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28857A -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8857A
KR20170028857A KR1020160112952A KR20160112952A KR20170028857A KR 20170028857 A KR20170028857 A KR 20170028857A KR 1020160112952 A KR1020160112952 A KR 1020160112952A KR 20160112952 A KR20160112952 A KR 20160112952A KR 20170028857 A KR20170028857 A KR 2017002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original
resolution
mode
se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766B1 (ko
Inventor
고이치 운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3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5Reproduc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3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reproduction, e.g. network printing or remote imag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erform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1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ad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22Selecting or setting a particular reading mode, e.g. from amongst a plurality of modes, simplex or duplex, or high or low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원고 판독 속도를 변경하는 복잡한 조작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강요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최적 속도로 원고를 판독할 수 있다.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인 경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2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도록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복사기 등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기계적 비용을 저감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 방법으로서, 복사시 스캐너의 원고 판독 속도를 증가시키는 기술이 제안된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78870호 참조). 스캐너의 원고 판독 속도의 증가는 원고 판독을 위한 해상도를 감소시키지만, 단위 시간당 원고 화상 판독 속도의 향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캐너를 사용하여 원고를 판독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2개의 상이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1) 유리대(원고대) 상에 위치된 원고를 따라서 광학 판독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원고를 판독하는 압판 판독 방법.
(2) 전용 트레이 상에 위치된 원고 다발로부터 각각의 원고가 반송되고 이후 원고가 반송되는 도중 고정된 광학 판독 장치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
판독 속도 전환시(더 구체적으로, 해상도 변경시), 상술된 2개의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고를 판독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원고 반송 속도를 변경하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이 광학 판독 장치가 가변 속도로 이동되는 것이 요구되는 압판 판독 방법보다 저비용으로 판독 속도 전환을 달성하기 때문이다.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판독 속도 전환(더 구체적으로, 해상도 변경)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판독 설정을 "속도 우선"(속도에 우선권이 제공됨)으로부터 "화질 우선"(화질에 우선권이 제공됨)로 또는 반대로 설정하는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 이 조작에 응답하여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가 변경된다. 사용자는 복사시 생산성과 인쇄되는 화질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를 변경한다.
종래, 복사 기능에는, 압판 판독 방법과 원고 급송 판독 방법 사이의 전환에 의해 원고가 판독되고 이후 압판 판독 방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및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의 세트로서 인쇄될 수 있는 연속 판독 기능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술된 연속 판독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압판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가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와 상이한 경우, 압판 판독 방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와 상이하다. 따라서, 인쇄물 중, 압판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판독된 페이지와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판독된 페이지 사이에 화질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복사 기능에 따라서 상술된 판독 속도 전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상술된 연속 판독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대한 판독 속도 설정이 압판 판독 속도에 대한 판독 속도 설정과 상이한 경우, 사용자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가 압판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와 일치하도록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연속 판독 기능이 사용될 때마다, 사용자가 이러한 설정을 고려하여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의 판독 속도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번거롭다. 이는 사용자에게 조작 부하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된 과제에 대해 알지 못하는 사용자는 상술된 판독 속도를 고려할 필요성조차 인식하지 못할 수 있고, 따라서 상술된 설정을 고려하지 않고서 연속 판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판독된 페이지들 사이에 화질 차이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의도한 출력물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원고 판독 장치는, 원고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 유닛, 원고의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해상도 설정 유닛, 미리 정해진 모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모드 설정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해상도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인 경우 원고를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판독 유닛을 제어하고, 해상도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설정 유닛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원고를 제2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판독 유닛을 제어하고, 판독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설정 유닛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원고를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판독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조작 유닛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화상 처리 장치의 메인 메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복사시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화상 처리 장치의 판독 설정 및 동작 모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의 복사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8은 화상 처리 장치의 사용자 모드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화상 처리 장치의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화상 처리 장치의 복사 기능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화상 처리 장치의 모드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조작 유닛(30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중앙 처리 장치(CPU)(201)는 화상 처리 장치(100)에서 제어의 중심이다. CPU(201)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2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블록을 제어한다. 또한, CPU(201)는 ROM(202)에 저장된 초기 프로그램에 의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218)로부터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204)에 로딩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화상 처리 장치(100)의 각 블록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한 화상 판독 동작 및 화상 인쇄 동작이 후술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고대 유리(120)에 위치된 원고(121) 상의 정보는 원고 판독 장치(119)의 노광 유닛(113)을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판독된다(압판 판독 방법). 원고(121)는 노광 유닛(113)에 의해 노광된다. 원고(121)로부터의 반사광이 미러 유닛(114)에 전달되고, 렌즈(115)를 통과하여 집광되고, 전하 결합 소자(CCD) 센서 유닛(116)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원고 급송 장치(101)의 원고 트레이(102)의 원고(103) 상의 정보는 원고(103)가 원고 판독 장치(119)의 노광 유닛(1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서 판독된다(원고 급송 판독 방법). 원고(103)가 원고 트레이(102)에 세트된다. 원고 급송 롤러(104) 및 분리 패드(105)는 쌍으로서 원고(103) 각각을 반송한다. 반송된 원고(103)는 중간 롤러 쌍(106)에 의해 원고 급송 장치(101) 내부로 보내지고, 대형 롤러(108) 및 제1 종동 롤러(109)에 의해 반송되고, 대형 롤러(108) 및 제2 종동 롤러(110)에 의해 추가로 반송된다.
