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267A - Cargo loading ship - Google Patents
Cargo loading sh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3267A KR20170053267A KR1020150155542A KR20150155542A KR20170053267A KR 20170053267 A KR20170053267 A KR 20170053267A KR 1020150155542 A KR1020150155542 A KR 1020150155542A KR 20150155542 A KR20150155542 A KR 20150155542A KR 20170053267 A KR20170053267 A KR 20170053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cargo loading
- cargo
- residence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및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loading vessel which comprises a ship hull, a cargo loading section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wheelhouse disposed in a bow of the hull, (Passage W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mount of cargo loaded on the top of the ship hull.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maximizing a cargo loading amount of the vessel.
거주구(Accommodation)는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추어져 있는 구조물로서,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mmodation is a structure with a variety of living facilities for long-time sailing crew members. It consists of several layers, from the main deck on the lowest floor to the top deck on the top floor, A cabin, a wheelhouse, a control room, and other amenities.
따라서, 거주구(Accommodation)은 모든 선박의 필수 구성 요소에 해당하며, 거주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재료를 필요로 하고, 거주구의 높이로 인하여 운항 시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선체는 선수와 선미 사이의 길이(또는 선박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선수 및 선체 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거주구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으며, 화물 적재 시에도 시야 확보를 위하여 거주구 전면의 화물 적재 공간에는 화물을 최고 층까지 선적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the accommod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all ships, requires a lot of materials to make the residence, and the height of the residence makes it difficult to get wind resistance during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hull of a large container ship is very long (or the length of the ship). Therefore, the height of the hull is inevitably inevitably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front of the bow and hu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go can not be shipped to the highest floor in the cargo loading space on the front of the residence.
한국등록특허 제10-1110685호는 거주구와 조향추진체가 선수에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선체 상부에 거주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주구 하부의 엔진룸이 선체에 내장된 선박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거주구 및 엔진룸은 선체의 선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룸 하부측에는 엔진으로부터 추진력을 발생하며 엔진룸의 보조 전력으로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조향추진체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선체의 시야를 확보하고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조향과 추진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주구와 조향추진체가 선수에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0-1110685 relates to a ship equipped with a rescue ball and a steering propulsion unit, more particularly, a rescue ball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ull, and an engine room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scue is applied to a ship built in the hull The hull and the engine room are disposed at the forward portion of the hull and the steering propulsion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to generate propulsive force from the engine and generate steering force as auxiliary power of the engine ro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having a resident sailing and a propelling propulsion body provided with an athlete for securing a field of view and minimizing resistance by the wind while making steering and propulsion integral.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888호는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거주구의 전측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개시한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6888 discloses a residential structure of a ship in which the residen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sidence are extended from the port to the star and the front side of the residence is extended to the end of the play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maximizing the amount of cargo loaded on the top of a ship hu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securing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a wheelhouse and a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물을 풀 티어(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 wheelhouse and a residence so as to load the cargo to a full tier (maximum load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종격벽 내부의 이동 통로 공간 중 일부를 거주구로 활용하여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vessel capable of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hull by maximizing the cargo load by utilizing part of the moving passage space inside the hull longitudinal bulkhead as a dwelling unit.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선체,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및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argo loading vessel includes a ship hull, a cargo loading section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wheelhouse disposed in a bow of the hull, and a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hull, (Passage Way).
화물 적재 선박은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에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거주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조타실이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구가 상기 종격벽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por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th, the receiving port being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long the moving path. 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sec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formed by the wheelhouse being located at the bow of the hull, and the residence being located within the longitudinal bulkhead.
상기 거주구는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상기 종격벽의 외판, 상기 종격벽의 내판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상기 거주구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 사이에 또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이동 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bita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by being surrounded by an upper deck of the hull, an outer plate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an inner plate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movement passage. 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or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moving passage.
