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355A -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 Google Patents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8355A KR20170018355A KR1020167036918A KR20167036918A KR20170018355A KR 20170018355 A KR20170018355 A KR 20170018355A KR 1020167036918 A KR1020167036918 A KR 1020167036918A KR 20167036918 A KR20167036918 A KR 20167036918A KR 20170018355 A KR20170018355 A KR 20170018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ent
- longitudinal
- article
- layer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9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9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7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 A61F2013/45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having a "W"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87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해서 사용되도록 제공된 액체 투과성인 겉면층과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사용되도록 제공된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뒷면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액체-투과성 겉면층과 실질적으로 액체-불투과성 뒷면층 사이에 배치된다. 물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 가랑이 영역, 앞쪽 단부 영역 및 뒤쪽 영역을 포함한다. 흡수체는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해서 배열되도록 제공된 제1 흡수층과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열되도록 제공된 제2 흡수층을 포함한다. 액체-투과성 겉면층과 뒷면층은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가 흡수체의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장자리의 바깥쪽으로 액체-투과성 겉면층과 뒷면층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요소는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30 N 내지 0.80 N의 회복력을 가진다. 제1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와 마주하여 사용되도록 제공된 액체 투과성인 겉면층을 포함하고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사용되도록 제공된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뒷면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흡수체가 액체-투과성인 겉면층과 실질적으로 액체-불투과성 뒷면층 사이에 배치된다.
물품 및 흡수체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중심선, 가랑이 영역, 앞쪽 단부 영역 및 뒤쪽 단부 영역을 포함한다. 흡수체는 사용 동안 사용자와 마주하게 되도록 제공된 제1 흡수층 및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제공된 제2 흡수층을 포함한다.
액체-투과성 겉면층 및 뒷면층은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가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가장자리를 지나서 액체-투과성 겉면층과 뒷면층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요소는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30 N 내지 0.80 N의 회복력을 가진다.
제1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한다.
흡수 물품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흡수체는, 예를 들어 이 물품의 성인 실금 착용자가 자신의 전체 방광을 본의 아니게 비우게 될 때 충분한 흡수 용량뿐만 아니라 밖으로 흐르는 액체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흡수 물품의 의도된 용도에 기초하여 흡수 용량은 넓은 한계 내에서 변하는데, 예를 들어 4g의 용량은 가장 작은 크기의 생리대에 충분하고, 1000g을 넘는 용량은 성인인 실금하는 사람을 위한 가장 큰 물품에 요구된다.
충분히 높은 흡수 용량을 가진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겔-형성 고 흡수성 입자, 소위 말하는 수퍼 흡수제가 흡수 물품의 흡수체에 혼합되는 경우에는 현재 큰 문제는 없다.
현재의 매우 얇고 단단한 압축된 물품이 가진 일종의 문제는 이 물품이 배설중인 높은 유속으로 물품을 강타하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게 배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인 실금 사용자를 위한 흡수 물품은 10초 내에 수백 밀리리터의 배설된 소변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흡수 물품의 흡수체가 이런 대량의 흐름을 수용하고 흡수할 수 없다면 소변이 물품의 표면 위로 흘러 가장자리를 지나 넘칠 높은 위험이 있다.
배설된 체액을 빠르게 수용하는 문제의 해결책은 흡수체와 사용자 사이에 특수한 재료 층을 배열하는 것이며, 이것은 액체를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의도되고, 이후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재료의 예들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탄력 패드이다.
다른 기존의 해결책은 현재의 얇고 넓은 가랑이 구조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컵-모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며, 여기에 액체가 일시적으로 수집된 후 흡수체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 동안 착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함께 압박되었을 때 물품의 모양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물품의 흡수체에는 압축부, 슬롯, 수축 탄성 요소 등이 제공되었다.
물품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힘에 노출되었을 때 흡수 물품의 모양형성이 제어될 수 있는 방식이 특허출원 GB 2,296,437(Hansson, et al., Molnlycke AB)에 설명된다.
물품은 관통 슬롯을 포함하는 흡수층과 흡수층의 하나의 표면 위의 제1 재료층 및 흡수층의 반대쪽 표면 위의 제2 재료 층을 포함한다.
재료 층들 중 하나는 상기 슬롯에 인접한 흡수층에 연결되고, 나머지 재료 층은 상기 슬롯에 인접 연결되지 않는다. 물품이 슬롯에 수직인 방향의 압축력에 노출된 때, 물품은 흡수층의 연결되지 않은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강제로 휘게/돌려지게 된다.
