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346A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6346A KR20170036346A KR1020150135403A KR20150135403A KR20170036346A KR 20170036346 A KR20170036346 A KR 20170036346A KR 1020150135403 A KR1020150135403 A KR 1020150135403A KR 20150135403 A KR20150135403 A KR 20150135403A KR 20170036346 A KR20170036346 A KR 201700363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printed circuit
- coil
- magnet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 H04N5/2328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내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제1 코일이 설치된 보빈, 상기 보빈의 주변에 상기 제1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1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을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렌즈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렌즈 구동 유닛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코일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의 양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bbin having at least one lens disposed on an inner side and a first coil mount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bobbin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housing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 first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the first lens driving unit including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movably support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opposed to the first magn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by an adhesive member,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nd a second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by an interaction of the two coils,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ating member provided so as to cover a part of both sides of the terminal provided.
Description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echnology of a voice coil motor (VCM) used in a conventional camera module to a camera module for ultra small size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relate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이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수단을 카메라 모듈에 추가 설치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camera module may be frequently hit during us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slightly shaken due to user's hand motion during shooting. In view of thi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additionally installing the camera shake preventing means on the camera module.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 모듈을 광축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및 제3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광학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amera module from being shaken finely in accordance with the camera shake of the user during photographing, the optical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lens is mounted on a surface formed by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t is possible to move the optical module.
이를 위해서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기판상에 구비되어 광학 모듈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ircuit member disposed on the printing plate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oil for providing a force for moving the optical module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하지만, 인쇄회로기판과 회로부재의 크기가 상이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를 조립할 때 인쇄회로기판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iffers from that of the circuit member,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twisted when the circuit member is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camera module.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Pad)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는 베이스와의 사이 소정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Contact)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a pad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ssembled, thereby causing a bad contact.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부만 구비되는 경우 솔더링( Soldering)시 패드의 일부분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only a pad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pad is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the time of soldering,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camera module.
또한, 베이스의 일면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및 회로부재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회로부재가 상기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회로부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circuit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are sequentially assembled, The height of the circuit member is not constant.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턴(Pattern)의 두께가 얇게 구비되는 경우 패턴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rotruding from the pa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thin,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due to a predetermined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pattern.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과 회로부재의 크기가 상이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를 조립할 때 인쇄회로기판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different siz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so that when the circuit member is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twiste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Pad)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는 베이스와의 사이 소정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Contact)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between a pad provided on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o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assemble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부만 구비되는 경우 솔더링( Soldering)시 패드의 일부분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problem that a part of a pad is separated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upon soldering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a camera module when only a pad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And a module is provided.
또한, 베이스의 일면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및 회로부재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회로부재가 상기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회로부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circuit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are sequentially assemble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00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ns dri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problem that a height of a circuit member is not constant.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턴(Pattern)의 두께가 얇게 구비되는 경우 패턴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when a thickness of a pattern protruding from a pad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small, a problem that a crack is generated due to a predetermined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patter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내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제1 코일이 설치된 보빈, 상기 보빈의 주변에 상기 제1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1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을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렌즈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렌즈 구동 유닛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코일,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의 양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The lens driving apparatus includes a bobbin having at least one lens dispos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coil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housing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d an upp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coupled with the bobbin and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interact with each other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A first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lens driving unit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and a base dispos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driving unit, A second coil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il, And a second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coil,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ating member covering a part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
또한,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제1길이만큼 이격되게 복수 개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driv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the terminals are arranged on a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length.
또한, 상기 제1길이는 0.01um 내지 0.45um인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ength is 0.01 mu m to 0.45 mu m.
또한, 상기 코팅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단자의 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integrally on one surface of at least two terminals.
또한,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 끝단에 배치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의 양측면을 덮더록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Also,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to cover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and is provided so as to cover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terminal.
