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42932A - 콘센트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932A
KR20170042932A KR1020150142158A KR20150142158A KR20170042932A KR 20170042932 A KR20170042932 A KR 20170042932A KR 1020150142158 A KR1020150142158 A KR 1020150142158A KR 20150142158 A KR20150142158 A KR 20150142158A KR 20170042932 A KR20170042932 A KR 2017004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cover
receptacle
safety cover
grip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102015014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932A/ko
Publication of KR2017004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3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커버에 있어서,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커버 {Outlet safety cover}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콘센트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장치로써, 옥외에서 옥내로 유도되는 전기 배선의 말단에 각종 전기 기기나 장치에 연결되도록 플러그를 삽입하는 장치를 말한다. 각종 전기 기기나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케이블의 단부에 플러그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전원이 차단됨은 물론 케이블을 정리하여 전기 기기나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할 때 전기 기기나 장치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대체로 정격 전압은 110V, 220V, 정격 전류를 10 내지 50A의 범위이고, 사용 형태에 따라 매입형과 노출형이 있으며, 플러그의 삽입 갯수에 따라 1 내지 8구 짜리가 통상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사무실, 산업체와 같은 생산 현장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안전한 전기용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플러그를 꽂게 되는 단자 삽입구가 노출된 사양이 주종을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단자 삽입구가 노출되면 성인이나 전기의 위험성을 숙지한 어린이들에게는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인이 되지는 않으나, 위험성의 식별력을 미처 깨우치지 못한 어린이들에게는 콘센트 자체가 매우 위험한 기구이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콘센트 자체가 큰 호기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젓가락 등과 같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단자 삽입구에 끼우는 행동으로 이어지고, 핀셋 또는 뾰족한 도구 한 쌍을 동시에 콘센트에 꽂았을 경우 삽입된 도구가 콘센트 내부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감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110V용 콘센트의 삽입구에 비해 직경이 크고 원형으로 된 220V용 콘센트 삽입구는 여러 종류의 도구 및 이물질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감전사고의 유발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콘센트 안전커버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콘센트 안전커버는 단순히 콘센트 커버본체의 저면에 한 쌍의 단자삽입부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콘센트 안전커버를 콘센트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171호 콘센트 안전덮개'가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핀과,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힌지축과 기판을 형성하여 걸림턱이 구비된 손잡이에 형성된 도그와 후크가 힌지축과 기판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하고,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절결부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핀(11)을 돌출시키고, 이에 인접하여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손잡이(13)가 한쪽은 평탄면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후크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분리시 한쪽 손가락은 미끄러지고 다른 한쪽 손가락은 후크에 눌려 손잡이를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32284호 콘센트 안전덮개'가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0) 저면에 2개의 콘센트 핀(21)과, 콘센트 덮개판(20)의 상측면 내측에 좌우 한 쌍의 힌지축(23)이 구비된 손잡이 수납부(25)와, 힌지축(23)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저면에 각각 형성되어 손잡이 수납부 내(25)에 수납되는 좌우 대칭형의 손잡이(27)와, 손잡이(27)의 저면 외측에 형성된 만곡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걸림부(29)와, 손잡이(27)와 콘센트 덮개판(20)의 손잡이 수납부(25)의 내측면 접촉면에 형성되어 끼워 맞춤되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과, 콘센트 덮개판(20)의 손잡이 수납부(25)와 손잡이(27)의 접촉부에 형성된 요입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힌지축(23)에 의해 개폐되는 손잡이(27)가 지속적으로 개폐동작을 할 경우 강도가 약한 손잡이(27) 및 힌지축(23)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콘센트 안전덮개가 소모품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힌지축(23) 및 손잡이(27)의 구조가 별도로 존재하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이를 제조하는 데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17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3228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직경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양단부에서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함몰부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콘센트 안전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콘센트 안전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콘센트에 사용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콘센트 안전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콘센트 안전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콘센트에 사용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안전커버(100)는 커버본체(110)와,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50)를 포함한다.
커버본체(110)는 외부에서 콘센트(1) 내 접속단자(3)의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커버본체(110)는 콘센트(1)와 동일한 형상인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콘센트(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본체(110)는 콘센트(1)에 의해 감전되지 않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커버본체(1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가 형성된다.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는 콘센트(1)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3)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단자삽입부(130)가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지 않고 단자삽입부(130)의 직경이 접속단자(3)보다 클 경우 접속단자(3) 내에 삽입되지 못하며, 단자삽입부(130)의 직경이 접속단자(3)보다 작을 경우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끼워 놓더라도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자삽입부(130)는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단자삽입부(130)는 커버본체(110)와 일체로 사출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본체(1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감전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본체(11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0)가 형성된다. 파지부(150)는 접속단자(3)에 단자삽입부(130)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파지부(150)는 커버본체(110)의 직경을 따라 커버본체(110)의 중앙영역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커버본체(110)는 외주면으로부터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함몰부(111)에 대응하여 파지부(150)는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함몰부(111)에 대응하여 함몰부(111)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커버본체(110)에 함몰부(111)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파지부(150)만 형성될 경우 파지부(150)의 높이가 낮아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파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지부(150)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콘센트 안전커버(100)로부터 파지부(150)가 너무 돌출되어 있어 걸리적 거리며,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지부(150)의 높이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할 정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미관상 미려함 또한 갖게 하기 위하여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와, 커버본체(110)의 중심 영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파지부(150)는 그 형상이 상호 유기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하기 최적화된다. 이러한 파지부(150) 또한 커버본체(110) 및 단자삽입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50)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151)는 함몰부(111)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된다.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이용하여 파지할 때 미끄러짐에 의해 파지부(150)를 놓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파지부(150)에 관통부(151)가 형성된다. 관통부(151)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관통부(15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콘센트(1)에 삽입 및 해제할 수 있다. 관통부(151)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관통부(151)의 형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콘센트 안전커버(100)의 재료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커버본체(110)에는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부(113)가 형성된다. 경사부(113)는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즉, 커버본체(110)의 외부 방향을 향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진 형상으로 경사지게 된다. 경사부(113)가 경사지게 되면 커버본체(110)의 중심과 가까운 경사부(113)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이 배치되며, 커버본체(110)의 중심과 멀어지는 경사부(113)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사부(113)는 커버본체(110)가 함몰부(111)에 의해 콘센트(1)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커버본체(110)에 적당한 높이를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의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인해 일부 영역이 견고하지 못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 시 잘못 힘을 가하게 되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부러지는 등 소모품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는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파지부(150) 및 커버본체(110)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콘센트
3: 접속단자
100: 콘센트 안전커버
110: 커버본체
111: 함몰부
113: 경사부
130: 단자삽입부
150: 파지부
151: 관통부

