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6969A -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969A
KR20170046969A KR1020150147255A KR20150147255A KR20170046969A KR 20170046969 A KR20170046969 A KR 20170046969A KR 1020150147255 A KR1020150147255 A KR 1020150147255A KR 20150147255 A KR20150147255 A KR 20150147255A KR 20170046969 A KR20170046969 A KR 2017004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pecific
user
control unit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주하
양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969A/ko
Priority to EP16000218.4A priority patent/EP3159773B1/en
Priority to US15/017,265 priority patent/US10013227B2/en
Priority to CN201610177109.1A priority patent/CN106612370B/zh
Publication of KR2017004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6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04M1/7258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으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수신 화면 상단에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추가 정보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전화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상 생활에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해서,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한 경우, 특정 상대방과 사용자 사이의 연락 히스토리 및 연락 횟수를 제공하였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곳의 장소 정보 및 날씨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도중에 전화를 수신한 경우, 전화를 받으면서 동시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가 어렵고, 애플리케이션을 일시 정지 후 전화를 수신하고, 전화 통화가 끝난 후, 다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수신 화면 상단에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길이에 따라 일반 전화 모드, 전화 거절 모드, 스피커 폰 모드 등과 같이 전화 수신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이메일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전화를 소정 시간 받지 않으면, 거절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수신 거절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는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캘린더와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자동으로 예약 정보를 입력하고, 통화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상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수신 화면 상단에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길이에 따라 일반 전화 모드, 전화 거절 모드, 스피커 폰 모드 등과 같이 전화 수신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이메일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화를 소정 시간 받지 않으면, 거절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수신 거절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캘린더와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자동으로 예약 정보를 입력하고,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화면을 내렸다고 올리면 전화 거절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신호를 수신할 때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제 2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좌우로 넘겨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제 2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신자가 메일을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 발신자와 수신자가 관련 메일을 참조할 수 있는 제 2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때 자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시 자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간략한 정보만을 확인하거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 내용 중 특정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자동으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전화를 받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바로 세우면, 카메라 프리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전화 번호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 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 번호 영역을 누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번호와 유사한 번호의 연락처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어부(18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 1 화면 및 제 2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8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180)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한다(S320).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한다(S330).
변경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40).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화면 길이가 특정 길이이면, 제 1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화면 길이를 확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 2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제 3 모드를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410)와 같이, 제어부(180)는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416) 위에 제 2 화면(412)을 디스플레이한다. 제 2 화면(412)은 수신한 호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한다.
제 2 화면(412)은 사용자와 특정 상대가 이용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한다. 여기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카카오 톡, 라인과 같은 SNS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제 2 화면(41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1 화면(416) 위에 제 2 화면(412)을 디스플레이한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414)은 사용자가 통화를 할 때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사용자로부터 통화 버튼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는 사용자의 드래그 길이에 따라 확장되고, 화면 길이에 따라 모드 상태가 변경된다.
제어부(180)는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이면, 제 1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화면 길이를 확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 2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제 3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제 1 모드는 일반 전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전화 거절 모드이고, 제 3 모드는 스피커폰 모드가 될 수 있다.
실시 예(510)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512)을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길이(10)는 소정 길이가 된다.
실시 예(520)와 같이, 제 2 화면(51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5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수신한 터치 입력(524)에 대응하여 제 2 화면(512)을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홀드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홀드 모드는 전화를 받는 상태가 아니고 전화를 끊은 상태가 아니며, 사용자가 대기하는 보류 상태인 모드를 말한다.
실시 예(530)와 같이, 제 2 화면(51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5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일반 수신 모드를 실행한다. 일반 수신 모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이다.
실시 예(540)와 같이, 제 2 화면(512)을 끝까지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최대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스피커 모드를 실행한다. 스피커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모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2 화면을 내렸다고 올리면 전화 거절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610)와 같이, 제 2 화면(61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61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620)와 같이, 소정 시간 이내에 제 2 화면(612)을 위로 올리는 터치 입력(6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화면 길이(10)는 터치 입력(624)에 따라 길어졌다가 짧아지게 된다.
