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27U - Plants Cultivation Vessel - Google Patents
Plants Cultivation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4927U KR20140004927U KR2020130001570U KR20130001570U KR20140004927U KR 20140004927 U KR20140004927 U KR 20140004927U KR 2020130001570 U KR2020130001570 U KR 2020130001570U KR 20130001570 U KR20130001570 U KR 20130001570U KR 20140004927 U KR20140004927 U KR 2014000492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ortion
- plant cultivation
- cultivation vessel
- side walls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4
- 241000220223 Frag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 형태의 양측벽과 하판으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벽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는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하게 형성되는 호형면과 상기 안내부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반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트랙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바람이 매우 많이 불 경우에도 안정적인 재배 용기의 지지가 가능하며, 전체적인 면적이 크지 않아 제작 비용의 절감도 가져올 수 있으며,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므로 생육에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is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side walls and lower and upper side walls,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downwardly inclined guide portion and a downwardly inclined guide portion, And a suppor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ide portion, the guid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semicircular space and accommodating the track in the spa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orting a stable cultivation vessel even when the wind is very heavy,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ecause the whole area is not large, and it is easy to grow because the drainage is easy.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 비닐하우스, 유리 온실등에서 재배하는 딸기를 하절기 노지에서 재배하는 조건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딸기 열매의 하중에 의하여 줄기가 부러지거나 또는 과도한 꺽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생육이 원활하도록 하여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awberry cultivated in a green house or a greenhouse in the winter, in a condition in which the strawberry fruit is loaded, So as to improve the yield and improve the yield of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일반적으로 노지에서 딸기를 재배하였는데, 모종과 함께 자라는 잡초를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고, 비료살포나 물관리가 어려워 모종을 육묘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Generally, strawberry was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and it was necessary to remove all the weeds growing together with the seedlings, and it was difficult to spray the fertilizer and manage the water, so that it took a lot of time and manpower to grow the seedlings.
이에 딸기를 재배용기에서 재배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 식물 재배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technique of cultivating the strawberry in the cultivation vessel is used, and 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ion vessel is composed of the long rectangle having the open top.
이러한 종래 재배용기는 딸기가 자라서 열매가 열리는 시기에는 딸기 열매의 무게로 인하여 줄기가 휘어지게 된다. Such conventional cultivation vessels will be bent due to the weight of the berries when the berries grow and the berries are opened.
휘어진 줄기는 양측벽에 걸쳐지게 되므로 부러지거나 또는 과도하게 굴곡되어 영양분이 원활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딸기가 제대로 발육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bent stem is stuck on both side walls, so that the strawberry is not properly developed because the nut is not smoothly supplied because it is broken or excessively bent.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3460호에서는 모종포트에서 모종의 용이한 분리 작업과 모종 뿌리가 육묘케이싱 외주연에 형성되는 뿌리활착홈을 따라서 성장하도록 하여 모종을 정식후 뿌리의 활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수확량 증대를 할수 있는 딸기모조용 포트를 선보였으나 상기 기술은 모종에 한정되고, 열매의 무게로 인한 줄기가 휘어진다거나 과도한 굴곡으로 영양분이 비공급으로 딸기 발육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is,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23460, some sort of easy separation and seedling roots are grown along the root groov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edling casing, and after seedling is planted, But the technology is limited to seedlings. The technique is limited to seedlings, and because the stem is bent or excessively bent due to the weight of the fruit, nutrients are not supplied and the strawberry growth is hinder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한국 실용신안출원 2011-0007322호에서는 딸기 열매의 하중에 의하여 줄기가 부러지거나 꺽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완만한 경사각도로 지지하여 주는 식물 재배용기를 선보였으나 상기 기술도 식물 재배용기의 최하부에 트랙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역시 재배 용기의 고정에 있어서 안정감이 없으므로 바람이 많이 불 경우, 식물 재배용기 자체가 추락의 위험이 있고 배수가 잘 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상존하였다.
Also, as shown in FIG. 1,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11-0007322 discloses a plant cultivation vessel that supports the stem at a gentle slope angle by preventing the stem from breaking or bending due to the load of the strawberry fruit. However, Since the track is fixed to the lowermost part of the container, there is no stability in fixing the cultivating container. Therefore, there is a drawback that when the wind is heavy, th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itself is in danger of falling, the drainage is not good and the production cost is high .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동절기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에서 재배하는 딸기를 하절기 노지에서 재배하는 조건으로 구현할 수 있고, 파이프 형태의 트랙을 식물 재배용기 상부로 지지 하도록 하여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안정감을 주도록 하고 온수가 용이한 배수를 할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재배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trawberry cultivated in a greenhouse or the like in a winter greenhouse, So as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even when the wind is blown severely, and it is possible to make drainage which facilitates hot water, and to provide a small size planting container as a who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 형태의 양측벽과 하판으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벽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는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하게 형성되는 호형면과 상기 안내부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반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트랙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side walls and a bottom wall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halves;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uppor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portion, the guide porti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semicircular space, the guide portion being adapted to receive the track therein .
