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133A -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5133A KR20170045133A KR1020160133661A KR20160133661A KR20170045133A KR 20170045133 A KR20170045133 A KR 20170045133A KR 1020160133661 A KR1020160133661 A KR 1020160133661A KR 20160133661 A KR20160133661 A KR 20160133661A KR 20170045133 A KR20170045133 A KR 20170045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compartment
- companion
- receiving structure
- guide
- prof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1.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
2.1 상기 보호 장치는, 치수상으로 안정된 수용 구조체를 구비하고, 권취 샤프트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권취 샤프트상에서 유연성 평탄 구조체가 감길 수 있고 풀릴 수 있게 유지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에는 풀림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면 단부 영역상에 치수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pull-out profile)이 제공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는 대향하는 면 측부들 각각에서 개별의 동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별의 동반부는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트랙의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섹션에서의 선형 움직임을 위해 안내된다.
2.2.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구조체는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각각의 안내 트랙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변위 섹션 및 편향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트랙을 따라서 동반부가 편향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수용 구조체는 결합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 장치에 의하여 수용 구조체는 동반부의 위치에 응답하여 동반부와 함께 높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2.3 화물 구획부를 덮기 위한 승용 차량에서의 사용이 개시된다.
2.1 상기 보호 장치는, 치수상으로 안정된 수용 구조체를 구비하고, 권취 샤프트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권취 샤프트상에서 유연성 평탄 구조체가 감길 수 있고 풀릴 수 있게 유지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에는 풀림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면 단부 영역상에 치수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pull-out profile)이 제공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는 대향하는 면 측부들 각각에서 개별의 동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별의 동반부는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트랙의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섹션에서의 선형 움직임을 위해 안내된다.
2.2.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구조체는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각각의 안내 트랙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변위 섹션 및 편향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트랙을 따라서 동반부가 편향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수용 구조체는 결합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 장치에 의하여 수용 구조체는 동반부의 위치에 응답하여 동반부와 함께 높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2.3 화물 구획부를 덮기 위한 승용 차량에서의 사용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5 220 192.9 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치수적으로 안정된 수용 구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를 위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 평탄 구조체가 감길 수 있거나 회전 가능하게 풀릴 수 있도록 유지되는 권취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평탄 구조체에는 면 단부 영역에 치수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이 제공되고, 상기 당김 프로파일은 대향하는 면 측부들 각각에서 개별의 동반부에 연결되고, 상기 동반부는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트랙의, 화물 구획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섹션에서의 선형 움직임을 위해 안내된다.
승용 차량의 화물 구획부를 위한 화물 구획부 덮개 형태인 보호 장치는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4 211 163 A1 에 개시되어 있다. 화물 구획부 덮개는 카트리지 하우징을 가지는데, 여기에 권취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상에 유연성 덮개 직물이 감길 수 있고 풀릴 수 있게 유지되며, 감겨진 휴지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 안에 집어 넣어진다. 당겨진 보호 위치에서, 덮개 직물은 승용 차량의 후방 부분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당겨진다. 덮개 직물은 당김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면 단부 영역(face end region) 상에 치수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pull-out profile)을 가지며, 상기 당김 프로파일은 당김 기능 위치에서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홀더(holder)에 걸릴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기능 상태와 휴지 위치(rest position)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기능 상태에서는 덮개 직물이 후방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당겨질 수 있고, 휴지 위치에서는 카트리지 하우징이 화물 구획부 바닥으로 내려진다. 카트리지 하우징의 기능 상태에서, 덮개 직물은 수동적으로 당겨지고,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홀더에 걸리고, 상응하게 역전된 방식으로 카트리지 하우징 안의 감겨진 휴지 위치로 수동적으로 복귀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권취 샤프트는 기계적인 복귀 스프링과 관련된다.
