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932A - Outlet safety cover - Google Patents
Outlet safety c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2932A KR20170042932A KR1020150142158A KR20150142158A KR20170042932A KR 20170042932 A KR20170042932 A KR 20170042932A KR 1020150142158 A KR1020150142158 A KR 1020150142158A KR 20150142158 A KR20150142158 A KR 20150142158A KR 20170042932 A KR20170042932 A KR 201700429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body
- cover
- receptacle
- safety cover
- grip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커버에 있어서,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let safety cover comprising: a cover main body for blocking access to an outlet connec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 pair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projected to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a grip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main body to allow the user to insert and release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Thu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safety cover is not structured to be flowabl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since it is fixed due to its fixed structure, and is simple in structure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shap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cover body is uniqu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ef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콘센트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플러그를 끼워 전기를 통하게 하는 장치로써, 옥외에서 옥내로 유도되는 전기 배선의 말단에 각종 전기 기기나 장치에 연결되도록 플러그를 삽입하는 장치를 말한다. 각종 전기 기기나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케이블의 단부에 플러그가 설치되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때 전원이 차단됨은 물론 케이블을 정리하여 전기 기기나 장치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할 때 전기 기기나 장치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대체로 정격 전압은 110V, 220V, 정격 전류를 10 내지 50A의 범위이고, 사용 형태에 따라 매입형과 노출형이 있으며, 플러그의 삽입 갯수에 따라 1 내지 8구 짜리가 통상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outlet is a device for inserting a plug through which electricity is passed, and is a device for inserting a plug to be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devices or devices at the end of an electric wire guided indoors from outside. A plug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able so that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devices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stored. When the plug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the power is shut off as well as the cables are arranged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the electric devices and device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or the device can be performed. These receptacles generally have a rated voltage of 110 V, 220 V, a rated current of 10 to 50 A, depending on the type of use, embedded type and exposed type, and 1 to 8 phrases are usually u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inserted plugs.
이러한 콘센트는 일반 가정에서는 물론 사무실, 산업체와 같은 생산 현장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안전한 전기용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적절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플러그를 꽂게 되는 단자 삽입구가 노출된 사양이 주종을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단자 삽입구가 노출되면 성인이나 전기의 위험성을 숙지한 어린이들에게는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인이 되지는 않으나, 위험성의 식별력을 미처 깨우치지 못한 어린이들에게는 콘센트 자체가 매우 위험한 기구이다. 이는 어린이들에게 콘센트 자체가 큰 호기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젓가락 등과 같은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단자 삽입구에 끼우는 행동으로 이어지고, 핀셋 또는 뾰족한 도구 한 쌍을 동시에 콘센트에 꽂았을 경우 삽입된 도구가 콘센트 내부의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감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110V용 콘센트의 삽입구에 비해 직경이 크고 원형으로 된 220V용 콘센트 삽입구는 여러 종류의 도구 및 이물질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감전사고의 유발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도 있다.These receptacles are recognized as safe electrical products, which are essential for use in production sites such as offices and industries, as well as in general households, but appropriate protection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used. For example, plug-in receptacles are usually exposed to terminal plugs that are plugged, so exposure of these plug-ins will not cause problems for children who are familiar with adult or electrical hazards, For children who are unaware of the perception of danger, the outlet itself is a very dangerous apparatus. This leads to the behavior of the children using the pointed tools such as chopsticks to put them into the terminal insertion hole because the outlet itself is a subject of great curiosity. If the tweezers or a pair of pointed tools are plugged into the outle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ctric shock accident is caused. Furthermore, since the 220V socket outle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ocket of the 110V socket outlet is sized to easily insert various kinds of tools and foreign object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uses a cause of electric shock acciden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콘센트 안전커버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콘센트 안전커버는 단순히 콘센트 커버본체의 저면에 한 쌍의 단자삽입부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콘센트 안전커버를 콘센트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eceptacle safety cover is generally used. In the case of a receptacle safety cover sold in the market, a pair of terminal inserting portions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cover body simply. For this reason, it was troublesome to use a separate tool such as a screwdriver to remove the outlet cover from the outlet.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122171호 콘센트 안전덮개'가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핀과,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힌지축과 기판을 형성하여 걸림턱이 구비된 손잡이에 형성된 도그와 후크가 힌지축과 기판에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하고, 안전덮개 본체(10)의 저면에 절결부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핀(11)을 돌출시키고, 이에 인접하여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손잡이(13)가 한쪽은 평탄면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후크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분리시 한쪽 손가락은 미끄러지고 다른 한쪽 손가락은 후크에 눌려 손잡이를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As shown in FIG. 1, a protruding pi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32284호 콘센트 안전덮개'가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0) 저면에 2개의 콘센트 핀(21)과, 콘센트 덮개판(20)의 상측면 내측에 좌우 한 쌍의 힌지축(23)이 구비된 손잡이 수납부(25)와, 힌지축(23)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저면에 각각 형성되어 손잡이 수납부 내(25)에 수납되는 좌우 대칭형의 손잡이(27)와, 손잡이(27)의 저면 외측에 형성된 만곡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걸림부(29)와, 손잡이(27)와 콘센트 덮개판(20)의 손잡이 수납부(25)의 내측면 접촉면에 형성되어 끼워 맞춤되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과, 콘센트 덮개판(20)의 손잡이 수납부(25)와 손잡이(27)의 접촉부에 형성된 요입부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힌지축(23)에 의해 개폐되는 손잡이(27)가 지속적으로 개폐동작을 할 경우 강도가 약한 손잡이(27) 및 힌지축(23)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콘센트 안전덮개가 소모품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힌지축(23) 및 손잡이(27)의 구조가 별도로 존재하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이를 제조하는 데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 there are two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let safety cover which is not structured to be flowable, is rigidly constructed due to its fixed structur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s simple in structure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ologies, And to provide an outlet safety cover in which the unit price is reduced.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safety cover which can be easily grasped by a user due to a shape unique to the grip portion and the cover body.