또한, 상기 코팅부재는 PSR(Photo Solder Resist) 또는 커버레이(Coverlay)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hoto solder resist (PSR) or a coverlay.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형상인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a hollow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protruding heights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재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wherein the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the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
또한, 상기 회로부재의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2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driving apparatus wherein a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a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내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제1 코일이 설치된 보빈, 상기 보빈의 주변에 상기 제1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마그네트,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1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을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렌즈 구동 유닛 및 상기 제1 렌즈 구동 유닛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코일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의 양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lens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coil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bobbin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d a first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movably support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ranged to face the first magn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by an adhesive member, where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coil And a second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coating member provided to cover a part of both sides of the terminal, an image sensor,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또한, 상기 단자의 두께는 400um이상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mera module having a thickness of 400 m or more.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형상인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having a hollow shape,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projecting radially outward from a cent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재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The camera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wherein the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
또한, 상기 코팅부재는 PSR(Photo Solder Resist) 커버레이(Coverlay)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hoto solder resist (PSR) coverlay.
또한,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단자의 상면의 일부를 덮더록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wherein the coating member covers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과 회로부재의 크기가 상이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를 조립할 때 인쇄회로기판이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different siz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so that when the circuit member is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twis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Pad)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는 베이스와의 사이 소정 유격이 발생하여 접촉(Contact)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nd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between a pad provided on on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base o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assembl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부만 구비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시 패드의 일부분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카메라 모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problem that a part of a pad is separated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upon soldering to deteriorate the quality of a camera module when only a pad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Module is provided 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베이스의 일면에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회로부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및 회로부재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경우 회로부재가 상기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 회로부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 circuit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member are sequentially assemb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which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circuit member is not constant.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패드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턴(Pattern)의 두께가 얇게 구비되는 경우 패턴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효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thickness of a pattern protruding from a pad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small, a problem that a crack is generated due to a predetermined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patter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 어셈블리, 센서베이스 및 기판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제2코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상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에 배치되는 제1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a) and 2 (b) show an assembled lens barrel assembly, a sensor base, and a substr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llustrates a base,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i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llustrates an upper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llustrates a lower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llustrates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detail.
FIG. 9 illustrates a first terminal disposed in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llustrates a second terminal disposed on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o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elements being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being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elements. Also, in the case of "", "above" or "on or under" and "" ",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and "second," "upper / upper / upper," and "lower / lower / lower" Bu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without necessarily requiring or implying an order.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Hereinafter,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scribed using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but may be described using another coordinate system,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the y-axis indicat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z-axis,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z-axis direction as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third direction'.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란 정지 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camera-shake correction device" applied to a small-sized camera modul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to prevent the outline of the captured image from being formed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hand- ≪ / RTI >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란,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 면에 결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 모듈을 광축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및 제3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움직여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o focusing devic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an image of a subject on an image sensor surface. The camera shake correcting device and the auto focusing devic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manners. I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ptical module composed of at least one lens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amera shake correcting operation and / or the auto focusing operation by moving with respect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복수 개의 렌즈가 적층 되도록 구비되는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보빈(110), 보빈(1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보빈(1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300), 커버부재(30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커버부재(3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센서베이스(400), 센서베이스(400)의 일면에 배치되며 보빈(110)에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500), 이미지센서(50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미지센서(50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 및 변환하도록 구비되는 기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센서베이스(400)는 커버부재(300)의 하부면과 기판부(600)의 상부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보다 자세하게는, 센서베이스(400)는 커버부재(300)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센서베이스(400)와 커버부재(300)가 결합 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센서베이스(400)와 커버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부(60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센서베이스(400)를 생력하고 커버부재(300)와 기판부(600)를 직접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nd the user can move the
센서베이스(400)는 중앙에 필터부(410)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센서베이스(400)는 광학적으로 중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렌즈배럴이 외부로부터 광을 수집하여 센서베이스(400)를 관통하여 이미지센서(500)로 상기 광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즉, 렌즈배럴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집된 광이 센서베이스(400)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센서베이스(400)의 중앙에 필터부(410)를 배치하여 필요한 파장대의 빛만 분별하여 이미지센서(5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collected from the outside by the lens barrel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일 실시예의 필터부(41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Off Filter)일 수 있다.The filter unit 410 of the embodiment may be an IR Cut Off Filter.