상기 거주구는 그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갑판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타실은 상기 화물 적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적재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
The habitat may include an entrance which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deck of the hull. The wheelhouse can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part to ensure a view. In one embodiment, the cargo loading section can load the cargo from the bow of the hull to a full tier (or maximum loading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재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amount of cargo loaded on the top of the ship hu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wheelhouse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물을 풀 티어(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ad the cargo to the full tier (maximum loading height)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wheelhouse and the resid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 종격벽 내부의 이동 통로 공간 중 일부를 거주구로 활용하여 선체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part of the moving passage space inside the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ship as a dwelling space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hull and maximize the cargo loading amou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화물 적재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s of the wheelhouse and the housing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cargo loading vessel of the prior ar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go load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무어링데크(Mooring Deck)(110), 조타실(Wheel House)(120), 화물 적재부(130), 이동 통로(Passage Way)(140), 거주구(150), 보선스토어(160) 및 선체(170)를 포함한다.1, the
무어링데크(110)는 화물 적재 선박(100)의 선수에 배치되고, 조타실(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어링데크(110)는 승용차와 화물트럭을 함께 운반하는 겸용운반선(PCTC; Pure Car Truck Carrier)과 같이 클로즈 타입(Clos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조타실(120)은 무어링 데크(110)의 상부 및 화물 적재부(130)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타실(120)은 화물 적재부(130)의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조타실(120)은 화물 적재부(130)에 의한 시야의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The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70)의 상단 및 조타실(120)의 후단에 배치되며, 선체(17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하는 래싱 브리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32)는 화물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 공간을 구획하여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조타실(120)이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되고, 거주구(150)가 선체 종격벽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은 종래 기술의 화물 적재 선박에서 거주구 및 조타실이 배치되었던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조타실(120) 및 거주구(150)의 위치를 변경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을 확보하고,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이동 통로(Passage Way)(140)는 선체 종격벽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통로(14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4,000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s) 컨테이너 선박을 기준으로 높이가 약 9.4 미터, 길이는 선체(170)의 길이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A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선체 종격벽 및 이동 통로(140)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거주구(150)를 이동 통로(140)의 상부 공간 중 일부에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150)는 선체(17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거주구들(150)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화물 적재부(130)의 일부에 거주구(150)를 배치하지 않으므로,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에 약 500 TEU의 컨테이너를 추가 선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보선스토어(160)는 무어링데크(110)의 하단에 위치하고, 보선스토어(160)의 일부는 거주구(150)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선스토어(160)는 프로비전 챔버(Provision Chamber), 스토어(Store) 또는 메스룸(Messroo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선스토어(160)는 무어링데크 (110)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도 2는 도 1에 있는 조타실 및 거주구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도 1에 있는 조타실(120)의 위치를 설명하는 선박 선수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있는 거주구(150)의 위치를 설명하는 선체(170)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s of the wheelhouse and the housing in Fig. 1. Fig. More specifically, FIG. 2A is a plan view of the ship fore part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the
도 2a에서, 조타실(120)은 선체(170)의 선수에 설치될 수 있다. 조타실(120)은 선박의 양 측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타실(120)은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됨으로써 화물 적재부(130)의 화물 적재 여부에 관계 없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70)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할 수 있다.In Fig. 2A, the wheelhouse 120 can be installed at the bow of the
도 2b에서, 선체(170)는 그 양 측면에 형성되어 선체의 상갑판을 지지하는 선체 종격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로(140)는 선체 종격벽(2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거주구(150)는 선체의 상갑판, 선체 종격벽의 외판(212), 선체 종격벽의 내판(214) 및 이동 통로(140)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구(150)는 이동 통로(140)의 상부 공간 중 높이 3미터 내지 4미터의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2B, the
일 실시예에서, 거주구(150)는 창문(151), 승강 수단(152) 및 출입구(15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50)는 일 측면에 창문(151)을 구비하고, 거주구(150)과 상갑판 사이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 사이에 승강 수단(152)을 형성할 수 있다. 선원은 승강 수단(152)을 통해 거주구(150)와 상갑판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 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승강 수단(152)은 스파이럴 래더(Spiral Ladder)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스파이럴 래더(152)는 거주구(150)와 상갑판 또는 거주구(150)와 이동 통로(140)간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means 152 may be implemented via a spiral ladder. The
일 실시예에서, 출입구(153)는 거주구(150)의 상단에서 상갑판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53)는 두 개의 거주구들(150)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고, 쉘터(Shelter)로 구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도 3은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More specifically,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and FIG. 3B is a side view showing a container ship of the prior art.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300)은 선체(310)의 중간(또는 화물 적재 공간의 일부)에 조타실 및 거주구(320)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300)은 선체(310)의 길이가 긴 대형 선박으로 구현되어, 선체(310)의 중간에 거주구(320)를 배치할 수 있다. 거주구(320)는 선박 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해 화물 적재 높이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고, 거주구(320)의 전방에 배치되는 화물들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최고 높이까지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ventional container ship 300 may form a wheelhouse and a habitat 320 in the middle of the hull 310 (or a part of the cargo loading space). More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container ship 300 is implemented as a large-sized ship having a long length of the ship 310, and the residence port 320 can b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ship 310. The residence port 320 can be installed higher than the cargo stacking height for securing the view of the front of the ship and the cargoes disposed in front of the residence port 320 can not be stacked up to the maximum height for securing the view .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박 선체의 상단에 적대되는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 선박(100)은 조타실(120)을 선체(170)의 선수에 배치하고 거주구(150)를 선체 종격벽(210)의 내부에 배치하여,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 및 선박의 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추가 화물 적재 공간(134) 및 시야 확보를 통해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us, th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무어링데크
120: 조타실
130: 화물 적재부
132: 래싱 브리지
134: 추가 화물 적재 공간
140: 이동 통로
150: 거주구
151: 창문
152: 승강 수단
153: 출입구
160: 보선스토어
170: 선체
210: 선체 종격벽
212: 선체 종격벽의 외판
214: 선체 종격벽의 내판
300: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선박
310: 선체
320:
거주구100: Cargo loading vessel
110: mooring deck 120: wheelhouse
130: Cargo loading section 132: Lashing bridge
134: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140:
150: Residential District 151: Window
152: elevating means 153: entrance / exit
160: Ship Ship Store 170: Ship
210: Hull longitudinal bulkhead 212: Outboard of hull longitudinal bulkhead
214: inner plate of hull longitudinal bulkhead
300: Container vessel of the prior art
310: Hull 320: Residential District
Claims (8)
상기 선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부;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는 조타실; 및
상기 선체의 종격벽 내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통로(Passage Way)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Ship hull;
A cargo loading uni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ull and capable of loading cargo;
A steering column disposed at a bow of the hull; And
And a passageway formed in the longitudinal bulkhead of the hu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상기 이동 통로의 상부에 상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거주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idence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assage, the residence being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long the moving passage.
