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34112A -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112A
KR20170034112A KR1020150132382A KR20150132382A KR20170034112A KR 20170034112 A KR20170034112 A KR 20170034112A KR 1020150132382 A KR1020150132382 A KR 1020150132382A KR 20150132382 A KR20150132382 A KR 20150132382A KR 20170034112 A KR20170034112 A KR 20170034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opolis
active ingredient
wrink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960B1 (ko
Inventor
이지원
박진오
황태규
김덕하
윤철수
Original Assignee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9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9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효성분의 시너지 작용으로, 프로콜라겐 합성 효과, 및/또는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가 극대화 되고, 궁극적으로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ANTI-WRINKL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ROOTS, AND WILLOW OR PROPOLIS}
본 발명은,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함량의 증가와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많이 생성되어 주름이 증가되고,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젊음과 아름다움을 중시하기 때문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도 내, 외적 요인들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이미 진행된 노화도 회복시키기를 원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주름개선제, 탄력개선제, 미백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피브로넥틴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고, 수분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어 탄력상실, 피부 건조, 피부처짐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증가로 인해 콜라겐이 분해되고,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생합성이 증가하여 탄력에 관여하는 엘라스틴과 부착 단백질인 파이브로넥틴을 분해시켜 노화현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으로, 진피층의 구조 단백질인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을 증가시키거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를 통한 콜라겐 분해를 막는 다양한 주름개선 원료들이 개발되었다.
연은 씨앗, 잎 등의 부위를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한 선행특허가 공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미국특허 제5,925,348호에는 연꽃의 씨앗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있으며, 일본등록특허 제4,693963호에는 연꽃의 씨앗 배아를 이용한 콜라겐 합성 촉진에 관한 내용이 있다.
그러나, 연 추출물에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병용하여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아니하며,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에 있어서, 아직 만족할만한 수준을 이루고 있지 못하고 있다.
US 5925348 A (1999. 7. 20.) JP 4693963 B2 (2011. 6. 1.)
본 발명자들은, 연 추출물에 버드나무 추출물, 및/또는 프로폴리스를 혼합한 복합제제가, 각각의 제제에 비해, 현저한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고, 이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 및/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을 가지고,
유효성분 추출물 전체 함량이 0.5 중량% 이하이며,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0.8 ~ 1.2 : 1.6 ~ 2.4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엘라스타제 저해작용을 가지고,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6 ~ 2.4 : 0.8 ~ 1.2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작용으로, 프로콜라겐 합성 효과, 및/또는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가 극대화 되고, 궁극적으로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농도별 프로콜라겐 생성효과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농도별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2% 농도에서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2% 농도에서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조성물이다.
상기 유효성분은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 및/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작용을 가져, 주름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 측면에서는, 유효성분 추출물 전체 함량이 0.5 중량% 이하의 저농도일 경우가 바람직하며(고농도의 경우 세포독성이 발현되고 콜라겐 합성 효과도 떨어진다),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0.8 ~ 1.2 : 1.6 ~ 2.4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가 가장 강한 조합이므로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행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엘라스타제 저해작용 측면에서는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6 ~ 2.4 : 0.8 ~ 1.2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가 가장 강한 조합이므로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행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특히, 연근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독성 발현이 두드러진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행하여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형 또는 제품에 포함시킴으로써, 다종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및 관련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실시예
연근 추출물의 제조
연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 건조하고 세절하였다. 정제수와 에탄올 3 : 7 혼합용매를 약 10배 부피량으로 가하여 추출하였다. 냉각콘덴서를 장착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60 내지 80℃ 온도를 유지하면서 12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고, 잔사는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Buchi Rotavapor R-124, Water Bath B-480 Made in switzerland, Eyela A-3S Tokyo rikakikai)를 사용하여 60∼80℃로 유지하면서 증류하였으며, 이때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건조시켜 연 뿌리의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버드나무 추출물의 제조
버드나무 표피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동결건조 분말을 얻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제조
프로폴리스 원괴를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주정과 절단된 프로폴리스 원괴를 교반기에 넣어 교반시켜 프로폴리스를 추출한 후, 이를 필터에 통과시키고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프로폴리스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배합비율로 섞어, 다양한 배합비율의 추출물 베이스를 각각 제조하였다.
혼합 중량비
샘플 이름 H1 H2 H3 H4 H5 H6 H7
연근
추출물
1 - - 1 1 1 2
프로폴리스 추출물 - 1 - 1 1 2 1
버드나무 추출물 - - 1 1 2 1 1
혼합 중량비
샘플 이름 H8 H9 H10 H11 H12 H13
연근
추출물
1 1 2 1 1 2
프로폴리스 추출물 1 2 1 - - -
버드나무 추출물 - - - 1 2 1
상기 제조된 추출물 베이스에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방한 부형제 등을 섞어 화장료 조성물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원료명 함량 (wt%)
잔량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라이콜 10
EDTA-2Na 0.05
Oil 20
H6 추출물 베이스 0.1
실시예 2
원료명 함량 (wt%)
잔량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라이콜 10
EDTA-2Na 0.05
Oil 20
H7 추출물 베이스 5
실험예
상기 제조된 추출물 베이스에 대해서, 하기와 같은 농도별 프로콜라겐 생성 효과 및 세포 독성과,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효과 및 세포 독성 평가 시험을 시행하였다.