상기한 목적은,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connector comprising: a cover main body for blocking access to an in-receptacle connecting terminal from the outside; A pair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projected to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a grip portion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which allows the user to grip and insert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nto an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ver body includes a depr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직경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양단부에서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함몰부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diameter of the cover body. The grip portion gradually protrudes from the both end portions toward the central region in correspondence to the depressed portion,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may penetrate in a shape in contact with the depressed portion.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body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body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safety cover is not structured to be flowable, and is firmly constructed due to the fix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is simple in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파지부 및 커버본체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hap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cover body is uniqu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effect.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콘센트 안전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콘센트 안전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콘센트에 사용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socket cov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safet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side views of the outlet safety cover,
6 is a front view of the receptacle safety cover,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receptacle safety cover used in an outle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outlet safet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안전커버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콘센트 안전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콘센트 안전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콘센트에 사용되는 콘센트 안전커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safety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side views of the outlet safety cover, and FIG. 6 is a side view of the outlet safety cover And Fig. 7 is a state view showing a receptacle safety cover used in the receptac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안전커버(100)는 커버본체(110)와,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50)를 포함한다.3, the
커버본체(110)는 외부에서 콘센트(1) 내 접속단자(3)의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커버본체(110)는 콘센트(1)와 동일한 형상인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콘센트(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본체(110)는 콘센트(1)에 의해 감전되지 않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cover
커버본체(1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가 형성된다. 한 쌍의 단자삽입부(130)는 콘센트(1)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3)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며,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단자삽입부(130)가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지 않고 단자삽입부(130)의 직경이 접속단자(3)보다 클 경우 접속단자(3) 내에 삽입되지 못하며, 단자삽입부(130)의 직경이 접속단자(3)보다 작을 경우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끼워 놓더라도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자삽입부(130)는 접속단자(3)의 형상 및 직경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이와 같은 단자삽입부(130)는 커버본체(110)와 일체로 사출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본체(1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감전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커버본체(11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0)가 형성된다. 파지부(150)는 접속단자(3)에 단자삽입부(130)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파지부(150)는 커버본체(110)의 직경을 따라 커버본체(110)의 중앙영역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커버본체(110)는 외주면으로부터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함몰부(111)에 대응하여 파지부(150)는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함몰부(111)에 대응하여 함몰부(111)와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커버본체(110)에 함몰부(111)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파지부(150)만 형성될 경우 파지부(150)의 높이가 낮아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파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지부(150)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콘센트 안전커버(100)로부터 파지부(150)가 너무 돌출되어 있어 걸리적 거리며,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지부(150)의 높이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할 정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미관상 미려함 또한 갖게 하기 위하여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111)와, 커버본체(110)의 중심 영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파지부(150)는 그 형상이 상호 유기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하기 최적화된다. 이러한 파지부(150) 또한 커버본체(110) 및 단자삽입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height of the
파지부(150)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1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151)는 함몰부(111)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된다.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이용하여 파지할 때 미끄러짐에 의해 파지부(150)를 놓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파지부(150)에 관통부(151)가 형성된다. 관통부(151)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관통부(151)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콘센트(1)에 삽입 및 해제할 수 있다. 관통부(151)는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관통부(151)의 형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콘센트 안전커버(100)의 재료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The
커버본체(110)에는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부(113)가 형성된다. 경사부(113)는 커버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즉, 커버본체(110)의 외부 방향을 향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진 형상으로 경사지게 된다. 경사부(113)가 경사지게 되면 커버본체(110)의 중심과 가까운 경사부(113) 영역은 상대적으로 높이 배치되며, 커버본체(110)의 중심과 멀어지는 경사부(113)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사부(113)는 커버본체(110)가 함몰부(111)에 의해 콘센트(1) 내로 너무 깊게 삽입되지 않도록 커버본체(110)에 적당한 높이를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종래의 콘센트 안전커버의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유동가능한 구조로 인해 일부 영역이 견고하지 못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 시 잘못 힘을 가하게 되면 콘센트 안전커버가 부러지는 등 소모품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ocket-type safety cover, since the components for grasping by the user are complicated,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us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areas are not robust due to a structure in which components can flow, and when a user applies a wrong force in use, the receptacle safety cover is broken and becomes a consumable product.