특허문헌 WO 2011/105108 A1(Mukai et al., Uni-Charm)은 물품이 사용될 때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형성되는 흡수체의 개선된 변형을 설명한다.
WO 2011/105108 A1에서 흡수체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그 중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층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가랑이 영역에 중앙 배치된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한다. 물품의 착용자에 가장 가깝게 배향되는 나머지 흡수층은 이 층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사이에 대칭 위치된 측면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문헌은 두 흡수층에서 길이방향 개구부를 가진 흡수체의 모양형성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함께 압박되었을 때 흡수 물품이 가랑이 영역에서 W처럼 형성됨을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물품이 단순한 컵 모양, 사용 동안 U-모양이나 V 모양 또는 더 복잡한 컵 모양, W 모양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되었는지와 관계 없이 물품이 사용자에게 위치되었을 때 의도된 모양을 취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의 압력 힘에 노출되었을 때 물품이 반전된 모양을 취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U-모양이 대신에 반전된 U 모양(∩ 모양)이 되고 W 모양은 반전된 W 모양(M 모양)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변형되었을 때 U 모양, V 모양 또는 W 모양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물품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해 너무 낮은 스프링백 힘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물품은 사용 동안 허벅지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물품이 위치되고 함께 압박된 때 원하는 방식으로 더 큰 보안성과 함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개선된 흡수 물품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 필요성은 해당 흡수 물품이 실금 아동이나 성인용인지의 여부와 관계 없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에 따라서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 동안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증가된 스프링백 힘을 가진 물품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서 이전에 알려진 흡수 물품과 관련된 문제를 실질적으로 제거한 처음에 인용된 종류의 일회용 흡수 물품이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물품은 제1 길이방향 개구부와 제1 길이방향 압축부가 실질적으로 서로 중첩된다는 점에서 주로 구별된다.
서로 중첩되는 제1 흡수층에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에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흡수층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에 따른 배열은 흡수 물품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서 함께 압박되었을 때 이전에 알려진 물품이 그랬던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변형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제1 흡수층에 있는 제1 길이방향 개구부와 제2 흡수층에 있는 제1 길이방향 압축부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중심선과 일치한다.
개구부와 압축부의 중앙화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물품이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압축된 때 중심이 있는 V 모양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1 흡수층은 흡수층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길이방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2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길이방향 개구부는 길이방향 중심선과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흡수층은 길이방향 중심선과 흡수층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사이에서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2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하며, 제1 길이방향 압축부는 길이방향 중심선과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길이방향 개구부 및 제2 길이방향 압축부는 제1 길이방향 개구부와 제1 길이방향 압축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된다.
중첩된 개구부와 압축부가 각각 중심선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는 사실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물품이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압축된 때 대칭적인 U 모양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서, 제1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3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3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한다.
제3 길이방향 압축부와 제3 길이방향 개구부는 서로 중첩된다.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이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압축된 때 대칭적인 W 모양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흡수 물품은 물품의 길이방향 중심선 주변에서 각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서 흡수체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또한,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은 자유 가장자리를 가진다.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은 적어도 하나의 인장된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의 내부 자유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인장된 탄성 요소의 제공은 탄성 요소가 수축되었을 때 장벽이 직립 구성형태를 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에 배치된 탄성 요소가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20N 내지 0.40 N의 회복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흡수 물품은 사용자를 향하게 되도록 의도된 제1 흡수층의 측면에 배치된 흡입 재료 (inlet material)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부합하는 특수한 흡입 재료는 유입되는 액체를 빠르게 수용하고, 인접한 흡수층이 액체를 수용할 수 있을 때까지 액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 재료가 두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과 흡수층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과 흡수층의 나머지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흡입 재료의 각각의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과 인접한 길이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다.
두 부분으로 분할된 흡입 재료는 흡수 물품이 사용 동안 그것의 길이방향 중심선 주변에서 함께 완전히 접혔을 때, 즉 흡수 물품의 한쪽 절반이 이 물품의 반대쪽 길이방향 절반에 기대어 놓였을 때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일회용 흡수 물품의 제1 흡수층과 제2 흡수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본 중량을 가지며, 다른 양태에 따라서 각각의 흡수층은 50 g/㎡ 내지 1000 g/㎡의 기본 중량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흡수 물품의 각각의 흡수층은 0% 내지 80%의 고 흡수성 중합체 재료, 소위 말하는 SAP의 함량을 가진다.
