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242A - seedling box - Google Patents
seedl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8242A KR20170068242A KR1020150175203A KR20150175203A KR20170068242A KR 20170068242 A KR20170068242 A KR 20170068242A KR 1020150175203 A KR1020150175203 A KR 1020150175203A KR 20150175203 A KR20150175203 A KR 20150175203A KR 20170068242 A KR20170068242 A KR 201700682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soil receiving
- seedling box
- receiving portion
- receiving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01G9/1013—
-
- A01G9/104—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안착부에 안착되는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치 못함으로 인한 어린모의 육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so that wat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from a soil placed on a soil settlement part, .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묘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으로부터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모의 육성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so that drainage from the soil can be performed smoothly so that young seedling can be cultivated smoothly.
작물 재배시 노지(露地)에 직접 파종하는 경우, 씨앗으로부터 성장하는 어린모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기온 변화, 병충해 등으로 인한 피해가 상당하게 되므로 어린모의 육성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directly sowing on the open field in the cultivation of the crop, the young growing from the seed is inevitab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damage due to temperature change, insect pests,
이러한 이유로 묘상(苗床)에서 각종 육모 수단,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3006호(공개일 : 2003. 07. 28.)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육묘 상자 등을 이용하여 어린모를 육성하는 다양한 육묘 방법이 제안된바 있다.For this reason, various seedlings such as thos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63006 (published on Jul.30, 2003. 07. 28.) are used in nursery beds to produce various seedlings Method has been proposed.
이때, 묘상은 외부와 단절되므로 기온 변화, 병충해 등으로 인한 어린모의 피해가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각종의 육묘 보조장치, 즉 물공급장치, 광조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어 어린모의 육성이 원활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eedlings ar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damage to young plants due to temperature changes, insect pests and the like is minimized, and various kinds of seedlings assist devices such as water supply devices and light irradiation devices can be included. have.
따라서, 상당수의 농가에서 육묘 방법을 이용하여 어린모를 육성하고 있으며, 육묘 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재배지에서 직접 육묘하는 것에 비해 작물 수확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물 소출량 및 토지 활용도 등을 높일 수 있고, 종자 및 용수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노동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a considerable number of farmers use nursery methods to nurture young children. As a result of using the nursery method, crop harvest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crop abatement and land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 Seeds and water can be saved, and the labor force and the like can be saved.
한편, 육묘 상자는, 사각 판 형태 몸체 상면에 토양 안착부가 형성된 것으로, 토양 안착부에 안착되는 토양에 씨앗을 심음으로써 어린모의 육성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edling box is formed with a soil receiving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an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young seeds by planting the seeds in the soil placed on the soil receiving part.
그러나, 종래 육묘 상자는,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 즉 배수가 원활치 못하였으므로 뿌리가 썩는 등의 이유로 어린모의 육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seedling box has a problem that the growth of young moths can not be expected due to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soil, that is, the drainage is not smooth and the roots are rotten.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토양 안착부 안착되는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 즉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모의 육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육묘 상자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e above reasons, in the field of the art, there is attempted to develop a seedling box which can smoothly grow young moths by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smoothly from the soil which is seated in the soil settlement part, but until now,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obtained It is a fact that I can no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육묘 상자에서 토양 안착부에 안착되는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치 못함에 따라 어린모의 육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soil placed on the soil settlement portion in the former seedling box is not smooth, And to provide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는, 사각 판 형태의 몸체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토양 안착부가 형성된 육묘 상자에 있어서, 상기 토양 안착부는 폭 방향 일단이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 일단을 따라 일정한 깊이의 배수홈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comprising: a square plate-shaped body having a soil receiv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drainag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soil receiving portion formed lower than the other end.
상기 몸체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be formed of styrofoam.
상기 몸체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관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pair of support tub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토양 안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온수관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soil receiving part may include a pair of hot water tub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양 안착부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oil receiving part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토양 안착부는 그 경사각이 3-10°로 형성될 수 있다.The soil receiving portion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3-10 °.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는, 사각 판 형태의 몸체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토양 안착부가 형성된 육묘 상자에 있어서, 상기 토양 안착부는 폭 방향 양측 단부가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 양단을 따라 일정한 깊이의 배수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the seedling box compris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having a soil receiv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drainage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along both ends of the soil receiving portion formed lower than the middle portion.
상기 몸체는, 소수성 재질로 형성되되 스티로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ay be formed of a hydrophob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styrofoam.