적외선 차단 필터란 렌즈배럴에 의해 수집된 외부의 광은 사람이 볼 수 없는 파장대의 적외선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미지센서(500)는 이러한 적외선 영역을 빛으로 인식하게 되어 실제와 다른 색상으로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외선 영역의 파장대의 광을 차단하는 부재이다.The infrared ray filter includes an infrared ray region of a wavelength band that can not be seen by a human being, and the
다만, 실시예의 필터부(410)는 필요에 따라 적외선 영역의 파장대 외에 다른 파장대를 차단하는 필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However, the filter unit 410 of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filter for blocking other wavelength band other than the wavelength band of the infrared region, if necessary,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판부(600)는 보빈(110), 커버부재(300), 센서베이스(400) 및 이미지센서(500)가 배치되는 일면을 제공하는 기판베이스(610), 기판베이스(610)에서 전달 받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는 커넥터부(650) 및 일단은 기판베이스(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타단은 커넥터부(6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기판베이스(61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부(650)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연결기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unit 600 includes a
연결기판(630)은 연성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비될 수 있다.The
연결기판(630)이 연성기판으로 구비되면 기존의 인쇄회로기판과 달리 자유롭게 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 connecting
다만, 이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기판(630)은 연성기판이 아닌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nd the connecting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 어셈블리, 센서베이스 및 기판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2 (a) and 2 (b) show an assembled lens barrel assembly, a sensor base, and a substr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기판부(600)의 기판베이스(610)의 상부면에 센서베이스(400), 이미지센서(미도시) 및 보빈(110)을 수용하는 커버부재(300)가 차례로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2 (a) and 2 (b), a
기판베이스(610)는 기판베이스(610)와 커버부재(300)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에 기판부(600)와 이미지센서(500)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단자부(6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단자부(611)는 커버부재(300) 하부면의 제1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단자부(6111) 및 커버부재(300) 하부면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단자부(6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611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6111 provided along the firs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또한, 제1단자부(6111)가 배치되는 커버부재(300) 하부면의 제1면과 인접하는 제3면 및 커버부재(300) 하부면의 제3면과 마주보는 제4면에는 에폭시(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에폭시(700)는 단자부(611)가 구비되지 않는 커버부재(30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단자부(611)의 상부에 에폭시(700)가 배치되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epoxy 700 can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다만, 에폭시(700)와 단자부(61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단자부(611)를 통하여 이미지센서(500)와 기판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며 에폭시(700)를 통하여 커버부재(300)와 센서베이스(4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기만 하면 족하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epoxy 700 and the terminal unit 611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the
도 3은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3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렌즈 구동 유닛(미도시), 제2 렌즈 구동 유닛(미도시) 및 커버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구동 유닛(100)은 전술한 오토 포커싱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 렌즈 구동 유닛(200)은 전술한 손떨림 보정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ens driving unit (not shown), a second lens driving unit (not shown), and a
커버 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렌즈 구동 유닛(미도시)을 감쌀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ortion. At this time, the movable portion can perform functions of auto focusing of the lens and correction of camera shake.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a
보빈(110)은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fe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ens,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auto 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nd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realized by moving the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측 탄성부재(150)는 보빈(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와 지지부재(220)가 각각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50)(16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제1마그네트(130)가 배치되고, 측면에 지지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2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2분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안착되고, 지지부재(220)의 하측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지지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부재(2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11)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11)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A supporting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base 210 opposite to a portion on which the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사각형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므로, 총 4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직선면 마다 2개씩 8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직선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Since the
한편, 도 4에서는 일 실시예로 판형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는 와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4, the plate-like supporting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2, 제3방향은 x축, y축 방향뿐만 아니라 x축, y축방향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구동측면에서 본다면, 하우징(140)은 x축,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도 있지만, 또한,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움직일 경우 x축, y축에 약간 경사지게 움직일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may include directions substantially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as well as the x- and y-axis directions. In other words, as seen from the driving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Also, the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네 모서리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별도의 제2코일(23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베이스(210)의 상측 및 상기 하우징(1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인쇄회로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 안착홈(214)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인쇄회로기판(250)에는 단자(251)가 설치되는 절곡형성되는 단자면(2511)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절곡된 단자면(2511)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50)이 도시되었다. 상기 단자면(2511)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 제2코일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11)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11)이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printed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등을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특히,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The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제2코일(23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렌즈 구동장치는 위치감지센서(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위치감지센서(240)는 상기 제2코일(2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4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센서(24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40)의 제1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하우징(140)의 제2 및 제3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위치감지센서(240)는 홀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타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위치감지센서(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210)의 모서리 부분에 총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실장 된 위치감지센서(240)는 베이스(210)에 형성된 위치감지센서 안착홈(215)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하면은 상기 제2코일(230)이 배치된 면의 반대면 