유럽 특허 EP 1 084 907 B1 은 승용 차량의 화물 구획부 덮개를 개시하는데, 여기에서 덮개 직물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은 직물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상의 측방향 안내 레일들에서 안내된다. 당김 프로파일의 각각의 면 측부는 길이 방향의 이동을 위하여 안내 레일에서 안내되는 개별의 동반부(entrainer)에 보유된다. 동반부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구동 케이블들이 제공되어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방식으로 안내 레일들 안에서 변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 또는 차량 승객을 위한 우수한 편리성 및 향상된 기능성을 가지는, 서두에서 언급된 유형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수용 구조체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고, 각각의 안내 트랙이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연장된 변위 섹션 및 편향 부분을 구비하고, 그것을 따라서 동반부가 수직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고 편향될 수 있으며, 수용 구조체는 결합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결합 장치에 의하여 수용 구조체가 동반부의 위치에 응답하여 동반부와 함께 높이 방향에서 변위 가능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감김 상태에서 유연성 평탄 구조체 및 권취 샤프트를 위한 "수용 구조체(accomodation structure)"가 의미하는 것은 적어도 대부분 폐쇄된 하우징이거나 또는 개방된 박스 유형 프레임이거나, 또는 유사한 디자인의 치수적으로 안정된 프로파일 구조체(dimensionally stable profile structure)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에 의하여, 바람직스럽게는 카트리지 하우징인 수용 구조체는 사용되지 않을 때 화물 구획부 바닥으로 내려질 수 있어서, 화물 구조체의 공간 상태는 수용 구조체의 잠겨진 휴지 위치에서 수용 구조체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의 완전 자동 작동이 제공될 수 있는데, 구동부를 사용함으로써 수용 구조체의 수직 변위 및 당김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측부상의 동반부들의 변위 모두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 동반부들이 수용 구조체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의 영역을 지나서 움직이면, 동반부들의 움직임이 자동적으로 수용 구조체의 대응하는 수직 변위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승용 차량을 위한 화물 구획부 덮개로서 보호 장치의 구성에 적절한 특정의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트럭 또는 픽업 차량의 적재 플랫폼을 덮도록 유사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는 궤도 차량의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된 화물 구획부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 장치는 당김 프로파일을 위한 포착 링크(catch link)를 구비하는데, 당김 프로파일은 동반부의 위치에 응답하여 넣어진다. 포착 링크가 바람직스럽게는 수용 구조체상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개별의 포착 링크가 당김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에 인접하여 각각의 면 측부상에 제공되며, 여기에서 대향하는 포착 링크들은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2 개의 포착 링크들이 수용 구조체의 측방향 부분들 안에 통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스러우며, 상기 부분들이 바람직스럽게는 수용 구조체의 수직 변위를 위한 안내 운반부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 장치는 수용 구조체를 기능 상태에 고정시키도록 잠금 장치를 구비한다. 잠금 장치가 바람직스럽게는 기계적인 디자인을 가진다. 그에 의해 의미되는 것은 잠금이 기계적인 상호 맞물림 부재들, 부분들 또는 섹션들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대안으로서, 자석 수단 또는 전자기 수단에 의한 잠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동반부의 궤적에 결합된 제어 장치와 관련됨으로써, 평탄 구조체가 권취 샤프트에 적어도 대부분 완전하게 감겨지는 영역에서 동반부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잠금 장치가 해제 가능하다. 제어 장치가 바람직스럽게는 기계적인 디자인을 가진다. 그러나, 이것은 전기 작용, 유압 작용 또는 공압 작용에 의하여 잠금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도 있다. 당김 프로파일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을 동반시키는 동반부들은, 평탄 구조체가 권취 샤프트상으로 적어도 대부분 완전하게 감길 때, 필연적으로 수용 구조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즉, 당김 구조체는 수용 구조체에 바로 인접되게 위치될 정도로 충분히 멀리에 수용 구조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철회된다. 당김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면 측부들은 다음에 포착 링크 안으로 넣어지고, 동시에 동반부들은 필연적으로 개별 안내 트랙의 편향 부분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포착 링크는 권취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며, 적어도 대부분 동반부를 위한 안내 섹션에 평행하게 지향된다. 개별의 동반부를 위한 개별의 안내 섹션은, 화물 구획부 덮개로서의 보호 장치의 구현예를 가진, 개별 안내 트랙의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영역은 화물 구획부의 개별 측방향 벽에 인접하여 대략 수평으로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포착 링크는 수용 구조체에 통합된다. 바람직스럽게는, 2 개의 동일한 포착 링크들이 수용 구조체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상에 제공되고, 수용 구조체의 측방향 부분들의 섹션들로서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잠금 장치의 래치트와 함께 작용하는 크랭크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래치트는 수용 구조체를 형태 맞춤 방식(form fitting manner)으로 기능 상태에서 고정시킨다. 크랭크 메커니즘이 바람직스럽게는 개별의 동반부를 위한 안내 트랙의 개별적인 편향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일단 동반부가 편향 부분에 진입하면, 크랭크 메커니즘의 강제된 작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랭크 메커니즘은 편향 부분에서 개별의 동반부의 궤적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를 구비한다. 래치트를 해제시킴으로써, 수용 구조체는 해제되어, 수용 구조체는 상부의 기능 상태로부터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아래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 구조체는,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경로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각각의 면 측부상에서 안내되며, 상기 경로는 개별의 동반부에 대한 변위 섹션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안내 트랙의 개별 변위 섹션에서 대향되는 동반부를 내리는 것과 함께, 수용 구조체는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위로 또는 아래로 동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동반부는 당김 프로파일의 면 측부의 해제 가능한 동반(releasable entrainment)을 위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화물 구획부내의 장애물에 대한 당김 프로파일의 우발적인 충격의 경우에 손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안내 트랙의 수직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동기화된 방식으로 동반부들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구동 시스템이 제공되며 구동 시스템은 각각의 동반부에 대한 유연성 구동 케이블을 구비한다. 