상기 몸체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관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pair of support tub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토양 안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온수관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soil receiving part may include a pair of hot water tub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양 안착부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oil receiving part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토양 안착부의 경사각은 3-10°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oil receiving part may be set to 3-10 °.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는, 토양 안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토양 안착부에 안착되는 토양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경사를 타고 흘러 비교적 빠르게 배수홈으로 배출되므로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해질 수 있다.The seedling box for improvement of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receiving portion is inclin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oil placed on the soil receiving portion flows through the slope and discharges to the drainage groove relatively quickly, It can be smooth.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는, 토양 안착부에 돌기가 구비되는바, 토양과 토양 안착부 사이의 물이 공간을 통해 유동하며 경사를 타고 흘러 비교적 빠르게 배수홈으로 배출되므로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box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projections on the soil settlement portion, so that water between the soil and the soil settlement portion flows through the space and flows on a slope,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soil can be made more smooth.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는, 토양 안착부에 온수관 삽입홈이 구비되는바, 온수관 삽입홈에 삽입되는 온수관으로부터의 열이 토양 안착부에 안착되는 토양에 미치게 되므로 동절기에도 토양의 온도 유지가 원활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box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tube insertion groove in the soil receiving portion, and the heat from the hot water pipe inserted in the hot water tube insertion groove is disturbed by the soil placed on the soil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oil can be kept smooth even during the winter season.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서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서 토양의 온도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서 토양으로부터의 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에서 토양의 온도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of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water discharge from a soil in a nursery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maintenance of soil temperature in a seedling box for improvement of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water discharge from a soil in a seedling box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maintenance of the soil in the seedling box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A)는, 몸체(10)와, 토양 안착부(20)와, 배수홈(30)을 포함한다.1 and 2, a seedling box A for improving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10)는 사각 판 형태이다.The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몸체(10)가 스티로폼으로 형성됨으로써 재질 특성상 제품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관 삽입홈(11)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몸체(10)가 상기 지지관 삽입홈(11)을 구비함으로써 별도 거치대(도면상 미도시)의 가로방향 지지관(100) 한 쌍이 상기 지지관 삽입홈(11) 각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가 상기 거치대에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거치된다.Since the
상기 토양 안착부(20)는 상기 몸체(10)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게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상기 토양 안착부(20)는 폭 방향 일단이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됨으로써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토양 안착부(20)에 안착되는 토양(40)으로부터의 물이 경사를 따라 원활히 배출된다.Since the one end of the
이때, 상기 토양 안착부(20)의 경사각(r)이 3°미만인 경우, 경사에 의한 물 흐름이 미미할 수 있고, 상기 토양 안착부(20)의 경사각(r)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토양(40)의 쏠림 또는 쏟아짐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토양 안착부(20)의 경사각은 3-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angle r of the
그리고 상기 토양 안착부(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온수관 삽입홈(21)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토양 안착부(20)가 상기 온수관 삽입홈(21)을 구비함으로써 한 쌍의 온수관(200)이 상기 온수관 삽입홈(21) 각각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온수관(200)으로부터의 열을 통해 그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의 가열이 가능하므로 동절기 상기 토양(40)의 온도 유지가 용이하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토양 안착부(20)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된 복수의 돌기(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토양 안착부(20)가 상기 돌기(2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기(22)에 의해 상기 토양 안착부(20)와 상기 토양(40)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 사이의 물이 상기 공간을 통해 원활히 배출된다.Since the
상기 배수홈(30)은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20) 일단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다.The
이와 같은 상기 배수홈(30)은 상기 토양 안착부(20)의 경사를 따라 흐르는 물을 수용하는 것일 뿐 특별한 기능을 갖는 것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한편, 상기 토양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은 물 빠짐이 가능한 자루 또는 망체(도면부호 미표시)에 담겨 안착됨으로써 상기 토양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의 쏟아짐이 방지된다.The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A')는 몸체(10')와, 토양 안착부(20')와, 배수홈(30')을 포함한다.5 and 6, the seedling box A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soil seating portion 20 ' (30 ').
상기 몸체(10')는 이전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몸체(10)와 동일하다.The body 10 'is the same as the
상기 토양 안착부(20')는 폭 방향 양측 단부가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il receiving portion 20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lower than the middle portion.