하지만 본 발명의 콘센트 안전커버(100)는 유동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지 않고 고정된 구조로 인해 견고하게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파지부(150) 및 커버본체(110) 특유의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콘센트 안전커버(100)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the
1: 콘센트
3: 접속단자
100: 콘센트 안전커버
110: 커버본체
111: 함몰부
113: 경사부
130: 단자삽입부
150: 파지부
151: 관통부1: Outlet
3: Connection terminal
100: Outlet safety cover
110: Cover body
111: depression
113:
130:
150:
151:
Claims (5)
외부에서 콘센트 내 접속단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 내에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단자삽입부와;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상기 단자삽입부를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In a receptacle safety cover,
A cover main body for blocking the access of the in-receptacle connecting terminal from the outside;
A pair of terminal insertion por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projected to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a grip portion which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which allows the user to grip and insert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into an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body includes a depression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파지부는 상기 커버본체의 직경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양단부에서 중심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함몰부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diameter of the cover body,
Wherein the grip portion gradually protrudes from the both end portions toward the central region in correspondence to the depressed portion.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함몰부와 접촉되는 형상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The method of claim 3,
And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And the through-hole penetrates in a shape contacting the depression.
상기 커버본체는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저면을 향해 커브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커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body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bottom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is increa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158A KR20170042932A (en) | 2015-10-12 | 2015-10-12 | Outlet safety c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158A KR20170042932A (en) | 2015-10-12 | 2015-10-12 | Outlet safety co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2932A true KR20170042932A (en) | 2017-04-20 |
Family
ID=5870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2158A Ceased KR20170042932A (en) | 2015-10-12 | 2015-10-12 | Outlet safety co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4293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0452B1 (en) | 2017-11-23 | 2019-05-20 | 권영수 | Safety plug socket |
-
2015
- 2015-10-12 KR KR1020150142158A patent/KR2017004293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0452B1 (en) | 2017-11-23 | 2019-05-20 | 권영수 | Safety plug sock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51075B2 (en) | Multi-piece electrical connector | |
US9493083B1 (en) | Electrical plug adapter | |
US5516305A (en) | Electrical plug removal device | |
EP3079212A1 (en) |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chuko grounding socket | |
CA2840510C (en) | Charger with replaceable plug | |
US20120015541A1 (en) | Self-securing power cord | |
US3161085A (en) | Fuse puller | |
JP2017505528A (en) | Easy to separate power plug and power plug adapter | |
KR20170042932A (en) | Outlet safety cover | |
US5480314A (en) | Retractable electric plug | |
US20060030188A1 (en) |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 |
US9647402B2 (en) |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chuko grounding socket | |
KR200468109Y1 (en) | Adapters for Plugs and Receptacles | |
KR101567654B1 (en) | Power plug | |
EP3093930A1 (en) | Extension cord | |
US3377613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80196244A1 (en) | Electrical outlet cover remover | |
KR20100006432U (en) | safty cover of socket | |
US9755364B2 (en) | Electrical plug with disengagement member | |
US20060003640A1 (en) | Universal binding post | |
US9702921B2 (en) | Multi-purpose tool for blade fuses | |
KR200477477Y1 (en) | Plug grip for electrical power source | |
US9755362B1 (en) | Electrical socket outlet plate having plug stabilizing features | |
CN210006688U (en) | novel fuse base | |
JP5363791B2 (en) | Char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