (en) | Device for the reeducation of motory deficiencies, particularly deficiencies when walking, in patients | |
JP5283282B2 (en) | Walking assist device | |
US9642763B2 (en) | Train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 |
US8968163B1 (en) |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US11986434B2 (en) | Medical walker | |
JP2021037310A (en) | Patient transport and training assisting device | |
US20200353308A1 (en) | Upper and lower limb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 |
US10870033B2 (en) | Device with reciprocating upper extremity support assemblies | |
KR101062305B1 (en) | Walking aid for a mechanically driven treadmill | |
KR101711759B1 (en) | Wearable exoskeleton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 |
KR20210043761A (en)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 |
CA2828420A1 (en) | Gait training device and gait training system | |
KR101980571B1 (en) | Orthopedic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 | |
KR102091675B1 (en) |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neurological disease and nuscular skeletal disease | |
KR101765450B1 (en) | Apparatus of guiding variation of ankle joint angle for ambulatory remedial exercises | |
KR101433281B1 (en) | Walk Supporting Device For Motion Balancing training | |
KR20180110694A (en) | Power-driven walking supporting device | |
KR101489945B1 (en) |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a wheel chair | |
CN107233191B (en) | Supplementary naked rehabilitation of foot trains and uses device | |
KR102157321B1 (en) | Whellchair foot hold for rehabilitation exercise | |
JP2000233000A (en) | Walking helping tool | |
US9655804B2 (en) | Knee-supporting walking a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