일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위치감지센서(2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코일(2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위치감지센서(240)는 제2코일(230)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을 기준으로 상부면에는 제2코일(230)이, 하부면에는 위치감지센서(24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coupled to the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the infrared light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이 경우, 도 3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는 베이스(2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3, an infrared cut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Further, the holder member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베이스(210)에는 인쇄회로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또한, 인쇄회로기판(250)을 베이스(21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재(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접착부재(211)는 베이스(21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의 일측면과 인쇄회로기판(250)의 일측면이 면접촉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는 접착부재(211)는 베이스(210)의 일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접착부재(211)가 구비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접착부재(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본 실시예에 도시된 접착부재(211)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베이스(210)에 인쇄회로기판(250)을 접착하기만 하면 족하며 접착부재(211)가 구비되는 위치 및 개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베이스(210)는 스프링유닛(미도시)이 안착홈(214)에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210 may further include a stepped portion in the
베이스(210)와 인쇄회로기판(250)을 상호 접착하기 위하여 접착부재(211)가 베이스(2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접착부재(211)의 양이 적으면 베이스(210)와 인쇄회로기판(25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베이스(210)로부터 인쇄회로기판(250)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고, 접착부재(211)의 양이 많이면 안착홈(214)에 접착부재(211)가 침범하게 되어 악착홈(214)에 스프링유닛(미도시)가 정확하게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n
따라서, 베이스(210)의 안착홈(214)에 단차부를 더 구비하여 안착홈(214)에 접착부재(211)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단차부는 단차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부(2143), 단차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부면부(2142), 측면부(2143)와 하부면부(2142)에 의해 형성되어 접착부재(211)를 수용하는 단차공간(21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is formed by at least one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은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또한,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은 하부면부(2142)와 수직인 제1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이 하부면부(2142)와 수직인 제1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접착부재(211)가 하부면부(2142)의 양측면을 향하여 모이게 되어 접착부재(211)가 안착홈(2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또한,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은 하부면부(2142)와 수직인 제1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이 하부면부(2142)와 수직인 제1방향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접착부재(211)가 하부면부(2142)의 중앙을 향하여 모이게 되어 접착부재(211)가 안착홈(2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또한,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은 사인파(Sinusoidal)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tion of the
단차공간(2141)의 하부면부(2142)의 단면이 사인파(Sinusoidal)형상으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접착부재(211)가 하부면부(214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에 모이게 되어 접착부재(211)가 안착홈(2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또한, 본 실시예 에서는 단차부가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차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one step portion is shown as one, but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may be provided.
단차부가 복수 개 구비됨으로 인하여 2중 또는 3중 이상으로 접착부재(21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접착부재(211)가 안착홈(214)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are provide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하부면부(2142)는 복수 개의 돌출부재(2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복수 개의 돌출부재(2144)는 하부면부(2142)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2144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하부면부(2142)에 복수 개의 돌출부재(2144)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단차부로 유입된 접착부재(211)가 유동하는데에 있어 저항을 높여주기 때문에 단차부에 유입된 접착부재(211)가 안착홈(214)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2144 are provided on the
도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재(2144)는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고, 돌출부재(2144)는 원뿔 형상,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2144 are illustrated as being hemispherical in the figure, the protruding members 2144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상부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하부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top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bottom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인쇄회로기판(250)은 보빈(110)을 수용하기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의 적어도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벤딩(Bending)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 및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의 적어도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250)을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통시키는 패턴(251)을 포함하는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printed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은 중심이 원주(C)인 중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rinted
또한,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는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253)를 포함하는 중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inted
상기 오목부(253)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실시 예의 렌즈 구동 장치는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인쇄회로기판(25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회로부재(231)이 구비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inted
환언하면, 실시 예의 렌즈 구동 장치는 하부 에서부터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및 회로부재(231)순으로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에 상기 복수 개의 돌출중공부(253)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회로부재(231)는 인쇄회로기판(250)과 면 접촉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tacked in this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회로부재(231)가 인쇄회로기판(250)과 면 접촉을 하고, 인쇄회로기판(250)이 베이스(210)와 면 접촉을 하도록 구비됨으로 인하여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소정의 돌출부재(미도시)가 바로 회로부재(231)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250)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상기 구조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250)의 두께에 따라 베이스(210)의 하부면으로부터 회로부재(231)의 일면까지의 높이가 변동할 수 있어 렌즈 구동 장치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0 to one surface of the
하지만,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에 복수 개의 돌출중공부(253)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전술한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재(미도시)가 돌출중공부(253)을 관통하여 회로부재(231)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irst printed
이로 인하여, 베이스(210)의 하부면으로부터 회로부재(231)의 일면까지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by, the heigh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0 to one surface of 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중공부(253)는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제1사분면에 2개, 제2사분면에 2개, 제3사분면에 2개 및 제4사분면에 2개 구비되어 총 8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ding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돌출중공부(253)의 형상, 배치되는 위치 및 배치되는 개수는 베이스(210)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shape, position and number of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는 중심으로부터 제1대각길이(X1)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rinted
또한,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는 중심으로부터 제1대각길이(X1)와 교차하는 제2대각길이(X2)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inted
상기 제1대각길이(X1)와 제2대각길이(X2)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iagonal length X1 and 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may be equal to each other.
