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38548A -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548A
KR20170038548A KR1020150138066A KR20150138066A KR20170038548A KR 20170038548 A KR20170038548 A KR 20170038548A KR 1020150138066 A KR1020150138066 A KR 1020150138066A KR 20150138066 A KR20150138066 A KR 20150138066A KR 20170038548 A KR20170038548 A KR 2017003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panel
tape
adhesive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548A/ko
Publication of KR2017003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4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C09J7/02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부에 위치한 기능성 패널;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합착하는 접착층; 및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AL PANEL}
본 발명을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성 패널을 표시 장치에 고정할 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견고히 접착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모바일폰(Mobile phone), PDA, 태블릿PC(Tablet PC), 노트북PC(Laptop PC)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와 대형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한편,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 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개발이 확대되면서,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정보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평판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평판 표시 장치는 그 전면에 터치패널이나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 또는 보호글라스 등의 다양한 기능성 패널을 부착하여 다양한 기능의 평판 표시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평판 표시 장치와 기능성 패널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층에 의해 합착되는데 이러한 접착층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와 기능성 패널의 합착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터치패널 또는 보호패널과 같은 기능성 패널이 합착된 태블릿 pc 또는 모바일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주로 이동되면서 사용된다. 그런데 유동이나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기능성 패널과 평판 표시 장치 사이의 접착층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표시 장치는 기능성 패널로부터 박리(delamination)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외곽영역부터 시작된 층간 박리가 표시 영역까지 연장되는 경우, 표시 장치를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 조절에 오차가 발생하여 화면상에 흰점들이 나타나는 화질 불량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는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층의 박리(delamination)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력 향상 테이프가 포함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부에 위치한 기능성 패널,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합착하는 접착층 및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포함한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표시 패널 하면에 접착된 제1 부분, 기능성 패널 하면에 접착된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며 표시 패널 및 접착층의 측면에 접착된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를 표시부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도전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테이프는, 발광부의 하면 중 일부분, 표시부의 측면 및 발광부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발광부의 하면에서 도전 테이프와 접착되고,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3 부분은 표시부의 측면 및 발광부의 측면에서 도전 테이프와 접착될 수 있다.
표시부는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TFT 어레이 기판, TFT 어레이 기판 상부에 위치한 칼라필터 기판 및 TFT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을 합착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표시 패널 및 기능성 패널에 접착되어 실링 부재의 합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의 코너부에 접착되어 표시 패널의 코너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 사이의 접착력 및 표시 패널에서 발생한 열의 방출을 고려하여 결정된 형상일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실리콘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가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을 결속하여 고정시켜, 접착층의 파손에 의한 접착층의 접착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제1 편광층이 접착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링 부재의 파손에 의한 액정층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액정층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을 부채꼴 형상으로 하여, 표시 패널과 기능성 패널 사이의 접착력 향상 및 표시 패널의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m력 향상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표시 장치로서는 다양한 표시 장치가 적용 될 수 있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표시 장치의 예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전기영동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능성 패널(100) 및 표시 패널(110)을 포함한다. 기능성 패널(100)은 표시 패널(110) 상부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110)은 표시부(120) 및 발광부(130)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TFT 어레이 기판(126), 칼라필터 기판(124), 액정층(125), 제1 편광층(123) 및 제2 편광층(127)을 포함한다. 액정층(125)은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 사이에 배치된다. 표시부(120) 하부에는 제2 편광층(127)이 위치한다. 칼라필터 기판(124) 상부에는 제1 편광층(123)이 위치한다. 제2 편광층(127)을 투과한 광은 편광된다. 그리고, 편광된 광은 액정층(125)을 투과한다. 이때 액정층(125)은 영상신호에 대응되어 편광된 광의 편광축이 회전된다. 그리고 제1 편광층(123)은 액정층(125)을 투과한 편광된 광을 회전된 축에 대응되어 흡수한다.
TFT 어레이 기판(126)은 표시부(12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TFT 어레이 기판(126)에는 표시부(1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형성된다. TFT 어레이 기판(126)은 상기 TFT 어레이 기판(126)에서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미도시)과 데이터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화소영역에는 스위칭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고 화소영역의 위에는 화소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게이트전극(미도시), 반도체층(미도시), 소스 전극(미도시) 및 드레인 전극(미도시)를 포함한다. 게이트전극(미도시)는 게이트라인(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도체층(미도시)은 게이트전극(미도시)위에 비정질실리콘들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소스 전극(미도시) 및 드레인 전극(미도시)는 반도체층(미도시)위에 형성되고, 데이터라인(미도시) 및 화소전극(미도시)에 전긱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반도체층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산화물 반도체 또는 유기물 반도체 층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FT 어레이 기판(126)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표시 장치의 구동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말하며, 비표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표시 영역의 주변에 형성된 외곽 영역을 말한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실링 부재(129)가 도포될 수 있다.