상기 배수홈(30')은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20') 양단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그 외 구성은 이전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A, A')는 상기 토양(40)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하다. 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edling box (A, A ')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discharges water from the soil (4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상기 토양 안착부(20, 20')는 폭 방향 일단이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거나, 폭 방향 양측 단부가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상기 토양 안착부(20, 20')는 경사를 이룬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이 상기 토양 안착부(20, 20')가 경사를 이룸으로써 그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은 저면이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토양(40)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어 상기 토양(40)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하다.Since the bottom of the
이때, 상기 토양(40)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일측 또는 양측의 상기 배수홈(30, 30')에 수용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다만, 상기 토양(40) 저면이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밀접하는 경우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 사이에 물 고임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토양 안착부(20, 20')는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돌출된 상기 돌기(22)를 구비할 수 있는바, 상기 돌기(22)로 인하여 상기 토양(40)과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 사이의 물이 상기 공간을 통해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 사이의 물 배출이 원활하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A, A')는 토양(40)의 온도 유지가 원활하다. 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eedlings box (A, A ')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soil (40) smooth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는 상기 온수관 삽입홈(21)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온수관 삽입홈(21) 각각에 상기 온수관(200)이 삽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따라서,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은 도 4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관(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므로 특히, 동절기에도 상기 토양(40)의 온도 유지가 원활하다.Therefore, the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A, A')는, 상기 토양 안착부(20, 20')가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와 상기 토양(40) 사이의 물이 경사를 타고 흘러 비교적 빠르게 상기 배수홈(30, 30')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토양(40)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원활해질 수 있고,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상기 돌기(22)가 구비되는바,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토양(40)과 상기 토양 안착부(20, 20') 사이의 물이 상기 공간을 통해 유동하며 경사를 타고 흘러 비교적 빠르게 상기 배수홈(30, 30')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토양(40)으로부터의 물 배출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으며,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상기 온수관 삽입홈(21)이 구비되는바, 상기 온수관 삽입홈(21)에 삽입되는 상기 온수관(200)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토양 안착부(20, 20')에 안착되는 상기 토양(40)에 미치게 되므로 동절기에도 상기 토양(40)의 온도 유지가 원활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edling box (A, A ') for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10, 10' : 몸체 11 : 지지관 삽입홈
20, 20' : 토양 안착부 21 : 온수관 삽입홈
22 : 돌기 30, 30' : 배수홈
40 : 토양 100 : 지지관
200 : 온수관 A, A' : 육묘 상자
r : 경사각10, 10 ': Body 11: Support tube insertion groove
20, 20 ': soil settlement part 21: hot water tube insertion groove
22:
40: soil 100: supporting pipe
200: hot water tube A, A ': seedling box
r: inclination angle
Claims (7)
상기 토양 안착부는 폭 방향 일단이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 일단을 따라 일정한 깊이의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1. A seedling box having a soil receiv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a rectangular plate-
The soil receiving part is formed so that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is lower than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drainag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one end of the soil receiving part formed lower than the other end.
상기 토양 안착부는 폭 방향 양측 단부가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중간부에 비해 낮게 형성된 상기 토양 안착부 양단을 따라 일정한 깊이의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1. A seedling box having a soil receiv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a rectangular plate-
Wherein the soil receiving portion has both sid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lower than the middle portion,
And a drainage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both ends of the soil receiving portion formed lower than the middle portion.
상기 몸체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dy is formed of styrofoam.
상기 몸체는 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관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dy has a pair of support tub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토양 안착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온수관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oil receiving part has a pair of hot water pipe insertion grooves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토양 안착부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oil receiving part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토양 안착부는 그 경사각이 3-10°로 형성되는 것인 배수 성능 개선을 위한 육묘 상자.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oil receiving portion has an inclination angle of 3-1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203A KR20170068242A (en) | 2015-12-09 | 2015-12-09 | seedl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203A KR20170068242A (en) | 2015-12-09 | 2015-12-09 | seedl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8242A true KR20170068242A (en) | 2017-06-19 |
Family
ID=5927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5203A Ceased KR20170068242A (en) | 2015-12-09 | 2015-12-09 | seedl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824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82613A (en) * | 2017-06-29 | 2017-09-22 | 太仓市东泾农场专业合作社 |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lable seedling-cultivation plate |
-
2015
- 2015-12-09 KR KR1020150175203A patent/KR2017006824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82613A (en) * | 2017-06-29 | 2017-09-22 | 太仓市东泾农场专业合作社 |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lable seedling-cultivation pl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32503T3 (en) | Cultivation system | |
US898480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ponic growth | |
JP6006719B2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314657B1 (en) | Bed for nutrient culture | |
JP7093540B2 (en) | Natural yam cultivation device and natural yam cultivation system | |
KR102144743B1 (en) | hydroponics equipment | |
KR20160094756A (en) | Kit for raising seeding | |
KR101815608B1 (en) | Bed for agriculture | |
KR20140105355A (en) | Bed for nutrient culture | |
KR101262677B1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JP7111285B2 (en) | Wild yam cultivator and yam cultivation system | |
KR20170068242A (en) | seedling box | |
KR101576724B1 (en) | Pocket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
KR200477741Y1 (en) | Device for growing crops of multi-layer | |
KR20140004927U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JP3071168B2 (en) | Elevated cultivation equipment | |
KR101507309B1 (en) | Apparatus for growing seedling of plant | |
KR101698112B1 (en) | Apparatus for raising seedlings having blockmat style seedbed and nursery Box | |
KR102137565B1 (en) | Pot assembly for cultivating or growing crops | |
KR20150127326A (en) | Water culture and fish farming water tank of horizontal structure using fertilizer derived from fish excretion | |
JP2017209106A (en) | Natural selection plant and natural selection system | |
JP5607596B2 (en) | How to grow soft leek | |
KR200463803Y1 (en) | Planting Receptacle | |
KR101666336B1 (en) | seedling box | |
JP2004344088A (en) | Cultivation tray for hydropon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