또한, 상기 본체부는 하판에 오목 형상의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의 상부 양측에는 배수판이 형성되어 상기 요부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Further,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concave portion on the lower plate, and a drain plat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to close the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안내부의 호형면에는 열매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arc-shaped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ruit is seated.
그리고, 상기 배수판에는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drain pan is formed with recesses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본 고안은 열매의 하중에 의하여 줄기가 부러지거나 과도한 꺽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유연한 경사로 줄기와 열매에 충분한 영양 공급이 가능하고, 폭풍 등이 과도하게 불 경우에도 식물 재배용기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므로 재배용기의 추락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체적인 면적이 크지 않아 제작 비용의 절감도 가져올 수 있으며,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므로 생육에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is design prevents the stem from being broken or excessive bending due to the load of the fruit,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nutritionally to the stem and the fruit with a flexible inclination,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stably even when the storm is over- The container does not fall, and the overall area is not larg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drainage can be easily performed, so that it is easy to grow.
도 1은 종래 기술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배수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식물재배용기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식물재배용기가 좌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 1 is a prior art diagram;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drain pan;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has moved to the right.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has moved to the left s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은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 형태의 양측벽과 하판으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벽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진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는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하게 형성되는 호형면과 상기 안내부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반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트랙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side walls and a lower plate in the form of an upper wall and a lower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guide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ground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rc portion having a curved upper surface and a semicircular spac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ccommodate the track in the space .
또한, 상기 본체부는 하판에 오목 형상의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의 상부 양측에는 배수판이 형성되어 상기 요부를 마감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concave portion on the lower plate, and a drainage plat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cave portion to close the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안내부의 호형면에는 열매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이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eating groove on which the fruit is seated is formed on the arcuat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그리고, 상기 배수판에는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요홈이 형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drain pan is formed with grooves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용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배수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는 식물재배용기가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식물재배용기가 좌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plant cultiv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drainage plate, FIG. 6A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growing vessel moves to the right side, and FIG.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growing vessel is moving to the left side.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식물 재배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양측벽과 하판으로 구성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벽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진 안내부(20)로 구성된다. 2 to 3, the
상기 본체부(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상부가 개구되고 양측 단변도 개구되며, 내부에는 배양토가 채워지도록 하는 공간(15)이 형성되고 하판에는 오목형상의 요부(60)가 형성된다. The
상기 안내부(20)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반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트랙(40)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부(20)와 일체로 지지대(50)가 형성되어 있다. Inside the
따라서, 상기 트랙(40)의 형태는 수용이 용이하도록 둥근 원형의 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he shape of the
상기 트랙(40)은 지지대(50)로 인하여 형성된 일정한 공간부에 수용되므로 특히, 식물 재배용기(100)의 비교적 상부 측에 트랙(40)이 위치하므로, 태풍 등의 영향으로 많은 바람이 불어 올 경우에도 안정감있게 상기 식물 재배용기(10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상기 안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양측벽의 상단에 이어져 형성되며 외향되게 형성되어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하게 형성되는 호형면(30)이 형성된다. The
상기 재배용기(100)에의 물의 공급은 본체부(10) 상부로 딸기 등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온수가 공급이 되도록 외부의 보일러(미도시)와 연결된다. The supply of water to the
따라서, 배양토에 지면과 유사한 온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노지 재배와 유사한 성장 조건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growth condition similar to that of the non-growing by imparting a temperature similar to that of the ground to the cultivation soil.
도 4는 배수판(75)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75)에는 요홈(110)이 형성되어 있어 물이 공급될 경우에 배수를 하여 바로 아래의 요부(60)에 모아지도록 하고 상기 요부(60)에 모여지는 수분은 외부로 연결되어 형성된 배수통(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20)의 호형면(30)에는 열매가 안착되는 안착홈(90)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즉, 딸기 등의 열매가 커질수록 무게도 올라가게 마련이므로 줄기가 하방으로 더욱 쳐지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줄기에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 딸기 열매가 안착홈(90)에 초기에서부터 안착되어 자랄수 있도록 하여 줄기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That is, as the fruit of berries grows larger, the weight increases, so that the stem is further struck downward, which results in a load on the stem. In this case, the strawberry fruit can be seated in the
도 6a는 식물재배용기가 우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식물재배용기가 좌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6A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is moved to the right, and FIG. 6B is a view showing that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is moved to the left.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재배용기(100)의 이동시 용기(100)의 하단부와 트랙(4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감이 있도록 하단 부를 타원형으로 제작한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end of the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딸기 등의 작물을 수경재배를 할 경우에, 식물 재배용기를 파이프 형태의 트랙에 안정적으로 얹어 놓을 수 있으므로 바람등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온수를 공급할 경우에 있어서도 용이한 배수로 인하여 배수의 불량으로 인한 뿌리의 썩음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place the plant cultivation vessel on a pipe-type track when hydroponically growing a crop such as a strawberry, it is not affected by wind or the like, It is a useful device to prevent root rot caused by faulty drainage due to easy drainage.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청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고안은 전체적인 식물재배용기의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이 적게 들고 폭풍이나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 재배용기에 형성된 수용부에 트랙이 안정감있게 고정되므로 많은 바람이 불어도 쉽게 낙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overall plant cultivation vessel is not large in siz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st is low and the track is securely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cultivation vessel when a storm or a typhoon occurs, .