칼라필터 기판(124)은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한다. 칼라필터는 적(Red: R), 녹(Green: G) 및 청(Blue: B)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칼라필터를 포함한다.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서브-칼라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125)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한다.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 사이에 위치한다.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 상부의 외곽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칼라필터 기판(124) 하부의 외곽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을 합착할 수 있다.
발광부(back light unit, 130)는 제2 편광층(127) 하부에 배치된다. 즉 발광부(130)는 표시부(120)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발광부(130)와 표시부(120) 사이에는 셀테이프(cell tape)(150)가 위치할 수 있다. 셀테이프(150)는 발광부(130)를 표시부(120)에 접착할 수 있다. 즉 셀 테이프(150)는 발광부(130)와 표시부(120)를 합착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LED 기판(136), 도광판(134), 광학시트(132)를 포함한다.
LED 기판(136)은 표시부(120)의 하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evice)가 실장된다. 도광판(134)은 LED에서 발광되는 광을 인도하여 표시부(120)로 공급한다. 광학시트(132)는 표시부(120)와 도광판(134) 사이에 구비된다. 광학시트(132)는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광학 시트(132)는 도광판(134)에서 인도되어 표시부(120)에 공급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한다. 이때 반사판은 도광판(134)의 하부에 배치된다. 반사판은 도광판(134)의 하부로 인도된 광을 반사시킨다. 도광판(134) 및 광학시트(132)는 하부커버(160)에 수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 상부에는 기능성 패널(100)이 배치된다. 그리고 기능성 패널(100)의 상부 가장자리영역에는 상부 커버(140)가 배치된다. 상부 커버(140)는 하부 커버(160)와 결함됨으로써 표시 장치가 완성될 수 있다.
도광판(134)은 LED로부터 입력된 광을 표시부(120)로 인도한다. 도광판(134)은 일측면으로 입사된 광이 도광판(134)의 상면 및 하면에 반사되어 타측면까지 전파된 후, 도광판(134)의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도광판(134)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광판(134)의 하면에는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패턴이나 홀들이 형성되어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부방향을 반사시킬 수 있다. 광학시트(132)는 도광판(134)에서 출력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켜 표시부(120)로 공급된다. 광학시트(132)는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광학시트(132)는 도광판(134)에서 출력된 광을 확산킨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여 표시부(120)에 균일한 광이 공급되도록 한다.
LED기판(136)에는 R(Red)/G(Green)/B(Blue)의 단색광을 발광하는 R,G,B LED 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기능성 패널(100)은 표시 패널(110) 상부에 위치한다. 기능성 패널(100) 예를 들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유리, 사람의 손이나 펜 들의 터치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패널(100)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접착층(122)은 기능성 패널(100)과 표시 패널(110) 사이에 위치한다. 접착층(122)은 기능성 패널(100)을 표시 패널(110)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접착층(122)은 기능성 패널(100)과 표시 패널(110)을 합착할 수 있다. 접착층(122)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와 OCR(Optical Clear Resin)과 같은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2)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투명하면서 표시 패널(1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굴절 등과 같이 광경로의 변화나 광특성의 변화 없이 그대로 출력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22)은 슬릿코팅방식, 스크린코팅방식, 실린지코팅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전 테이프(180)는 표시부(120) 상부에 위치한다. 도전 테이프(180)는 TFT 어레이 기판(126)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 테이프(180)는 TFT 어레이 기판(126)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한다. 즉, 도전 테이프(180)는 TFT 어레이 기판(126)의 외곽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전 테이프(180)는 TFT 어레이 기판(126)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테이프(180)는 실링 부재(129)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전 테이프(180)는 TFT 어레이 기판(126)의 외곽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테이프(180)는 하부커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의 부품에 접속되어 표시 패널(110)의 상면에서 발생하는 정정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테이프(180)는 표시부(120)의 측면, 발광부(13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하면 일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즉, 도전 테이프(180)는 표시부(120)의 측면, 발광부(13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하면 중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때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은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에 연결된 연장된 부분은 상기 발광부(130)의 하면의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도전 테이프(180)는 발광부(130)를 표시부(120)에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전 테이프(180)는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상에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 산화물층을 형성한 ITO 테이프(Tape)나 IZO 테이프(Tape)일 수 있다. ITO 테이프나 IZO 테이프등의 도전 테이프(18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 및 기능성 패널(100)에 접착된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있는 부분을 말한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발광부(130)의 하면에서 도전 테이프(180)와 접착될 수 있다.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에 연결된 연장된 부분은 표시패널의 발광부(130)의 하면의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130)의 하면의 일 부분을 덮고 있는 도전 테이프(180)의 연장된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에 있는 부분이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표시 패널(110) 및 접착층(122)의 측면부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에서 도전 테이프(180)와 접착될 수 있다.