실시 예(630)와 같이, 수신한 터치 입력(624)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전화 거절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전화 거절 모드는 수신한 호 신호에 대하여 응답하지 않고, 호 신호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 모드를 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화 중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모드가 변경된다.
실시 예(710)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터치 입력(712)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5 회가 될 수 있다.
실시 예(720)와 같이, 제 2 화면(722)을 위로 올리는 터치 입력(7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722)을 계속하여 위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홀드 모드를 실행한다. 여기서, 홀드 모드는 수신한 호 신호에 대하여 응답하거나 호 신호를 차단하지 않고 보류하는 상태인 모드를 말한다.
실시 예(730)와 같이, 제 2 화면(722)을 위로 올리는 터치 입력(7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일반 수신 모드를 실행한다.
실시 예(740)와 같이, 제 2 화면(722)을 끝까지 위로 올리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최대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스피커 모드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 신호를 수신할 때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고, 특정 방향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810)와 같이,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812)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된 터치 입력(812)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준비를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으면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고, 사용 횟수는 기준값 5회 이상이다.
실시 예(820)와 같이, 현재 화면인 제 1 화면을 위로 올리는 터치 입력(8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변경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제 2 화면(822)을 제 1 화면 위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화면(822)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을 말한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계산기, 음성 수신기, 캘린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실시 예(830)와 같이, 제 2 화면(832)의 특정 영역을 터치 하는 터치 입력(8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 2 화면(832)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말한다.
실시 예(840)와 같이, 제 2 화면(842)을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84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메모장인 경우, 제 2 화면(842)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84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을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길이에 따라 전화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910)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912)을 사용자의 터치 입력(914)에 따라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화면(912)은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일 내용을 포함한다. 화면 길이(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가변 된다.
실시 예(920)와 같이, 제 2 화면(92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9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922)을 계속하여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홀드 모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 길이는 5 cm 가 될 수 있다.
실시 예(930)와 같이, 제 2 화면(93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9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일반 수신 모드를 실행한다.
실시 예(940)와 같이, 제 2 화면(942)을 끝까지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최대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스피커 모드를 실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 수신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제 2화면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1010)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전화 수신 아이콘(1012)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1016)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1014)을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화면(1014)은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메일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수신 아이콘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제 2 화면을 드래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면, 일반 전화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화면 길이를 확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전화 거절 모드를 실행하고,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실행한다.
실시 예(1110)와 같이, SNS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1112)을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화면(1112)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특정 메시지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화면(1112)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1114)에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1114)에 따라 화면 길이(10)도 변하게 된다.
실시 예(1120)와 같이, 제 2 화면(1122)을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11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1122)을 계속하여 아랫쪽 방향(downward)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홀드 모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 길이는 5 cm 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130)와 같이, 제 2 화면(1132)을 끝까지 아래로 내리는 터치 입력(11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화면 길이(10)가 최대 길이이면, 제어부(180)는 SNS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화면을 좌우로 넘겨서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제 2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제 2 화면의 특정 영역을 터치 하는 입력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특정 영역과 관련된 리스트를 제 2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210)와 같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 2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121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220)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메일 애플리케이션(1212)에서 특정 SNS 애플리케이션(1222)으로 변경한다.
실시 예(1230)와 같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메일 제목과 같은 제 2 화면(1232)의 특정 영역을 소정 시간 누르는(push) 터치 입력(12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240)와 같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제 2 화면의 특정 영역과 관련된 리스트(1242)를 디스플레이힌다.
예를 들어, 제 2 화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특정 영역과 관련된 리스트는 특정 메일의 발신인으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리스트를 의미한다.
