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9471A -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 Google Patents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471A
KR20170049471A KR1020170051137A KR20170051137A KR20170049471A KR 20170049471 A KR20170049471 A KR 20170049471A KR 1020170051137 A KR1020170051137 A KR 1020170051137A KR 20170051137 A KR20170051137 A KR 20170051137A KR 20170049471 A KR20170049471 A KR 2017004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
drainage
filter plate
inci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표
Original Assignee
배승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승표 filed Critical 배승표
Priority to KR102017005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471A/ko
Publication of KR2017004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47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의 단턱과 배수구덮개의 사이에 설치하는 거름판을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이 거름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배수부의 일부가 거름판본체와 연결되게 개곡선(開曲線)형태로 절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절개부 내측에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개폐면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얇은 절개부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오수만 통과되게 하고, 비가 와서 배수되는 수량이 증가될 때는 절개부 내측의 개폐면부가 수압에 의해 아래로 휘면서 오수가 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1)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3)에 배수구(1) 측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거름판(10)이 얹히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배수구덮개(8)가 얹히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10)은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거름판본체(11)에 다수의 절개배수부(12)를 절개 형성하되, 절개배수부(12)의 일부가 거름판본체(11)와 연결되게 개곡선 형태로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절개부(13)의 내측에 거름판본체(11)와 연결목부(14)로 연결되는 개폐면부(1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Filter plate for road drainage}
본 발명은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의 단턱과 배수구덮개의 사이에 설치하는 거름판을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이 거름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배수부의 일부가 거름판본체와 연결되게 개곡선(開曲線)형태로 절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절개부 내측에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개폐면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얇은 절개부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오수만 통과되게 하고, 비가 와서 배수되는 수량이 증가될 때는 절개부 내측의 개폐면부가 수압에 의해 아래로 휘면서 오수가 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외측에 일정공간을 갖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입구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에 배수구의 입구를 덮어주도록 된 그레이팅(본 발명에서는 "배수구 덮개" 라고 칭함)이 설치되게 되며,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흘러들어온 물이 배수구를 따라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그레이팅(grating)은 그레이팅은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막대 형상의 연결판들을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 고정하여 각 연결판들 사이에 배수구멍들이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그레이팅 구조는 노면의 배수용 개구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레이팅은 노면에 고여 있는 빗물 이외에도 담배꽁초나 껌, 휴지, 낙엽, 돌멩이, 폐종이와 같이 배수구멍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각종 이물질들이 상기 배수구멍 들을 통해서 지하의 배수관로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들은 배수관로 내부에 점차 쌓이면서 관로가 막히는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이 지하 배수관로가 막히게 되면 특히 장마철에 노면에 고인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하지 못하여 침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로 배수구용 커버를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선 등록된 종래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0171298호)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구(1)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3)에 배수구(1) 측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거름판(2)이 얹히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그레이팅(7)이 얹히게 설치된다.
상기 거름판(2)은 배수구(1)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3)에 안착 고정되는 판형의 커버 몸체(4)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몸체(4)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홀(5)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몸체(4)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부에 문자나 그림 등을 인쇄할 수 있는 표지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름판(2)은 배수구(1)의 입구 단턱(3)에 얹힌 상태로 그 상측에 그레이팅(7)이 덮여서 고정되고, 거름판(2)에 형성된 배수홀(5)이 그레이팅(7)에 형성된 배수구멍(7a)보다 작아서 배수구멍(7a)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거름판(2)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거름판(2)에 작은 이물질 걸려서 쌓이게 되면, 상기 그레이팅(7)을 분리한 뒤에 거름판(2) 상부의 이물질을 쓸어 담아서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거름판을 타공판 형태로 형성하되, 배수홀의 크기가 대략 지름이 12mm 정도가 되도록 금속판을 천공하여 형성한 것임에 따라, 12mm 보다 작은 이물질은 각각의 배수홀을 통과하여 지하 배수관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를 발생하게 되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배수홀에 걸리면서 배수홀을 막아서 배수로로 오폐수가 배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71298호(고안의 명칭 : 도로 배수구용 커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구의 단턱과 배수구덮개의 사이에 설치하는 