10 : 본체부 15 : 공간
20 : 안내부
30 : 호형면 40 : 트랙
50 : 지지대 60 : 요부
75 : 배수판 90 : 안착홈
100 : 식물 재배용기 110 : 요홈 10: main body part 15: space
20:
30: arc surface 40: track
50: support member 60:
75: Drain plate 90:
100: Plant cultivation vessel 110: Groove
Claims (4)
상기 본체부(10)의 양측 벽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진 안내부(20);와
상기 안내부(20)는 지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하게 형성되는 호형면(30);과
상기 안내부(20)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반원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트랙(40)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용기.
A main body 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having upper and lower side walls in the form of a supersonic wave,
A guiding part 2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walls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inclined downward;
The guide portion 20 has an arcuate surface 30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ground and having a curved upper surface,
And a support unit 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unit 2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unit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semicircular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rack 40 Plant cultivation vessel.
The body part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cave recess (60)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a drain plate (7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60) Lt; / RTI >
Th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seating grooves (90) for receiving a fruit are formed on the arcuate surface (30) of the guide part (20).
Th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grooves (1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in pan (75) at regular interv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570U KR20140004927U (en) | 2013-02-28 | 2013-02-28 | Plants Cultivation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1570U KR20140004927U (en) | 2013-02-28 | 2013-02-28 | Plants Cultivation Vess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4927U true KR20140004927U (en) | 2014-09-05 |
Family
ID=5245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1570U Ceased KR20140004927U (en) | 2013-02-28 | 2013-02-28 | Plants Cultivation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4927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830Y1 (en) | 2017-10-11 | 2018-08-03 | 주식회사 태성산업 | Plant Growing Container |
KR20220128782A (en) | 2021-03-15 | 2022-09-22 | 오현민 | Desk pen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KR20230174740A (en) | 2023-11-22 | 2023-12-28 | (주)크리에이티브 핸즈 | plant growing containers |
-
2013
- 2013-02-28 KR KR2020130001570U patent/KR20140004927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6830Y1 (en) | 2017-10-11 | 2018-08-03 | 주식회사 태성산업 | Plant Growing Container |
KR20220128782A (en) | 2021-03-15 | 2022-09-22 | 오현민 | Desk pen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KR20230174740A (en) | 2023-11-22 | 2023-12-28 | (주)크리에이티브 핸즈 | plant growing contain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059240A1 (en) |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 |
KR101637227B1 (en) | cultivating facilities USING pot for strawberry and cultivating methods | |
US6357180B1 (en) | Push-pull root air-prunting tray and container systems | |
US20160227712A1 (en) | Pyramidal Nursery Pot | |
US8112937B1 (en) |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 |
KR20140004927U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CN109310054B (en) | gardening equipment | |
KR101852141B1 (en) | tower type flowerpot | |
KR101780467B1 (en) | Crops Supports | |
KR101442344B1 (en) | Crop cultivation device of folding type | |
KR101576724B1 (en) | Pocket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
JP4901424B2 (en) | planter | |
KR200469808Y1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JP5981494B2 (en) | Plant cultivation universal pot and storage tray | |
KR101336361B1 (en) | Water supply equipment for plant culture | |
KR20220091130A (en) | Multi-stage crop cultivation system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 |
KR200486830Y1 (en) | Plant Growing Container | |
KR101812550B1 (en) | Cultivation box | |
CN2393326Y (en) | Automatic floating and sinking hydroponic planting equipment | |
RU2004131C1 (en) | Plant-growing cup | |
KR102169932B1 (en) | Pot assembly for cultivating or growing crops | |
KR102721889B1 (en) | Irrigation system using spikes for irrigation in the medium of a vinyl pot for planting seedlings. | |
KR101387117B1 (en) | An appartus for cultivating the plants | |
KR200201889Y1 (en) | The growing pot | |
KR20170068242A (en) | seedling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2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50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