구동 시스템이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전기 구동 모터는 적절한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2 개의 유연성 구동 케이블들을 구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트랙의 변위 섹션과 포착 링크(catch link)의 상호 교차가 존재한다. 그에 의하여, 동반부들 및, 결과적으로 당김 프로파일들의 면 측부들이 안내 트랙들의 편향 부분에 있는 변위 섹션들의 방향에서 아래로 편향되고 상기 변위 섹션들에서 변위되자마자, 대향하는 면 측부들을 가진 당김 프로파일은 형태 맞춤 방식으로 수용 구조체의 포착 링크들 안에 강제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용 구조체의 면 측부를 위한 안내 경로 및 개별의 동반부를 위한 변위 섹션은 공통적인 프로파일 레일 구성체(common profile rail arrangement)에 통합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수용 구조체가 화물 구획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평탄 구조체가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에서 추출 가능한 경우에, 안내 경로 및 변위 섹션은, 화물 구획부의 횡방향에서 보이는 바로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 및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상이한 기능 위치들에서 승용 차량의 화물 구획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의 실시예를 구비하는 승용 차량의 차량 내부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상이한 기능 위치들에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일부에 대한 섹션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6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보호 장치의 부분들이 생략된 도 7 에 따른 기능 위치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4 는 화물 구획부 안의 상이한 기능 위치들에서 도 1 내지 도 8 에 따른 보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 는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일부의 확대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 은 도 1 내지 도 15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카트리지 하우징의 면 단부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 은 도 16 에 따른 부분을 다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 은 상이한 기능 위치들에서 도 1 내지 도 3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일부에 대한 섹션의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6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보호 장치의 부분들이 생략된 도 7 에 따른 기능 위치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4 는 화물 구획부 안의 상이한 기능 위치들에서 도 1 내지 도 8 에 따른 보호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 는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일부의 확대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 은 도 1 내지 도 15 에 따른 보호 장치의 카트리지 하우징의 면 단부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 은 도 16 에 따른 부분을 다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따르면, 승용 차량은 후방 섹션에 화물 구획부(2)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1)를 가진다. 화물 구획부(2)는 차량 내부의 개별적인 측방향 벽(3)에 의해 대향하는 길이 방향 측부들 각각에서 제한된다. 후방을 향하여, 상기 화물 구획부(2)는 후방 뚜껑 또는 후방 도어에 의해 제한되며, 이것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전방을 향하여, 상기 화물 구획부(2)는 차량 벨트라인(beltline)의 높이까지 후방 좌석 벤치의 등받이 구성체(5)에 의해 제한된다. 화물 구획부(2)는 화물 구획부 바닥(4)을 가지는데, 여기에는 등받이 구성체(5)의 바로 뒤에 요부(7)가 제공되며, 상기 요부는 덮개(미도시)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화물 구획부(2)를 위한 보호 장치의 수용 구조체로서 사용되는 카트리지 하우징(6)이 상기 요부(7) 안으로 내려질 수 있도록 상기 요부(7)가 설계된다. 바람직스럽게는, 내려진 휴지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6)의 상부측은 화물 구획부 바닥(4)의 상부측과 동일한 높이가 되고, 상기 휴지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6)은 요부(7)를 완전하게, 적어도 대부분 점유한다. 도 1 에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 때문에, 이러한 특징은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카트리지 하우징(6)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화물 구획부(2)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카트리지 하우징(6)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에서 변위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3 에 따라서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작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에 의하여, 도 1 에 따른 하부 휴지 위치와 상부 기능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 하우징(6) 안에는 권취 샤프트(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권취 샤프트(8)상에서, 덮개 직물 형태의 유연성 평탄 구조체(F)는 감길 수 있고 풀릴 수 있도록 유지된다.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기능 위치에서, 평탄 구조체(F) 는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길이 방향 슬롯(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화물 구획부(2)의 길이 방향에서 차량 후방 섹션을 향해 대략 수평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어서 화물 구획부(2)를 덮으며, 그에 의하여 밖으로부터 화물 구획부(2) 안으로의 시야를 가린다. 권취 샤프트(8)는 복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볼류트 스프링(volute spring)과 관련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권취 샤프트(8)상에 감는 방향으로 영구적인 토크를 가한다. 평탄 구조체(F)는 당김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면 단부 영역(face end region)에 치수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pull out profile, 9)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은 평탄 구조체(F)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대향하는 면 측부들 각각에서 화물 구획부(2)의 개별적인 측방향 벽(3)에 인접한 개별의 안내 트랙(10 내지 12)으로 돌출한다.