대형 롤러(108) 및 제2 종동 롤러(110)에 의해 반송된 원고(103)는 원고 급송 판독 원고 유리(112)와 원고 가이드 판(117) 사이를 통과하고, 점프 스탠드(118)를 통과하고, 대형 롤러(108) 및 제3 종동 롤러(111)에 의해 반송된다. 대형 롤러(108) 및 제3 종동 롤러(111)에 의해 반송된 원고(103)는 원고 배출 롤러 쌍(107)에 의해 원고 급송 장치(101) 외부로 배출된다. 원고 급송 판독 원고 유리(112)와 원고 가이드 판(117) 사이에서, 원고(103)는 원고 가이드 판(117)에 의해 원고 급송 판독 원고 유리(112)와 접촉 상태로 반송된다.
원고(103)가 원고 급송 판독 원고 유리(112)를 통과할 때, 원고 급송 판독 원고 유리(112)와 접촉하는 면이 노광 유닛(113)에 의해 노광되고, 노광 결과로서 획득되는 원고(103)로부터의 반사광이 미러 유닛(114)에 전달된다. 전달된 반사광은 렌즈(115)를 통과해서 집광되고, CCD 센서 유닛(116)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상술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207)의 CPU(208)의 제어 하에서 레드, 그린, 및 블루(RGB) 신호로 변환된다. CPU(201)의 제어 하에서, RGB 신호는 스캐너 인터페이스(I/F)(206) 및 버스 컨트롤러(205)를 개재하여 DRAM(204)에 일시 저장되고, 이후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HDD(218)에 저장된다. 스캐너(207)는 도 1에 도시된 원고 급송 장치(101) 및 원고 판독 장치(119)를 포함한다. 원고 급송 장치(101) 및 원고 판독 장치(119)는 CPU(208)에 의해 제어된다.
HDD(21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경우, HDD(21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CPU(201)의 제어 하에서 DRAM(2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그래픽 프로세서(203)를 개재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해 RGB로부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CMYK)으로의 변환 등의 색 공간 변환이 수행된 이후,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 I/F(210)를 개재하여 프린터(212)에 전송된다.
프린터(212)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CPU(213)의 제어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유닛(122)에 의해 레이저 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레이저 유닛(122)으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에 의해 감광체 드럼(123, 124, 125, 126)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화상은 감광체 드럼(123, 124, 125, 126) 상에 형성된 화상의 정전 용량을 사용하여 토너 흡착을 행하는 현상 유닛(127, 128, 129, 130)을 개재하여 정착기(133)에 의해 용지(시트) 상에 정착된다. 용지는 용지 급송단(131, 132, 138, 139, 140)으로부터 급송된다. 정착기(133)를 통과한 용지는 반송 롤러(134, 135)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양면 인쇄의 경우, 정착기(133)를 통과한 용지는 플랩(136)을 개재하여 경로(137)로 보내지고, 스위치백에 기초하여 반전되어, 이후 다시 급송된다.