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에 연결된 연장된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하면의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을 덮고 있는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이에 있는 접착층(122)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122)의 파손에 의한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의 박리(delamination)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를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 조절에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질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의 박리를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3a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시켜, 표시 패널(110)의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을 합착하는 실링 부재(129)의 합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의 파손에 의한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 사이에 있는 액정층(125)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층(125)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링 부재(129)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 및 기능성 패널(100)에 접착된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발광부(130)의 하면의 일 부분을 덮고 있는 도전 테이프(180)의 연장된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표시 패널(110) 및 접착층(122)의 측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3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부(120)의 측면 및 발광부(130)의 측면을 덮고 있는 도전 테이프(180)의 일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접착층(122)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이에 위치한다. 외력이 기능성 패널(100)에 가해질 때, 기능성 패널(100)은 순간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패널(100)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패널(100)을 벤딩할 때, 기능성 패널(100)은 변형에 의해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2)은 기능성 패널(100)과 표시 패널(110) 사이에 위치한다. 접착층(122)은 기능성 패널(100)을 표시 패널(110)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패널(100)에 가해진 충격이나 응력은 접착층(122)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122)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122)은 파손될 수 있다. 접착층(122)이 파손됨에 따라 접착층(122)의 접착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광층(123)이 접착층(122)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층(123)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제1 편광층(123)이 접착층(122)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표시 영역에서의 제1 편광층(123)의 투과율 조절 불량이 발생하여, 표시 영역에서 흰점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하면 및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을 더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아의 접착층(122)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이에 있는 접착층(122)이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에 더 견고히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122)으로 전달된 충격이나 응력에 의한 접착층(122)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122)이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접착층(122)의 접착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광층(123)이 접착층(122)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 편광층(123)의 투과율 조절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표시 영역에서 흰점과 같은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은 표시부(120), 발광부(130) 및 도전 테이프(180)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TFT 어레이 기판(126) 및 칼라필터 기판(124)을 포함한다. 표시부(120)의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 사이에는 액정층(125)이 위치한다. 이때 실링 부재(129)는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을 합착한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는 표시부(120)의 액정층(125)을 밀봉한다. 발광부(130)는 상기 표시부(120) 하부에 위치하며, 도전 테이프(180)는 발광부(130)를 상기 표시부(120)에 결속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상기 표시 패널(110) 및 기능성 패널(100)에 접착된다.
한편, 외력이 표시 패널(110)에 가해질 때, 발광부(130) 및 표시부(120)의 TFT 어레이 기판(126)은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때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을 합착하는 실링 부재(129)에 외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층(125)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하면 및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들간에 결속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20)의 TFT 어레이 기판(126)과 칼라필터 기판(124)을 합착하는 실링 부재(129)의 합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실링 부재(129)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실링 부재(129)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29)의 파손에 의한 액정층(125)의 외부 노출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층(125)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평면도이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 및 기능성 패널(100)에 접착된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부분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있는 부분을 말한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2 부분은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하면 뿐만 아니라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도 접착된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 없이 접착층이 표시 패널(110) 상에 형성되어 기능성 패널(100)이 표시 패널(110)에 접착되는 구조에서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기능성 패널(100)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패널(100)에 가해진 충격은 접착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접착층의 코너(Corner)부에 충격이 집중될 수 있다. 접착층의 코너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의 코너부는 충격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접착층의 코너부에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코너부에 있는 접착층이 파손되기 더 쉽다.