도 1 내지 도 14 를 참조하면, 안내 트랙은, 2 개의 대향하는 측방향 벽(3)들 각각에 인접하여, 화물 구획부(2)의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위 섹션(10), 상부에서 변위 섹션(10)에 접하는 편향 부분(11) 및, 화물 구획부(12)의 길이 방향에서 차량 후방 섹션을 향하여 편향 부분(11)과 접하는 안내 섹션(12)을 포함하는 것이 명백하다. 변위 섹션(10), 편향 섹션(11) 및 안내 섹션(12)은 정렬되고 서로 통과되며, 편향 섹션은 원호의 형상 또는 원호의 형태로 디자인된다. 개별적인 안내 트랙의 안내 섹션(12)은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수평 후방으로 차량 후방 섹션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섹션들이 제공된 안내 트랙은 화물 구획부(2)의 각각의 측방향 벽(3)에 인접한 승용 차량의 차량 차체의 지지 구조의 대응하는 섹션들에 고정되고, 따라서 화물 구획부(2) 안에 정지 상태로 배치된다. 대향하는 측방향 벽(3)들에 인접한 개별적인 안내 트랙은 프로파일 레일 구성체(profile rail arrangement)에 의하여 각각 제공되는데, 상기 프로파일 레일 구성체가 금속으로 제작되고, 바람직스럽게는 가벼운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그것의 디자인은 도 7, 도 8, 도 15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명백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별의 프로파일 레일 구성체가 유리하게는 개별적인 측방향 벽(3)의 대응하는 측부 라이닝(side lining)의 뒤에 배치됨으로써, 카트리지 하우징(6)의 안내 또는 당김 프로파일(9)의 안내와 관련된, 보호 장치의 대응하는 기능 부분들이 대응하는 측부 라이닝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감춰진다.
당김 프로파일(9)은 대향하는 면 측부들상의 대향하는 측방향 벽(3)들의 개별적인 안내 트랙(10 내지 12)들로 돌출되는데, 이는 2개의 안내 트랙들을 따라서 2 개의 안내 트랙들 안에서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당김 프로파일(9)의 2 개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의 동기화된 변위를 위하여, 개별의 동반부(entrainer, 14)가 안내 트랙(10 내지 12)들 각각에 배치되는데, 상기 동반부는 개별의 안내 트랙(10 내지 12) 안에서 선형의 움직임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개별의 동반부(14)는 당김 프로파일(9)의 대응하는 면 단부를 형상 맞춤 방식(form-fitting manner)으로 수용한다. 실제로, 특히 화물 구획부내에 위치하는 장애물에 기인하여, 당김 프로파일(9)의 변위 움직임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심한 변형(strain)의 경우에, 당김 프로파일(9)이 동반부(14)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각각의 동반부(14)가 구성된다. 이것은 과도한 힘을 억제하는데, 상기 과도한 힘은 당김 프로파일(9)상에 작용할 수 있어서 당김 프로파일(9) 또는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2 개의 동반부(14)들은 개별의 구동 케이블(A)에 의하여 개별의 안내 트랙 안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개별의 구동 케이블(A)은 도 9, 도 11 및 도 13 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2 개의 구동 케이블(A)들은 유연성 있는 나사 샤프트(flexible thread shaft)로서 구현되며, 이것은 플렉스샤프트(flexshaft)로서 지칭되기도 한다. 2 개의 구동 케이블(A)은 구동 시스템의 일부이며, 이것은 대응하는 워웜 기어(worm gear)를 통해 동기화된 방식으로 구동 케이블(A)들을 구동하는 전기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케이블(A)들은 인장(tension) 및 압축(compression)에서 단단하도록 구성되고 유연성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은 만곡된 형상으로 각각의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편향 부분(11)을 통과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6)의 대향하는 면 측부들에 인접하여, 개별의 안내 운반부(16)는 카트리지 하우징(6)에 고정되는데, 상기 운반부는 화물 구획부(2)의 수직 방향에서 안내 트랙(10,11,12)의 변위 섹션(10)과 평행한 프로파일 레일 구성체의 대응 레일 섹션 안에서의 미끄럼 움직임을 위해 안내된다. 개별의 안내 운반부(16)는 카트리지 하우징(6)의 개별적인 측방향 부분을 제공하고, 카트리지 하우징(6)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안내 카트리지(16)는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길이 방향 슬롯의 레벨에서 포착 링크(catch link, 13)를 포함하는데, 상기 링크는 당김 프로파일(6)의 관련된 면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평탄 구조체(F)가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에서 대략 수평으로 후방을 향하여 추출될 수 있는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기능 위치에서, 카트리지 하우징(6)의 각각의 안내 운반부(16)의 슬롯 형태 포착 링크(13)는 각각의 측방향 벽(3)의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안내 섹션(12)과 정렬된다.