화상 처리 장치(1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는 경우, CPU(201)는 ROM(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I/O 제어 유닛(215) 및 조작 유닛 I/F(217)를 개재하여 조작 유닛(300)의 액정 표시(LCD) 패널(302)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 메뉴(401)를 표시한다.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DRAM(204) 내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HDD(218)에 저장되고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ROM(202) 내의 초기 프로그램에 의해 DRAM(204)으로 전송된다.
도 4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메인 메뉴(401)의 예를 도시한다.
포털 화면으로서 메인 메뉴(401)에서, 사용자가 복사 아이콘(402)을 누르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사 화면(1001)(후술됨)이 LCD 패널(302)에 표시되어, 복사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인 메뉴(401)는 사용자가 메인 메뉴 키(301)를 누르는 경우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LCD 패널(302)의 표면은 터치 센서로서 기능한다. 사용자가 임의의 소정의 영역을 누르는 경우, 눌려진 위치가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CPU(201)에 통지된다. CPU(201)는 통지된 위치 및 LCD 패널(302)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에 기초하여 버튼으로서 표시된 영역이 눌려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버튼으로서 표시되는 영역이 눌려진 것으로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 CPU(201)는 ROM(202) 내의 프로그램 또는 DRAM(20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르는 처리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키(303)를 누르는 경우, 사용자 설정 키(303)의 눌림이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CPU(201)에 통지된다. 사용자 설정 키(303)의 눌림이 통지된 CPU(201)는 ROM(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I/O 제어 유닛(215) 및 조작 유닛 I/F(217)을 개재하여 LCD 패널(302) 상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모드 설정 화면(801)을 표시한다.
사용자 모드 설정 화면(801)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사용자 모드 설정 화면(801)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모드 설정 화면(801)의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설정 메뉴(802)를 선택하는 경우, 상술된 바와 유사하게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설정 메뉴(802)의 선택이 CPU(201)에 통지되고, CPU(201)는 LCD 패널(302) 상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901)을 표시한다.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901)이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9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모드 선택 화면으로서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901)의 예를 도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901)은 복사 기능에서의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대한 판독 속도(더 구체적으로, 판독 해상도)에 관련된 설정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속도 우선/화질 우선 선택 화면(901)에 표시된 속도 우선 버튼(902) 또는 화질 우선 버튼(903)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이후 OK 버튼(904)을 누르는 경우, 선택된 내용이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CPU(201)에 통지된다. CPU(201)는 통지된 내용을 DRAM(204) 내의, 도 6에 도시된 판독 설정(601)의 판독 설정 내용(602)에 저장한다. 속도 우선 버튼(902)은 고속으로(즉, 저해상도로) 원고(103)를 판독하는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화질 우선 버튼(903)은 고해상도로(즉, 저속으로) 원고(103)를 판독하는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메모리(DRAM(204) 상의 판독 설정 및 모드 정보에 대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원고 급송 장치(101)의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의 정보를 판독하는 경우,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100)는 판독 설정 내용(602)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고(103)의 반송 제어를 변경한다.
원고 급송 장치(101)의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판독할 때, CPU(201)는 판독 설정 내용(602)의 내용을 판정한다. 속도 우선 설정이 저장된 경우, CPU(201)는 원고 급송 롤러(104)가 동작하기 전에, 속도 우선이 설정된 것을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216)를 개재하여 스캐너의 CPU(208)에 통지한다.
CPU(201)에 의해 속도 우선 설정이 통지된 CPU(208)는 표준 속도의 배인 반송 속도를 설정하도록 롤러(104, 106, 108, 109, 110, 111)를 제어함으로써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반송한다. 표준 속도는 미리 정해진 속도, 예를 들어 단위 인치당 600 도트(dpi)에 상당하는 속도이다. 이 예에서, 속도 우선의 경우, CPU(208)는 표준 속도의 배의 속도로서, 300dpi에 상당하는 속도로 원고(103)를 반송할 수 있다.
두 배의 반송 속도로 반송된 원고(103)는 노광 유닛(113)에 의해 노광되고, 반사광이 CCD 센서 유닛(116)에 의해 판독된다. CCD 센서 유닛(116)에 의해 판독된 원고(103)의 화상 데이터는 스캐너 I/F(206)을 개재하여 그래픽 프로세서(203)로 보내진다. 이후, CPU(201)는 주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변환한다. 그 후, 화상 데이터는 DRAM(204)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HDD(218)에 저장된다.