농도별 프로콜라겐 생성 효과 실험
콜라겐은 세포 내에서 프로콜라겐으로 합성된 후, 세포 외로 분비되어 콜라겐 섬유로 중합된다. 이 때, 프로콜라겐의 N-말단 및 C-말단의 프로펩티드가 엔도펩티다제에 의해 유리되므로, 인간 프로콜라겐 타입 I C-말단 펩티드(PIP)를 정량하여 콜라겐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방법:
① 48-well plate에 fibroblast cell(CCD-986SK)을 5×104 cell/well로 시딩(seeding)하였다.
② 24시간 배양 후 PBS로 워싱하였다.
③ 세럼 프리(Serum free) 배지로 샘플처리하였다.
④ 24시간 배양하였다.
⑤ 배양한 상등액을 얻어, 프로콜라겐 타입 I C-펩티드 양을 측정하였다.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EIA kit 방법에 따라 진행함(TaKaRa MK101).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collagen production (%) SD (%)
control 100.00 2.218
0.1% H1 108.92 1.018
H2 109.65 1.012
H3 102.51 3.246
H4 103.59 1.452
H5 113.66 0.976
H6 120.60 1.839
H7 109.21 1.016
1.0% H1 104.29 0.303
H2 119.64 0.746
H3 121.08 2.794
H4 109.41 8.150
H5 108.96 8.301
H6 109.42 2.397
H7 92.82 2.169
5.0% H1 50.23 0.640
H2 120.40 3.777
H3 134.52 2.074
H4 11.63 14.209
H5 -0.89 -46.725
H6 6.78 9.570
H7 -1.56 -36.691
각각의 추출물 중 버드나무추출물과 프로폴리스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합성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복합추출물 처리시 각각의 추출물을 0.1%로 처리하였을 때, 연근추출물 : 프로폴리스추출물 : 버드나무추출물 = 1 : 2 : 1 비율에서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별 세포독성 평가( MTT assay) 실험
살아있는 세포들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rtrazolium bromide)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 효소의 환원 작용으로 bule formazon product로 전환시키고, 이 형성된 청색의 생성물을 용매(solvent)로 용출하여 ELI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 growth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았다.
- 확인 방법:
①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105 cells/㎖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 에 접종하고, 18시간 전배양하였다.
② 시험물질과 LPS (1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③ MTT solution(2 ㎎/㎖)을 100 ㎕를 가하고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④ 배지를 제거하고 300 ~ 500 ㎕정도의 DMSO로 생성된 결정을 녹였다(pipetting).
⑤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 내지 표 7, 및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Cell viability (%) SD (%)
control 100.00 3.227
0.1% H1 103.27 3.738
H2 102.69 3.508
H3 104.55 1.628
H4 104.49 1.055
H5 106.16 2.140
H6 105.74 0.591
H7 106.85 0.607
1.0% H1 107.81 0.702
H2 108.03 0.528
H3 109.70 0.943
H4 110.01 0.915
H5 103.27 3.738
H6 102.69 3.508
H7 104.55 1.628
5.0% H1 53.61 1.711
H2 108.03 0.528
H3 109.70 0.943
H4 13.26 1.452
H5 15.28 1.314
H6 18.86 0.576
H7 15.09 0.070
  Cell viability (%) SD (%)
control control 100.00 0.315
2.0% H1 102.73 3.722
H2 106.33 1.593
H3 106.63 0.355
H4 105.24 3.324
H5 107.71 0.641
H6 106.11 3.016
H7 105.48 0.893
H8 106.81 0.202
H9 110.85 1.674
H10 107.93 1.186
H11 110.54 0.955
H12 104.54 4.181
H13 103.41 1.650
0.50% Vitamine C 105.18 1.542
연근추출물의 경우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는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독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2.0% 정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연근추출물의 농도는 5% 이하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인 것으로 사료된다.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 실험
탄력 섬유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진 엘라스타제는 탄성 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시켜 피부의 진피조직의 그물망을 끊어 줌으로서, 펨티드 결합의 분열을 촉매하는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하시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능력을 확인하여 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 측정은 기질로서 N-succinyl-Ala-Ala-p-nitroanilide (sigma)를 사용하여 생성된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 방법:
① 96-well plate에 추출물의 농도 2.0%로 하여 100㎕를 각각 첨가하였다.