오 과장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한 경우, 실시 예(1230)와 같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입력(12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실시 예(1240)와 같이, 오 과장이 발송한 이메일 리스트(1242)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신자가 메일을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 때, 발신자와 수신자가 관련 메일을 참조할 수 있는 제 2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텍스트와 관련된 제 2 화면을 제 1 화면 위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오 과장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일을 장 사원에게 전송하고, 장 사원에게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화를 할 때, 자신이 보낸 텍스트 메일을 보면서 장 사원과 통화하는 것이다.
실시 예(1310)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텍스트 메일(1312)을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아래쪽 방향의 터치 입력(131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텍스트 메일(1312)을 펼쳐서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320)와 같이,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할 때 발신자의 화면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제 2 화면(1322)을 디스플레이한다.
제 2 화면(1322)을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13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330)와 같이, 수신된 터치 입력(1324)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제 2 화면(1332)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제 1 내용에서 제 2 내용으로 변경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보낸 다른 이메일을 제 2 화면(1332)에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340)와 같이, 수신자가 발신자로부터 전화를 받으면, 즉,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면, 수신자의 화면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제 2 화면(1342)에 디스플레이한다. 제 2 화면(1342)을 아래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134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수신한 제 2 화면(1342)의 내용을 펼쳐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발신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메일을 보내고, 수신자에게 전화하면, 수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신자가 보낸 메일이 제 2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이메일을 보내고 수신자에게 전화를 하면, 발신자의 화면과 수신자의 화면에 동시에 동일한 이메일 내용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발신자와 수신자는 동일한 이메일 내용을 보고 통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할 때 자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전화를 수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때,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면, 저장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180)는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이를 저장하는 폴더(1412)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141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복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1416)을 동시에 실행한다.
제어부(180)는 특정 방향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410)와 같이, 음식점에서는 외부 손님으로부터 예약 문의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문의 전화의 내용은 예, 아웃백입니다. 9월 17일 성인 4명이요 네~ 예약 가능합니다. 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때,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70)에 저장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5 회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420)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1422)을 실행한다.
실시 예(1430)와 같이, 음식점에서는 외부 손님으로부터 예약 문의 전화를 받고 다음과 같이 답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장백기 이름으로 오후 4시부터 예약해 드렸습니다. 와 같이 답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른쪽 방향의 터치 입력(14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440)와 같이, 수신한 터치 입력(1434)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일정 애플리케이션(1432)과 상이한 메시지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화면(1442)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얼굴을 떼면, 일반 수신 모드에서 스피커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이내에 조도 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한 밝기 증가량이 80 lux와 같은 기준값 이상이면, 스피커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통화를 하기 위하여 얼굴을 가까이하면, 조도 센서가 빛을 감지하기 어려우므로, 빛의 밝기가 어둡다. 사용자가 다른 이유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얼굴을 떼면, 조도 센서가 빛을 감지하기 쉬우므로 밝기 증가량이 갑자기 증가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시 자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간략한 정보만을 확인하거나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면 길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길이를 상이하게 조절한다.
실시 예(1510)와 같이, 음식점에서는 외부 손님으로부터 예약 문의 전화를 자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때,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호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터치 입력(1512)에 대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5 회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520)와 같이,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8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금일 예약 현황(15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 모드는 홀드 모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길이는 5 cm 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530)와 같이,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10)가 소정 길이인 경우, 제어부(18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길이를 조절하여 주단위 예약 현황(153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 모드는 일반 수신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540)와 같이, 화면 길이(10)가 전체 화면 길이인 경우, 제어부(180)는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길이를 조절하여 월단위 예약 현황(154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 모드는 스피커 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화를 받을 때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전화를 받으면서,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서, 오늘 예약 현황 같은 간략한 정보만을 확인하거나, 전체 예약 현황 같은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 내용 중 특정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음성을 인식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 메시지 박스에 입력한다.