한편, 화질 우선 설정이 판독 설정 내용(602)에 저장된 경우, CPU(201)는 원고 급송 롤러(104)가 동작하기 전에 화질 우선이 설정된 것을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216)를 개재하여 스캐너의 CPU(208)에 통지한다. CPU(201)에 의해 화질 우선 설정이 통지된 CPU(208)는 반송 속도를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설정하도록 롤러(104, 106, 108, 109, 110, 111)를 제어함으로써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반송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100)는 압판 판독 방법 또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의해 원고를 판독할 수 있다. 압판 판독 방법에서, 원고대 유리(120) 상에서 정지 상태의 원고(121)는 노광 유닛(113)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는 동안 판독된다.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서, 원고 트레이(102) 상에 세트된 원고(103)는 CPU(201)에 의해 지정된 속도로 반송되고 원고가 반송되는 동안 판독된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압판 판독 방법 또는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 속도에 따르는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인쇄 시의 동작이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5는 복사시 화상 처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CPU(201)가 ROM(202)에 저장된 프로그램(또는 HDD(218)로부터 DRAM(204)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LCD 패널(302)에 표시된, 도 4에 도시된 포털 화면(401)의 복사 아이콘(402)을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 CPU(201)는 이 동작을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검지한다. 이 검지에 응답하여, CPU(201)는 ROM(20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복사 화면(1001)을 I/O 제어 유닛(215) 및 조작 유닛 I/F(217)을 개재하여 LCD 패널(302)에 표시한다. 단계(S501)에서, CPU(201)는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의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S502, S503)에서, CPU(201)는 복사 실행 시 모드 설정 및 스타트 키(304)의 눌림을 수신한다.
도 10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복사 화면(1001)의 예를 도시한다.
복사 화면(1001)은 기타 기능 버튼(100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기타 기능 버튼(1002)을 누르는 경우, 이러한 조작이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CPU(201)에 통지된다.
사용자가 기타 기능 버튼(1002)을 누르는 경우, CPU(201)는 I/O 제어 유닛(215) 및 조작 유닛 I/F(217)을 개재하여 도 11에 도시된 모드 설정 화면(1101)을 LCD 패널(302)에 표시한다. 그리고, CPU(201)는 모드 설정 화면(1101)으로부터 복사 실행 시의 모드 설정을 수신한다.
도 11은 화상 처리 장치(100)의 모드 설정 화면(1101)의 예를 도시한다.
모드 설정 화면(1101)은 양면 버튼(1103), 마무리 버튼(1104), 페이지 집약 버튼(1105), 연속 판독 버튼(1106), 농도 버튼(1107), 및 원고 유형 버튼(1108)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인쇄 시의 동작 모드(인쇄 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양면 버튼(1103)은 판독된 원고의 양면 인쇄를 수행하는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마무리 버튼(1104)은 인쇄된 용지에 대해 스테이플 처리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페이지 집약 버튼(1105)은 판독된 복수의 원고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복수의 화상을 인쇄 시트 상에 배치하는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연속 판독 버튼(1106)은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와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 사이를 전환하면서 원고 판독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연속 판독 버튼(1106)은 압판 판독 방법과 원고 급송 판독 방법 사이를 전환하면서 원고를 복수회 판독할 수 있다. 이 버튼은 복수의 원고 판독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의 세트로서 처리되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농도 버튼(1107)은 인쇄 농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원고 유형 버튼(1108)은 원고의 유형을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가 LCD 패널(302) 상에 표시되는 모드 설정 화면(1101) 상의 버튼(1103 내지 1108)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경우, CPU(201)는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눌려진 버튼을 검지한다. 이 검지에 응답하여, CPU(201)는 DRAM(204) 내의, 도 6에 도시된 인쇄 모드(603)에 대한 영역(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 중 하나의 영역에 눌려진 버튼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속 판독 버튼(1106)을 누르는 경우, CPU(201)는 인쇄 모드(603)에 대한 영역(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 중 하나의 영역에 연속 판독 버튼(1106)의 눌림을 기록한다. 사용자가 모드 설정 화면(1101) 상에서 복수의 설정을 행하는 경우, CPU(201)는 인쇄 모드(603)에 대한 영역(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 각각에 복수의 설정을 기록한다.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조작 유닛(300)의 스타트 키(304)를 누르는 경우(단계(S503)에서 예), CPU(201)는 조작 유닛 I/F(217) 및 I/O 제어 유닛(215)을 경유하여 스타트 키(304)의 눌림을 검지한다. CPU(201)가 스타트 키(304)의 눌림을 검지하는 경우(단계(S503)에서 예), 단계(S504)에서, CPU(201)는 원고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 CPU(201)는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216)를 개재하여, 원고가 원고 트레이(102) 상에 세트되는지 여부를 스캐너(207)의 CPU(208)에 문의한다. CPU(208)는 원고가 원고 급송 롤러(104)와 분리 패드(105)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원고(103)가 원고 트레이(102)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원고(103)가 존재하는 경우, CPU(208)는 원고(103)의 존재를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216)를 개재하여 CPU(201)에 통지한다.