따라서 코너부에 있는 접착층이 파손됨에 따라 접착층의 코너부의 접착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편광층이 접착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특히 접착층의 코너부가 파손되기 더 쉽기 때문에 제1 편광층의 코너부에서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가 쉽다.
또한, 제1 편광층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제1 편광층의 코너부가 접착층의 코너부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서의 제1 편광층에 의한 투과율 조절 불량이 발생하여,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서 흰점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가 표시 패널(110)의 하면 및 기능성 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된다. 이때 접착층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의 코너부에서의 결속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 사이에 있는 접착층의 코너부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에 더 견고히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의 코너부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접착층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의 코너부가 파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접착층의 코너부의 접착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편광층의 코너부에서 접착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 편광층의 투과율 조절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서 흰점과 같은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부착 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의 코너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의 코너부가 충격에 의해 박리되어도 실제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박리에 의한 화질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에 의해 코너부의 충격에 의해 접착층의 코너부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의 코너부가 파손될 경우는, 접착층의 코너부의 파손 영역을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이 아닌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으로 변경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의 코너부에서의 화질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충격을 흡수하여 접착층의 코너부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실린콘 재료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이 부채꼴 형상인 경우, 삼각형 형상보다 면적이 넓다. 따라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결속하여 고정할 때, 면적이 넓어진 만큼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을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의 코너부가 표시 패널(110)과 기능성 패널(100)에 더 견고히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는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에 접착되므로, 표시 패널(110)의 코너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의 코너부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접착층의 코너부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하지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의 면적은 너무 크면 안된다. 예를 들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의 형상이 사각형 형상인 경우, 부채꼴 형상일 때 보다 면적이 넓게 된다. 이때 넓어진 제1 부분의 면적으로 인해 표시 패널(110)에서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의 면적은 사각형 형상일 때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이 라운드 형상일 때, 사각형 형상일 때보다 외부로 열 방출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한 성능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접착력 향상 테이프(170)의 제1 부분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착층의 코너부를 보호하면서, 외부로의 열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능성 패널
110: 표시 패널
120: 표시부
130: 발광부
140: 상부 커버
150: 셀테이프
160: 하부 커버
170: 접착력 향상 테이프
180: 도전 테이프

Claims (1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위치한 기능성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기능성 패널을 합착하는 접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기능성 패널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접착력 향상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상기 표시 패널 하면에 접착된 제1 부분, 상기 기능성 패널 하면에 접착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접착층의 측면에 접착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를 상기 표시부에 결속하여 고정시키는 도전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테이프는, 상기 발광부의 하면 중 일 부분, 상기 표시부의 측면 및 상기 발광부의 측면을 덮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상기 발광부의 하면에서 상기 도전 테이프와 접착되고,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3 부분은 상기 표시부의 측면 및 상기 발광부의 측면에서 상기 도전 테이프와 접착된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TFT 어레이 기판, 상기 TFT 어레이 기판 상부에 위치한 칼라필터 기판 및 상기 TFT 어레이 기판과 상기 칼라필터 기판을 합착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기능성 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의 합착력을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코너부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코너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구비된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기능성 패널 사이의 접착력 및 상기 표시 패널에서 발생한 열의 방출을 고려하여 결정된 형상인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의 제1 부분은 부채꼴 형상인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향상 테이프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실리콘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KR1020150138066A 2015-09-30 2015-09-30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Withdrawn KR20170038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66A KR20170038548A (ko) 2015-09-30 2015-09-30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66A KR20170038548A (ko) 2015-09-30 2015-09-30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48A true KR20170038548A (ko) 2017-04-07

Family

ID=5858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66A Withdrawn KR20170038548A (ko) 2015-09-30 2015-09-30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5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3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RU2587432C2 (ru) Панель ввода касанием тонкого тип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ее
JP523576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272046B1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10304572A1 (en)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20180173049A1 (en) Metal wire gri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40049892A1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CN103676271B (zh) 显示装置以及罩部件
JP6616448B2 (ja) 表示装置
TWI557609B (zh) 觸控顯示裝置
US10770688B2 (en) Display device
CN103676227B (zh) 显示装置以及罩部件
KR20180081654A (ko) 표시 장치
US20160231774A1 (en) Display module
TW200903074A (en)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optical device
JP2010224081A (ja) 表示装置
US86812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9005032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14631B1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소자
KR102491720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4280432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8721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72526A (ko) 기능성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385475B2 (ja) 携帯電話装置
KR20170038548A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