실시 예(1610)와 같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161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음성을 인식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Q-voice 애플리케이션(1612)을 실행하고,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620)와 같이, Q-voice 애플리케이션(1624)을 이용하여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예, 아웃백입니다. 9월 17일 성인 4명이요? 네~ 예약 가능합니다. 네, 장백기 이름으로 오후 4시부터 예약해 드렸습니다. 라는 음성에서, 제어부(180)는 9월 17일, 장백기, 성인 4명, 오후 4시 라는 단어를 추출한다.
제어부(180)는 추출한 특정 단어로부터 내용을 인식하여 관련된 캘린더 애플리케이션(1622)을 실행한다.
실시 예(1630)와 같이, 제어부(180)는 추출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1632)를 입력 메시지 박스에 자동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장백기, 성인 4명, 2015년 9월 17일 목요일 16시등을 포함하는 텍스트(1632)를 입력 메시지 박스에 입력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자동으로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수신하면, 특정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박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시지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특정 메시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70)로부터 수신자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신자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와 특정 메시지인 제 1 특정 메시지를 기초로 특정 텍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 2 특정 메시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실시 예(1710)와 같이, 카카오 톡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15 초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720)와 같이, 수신한 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을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거절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박스(1722)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거절 메시지 내용은 1)통화를 할 수 없으니, 문자를 보내주세요, 2)회의 중이니, 잠시 후 연락 드리겠습니다, 3) 잠시 후 연락드리겠습니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1730)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회의 중이니, 잠시 후, 연락 드리겠습니다 와 같은 특정 메시지(1732)를 현재 위치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위치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173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실시 예(1740)와 같이, 특정 메시지를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이동하고 전송 아이콘 터치 입력(174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1742)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자에 따라 다르게 메시지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수신자가 사용자와 친밀한 관계의 사람인 경우에는 정중하고 형식적인 높임말보다 낮춤말을 사용할 수 있다. 친밀한 관계의 여부는 우선 순위를 기초로 판단한다. 우선 순위는 1, 2 가 될 수 있다. 우선 순위가 2 인 경우,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사용자와 친밀한 관계이다. 우선 순위가 1 인 경우, 우선 순위가 낮으므로 사용자와 친한 관계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 예(1730)와 같이, 수신자가 사용자와 친하지 않는 경우, 문자 메시지(1732)는 회의 중이니, 잠시 후 연락 드리겠습니다. 와 같이 정중한 메시지 내용을 포함한다.
실시 예(1740)와 같이, 수신자가 사용자와 친한 경우, 문자 메시지(1742)는 회의 중이야. 이따 연락할께. ^^ 와 같이 친근한 메시지 내용과 이모티콘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로부터 수신자 전화 번호인 010 - 1588 - 5670, 안영이 사원을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신자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제어부(180)는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2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판단하여 사용자 장그래 사원과 안영이 사원은 친한 관계로 판단하고, 우선 순위를 2로 결정한다.
제어부(180)는 결정된 우선 순위 2 와 특정 메시지인 제 1 특정 메시지인 회의 중이니, 잠시 후 연락 드리겠습니다 를 기초로 제 2 특정 메시지인 회의 중이야. 이따 연락할께. ^^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특정 메시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전화를 받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바로 세우면, 카메라 프리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상단과 하단을 통과하는 직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내이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프리뷰 영상이란 사진이 촬영되기 전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말한다. 사용자는 프리뷰 영상을 보며 촬영 구도 및 포커스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1810)와 같이, 제어부(180)는 15 초와 같은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카메라(121b)의 상단과 하단을 통과하는 직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80 도 내지 120 도와 같은 소정 각도 이내이면, 실시 예(1820)와 같이, 프리뷰 영상(1822)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820)와 같이, 카메라(121b)는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1824)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한다.
실시 예(1830)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1832)를 이용하여 촬영된 전방 이미지(1834)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메모리(170)에 저장한다.