Claims (5)

  1. 콘센트 안전커버에 있어서,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직경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양단부에서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함몰부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
KR1020150142158A 2015-10-12 2015-10-12 콘센트 안전커버 Ceased KR20170042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58A KR20170042932A (ko) 2015-10-12 2015-10-12 콘센트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158A KR20170042932A (ko) 2015-10-12 2015-10-12 콘센트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32A true KR20170042932A (ko) 2017-04-20

Family

ID=5870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58A Ceased KR20170042932A (ko) 2015-10-12 2015-10-12 콘센트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2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52B1 (ko) 2017-11-23 2019-05-20 권영수 안전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52B1 (ko) 2017-11-23 2019-05-20 권영수 안전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1075B2 (en) Multi-piece electrical connector
US9493083B1 (en) Electrical plug adapter
US5516305A (en) Electrical plug removal device
EP3079212A1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chuko grounding socket
CA2840510C (en) Charger with replaceable plug
US20120015541A1 (en) Self-securing power cord
US3161085A (en) Fuse puller
JP2017505528A (ja)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KR20170042932A (ko) 콘센트 안전커버
US5480314A (en) Retractable electric plug
US20060030188A1 (en)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US9647402B2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chuko grounding socket
KR200468109Y1 (ko)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KR101567654B1 (ko) 전기 플러그
EP3093930A1 (en) Extension cord
US3377613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196244A1 (en) Electrical outlet cover remover
KR20100006432U (ko) 콘센트 안전덮개
US9755364B2 (en) Electrical plug with disengagement member
US20060003640A1 (en) Universal binding post
US9702921B2 (en) Multi-purpose tool for blade fuses
KR200477477Y1 (ko) 전원 플러그 손잡이
US9755362B1 (en) Electrical socket outlet plate having plug stabilizing features
CN210006688U (zh) 一种新型熔断器底座
JP5363791B2 (ja) 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