그에 의하여, 카트리지 하우징(6) 안에 있는 권취 샤프트(8)로 평탄 구조체(F)를 감는 동안, 당김 프로파일(9)은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길이 방향 슬롯으로 넣어질 수 있고, 따라서, 안내 운반부(16)의 2 개의 포착 링크(13) 안으로도 넣어질 수 있는데, 포착 링크는 차량 후방 섹션을 향하여 뒤로 개방되며, 안내 운반부는 카트리지 하우징(6)의 측방향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 하우징(6)은 2 개의 결합 장치(15)들의 일부인 2 개의 잠금 장치들에 의하여 도 2 및 도 3 에 따른 기능 위치에서 고정된다. 각각의 결합 장치(15)는 개별의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편향 섹션(11)의 레벨상에 위치된다. 개별의 결합 장치(15)들 사이에 카트리지 하우징(6)의 개별적인 포착 링크(13)들이 있다. 2 개의 대향하는 잠금 장치들 뿐만 아니라 2 개의 대향하는 결합 장치들은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2 개의 잠금 장치들은 개별의 결합 장치(15)들의 대응하는 기계적 제어 장치(19,21,22)를 이용하여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동기화되어 이전된다. 2 개의 잠금 장치들은 도 2 및 도 3 에 따른 기능 위치에 카트리지 하우징(6)을 고정하도록 이용된다. 카트리지 하우징(6)의 측방향 부분들을 형성하는 안내 카트리지(16)에 인접하여, 개별의 쐐기 형태(wedge-type) 잠금 시트(18)가 제공되고, 잠금 장치의 개별적인 래치트(ratchet, 17)가 그 안에 맞물린다. 도 9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래치트(17)는 잠금 시트(18)에 맞물리는 잠금 위치와 잠금 시트(18)를 해제시키는 해제 위치 (도 11 및 도 12 참조)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대응하는 래치트(17)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잠금 위치를 향하여 스프링 부하가 걸린다.
일단 래치트들이 그들의 해제 위치로 이전되면, 안내 운반부(16)들의 형태로 2 개의 측방향 부분들을 가지는 카트리지 하우징(6)은 개별의 동반부(14)를 위한 변위 섹션(10)에 평행하게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프로파일 레일 장치의 대응하는 레일 섹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향하는 안내 운반부(16)는 카트리지 하우징(6)이 수직 방향에 평행하게 변위되는 것을 보장한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강제 제어(forced control)을 이용함으로써, 편향 섹션(11) 및 변위 섹션(10)에 인접한 대향하는 동반부(14)들의 대응하는 움직임에 응답하여, 카트리지 하우징(6)은 화물 구획부의 수직 방향으로 전적으로 변위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결합 장치(15)는 편향 섹션(11)들 각각에 인접하여 기계적인 제어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개별적인 동반부(14)의 움직임을 개별적인 래치트(17)의 대응하는 개방 운동에 강제적으로 조화시킨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장치는 제어 캠(21)을 구비하는 크랭크 디스크(crank disk, 19)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거 캠(21)은 크랭크 디스크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동반부(14) 또는 당김 프로파일(9)의 궤적(trajectory)으로 돌출된다. 또한, 크랭크 디스크(19)는 크랭크 디스크(19)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크랭크 핀(22)과 관련되며, 크랭크 핀은 래치트(17)의 레버 섹션과 접촉한다. 화물 구획부의 길이 방향에서 전방을 향하여 안내 섹션(12)에서 당김 프로파일(9)로써 동반부(14)를 변위시킬 때 (도 9 및 도 10 참조), 평탄 구조체(F)가 감겨 있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에 도달되기 직전에, 대향하는 면 단부들을 가진 당김 프로파일(9)은 안내 운반부(16)의 포착 링크(13)들 안에 필연적으로 넣어진다. 당김 프로파일(9)이 포착 링크(13)들 안으로 더 변위되는 동안, 동반부(14)들이 편향 섹션(11)들 안으로 대응되게 더 계속 움직이면서, 도 9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에 따라서 제어 캠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의하여 크랭크 핀(22)은 래치트(17)를 개방 위치로 필연적으로 이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 하우징(6)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대응하는 안내 경로로 내려질 수 있으며, 상기 안내 경로는 각각의 안내 트랙의 변위 섹션(10)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된다. 대향하는 면 단부들을 가진 당김 프로파일(9)이 개별의 동반부(14) 및 안내 트랙에 포착되어 유지되고,더욱이 안내 카트리지(16)의 포착 링크(13)들이 편향 섹션(11) 및 변위 섹션(10)에 인접하여 안내 트랙과 상호 교차하는 결과로서, 당김 프로파일(9)은 카트리지 하우징(6) 안에 포착되며, 특히 개별적인 포착 링크(13)의 단부 영역에 포착된다. 결과적으로, 당김 프로파일(9)은 동반부(14)에 인접하여 카트리지 하우징(6)을 필연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카트리지 하우징(6)은 동반부(14)와 함께 강제된 안내로써 내려지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다시 상승된다 (도 13 및 도 14 참조). 변위 섹션(10)으로부터 편향 섹션(11)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그리고 안내 섹션(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시 당김 프로파일(9)을 변위시키는 동안, 크랭크 디스크(19)는 반드시 제어 캠(21)을 통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복귀 스프링은 마찬가지로 개별의 래치트(17)를 잠금 위치로 마찬가지로 복귀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안내 카트리지(16)들은 카트리지 하우징(6)의 기능 위치에서 형태 맞춤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제, 당김 프로파일(9)은 다시 동반부(14)를 통하여 카트리지 하우징(6)을 벗어나고 포착 링크(13)를 벗어나서 차량 후방 섹션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여 다시 간단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9 에 따른 초기 상태가 다시 설정된다.