② 0.2M Tris buffer (pH 8.0) 60㎕를 첨가하였다.
③ 기질인 5mM N-Succinyl-Ala-Ala-p-nitroanilide 20㎕를 첨가하였다.
④ 효소인 10㎍/㎖ 엘라스타제 20㎕를 첨가하였다.
⑤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⑥ 410㎚에서 생성된 p-nitroaniline의 양을 측정하였다.
* Positive control: Vitamine C 0.5%
결과는 하기 표 8,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Inhibition (%) SD (%)
control 0.00 2.079
2.0% H1 23.63 0.266
H2 3.43 2.383
H3 3.25 0.120
H4 25.86 0.443
H5 31.62 0.990
H6 29.64 1.635
H7 44.03 2.505
H8 23.99 1.934
H9 23.66 1.203
H10 34.39 0.516
H11 19.44 1.872
H12 25.21 0.323
H13 35.70 0.436
0.50% Vitamine C 54.37 2.098
Elastase 활성 저해 평가에서 연근 추출물의 경우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특히, 연근추출물 : 프로폴리스추출물 : 버드나무추출물 = 2 : 1 : 1 비율에서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6)

  1.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 및/또는 엘라스타제 저해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콜라겐 합성 촉진작용을 가지고,
    유효성분 추출물 전체 함량이 0.5 중량% 이하이며,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0.8 ~ 1.2 : 1.6 ~ 2.4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엘라스타제 저해작용을 가지고,
    연근 추출물 : 프로폴리스 추출물 : 버드나무 추출물 = 1.6 ~ 2.4 : 0.8 ~ 1.2 : 0.8 ~ 1.2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청구항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토너,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앰플,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아이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포밍 워시,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워시오프 팩, 필오프 팩, 시트상 마스크 팩,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리포젤 마스크팩, 클레이 마스크 팩, 비누, 스프레이, 선 크림, 선 로션, 선 밤, 선 미스트, 비비 크림,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프라이머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32382A 2015-09-18 2015-09-18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Active KR10183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382A KR101837960B1 (ko) 2015-09-18 2015-09-18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382A KR101837960B1 (ko) 2015-09-18 2015-09-18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112A true KR20170034112A (ko) 2017-03-28
KR101837960B1 KR101837960B1 (ko) 2018-03-13

Family

ID=5849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382A Active KR101837960B1 (ko) 2015-09-18 2015-09-18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64A (ko) * 2019-09-24 2021-04-01 한국화학연구원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7701B1 (ko) 2022-02-08 2024-12-31 최미경 옥효소소금을 포함하는 클렌징 폼
KR20230134276A (ko) 2022-03-14 2023-09-21 최미경 옥효소소금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5348A (en) 1996-02-23 1999-07-20 Medical Doctor's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uti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cred lotus (methyltransferase) to treat aging skin
JP4693963B2 (ja) 2000-07-12 2011-06-01 丸善製薬株式会社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線維芽細胞増殖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822A (ja) 1999-07-28 2001-02-13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エラスターゼ阻害剤
JP2011121920A (ja) 2009-12-14 2011-06-23 Kracie Home Products Ltd エラスターゼ阻害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229045B1 (ko) * 2010-04-14 2013-02-04 최찬기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6113B1 (ko) * 2010-08-31 2012-12-27 서울프로폴리스 주식회사 항여드름 효능 및 주름개선 효능을 가지며 향취가 개선된 프로폴리스 가용 분획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224074A (ja) 2013-05-16 2014-12-04 地方独立行政法人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ヤナギ科ヤナギ属植物の抽出物を含有するエラスターゼ活性抑制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5348A (en) 1996-02-23 1999-07-20 Medical Doctor's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uti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cred lotus (methyltransferase) to treat aging skin
JP4693963B2 (ja) 2000-07-12 2011-06-01 丸善製薬株式会社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線維芽細胞増殖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764A (ko) * 2019-09-24 2021-04-01 한국화학연구원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960B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65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581B1 (ko) 와송을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23351B1 (ko) 17가지 한방소재 발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0623A (ko) 피부 재생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43B1 (ko) 조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피부주름생성억제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101869971B1 (ko)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1791A (ko)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837960B1 (ko)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JP2013053108A (ja) 椿花抽出物
KR20200041667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1545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1780B1 (ko) 천연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상처 치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1627A (ko)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101A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1A (ko)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5087A (ko) 톳 효소 추출물 또는 그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5596B1 (ko) 밀양20호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21193A (ko) 청주 순미주 농축물 및 청주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함유하는 피부 보호 또는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763984B1 (ko) 항산화 및 피부주름 개선 효능이 증진된 녹차 및 누에고치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녹차 및 누에고치 복합 발효물
KR102729224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성 피부탄력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80128381A (ko)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761304B1 (ko) 업사이클링 자이언트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83924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피트 추출물과 소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