여기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카카오톡, 라인, 트위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를 소정 시간 받지 않으면, 거절 메시지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수업, 회의, 운전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텍스트 메시지 대신 그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특정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화 상대방은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인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전화 번호의 외부 디바이스와 통화 종료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전화 번호 영역을 누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번호와 유사한 번호의 연락처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제 1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호 신호와 관련된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호 신호와의 통신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호 신호와 관련된 특정 번호로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실시 예(1910)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화면의 특정 영역(1912)에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호 신호와 관련된 리스트(1914)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3 초가 될 수 있다.
실시 예(1920)와 같이, 호 신호와의 통신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호 신호와 관련된 특정 번호 010 - 2033 - 7126 로 저장할 수 있는 화면(1922)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3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방이 연락처를 변경했는데 사용자가 잘 모른 경우, 특정 전화 번호의 일부 영역을 누르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그 번호를 기준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유사 번호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대방과 통화가 종료되고, 상대방이랑 통화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대방이 연락처를 변경했다고 판단하고 유사 번호를 특정 전화 번호로 연락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이 연락처를 변경한 경우에도, 기존 연락처에서 변경된 번호로 연락처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수신 화면 상단에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길이에 따라 일반 전화 모드, 전화 거절 모드, 스피커 폰 모드 등과 같이 전화 수신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이메일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이메일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하면서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화를 소정 시간 받지 않으면, 거절 메시지를 자동으로 발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향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수신 거절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때, 통화와 동시에 캘린더와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특정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자동으로 예약 정보를 입력하고, 통화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무선 통신부
151: 디스플레이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상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 및 상기 제 2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길이가 특정 길이이면, 제 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면 길이를 확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 2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제 3 모드를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일반 전화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전화 거절 모드이고, 상기 제 3 모드는 스피커폰 모드인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면, 일반 전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면 길이를 확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전화 거절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화면의 특정 영역을 터치 하는 입력을 소정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특정 영역과 관련된 리스트를 제 2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호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때, 상기 텍스트와 관련된 제 2 화면을 상기 제 1 화면 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때,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호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면, 저장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이를 저장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폴더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복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이내에 조도 센서에서 감지한 밝기 증가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스피커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방향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게이션인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길이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을 인식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한 상기 음성으로부터 특정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 메시지 박스에 입력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수신하면, 특정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박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메시지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특정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상기 특정 메시지를 드래그 앤 드랍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수신자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수신자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와 상기 특정 메시지인 제 1 특정 메시지를 기초로 제 2 특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 2 특정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메시지 내용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상단과 하단을 통과하는 직선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내이면, 프리뷰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을 실행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카메라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이미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호 신호와 관련된 리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호 신호와의 통신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호 신호와 관련된 특정 번호로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
  19.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호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내용을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현재 화면을 나타내는 제 1 화면 위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화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의 화면 길이에 따라 특정 모드를 다르게 실행하는 것은,
    상기 화면 길이가 특정 길이이면, 제 1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특정 길이만큼 확장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면 길이를 확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터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제 2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화면 길이를 최대로 확장하면, 제 3 모드를 실행하는 것
    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50147255A 2015-10-22 2015-10-22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ithdrawn KR2017004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55A KR20170046969A (ko) 2015-10-22 2015-10-22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6000218.4A EP3159773B1 (en) 2015-10-22 2016-01-29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5/017,265 US10013227B2 (en) 2015-10-22 2016-02-05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201610177109.1A CN106612370B (zh) 2015-10-22 2016-03-25 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255A KR20170046969A (ko) 2015-10-22 2015-10-22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69A true KR20170046969A (ko) 2017-05-04