거름판을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이 거름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배수부의 일부가 거름판본체와 연결되게 개곡선(開曲線)형태로 절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절개부 내측에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개폐면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얇은 절개부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오수만 통과되게 하고, 비가 와서 배수되는 수량이 증가될 때는 절개부 내측의 개폐면부가 수압에 의해 아래로 휘면서 오수가 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구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에 배수구 측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거름판이 얹히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배수구덮개가 얹히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은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거름판본체에 다수의 절개 배수부를 절개 형성하되, 절개배수부의 일부가 거름판본체와 연결되게 개곡선형태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내측에 거름판본체와 연결목부로 연결되는 개폐면부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은, 배수구의 단턱과 배수구덮개의 사이에 설치하는 거름판을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이 거름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배수부의 일부가 거름판본체와 연결되게 개곡선형태로 절개 형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절개부 내측에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개폐면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얇은 절개부로 오수는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고 파리나 모기와 같은 해충이 올라오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비가 와서 배수되는 수량이 증가될 때는 절개부 내측의 개폐면부가 수압에 의해 아래로 휘면서 오수가 바로 배수되어 홍수 시 도로가 침수되거나 범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의 일,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절개배수부가 경사지게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판(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구(1)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3)에 배수구(1) 측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거름판(10)이 얹히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배수구덮개(8)가 얹히게 설치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거름판(1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거름판본체(11)에 다수의 절개배수부(12)를 절개 형성하되, 절개배수부(12)의 일부가 거름판본체(11)와 연결되게 개곡선(開曲線)형태로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절개부(13)의 내측에 거름판본체(11)와 연결목부(14)로 연결되는 개폐면부(15)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배수부(12)의 모양은 장원(長圓)모양, 원형, 타원형, 별모양, 하트모양 등과 같은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하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개폐면부(15)의 일부가 연결목부(14)에 의해 거름판본체(11)와 연결되게 형성되고, 이 개폐면부(15)의 둘레에 개곡선(開曲線)형태로 절개부(13)가 절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13)의 굵기는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0.5~2mm 내외로 절개 형성하고, 연결목부(14)의 폭은 절개배수부(12)측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증가했을 때 수압에 의해 개폐면부(15)가 휘어질 수 있을 만큼으로 형성하는데, 이는 거름판(10)의 재질이나 두께, 탄성 정도를 감안하여 정해야 하나,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절개부(13) 전체길이의 20분의 1 내지 30분의 1만큼의 폭으로 설계하였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배수구(1)의 단턱(3)에 상측 입구에 거름판(10)을 얹히게 설치할 때, 거름판(10)이 자체탄성을 지니고 있으며 두께가 얇으므로 거름판(10)의 가운데 부분이 하측으로 처지면서 배수구(1)의 아래로 빠질 것을 염려할 수 있겠으나, 거름판(10)을 제작할 때 거름판(10)이 배수구(1)의 아래로 빠지지 않을 만큼의 두께로 제작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거름판(10)의 양측단부가 배수구(1)의 단턱(3)에 상부 얹히도록 설치한 뒤에, 그 상부에 두꺼운 금속재로 제작된 배수구덮개(8)를 올려놓으면, 거름판(10)이 배수구덮개(8)의 무게에 눌려서 배수구덮개(8)와 단턱(3)의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배수구덮개(8)를 단턱(3) 상에 얹힌 거름판(10)의 위에 올려놓을 때, 거름판(10)의 가운데가 처지지 않도록 펼쳐가면서 배수구덮개(8)를 내려놓는데, 이때는 도 2의 "A"와 같이 배수구덮개(8)의 한쪽은 올라가고 다른 쪽은 거름판(10)이 얹힌 단턱(3)의 상측에 걸친 상태에서 거름판(10)을 평평하게 펼치면서 배수구덮개(8)를 내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배수구(1)의 단턱(3) 상부에 거름판(10)과 배수구덮개(8)를 차례로 올려놓아 덮으면 거름판(10) 및 배수구덮개(8)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빗물이나 생활오수가 배수구덮개(8) 측으로 유입되면, 배수구덮개(8)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거름판(10) 측으로 흘러 내려간다.
이렇게 거름판(10) 측으로 흘러 내려온 오수는 거름판(10)의 절개배수부(12)에 개곡선 형태로 형성된 얇은 절개부(13)로 흘러내려서 그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오수가 흘러내리는 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개폐면부(15)와 거름판본체(11)의 높이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있게 되어 절개배수부(12)에는 절개부(13)의 두께만큼의 틈새를 두고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부(13)의 두께를 0.5~2mm 내외로 얇게 절개 형성하여서 오수는 문제없이 절개부(13)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되나, 파리나 모기 등의 해충은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오수가 거름판(10) 측으로 내려올 때 담배꽁초 등의 작은 이물질이 쓸려 내려오는 경우에도 오수는 절개부(13)를 통하여 배수구(1)의 내측 아래로 낙하되나, 담배꽁초 등의 작은 이물질은 절개부(13)를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판(10)의 상면에 얹혀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구덮개(8)의 배수구멍에 대응되는 거름판(10)의 상면에 담배꽁초 등의 작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이때는 배수구덮개(8)와 거름판(10)을 차례로 분리한 뒤에 이물질을 청소하고 재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배수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비가 내려서 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거름판(10)의 개폐면부(15)에 수압이 작용하게 되는데, 연결목부(14)의 탄성보다 수압이 큰 만큼 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목부(14)가 아래로 휘게 된다.