6. 카트리지 하우징 10. 변위 섹션
11. 편향 섹션 14. 동반부
11. 편향 섹션 14. 동반부
Claims (12)
- 치수상으로 안정된 수용 구조체(6)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로서, 권취 샤프트(8)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권취 샤프트상에서 유연성 평탄 구조체(F)가 감길 수 있고 풀릴 수 있게 유지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에는 풀림 방향에서 전방에 있는 면 단부 영역상에 치수상으로 안정된 당김 프로파일(pull-out profile, 9)이 제공되고, 상기 평탄 구조체는 대향하는 면 측부들 각각에서 개별의 동반부(14)에 연결되고, 상기 개별의 동반부는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화물 구획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섹션(12)에서의 선형 움직임을 위해 안내되고,
수용 구조체(6)는 화물 구획부(2)의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각각의 안내 트랙(10 내지 12)은 화물 구획부(2)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변위 섹션(10) 및 편향 부분(11)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트랙을 따라서 동반부(14)가 편향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수용 구조체(6)는 결합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 장치에 의하여 수용 구조체(6)는 동반부(14)의 위치에 응답하여 동반부(14)와 함께 높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장치는 당김 프로파일(9)을 위한 포착 링크(13)를 구비하고, 당김 프로파일(9)은 동반부(14)의 위치에 응답하여 포착 링크 안으로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 장치는 수용 구조체(6)를 기능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평탄 구조체(F)가 권취 샤프트(8)상으로 적어도 대부분 완전하게 감기는 영역에서 잠금 장치가 동반부(14)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는 동반부(14)의 궤적에 결합된 기계적 제어 장치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착 링크(13)는 권취 샤프트(8)로부터 멀어지는 화물 구획부(2)의 길이 방향에서 개방되고, 동반부(14)를 위한 안내 섹션(12)에 적어도 대부분 평행하게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포착 링크는 수용 구조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잠금 장치의 래치트(ratchet, 17)와 함께 작용하는 크랭크 장치(crank mechanism)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트(17)는 수용 구조체(6)를 형태 맞춤 방식(form-fitting manner)으로 기능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구조체(6)는 각각의 면 측부상에서 화물 구획부에 고정된 안내 경로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상기 경로는 개별적인 동반부(14)를 위한 변위 섹션(1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동반부(14)는 당김 프로파일(9)의 면 측부의 해제 가능한 동반(releasable entrainment)을 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수직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동반부(14)를 동기화된 방식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동반부(14)를 위한 유연성 구동 케이블(A)을 구비하는 구동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트랙(10 내지 12)의 변위 섹션(10)과 포착 링크(13)의 교차(intersection)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수용 구조체(6)의 면 측부를 위한 안내 경로 및 동반부(14)를 위한 변위 섹션(10)은 공통의 프로파일 레일 구조체(common profile rail arrangement)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220192.9A DE102015220192B3 (de) | 2015-10-16 | 2015-10-16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DE102015220192.9 | 2015-10-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133A true KR20170045133A (ko) | 2017-04-26 |
Family
ID=5697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3661A Withdrawn KR20170045133A (ko) | 2015-10-16 | 2016-10-14 |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73597B2 (ko) |
EP (1) | EP3156284B1 (ko) |
JP (1) | JP2017074942A (ko) |
KR (1) | KR20170045133A (ko) |
CN (1) | CN106585502B (ko) |
DE (1) | DE102015220192B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220192B3 (de) * | 2015-10-16 | 2017-03-09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DE102017109524A1 (de) * | 2017-05-04 | 2018-11-08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Laderaum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
FR3077788B1 (fr) * | 2018-02-12 | 2020-03-13 | Treves Products, Services & Innovation | Systeme de recouvrement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
CN108196077B (zh) * | 2018-02-23 | 2024-11-08 |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 试剂容器运载装置及运载系统 |
KR102542953B1 (ko) * | 2018-04-12 | 2023-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
DE102018132163A1 (de) * | 2018-12-13 | 2020-06-18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Ablagevorrichtung und Fahrzeug |