반면에, 상기 제1대각길이(X1)와 제2대각길이(X2)는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agonal length X1 and 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제1대각길이(X1)와 제2대각길이(X2)는 서로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1대각길이(X1)와 제2대각길이(X2)는 직교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diagonal length X1 and 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diagonal length X1 and 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may not be orthogonal.
회로기판부(250)의 일면에 회로부재(231)이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회로기판부(250)의 제1대각길이(X1)는 회로부재(231)의 제1대각길이(X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iagonal length X1 of the
또한, 회로기판부(250)의 제2대각길이(X2)는 회로부재(231)의 제2대각길이(X2)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of the
또한, 회로기판부(250)의 제1대각길이(X1)는 회로부재(231)의 제1대각길이(X1)와 동일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회로기판부(250)의 제2대각길이(X2) 또한 회로부재(231)의 제2대각길이(X2)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iagonal length X1 of the
회로기판부(250)의 제1대각길이(X1) 또는 제2대각길이(X2) 중 적어도 하나가 회로부재(231)의 제1대각길이(X1) 또는 제2대각길이(X2)와 동일하게 구비됨으로 인하여 회로기판부(250)의 일면에 회로부재(231)가 적층되는 경우 회로기판부(250) 또는 회로부재(231)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diagonal length X1 or the second diagonal length X2 of the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는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의 일면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부터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rinted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는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 및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후술할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가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벤딩(Bending)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rinted
따라서,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는 연성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printed
제1인쇄회로기판부(250b),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 및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inted
따라서,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뿐만 아니라 제1인쇄회로기판부(250a) 및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 또한 연성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not only the second printed
제2인쇄회로기판부(250b) 및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는 사용자의 손떨림을 방지하기 위해 광축에 대해 평행한 제1방향에 수직인 제2 및 제3방향에으로 이동하는 광학 모듈에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손떨림방지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개구부(254)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printed
상기 탄성부재개구부(254)는 총 4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탄성부재개구부(254)의 개수는 렌즈 구동 장치에 필요한 손떨림방지탄성부재(미도시)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형상 및 크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number of the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251) 및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251)의 일부를 덮게 구비되는 코팅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includes at least one
상기 단자(251) 및 코팅부재(252)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terminal 251 and th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FIG. 8 is a detailed view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25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단자(251)는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로부터 제1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8,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may include at least one
보다 자세하게는, 제1길이는 400um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length may be 400 m or more.
인쇄회로기판부(250)의 일부와 제어부(미도시)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접촉하는 경우 단자(251)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단자(251)가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로부터 400um이상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 인하여 단자(251)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terminal 251 when the terminal 251 contacts with a part of the printed
상기 복수개의 단자(251)는 가로길이가 W로 구비되고, 높이가 H로 구비될 수 있는데, 실시 예의 복수 개의 단자(251)는 동일한 가로길이 및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가로길이 및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단자(251)는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의 양끝단에 배치되는 제1단자(A) 및 상기 제1단자(A)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자(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251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A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nd a second terminal B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 .