상기 연결목부(14)가 아래로 휘게 되면, 연결목부(14)와 연결된 개폐면부(15)가 하측으로 기울여지게 절개부(13) 안쪽의 공간이 열리면서 배수공간이 확대되어 다량의 물이 바로 배수되어 노면의 침수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다량의 물이 배수되고 배수량이 적어지면 개폐면부(15)에 작용하는 수압이 약화되게 되며, 본 발명에 의한 거름판(10)은 자체탄성을 지닌 합성수지판이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서 수압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여졌던 개폐면부(15)가 원위치로 수평하게 복귀되어 좁은 절개부(13)를 유지하여 소량은 물은 배수되고 이물질이 걸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위의 설명과는 반대로 배수로(1)를 통과하는 수량이 순간적으로 증대되는 경우에는 절개배수부(12)의 개폐면부(15)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상태가 발생할 수 있겠으나, 거름판(10)의 상면에는 두껍고 무거운 배수구덮개(8)가 거름판(10)을 누르고 있어서 개폐면부(15)가 상측으로 들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배수구덮개(8)의 배수구멍은 크고 거름판(10)에 형성된 절개배수부(12)는 작으면서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서, 배수구덮개(8)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대응하는 절개배수부(12)의 개폐면부(15)는 상측으로 열리면서 물이 역류할 수 있으나, 그렇게 역류되는 물의 량이 많지 않음에 따라 일부만 역류되게 된다.
이렇게 일부만 역류되므로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역류할 때 배수구덮개(8)가 열리면서 도로가 침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1 : 배수구 2 : 거름판 3 : 단턱
4 : 커버몸체 5 : 배수홀 6 : 표지부
7 : 그레이팅 7a : 배수구멍 8 : 배수구덮개
10 : 거름판 11 : 거름판본체 12 : 절개배수부
13 : 절개부 14 : 연결목부 15 : 개폐면부

Claims (1)

  1. 배수구(1)의 입구에 형성된 단턱(3)에 배수구(1) 측으로 투입되는 이물질을 막아줄 수 있도록 된 거름판(10)이 얹히게 설치되고, 그 상부에 배수구덮개(8)가 얹히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10)은 소정의 탄력을 지니는 합성수지판이나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거름판본체(11)에 다수의 절개배수부(12)를 절개 형성하되, 절개배수부(12)의 일부가 거름판본체(11)와 연결되게 개곡선 형태로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절개부(13)의 내측에 거름판본체(11)와 연결목부(14)로 연결되는 개폐면부(15)가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KR1020170051137A 2017-04-18 2017-04-18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Withdrawn KR20170049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37A KR20170049471A (ko) 2017-04-18 2017-04-18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137A KR20170049471A (ko) 2017-04-18 2017-04-18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471A true KR20170049471A (ko) 2017-05-10

Family

ID=5874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137A Withdrawn KR20170049471A (ko) 2017-04-18 2017-04-18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4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30A (ko) * 2017-11-08 2019-05-16 오규영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KR200494965Y1 (ko) 2021-04-20 2022-02-08 여종승 배수구 덮개용 탈부착이 용이한 거름망 결속장치
KR102582393B1 (ko) 2023-03-02 2023-09-26 주식회사 드레인필터 공공도로용 빗물받이 커버
KR102582396B1 (ko) 2023-02-06 2023-09-26 주식회사 드레인필터 민간영역의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CN118223583A (zh) * 2024-05-23 2024-06-21 三峡金沙江云川水电开发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调节污水颗粒度的集水井
KR20240123056A (ko) 2023-02-06 2024-08-13 김성욱 공공도로의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30A (ko) * 2017-11-08 2019-05-16 오규영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KR200494965Y1 (ko) 2021-04-20 2022-02-08 여종승 배수구 덮개용 탈부착이 용이한 거름망 결속장치
KR102582396B1 (ko) 2023-02-06 2023-09-26 주식회사 드레인필터 민간영역의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KR20240123056A (ko) 2023-02-06 2024-08-13 김성욱 공공도로의 배수구 그레이팅용 안전커버
KR102582393B1 (ko) 2023-03-02 2023-09-26 주식회사 드레인필터 공공도로용 빗물받이 커버
CN118223583A (zh) * 2024-05-23 2024-06-21 三峡金沙江云川水电开发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调节污水颗粒度的集水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471A (ko)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WO2009014370A2 (en) Waste collecting and deodorizing chamber for manhole
KR100964725B1 (ko) 이물질 끼임 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20080113514A (ko) 악취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물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460004Y1 (ko) 이물질 여과기능을 가진 세면대용 배수밸브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0737121B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102080382B1 (ko) 모래받이형 무타공 집수구
KR101736091B1 (ko) 빗물받이용 덮개 구조체
JP5213413B2 (ja)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KR20060118044A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JP5619200B2 (ja) ます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KR101540156B1 (ko) 이중드레인 구조의 스트레이너
KR20050081903A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160017801A (ko) 악취를 차단하는 우수받이 거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