EP3725592B1 (en) * | 2019-04-17 | 2021-10-20 |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 A foldable vehicle cage system |
DE102020101952B4 (de) * | 2020-01-28 | 2025-06-18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Einklemmschutzes für ein Kraftfahrzeug |
Family Cites Families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50927A (en) * | 1930-07-08 | 1934-03-13 | Mcmillan William | Flexible cover for vehicles |
FR2431395A1 (fr) * | 1978-07-21 | 1980-02-15 | Citroen Sa | Vehicule a plage arriere amovible |
US5011208A (en) * | 1990-02-23 | 1991-04-3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Concealed integrated seat cargo screen |
US5083831A (en) * | 1990-07-09 | 1992-01-28 | Foyen John R | Carpet protection device |
JP3249775B2 (ja) * | 1998-03-02 | 2002-01-21 | 河西工業株式会社 |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
DE19906648B4 (de) * | 1999-02-18 | 2014-04-17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Ladebodens in einem Gepäckraum eines Personenkraftfahrzeugs |
DE19944948C1 (de) | 1999-09-20 | 2001-05-31 | Baumeister & Ostler Gmbh Co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
DE10140256B4 (de) * | 2001-08-07 | 2012-09-06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s |
DE50308477D1 (de) * | 2002-01-31 | 2007-12-13 | Bos Gmbh |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DE10218839B4 (de) * | 2002-04-23 | 2005-11-03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FR2844485B1 (fr) * | 2002-09-18 | 2004-12-24 | Wagon Automotive Snc | Dispositif cache-bagages pour vehicule automobile a hayon arriere, a commande automatiqu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
DE10331421A1 (de) * | 2003-07-10 | 2005-02-17 | Webasto Ag | Kraftfahrzeug mit verbesserter Heckfunktionalität |
DE10357153A1 (de) * | 2003-12-06 | 2005-07-14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In Gebrauchsstellung und Verstauungsstellung am Fahrzeug anordenbare Gepäckraumteilungsvorrichtung |
DE102004060747B4 (de) * | 2004-12-15 | 2010-09-16 | Webasto Ag | Fahrzeug mit einer auf- und abrollbar gelagerten Laderaum-Abdeckung |
EP1787864B1 (en) * | 2005-11-22 | 2009-03-25 | Mazda Motor Corporation | Vehicle rear structure |
US7673921B2 (en) * | 2007-01-24 | 2010-03-09 | Mazda Motor Corporation | Tonneau cover device of vehicle |
DE102007021428B4 (de) * | 2007-05-03 | 2012-08-30 | Bos Gmbh & Co. Kg | Abdeckungssystem für einen Heckstauraum eines Fahrzeugs |
US7891729B2 (en) * | 2007-10-15 | 2011-02-22 | Kanto Auto Works, Ltd. | Sliding roof structu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
DE102007057073B4 (de) * | 2007-11-23 | 2011-12-29 | Bos Gmbh & Co. Kg | Abdecksystem für ein Fahrzeug |
DE102007058255B3 (de) * | 2007-11-26 | 2009-07-02 | Bos Gmbh & Co. Kg | Staufach mit Tragrahmen und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Tragrahmen |
FR2931411B1 (fr) * | 2008-05-20 | 2010-06-18 | Magna Steyr France Sas | Agencement d'un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agencement |
CA2748696C (en) * | 2009-01-09 | 2013-10-01 | Honda Motor Co., Ltd. | Luggage space arrangement for stowing away a retractable tonneau cover assembly |
DE102009010967B4 (de) * | 2009-02-27 | 2019-05-16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 |
DE102010015182B4 (de) * | 2010-04-13 | 2013-08-08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FR2992599B1 (fr) * | 2012-06-27 | 2014-08-22 | Renault Sa | Vehicule a compartiment a bagages dote d'un tendelet escamotable motorise |
US8727414B2 (en) * | 2012-07-11 | 2014-05-20 | Honda Motor Co., Ltd. | Stowable cargo cover |
DE102012013753A1 (de) * | 2012-07-12 | 2014-05-15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 Kraftfahrzeug mit Höhenverstellvorrichtungfür Ladeboden |
FR2995571A3 (fr) * | 2012-09-20 | 2014-03-21 | Renault Sa | Ensemble d'occultation reglable verticalement pour coffr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