상술된 문의의 결과의 통지를 CPU(208)로부터 수신시, 단계(S505)에서, CPU(201)는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판독 방법("압판 판독" 또는 "원고 급송 판독(DF)")을 판정한다. 원고(103)가 원고 트레이(102) 상에 세트되지 않은 경우, CPU(201)는 판독 방법을 "압판 판독"으로서 판정한다. 한편, 원고(103)가 원고 트레이(102) 상에 세트되는 경우, CPU(201)는 판독 방법을 "원고 급송 판독(DF)"으로서 판정한다.
CPU(201)가 판독 방법을 "압판 판독"(단계(S505)에서 "압판")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단계(S506)에서, CPU(201)는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를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판독할 것을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6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한편, CPU(201)가 판독 방법을 "원고 급송 판독(DF)"으로서 판정하는 경우(단계(S505)에서 "DF"), 처리는 단계(S511)로 진행한다.
단계(S511)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에 저장된 판독 설정 내용(602)에 기록된 내용이 "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독 설정(601)에 저장된 판독 설정 내용(602)에 기록된 내용이 "화질 우선"이라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11)에서 "화질 우선"), 단계(S515)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 설정)에 기초하여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판독할 것을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6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한편, 판독 설정(601)에 저장된 판독 설정 내용(602)에 기록된 내용이 "속도 우선"이라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11)에서 "속도 우선"), 처리는 단계(S512)로 진행된다.
단계(S512)에서, DRAM(204)에 저장된 인쇄 모드(603)에 대한 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CPU(201)는 모드 판정을 수행하고, 즉, CPU(201)는 특정 모드(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속 판독")가 기록 내용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드 설정 화면(11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항목이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저장된다.
상술된 특정 모드(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속 판독")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기록된 내용에 포함된다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12)에서 예), 단계(S513)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정)에 관계없이,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6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더 구체적으로, CPU(201)는 압판 판독 방법과 동일한 판독 속도를 사용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
한편, 상술된 특정 모드(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속 판독")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기록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12)에서 아니오), 단계(S514)에서,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기초하여, CPU(201)는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표준 속도의 두 배인 속도(300dpi에 상당)로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3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더 구체적으로, CPU(201)는 속도 우선에서의 판독 속도를 사용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
단계(S506, S513, S514 또는 S515)에서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216)를 개재하여 CPU(201)로부터의 지시를 수신시, CPU(208)는 설정된 속도로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스캐너 I/F(206)를 개재하여 전송한다. 단계(S507)에서, CPU(201)는 CPU(208)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그래픽 프로세서(203)를 사용하여 주 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변환하고, 이후 화상 데이터를 DRAM(204) 및 I/O 제어 유닛(215)을 개재하여 HDD(218)에 저장한다.
"원고 급송 판독(DF)"의 경우, 원고 트레이(102) 상의 모든 원고(103)가 판독된 것을 CPU(208)가 검지하는 경우, CPU(208)는 화상 판독 동작의 종료를 CPU(201)에 통지한다.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가 판독된 경우 또는 원고 트레이(102) 상의 모든 원고(103)가 판독된 경우, CPU(201)는 판독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인쇄 모드(603)에 "연속 판독"이 포함된 경우, CPU(201)는 사용자의 지시를 다시 대기한다. 사용자가 조작 유닛(300) 상의 "판독 종료" 버튼(미도시)을 누르는 경우, CPU(201)는 판독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판독 종료"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 CPU(201)는 판독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인쇄 모드(603)에 "연속 판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CPU(201)는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가 판독된 경우 또는 원고 트레이(102) 상의 모든 원고(103)가 판독된 경우 판독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판독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08)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S502)로 복귀된다.