Family

ID=5530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55A Withdrawn KR20170046969A (ko) 2015-10-22 2015-10-22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3227B2 (ko)
EP (1) EP3159773B1 (ko)
KR (1) KR20170046969A (ko)
CN (1) CN10661237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1963A1 (ko) * 2023-08-18 202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2340721B2 (en) 2023-08-18 2025-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5340B2 (en) * 2014-06-12 2017-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with linked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WO2019111515A1 (ja) * 2017-12-08 2019-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US11966578B2 (en) 2018-06-03 2024-04-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video with user interface navigation
CN109240572B (zh) * 2018-07-20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图片的方法、对图片进行处理的方法及装置
CN110855823B (zh) * 2019-10-23 2020-12-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通话终端、受话模式选择方法及计算机设备
WO2021137233A1 (en) * 2019-12-31 2021-07-08 Pick Up Mobile (2015) Ltd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rich contacts for pre-phonecall communication
US11800001B2 (en) 2020-06-19 2023-10-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resenting indications of incoming calls
CN112130791B (zh) * 2020-09-10 2023-08-18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多屏间信息编辑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4682A1 (en) * 2005-09-16 2007-03-22 Jennifer Ada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voice-over internet protocol phone lines in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7480870B2 (en) * 2005-12-23 2009-01-20 Apple Inc. Indication of progress towards satisfaction of a user input condition
US7975242B2 (en) * 2007-01-07 2011-07-0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erence calling
US9152309B1 (en) * 2008-03-28 2015-10-06 Google Inc. Touch screen locking and unlocking
TWI407763B (zh) * 2008-05-13 2013-09-01 Htc Corp 電子裝置、接通與拒絕通話方法及數位資料儲存媒體
CN101651735A (zh) * 2008-08-15 2010-02-17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移动通讯装置及声音切换方法
KR101510484B1 (ko) * 2009-03-31 201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EP2354914A1 (en) *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5385B1 (ko) * 2010-10-15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89838B1 (ko) * 2011-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238287B (zh) * 2011-08-05 2014-04-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和根据环境数据进行显示的方法
EP2632134B1 (en) * 2012-02-27 2016-04-2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ocessing incoming calls
US20130222268A1 (en) * 2012-02-27 2013-08-29 Research In Motion Tat Ab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ocessing Incoming Calls
CN103369125A (zh) * 2012-04-10 2013-10-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触屏手机的快速拨号方法和装置
CN103488525A (zh) * 2012-06-08 2014-01-01 诺基亚公司 确定与情景相关的用户偏好
US8928724B2 (en) * 2012-08-31 2015-01-06 Microsoft Corporation Unified user experience for mobile calls
CN103685689B (zh) * 2012-09-10 2017-09-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来电界面操作方法和移动终端
US9225850B2 (en) * 2012-12-18 2015-12-29 Acer Incorporate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40189584A1 (en) * 2012-12-27 2014-07-03 Compal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891815B2 (en) * 2013-02-21 2018-02-13 Kyocera Corporation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three display areas
KR20140139377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경정보를 이용한 화면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43971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50007910A (ko) *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31588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US9111076B2 (en) * 2013-11-20 2015-08-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03473B1 (ko) * 2013-12-13 2021-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124482B1 (ko) * 2014-01-16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227166A1 (en) * 2014-02-13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WO2015132622A1 (en) * 2014-03-02 2015-09-11 Onesnaps Technology Private Limited Single mode & automatically visual media capture and excuting associate functions(s)
US9838528B2 (en) * 2014-07-21 2017-12-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oice and video calling over long term evolution-based user interface
EP4050467A1 (en) *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41963A1 (ko) * 2023-08-18 202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2340721B2 (en) 2023-08-18 2025-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9773A2 (en) 2017-04-26
CN106612370A (zh) 2017-05-03
EP3159773B1 (en) 2019-04-03
CN106612370B (zh) 2021-04-23
EP3159773A3 (en) 2017-07-26
US20170115943A1 (en) 2017-04-27
US10013227B2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6969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1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23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04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497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43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586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28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09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3197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9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4901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67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2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586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81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927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1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6408A (ko) 전자 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76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20689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373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8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