상기 조타실이 상기 선체의 선수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구가 상기 종격벽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추가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rgo loading portion
And an additional cargo loading space formed by the wheelhouse being located at the bow of the hull and the residence being located within the longitudinal bulkhead.
상기 선체의 상갑판(Upper Deck), 상기 종격벽의 외판, 상기 종격벽의 내판 및 상기 이동 통로의 상면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hull is surrounded by an upper deck of the hull, an out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an inner plate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assage,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상기 거주구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 사이에 또는 상기 거주구와 상기 이동 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eleva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upper deck of the hull or between the residence and the moving passage.
그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의 상갑판과 연결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3. The apparatus of claim 2,
And an entrance which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deck of the hull.
상기 화물 적재부의 전단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Th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go loading section is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cargo loading section to secure a field of view.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화물을 풀 티어(또는 최대 적재 높이)까지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물 적재 선박.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go loading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go is loaded to a full tier (or maximum loading height) at the bow of the hu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542A KR102098609B1 (en) | 2015-11-06 | 2015-11-06 | Cargo loading sh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5542A KR102098609B1 (en) | 2015-11-06 | 2015-11-06 | Cargo loading sh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3267A true KR20170053267A (en) | 2017-05-16 |
KR102098609B1 KR102098609B1 (en) | 2020-04-08 |
Family
ID=5903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5542A Active KR102098609B1 (en) | 2015-11-06 | 2015-11-06 | Cargo loading sh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6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11101A (en) * | 2019-03-29 | 2019-06-21 | 广船国际有限公司 | A kind of ship stem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853B1 (en) * | 2002-12-17 | 2005-08-17 | 허식 | Self-propelling barge |
KR20100069982A (en) * | 2008-12-17 | 2010-06-25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container ship which is formed separately a deck house a engine room |
KR101110685B1 (en) | 2009-08-19 | 2012-02-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ship with an accommodation and a steering and propelling device at the bow part |
KR200476888Y1 (en) | 2010-10-04 | 2015-04-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tructure of accommodation of ship |
KR20150092969A (en) * | 2014-02-06 | 2015-08-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Residential structure of ship loading a cargo |
-
2015
- 2015-11-06 KR KR1020150155542A patent/KR1020986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7853B1 (en) * | 2002-12-17 | 2005-08-17 | 허식 | Self-propelling barge |
KR20100069982A (en) * | 2008-12-17 | 2010-06-25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container ship which is formed separately a deck house a engine room |
KR101110685B1 (en) | 2009-08-19 | 2012-02-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ship with an accommodation and a steering and propelling device at the bow part |
KR200476888Y1 (en) | 2010-10-04 | 2015-04-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tructure of accommodation of ship |
KR20150092969A (en) * | 2014-02-06 | 2015-08-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Residential structure of ship loading a carg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11101A (en) * | 2019-03-29 | 2019-06-21 | 广船国际有限公司 | A kind of ship stem structure |
CN109911101B (en) * | 2019-03-29 | 2021-11-09 | 广船国际有限公司 | Bow structure of sh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609B1 (en) | 2020-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3669B1 (en) | Vessel having a standardized hull capable of having a plurality of optional and operational modula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for | |
CN102015432A (en) | ship | |
KR102150304B1 (en) | Cargo loading ship | |
WO2018070102A1 (en) | Ship living quarters structure and cargo carrying vessel | |
TWI590981B (en) | 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 |
KR20170053267A (en) | Cargo loading ship | |
KR101660689B1 (en) | Ship loading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 |
JP2009190717A (en) | Container ship | |
KR102027907B1 (en) | Deckhouse structure of ship | |
JP6554126B2 (en) | Gas fuel independent tank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carrier | |
KR101667572B1 (en) |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 |
WO2013110822A1 (en) |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 |
KR20150011511A (en) | container ship | |
KR20170130868A (en) | Separated deck house and cargo loading ship having the same | |
KR101600773B1 (en) |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cargo | |
US20110030603A1 (en) |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 |
KR101642391B1 (en) | Ship which load cargo | |
KR101552925B1 (en) | Ship which load cargo and method of loading | |
JP5201804B2 (en) | Trimaran structure ship | |
KR101586261B1 (en) | Mobile deckhouse | |
JP2002316688A (en) | Cargo ship | |
WO2009109187A1 (en) | A ship | |
WO2018099907A1 (en) | Container ship with reinforced hull | |
KR101668453B1 (en) | Ship which load cargo | |
KR101610179B1 (en) | Ship which load carg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