한편, 판독 종료가 종료된 것으로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08)에서 예), 처리는 단계(S509)로 진행된다.
단계(S509)에서, CPU(201)는 단계(S507)의 원고 판독을 통해 HDD(21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DRAM(204)에 래스터화한다. CPU(201)는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저장된 설정 내용에 따라서 그래픽 프로세서(203)에 의한 화상 처리를 추가로 수행하고, 이후 프린터 I/F(210)를 개재하여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212)에 전송함으로써 인쇄 처리를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단계(S511)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을 판정하고, 이후 단계(S512)에서, CPU(201)는 특정 모드가 설정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러나, CPU(201)는 특정 모드가 설정되는지 여부를 판정한 이후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을 판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특정 모드가 설정된 경우, CPU(201)는 압판 판독에 판독 속도와 동일한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원고를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 한편, 특정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기초한 속도로 원고를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사 기능이 사용되었으나, 본 개시내용은 원고 판독을 포함한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다른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은 스캔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 및 팩시밀리 송신 기능이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캔 시의 모드 설정으로서, 적어도 연속 판독 모드가 스캔 기능의 모드 설정 화면(미도시)으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연속 판독 모드에서는, 원고대 유리(120) 상의 원고(121) 및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전환하면서 판독한다. 스캔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CPU(201)는 도 5에 도시된 단계(S502 내지 S508)에서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원고 급송 판독(DF)의 경우, 상술된 특정 모드(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속 판독")가 설정될 때,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관계없이 압판 판독에 대한 판독 속도와 동일한 표준 판독 속도로 원고(103)를 판독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팩시밀리 송신 기능에도 적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원고 급송 판독의 경우, 특정 모드(예를 들어, "연속 판독")가 설정되는 경우, CPU(201)는 판독 속도에 관련된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관계없이 표준 판독 속도로 원고를 판독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저렴한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는, 복사 기능 등의 원고 판독을 포함하는 기능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생산성을 중시한 판독과 화질을 중시한 판독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판독시, 사용자에게 원고 판독 속도를 변경하는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강요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최적 속도로(최적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원고 급송 판독의 경우, "연속 판독"이 설정될 때,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관계없이 압판 판독에 대한 판독 속도와 동일한 표준 판독 속도로 원고(103)를 판독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원고 급송 판독의 경우, "연속 판독"이 설정될 뿐만 아니라, 압판 판독에 대해 설정된 것과 상이한 판독 속도에 대응하는 모드가 설정된 때에도, CPU(201)는 "연속 판독"의 경우와 유사한 표준 판독 속도로 원고(103)를 판독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의 차이점 만이 후술될 것이다.
도 7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메모리(DRAM(204) 상에 복사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항목은 ROM(202)에 미리 저장된 것으로 상정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단계(S512)에서, CPU(201)는 DRAM(204)에 저장된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저장된 데이터, 및 도 7에 도시된 모드 유형(701) 및 해상도(702)를 포함하는 표에 기초하여 모드를 판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모드 설정 화면(11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항목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저장된다.
단계(S512)에서, CPU(201)는 모드 유형(701)의 구성 요소(703)에서 제1 모드(604)에 기록된 내용을 탐색하고, 모드 유형(701)에 대응하는 해상도(702)의 요소(704)를 취득한다. CPU(201)는 이 처리를 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CPU(201)는 600dpi-해상도에 대응하는 특정 인쇄 모드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기록된 내용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술된 특정 인쇄 모드(600dpi-해상도에 대응하는 인쇄 모드)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기록된 내용에 포함된다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단계(S512)에서 예), 단계(S513)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관계없이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표준 속도(600dpi에 상당)로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6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한편, 상술된 특정 인쇄 모드가 인쇄 모드(603)(제1 모드(604), 제2 모드(605), 제3 모드(606), 제4 모드(607))에 기록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CPU(201)가 판정하는 경우, 즉, 모든 모드가 300-dpi 해상도에 대응하는 경우(단계(S512)에서 아니오), 단계(S514)에서,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에 기초하여 원고 트레이(102) 상의 원고(103)를 표준 속도(300-dpi에 상당)의 두 배의 판독 속도로 판독하도록 CPU(208)에 지시한다(이 설정은 300-dpi 판독 설정으로 지칭됨).