상기 복수개의 단자(251)은 서로 제2길이(d)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단자(251)의 일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251)가 제2길이(d)만큼 이격된 부분에는 코팅부재(252)가 배치될 수 있다.A
단자(251)의 일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251)가 이격된 부분에 코팅부재(252)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의 하부면으로 부터 소정높이만큼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인쇄회로기판부(250)가 조립되는 경우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접촉(Contact)불량으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printed
또한, 제2길이(d)는 0.01um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ength d may be 0.01 um.
상기 복수 개의 단자(251)가 0.01um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코팅부재(252)가 적어도 두 개의 단자(251)상에 도포되어 인쇄회로기판부(250)가 조립되는 경우 단자(251)의 일부분이 인쇄회로기판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상기 코팅부재(252)는 PSR(Photo Solder Resist) 또는 커버레이(Coverlay)로 구비될 수 있다.The
PSR이란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한 후에 솔더링(Soldering)시 납의 브리지 발생을 방지하고, 노출된 회로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물질이다.PSR is a material that is applied to prevent lead bridge generation during soldering after parts are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exposed circuit.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에 배치되는 제1단자(A)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에 배치되는 제2단자(B)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 first terminal A disposed on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10 illustrates a first terminal A disposed on a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0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second terminal B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제1단자(A) 및 제2단자(B)에 배치되는 코팅부재(252)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단자(A)는 제3인쇄회로기판부(250c)의 양 끝단에 배치되고, 제2단자(B)는 상기 제1단자(A)의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A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unit 250c and the second terminal B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s A .
상기 제1단자(A)상에 배치되는 코팅부재(252)는 제1단자(A)의 일단에만 도포될 수 있다.The
보다 자세하게는 제1단자(A)의 가로길이가 W로 구비되고, 상기 코팅부재(252)는 제1단자(A)의 끝단에서부터 제3길이(O1)만큼 침범하여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rminal A is provided with a width W, and the
즉, 제1단자(A)의 전체 넓이가 H1 X W인 경우, 코팅부재(252)가 배치되는 넓이는 O1 X H1 이고, 코팅부재(252)가 배치되지 않는 넓이는 (W-O1) X H1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total width of the first terminal A is H1 XW, the width of the
상기 제2단자(B)상에 배치되는 코팅부재(252)는 제2단자(B)의 양 끝단에 도포될 수 있다.The
보다 자세하게는 제2단자(B)의 가로길이가 W로 구비되고, 상기 코팅부재(252)는 제2단자(B)의 양 끝단에서부터 제3길이(O1)만큼 침범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width W of the second terminal B may be W and the
즉, 제2단자(B)의 전체 넓이가 H1 X W인 경우, 코팅부재(252)가 배치되는 넓이는 2 X (O1 X H1) 이고, 코팅부재(252)가 배치되지 않는 넓이는 (W-2 X O1) X H1일 수 있다.That is, when the overall width of the second terminal B is H1 XW, the width of the
또한, 상기 코팅부재(252)는 상기 단자(251)의 상부면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코팅부재(252)는 상기 단자(251)의 양측면의 일부분 및 상기 단자(251)의 상부면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코팅부재(252)가 이웃 하는 두 개의 단자(251)에 함께 도포되어 단자(251)의 일부가 제3인쇄회로기판(250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만 하면 족하고, 코팅부재(252)가 도포되는 위치, 넓이 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n embodiment and the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제1 렌즈 구동 유닛
200: 제2 렌즈 구동 유닛
110: 보빈(bobbin)
120: 제1 코일
130: 제1 마그네트
140: 하우징
147: 결합 돌기
150: 상부 탄성 부재
160: 하부 탄성 부재
180: 제2 마그네트
182: 자장 보상용 금속
210: 베이스
214: 지지 부재 안착홈
215: 제2 감지 센서 안착홈
220: 복수의 지지 부재 쌍
214: 안착홈
250a: 제1인쇄회로기판부
250b: 제2인쇄회로기판부
250c: 제3인쇄회로기판부
251: 단자
252: 코팅부재100: first lens driving unit 200: second lens driving unit
110: bobbin 120: first coil
130: first magnet 140: housing
147: engaging projection 150: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180: second magnet
182: metal for magnetic field compensation 210: base
214: support member seat groove 215: second sensing sensor seat groove
220: a plurality of pairs of support members 214:
250a: first printed
250c: third printed circuit board portion 251: terminal
252: coating member
Claims (16)
상기 제1 렌즈 구동 유닛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코일;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의 양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A bobbi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coil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bobbin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d a first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by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being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 bas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driv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movably support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second coil disposed opposite the first magn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by an adhesive member, the second lens driving unit mov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coil, Unit,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d a coating member covering a part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제1길이만큼 이격되게 복수 개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length.