DE102012221585B4 (de) * | 2012-11-26 | 2016-11-24 | Bos Gmbh & Co. Kg |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DE102013009943A1 (de) * | 2013-06-13 | 2014-06-26 | Audi Ag | Abdeck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im Bereich eines Laderaums des Fahrzeugs vorgesehenen Kofferraumschutzmatte |
DE102014211163B4 (de) * | 2013-06-28 | 2023-12-21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sowie Antriebsvorrichtung hierfür |
EP3107762A1 (fr) * | 2013-11-05 | 2016-12-28 | Renault S.A.S. | Agencement d'un coffre pour vehicule equipe d'un tendelet escamotable |
GB2522417B (en) * | 2014-01-22 | 2016-09-14 | Ford Global Tech Llc | Roll cover assembly |
GB2527053B (en) * | 2014-06-10 | 2018-02-28 | Jaguar Land Rover Ltd | Load space covering device |
EP3075601B1 (en) * | 2015-03-30 | 2017-07-12 |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 Layout system for cargo area of vehicle |
DE102015208627B3 (de) * | 2015-05-08 | 2016-07-07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DE102015110891A1 (de) * | 2015-07-06 | 2017-01-1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Abtrenn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EP3138737B1 (en) * | 2015-09-07 | 2018-01-31 | Volvo Car Corporation | Light weight low cost stretching load cover |
EP3150439B1 (de) * | 2015-10-01 | 2018-12-12 | FKT GmbH | Abtrenn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kanalbauteil einer antriebs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
DE102015220192B3 (de) * | 2015-10-16 | 2017-03-09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
FR3046970A3 (fr) * | 2016-01-25 | 2017-07-28 | Renault Sas | Dispositif de separation verticale entre une rangee de sieges et une zone de charg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
WO2017145310A1 (ja) * | 2016-02-25 | 2017-08-31 | 河西工業株式会社 | トノカバー装置 |
-
2015
- 2015-10-16 DE DE102015220192.9A patent/DE102015220192B3/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9-20 EP EP16189775.6A patent/EP3156284B1/de active Active
- 2016-10-04 US US15/284,597 patent/US1017359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0-14 KR KR1020160133661A patent/KR20170045133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10-14 JP JP2016202614A patent/JP2017074942A/ja active Pending
- 2016-10-17 CN CN201610903702.XA patent/CN106585502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56284B1 (de) | 2018-11-07 |
US10173597B2 (en) | 2019-01-08 |
EP3156284A1 (de) | 2017-04-19 |
JP2017074942A (ja) | 2017-04-20 |
DE102015220192B3 (de) | 2017-03-09 |
CN106585502B (zh) | 2020-11-03 |
US20170106802A1 (en) | 2017-04-20 |
CN106585502A (zh) | 2017-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45133A (ko) | 자동차의 화물 구획부용 보호 장치 | |
US9409521B2 (en) | Protection device for a storage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drive device therefor | |
US7055877B2 (en) |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 |
CN211075739U (zh) | 车辆行李架总成 | |
KR100643845B1 (ko) | 차량 내부 보호 장치 | |
KR20110063373A (ko) | 차량 내부 공간용 보호 장치 | |
JP2008534358A (ja) | 自動車用積荷スペースカバー | |
KR20070041367A (ko) | 차량의 짐칸용 차폐장치 | |
CN104512346A (zh) | 装载空间盖 | |
KR20130059621A (ko) | 차량용 히치리시버 장치 | |
DE102016106895A1 (de) | Sitzgurtvorrichtung | |
CN110293910B (zh) | 导轨设备 | |
CZ310338B6 (cs) | Sestava pro zakrývání zavazadlového prostoru | |
WO2007059752A1 (de) |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ladegut | |
CN108791091B (zh) | 用于机动车辆的货舱组件 | |
KR20150090095A (ko) | 자동차 내부용 보호 장치 및 이를 위한 호이스트 메카니즘 | |
CN1771157A (zh) | 包括可回缩挂车装置的车辆、特别是铁路车辆 | |
KR101180649B1 (ko) |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 |
KR20140067928A (ko) | 차량 내부용 지지 장치 | |
JP6738495B2 (ja) |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 |
KR102567979B1 (ko) | 차량 실내에 하우징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 |
KR102132723B1 (ko) |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상부지지장치 | |
JP4840123B2 (ja) | サンバイザ装置 | |
CZ2023355A3 (cs) | Sestava pro zakrývání zavazadlového prostoru a osobní automobil a touto sestavou | |
WO2016047301A1 (ja) | 乗物の室内上部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