다른 단계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것과 유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원고 급송 판독의 경우, 판독 속도가 압판 판독의 판독 속도와 상이한 특정 모드가 설정될 때, CPU(201)는 판독 설정(601)(속도 우선 또는 화질 우선)과 관계없이 원고(103)를 표준 판독 속도로 판독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저렴한 구성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는, 복사 기능 등의 원고 판독을 포함하는 기능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생산성을 중시한 판독과 화질을 중시한 판독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원고 판독 속도를 변경하는 복잡한 조작을 수행할 것을 강요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최적의 속도로(최적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600dpi에 대응하는 인쇄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원고 급송 판독에서 300dpi에 대응하는 판독 속도로 원고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인쇄 모드에서 요구되는 해상도와 원고 급송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판독된 원고의 해상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없는 과제가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복사 기능에 따라서 판독 속도를 변경하는 상술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인쇄 모드에 대응하는 판독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원고 급송 판독 방법에 대한 판독 속도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작은 사용자에게 조작 부하를 부여한다. 상술된 과제에 관해 모르는 사용자는 상술된 설정을 고려하지 않고 연속 판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의도한 출력물을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복잡한 조작을 수행할 것을 강요하지 않고서, 저비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해 최적 속도로 원고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다양한 데이터의 구성 및 내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 및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술되었으나, 본 개시내용은 예를 들어, 시스템, 장치, 방법, 프로그램, 또는 기억 매체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추가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도출되는 구성 모두가 또한 본 개시내용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는 또한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기억 매체(더욱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로도 지칭될 수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그리고/또는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기억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상술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처리 장치(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 장치,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예 및 등가적 구조예 및 기능예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1)

  1. 원고 판독 장치이며,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원고의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 해상도 설정 수단,
    미리 정해진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해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인 경우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해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원고를 상기 제2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해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상기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원고를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원고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원고대 상에 위치된 원고 또는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원고를 판독 가능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원고대 상에 위치된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 가능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판독 해상도 또는 상기 제2 판독 해상도로 판독 가능한, 원고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이 원고를 상기 제2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는 경우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원고 반송의 반송 속도는, 상기 판독 수단이 제1 판독 해상도로 상기 원고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상기 원고 반송의 반송 속도보다 빠른, 원고 판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는, 복수의 원고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판독 지시를 통해 판독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판독 종료 지시의 수신시 복수의 원고의 화상이 출력되는, 판독 모드인, 원고 판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는 페이지 집약 모드(page aggregation mode), 부수 인쇄 모드(a number-of-copies printing mode), 또는 날짜 인쇄 모드(date printing mode)인, 원고 판독 장치.
  6. 원고 판독 장치이며,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원고의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 해상도 설정 수단,
    모드 설정 수단으로서, 복수의 원고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판독 지시를 통해 판독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판독 종료 지시의 수신시 상기 복수의 원고의 화상이 출력되는 판독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해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원고를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모드가 설정된 경우 복수의 판독 지시를 통해 판독되는 복수의 원고를 동일한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원고 판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해상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독 해상도에 기초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판독 지시를 통해 판독되는 복수의 원고를 동일한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원고 판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원고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원고를 판독하는 제1 판독 방법 및 원고대 상에 위치된 원고를 판독하는 제2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판독 가능한, 원고 판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은 제1 판독 해상도, 또는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로 상기 원고를 판독 가능하고,
    상기 제2 판독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원고를 판독하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원고를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원고 판독 장치.