상기 제1길이는 0.01um 내지 0.45um인 렌즈 구동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ength is from 0.01 [mu] m to 0.45 [mu] m.
상기 코팅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단자의 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member i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at least two terminals.
상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 끝단에 배치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1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ncludes:
A first terminal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d a second termin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s.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면을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단자의 양측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cover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and covers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terminal.
상기 코팅부재는 PSR(Photo Solder Resist) 또는 커버레이(Coverlay)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member comprises a photo solder resist (PSR) or a coverlay.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형상인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hollow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a cent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재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Wherein the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the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회로부재의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제2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a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렌즈 구동 유닛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코일;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및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 및
상기 복수 개 구비되는 단자의 양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A bobbi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coil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bobbin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d a first lens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by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coil,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being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 bas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driv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movably support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 second coil disposed opposite the first magn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by an adhesive member, the second lens driving unit moving the housing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by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coil, Unit,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d a coating member provided to cover parts of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mage sensor; And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상기 단자의 두께는 400um이상인 카메라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rminal has a thickness of 400um or more.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중공부를 포함하는 중공형상인 카메라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hollow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protruding heights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a cent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부재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의 대각길이와 동일한 카메라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ircuit member including the second coil,
Wherein the diagonal length of the circuit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equal to the diagonal length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코팅부재는 PSR(Photo Solder Resist) 커버레이(Coverlay)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ating member is a photo solder resist (PSR) coverlay.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단자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ating member is provided to cover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403A KR20170036346A (en) | 2015-09-24 | 2015-09-24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US15/271,955 US10082638B2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CN202111370327.4A CN114114592A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ing unit |
JP2016183948A JP7194482B2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e unit |
CN202111372276.9A CN114114593B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e unit |
CN201610839216.6A CN106772912B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ing unit |
CN202111395674.2A CN114114594B (en) | 2015-09-21 | 2016-09-21 | Lens drive unit |
US16/110,736 US10502923B2 (en) | 2015-09-21 | 2018-08-23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US16/668,931 US10908382B2 (en) | 2015-09-21 | 2019-10-30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US17/138,163 US11275228B2 (en) | 2015-09-21 | 2020-12-30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US17/649,988 US11662546B2 (en) | 2015-09-21 | 2022-02-04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JP2022066319A JP7393465B2 (en) | 2015-09-21 | 2022-04-13 | lens drive unit |
US18/302,368 US12066689B2 (en) | 2015-09-21 | 2023-04-18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US18/775,117 US20240369804A1 (en) | 2015-09-21 | 2024-07-17 |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5403A KR20170036346A (en) | 2015-09-24 | 2015-09-24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6346A true KR20170036346A (en) | 2017-04-03 |
Family
ID=5858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5403A Ceased KR20170036346A (en) | 2015-09-21 | 2015-09-24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3634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3097A (en) * | 2018-11-21 | 2020-06-04 |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Drive mechanis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CN112835203A (en) * | 2021-03-04 | 2021-05-25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Drive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
2015
- 2015-09-24 KR KR1020150135403A patent/KR2017003634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3097A (en) * | 2018-11-21 | 2020-06-04 |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Drive mechanis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US11451691B2 (en) | 2018-11-21 | 2022-09-20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Driving mechanis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CN112835203A (en) * | 2021-03-04 | 2021-05-25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Drive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93465B2 (en) | lens drive unit | |
US11579402B2 (en) | Lens driving apparatus | |
US12332498B2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EP4033301B1 (en) |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 |
CN114839825B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 |
KR20160103437A (en) |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00728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60126587A (en) | Lens moving unit | |
KR102701279B1 (en) | Camera module | |
KR20230110694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36347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617335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036346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19254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307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20811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