  10.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원고의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설정된 상기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인 경우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설정된 상기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상기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원고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
  11.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구비한 원고 판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원고의 판독 해상도를 설정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설정된 상기 판독 해상도가 제1 판독 해상도인 경우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고,
    설정된 판독 해상도가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보다 낮은 상기 제2 판독 해상도이며 상기 설정 단계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판독 해상도로 원고를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160112952A 2015-09-04 2016-09-02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Active KR101971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4412 2015-09-04
JP2015174412A JP6587463B2 (ja) 2015-09-04 2015-09-04 原稿読取装置、原稿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57A true KR20170028857A (ko) 2017-03-14
KR101971766B1 KR101971766B1 (ko) 2019-04-23

Family

ID=581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52A Active KR101971766B1 (ko) 2015-09-04 2016-09-02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54115B2 (ko)
JP (1) JP6587463B2 (ko)
KR (1) KR101971766B1 (ko)
CN (2) CN106506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7994B2 (ja) * 2018-03-20 2022-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N108469938B (zh) * 2018-04-03 2020-07-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书的阅读提醒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23179126A (ja) * 2022-06-07 2023-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460A (ja) * 1999-03-19 2000-10-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2002232658A (ja) * 2001-02-06 2002-08-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707B1 (en) * 1997-09-12 2003-08-19 Microtek International, Inc. Scanner with removable data storage media
JP3802336B2 (ja) * 1999-12-08 2006-07-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US7116439B2 (en) * 2000-08-31 2006-10-03 Kyocera Mita Corporation Scanner system and scanner driver
JP2002176534A (ja) * 2000-12-07 2002-06-21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JP4323839B2 (ja) * 2002-05-16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画像入出力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画像入出力システムに好適な操作方法、操作画面表示方法
US8023161B2 (en) * 2004-02-26 2011-09-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mage data encapsulated in a page description language
GB2416872A (en) * 2004-07-30 2006-02-08 Canon Kk System for managing tasks on a network by using a service discover, a task manager and a service publisher
US8089489B2 (en) * 2004-09-30 2012-0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onverting a source gamut of an image to a destination gamut
TWI318071B (en) * 2006-08-28 2009-12-01 Avision Inc Image-acquiring device
US8014046B2 (en) * 2006-09-11 2011-09-06 Seiko Epson Corporation Scanner device, printing device and scan method
US20080175622A1 (en) * 2007-01-24 2008-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20080187169A1 (en) * 2007-02-02 2008-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380744B1 (ko) * 2007-06-21 2014-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27370A (ja) * 2007-07-18 2009-02-05 Pfu Ltd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処理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94634A (ja) * 2008-02-14 2009-08-27 Seiko Epson Corp ジョブ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94885B2 (ja) * 2008-02-29 2013-05-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053706A1 (en) * 2008-08-28 2010-03-04 Eastman Kodak Company Detection of open scanner lid
CN101753769B (zh) * 2008-12-19 2011-06-01 虹光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具平台式和馈纸式扫描功能的扫描装置
JP2010199978A (ja) * 2009-02-25 2010-09-09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制御方法、及び画像読取制御プログラム
JP2010278870A (ja) 2009-05-29 2010-12-09 Murata Machinery Ltd 画像読取装置
JP5634133B2 (ja) * 2010-06-01 2014-12-03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設定自動化方法および設定自動化プログラム
JP5408155B2 (ja) * 2011-02-23 2014-0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5408A (ja) * 2011-05-09 2012-1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70590A (ja) * 2013-10-01 2015-04-1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20160072966A1 (en) * 2014-09-09 2016-03-10 Fuji Xerox Co., Lt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device
JP6375866B2 (ja) * 2014-10-22 2018-08-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515563B2 (ja) * 2015-02-12 2019-05-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460A (ja) * 1999-03-19 2000-10-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2002232658A (ja) * 2001-02-06 2002-08-1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06890B (zh) 2019-05-28
US10694059B2 (en) 2020-06-23
KR101971766B1 (ko) 2019-04-23
US20180077310A1 (en) 2018-03-15
US20170070628A1 (en) 2017-03-09
JP6587463B2 (ja) 2019-10-09
CN110012194B (zh) 2021-07-23
US9854115B2 (en) 2017-12-26
CN106506890A (zh) 2017-03-15
CN110012194A (zh) 2019-07-12
JP2017050802A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797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6005200A (ja) 原稿読取装置、原稿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0977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971766B1 (ko) 화상 처리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0760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311580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a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reading at a reading position, generating image data and print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US11720299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 copy process
US114161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1021886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92708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when the image forming appratus returns to an active state from a power-saving state
US9936090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943407B2 (en) Using pre-scan to improve scan speed by detecting a document loaded on the image reading apparatus
JP201717084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90252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003979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079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