고 흡수성 중합체 재료, 소위 말하는 SAP는 그 자신의 중량과 관련하여 다량의 소변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모세관 흡수보다 실질적으로 더 확실히 소변과 결합할 수 있다. 흡수 물품은 다시 젖게 되는 경향이 감소되며, 그 이유는 흡수 물품이 많은 액체를 흡수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극도로 건조된 상태로서 경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서, 흡수 물품의 하나의 흡수층은 제2 흡수층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큰 연장부를 가지며, 다른 양태에 따라서 흡수체의 앞쪽 단부 영역과 뒤쪽 단부 영역은 가랑이 영역보다 가로 방향으로 더 큰 너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일회용 흡수 물품이 아기 기저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 양태에서는 성인 실금 사용자를 위해 제공된 실금 기저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더 큰 명료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2a는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된 도 1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2b는 두 부분으로 분할된 특수한 흡입 재료가 흡수체에 배치된 도 2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1 및 2에 부합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소변의 흡수를 위한 흡수 물품을 도시한다.
도 3b는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 (lateral force)에 물품이 노출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3a에서 단면 A-A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3c는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의 공간이 작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물품이 노출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3a에서 단면 A-A가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더 큰 명료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4b는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된 도 4a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에서 흡수체가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노출된 흡수 물품에 배치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4b에서 단면 B-B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흡수체의 두 흡수층은 더 큰 명료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6은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되었을 때 도 5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흡수체가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노출된 흡수 물품에 배치되었을 때 도 6의 단면 C-C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a는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된 도 1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2b는 두 부분으로 분할된 특수한 흡입 재료가 흡수체에 배치된 도 2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1 및 2에 부합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소변의 흡수를 위한 흡수 물품을 도시한다.
도 3b는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 (lateral force)에 물품이 노출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3a에서 단면 A-A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3c는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의 공간이 작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물품이 노출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3a에서 단면 A-A가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더 큰 명료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4b는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된 도 4a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b에서 흡수체가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노출된 흡수 물품에 배치되었을 때 사용 동안에 도 4b에서 단면 B-B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흡수체의 두 흡수층은 더 큰 명료성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6은 흡수체의 두 흡수층이 서로 위에 배치되었을 때 도 5의 흡수체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흡수체가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횡력에 노출된 흡수 물품에 배치되었을 때 도 6의 단면 C-C가 형성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흡수 물품의 일부를 구성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체는 적어도 2개의 흡수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흡수층은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해서 배향되고, 나머지 흡수층은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향된다.
적어도 사용자를 향해서 배치된 흡수층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흡수층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압축부를 포함한다.
2개의 흡수층은, 흡수 물품이 사용자에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십자형으로 함께 압박될 때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이 원하는 방식으로 모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두 흡수층에서 개구부와 압축부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흡수 물품에 내장되며 이 물품이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서 십자형으로 함께 압박될 때 컵 모양(V 또는 U-모양)을 취하는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따라서 모양이 형성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흡수 물품은, 예를 들어 올인원 기저귀, 기저귀 팬티, 벨트 기저귀 또는 생리 보호대와 같은 복수의 종류의 흡수 물품을 표시한다.
소위 말하는 올인원 기저귀는 체결 날개를 포함함으로써 기저귀가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적용되었을 때 기저귀의 앞쪽 허리 부분과 뒤쪽 허리 부분이 연결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올인원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다리 구멍에 그리고 허리 영역과 관련하여 탄성 영역을 포함하며, 이 허리 영역에서 적어도 허리부의 부분들은 탄성 부재를 가진다. 많은 올인원 기저귀에서 고정 날개는 탄성 영역을 포함한다. 게다가, 고정 날개는 접착 체결부에 반대쪽 단부에서 표면에 연결되는 접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앤 루프 타입의 체결 시스템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소위 말하는 팬티 기저귀는 특히 제조 동안 팬티 기저귀의 가랑이 부분에서 횡단 접힘선에서 접혀지고 이어서 허리에서 함께 이어진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종류의 기저귀는 브리프처럼 정확히, 즉 사용자의 다리 위로 끌어당겨 사용자에 적용되는 것이 의도된다. 팬티 기저귀의 허리 부분에서의 이어짐은 일반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팬티 기저귀는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발까지 끌어내리지 않고 사용 후에 벗겨질 수 있다. 이런 가능성은 특히 팬티 기저귀가 사용 후 분변으로 오염되었을 때 인정된다. 팬티 기저귀는 보통 허리 부분과 다리 개구부 주위에 탄성 영역을 포함한다.
개방되고 다시 닫힐 수 있는 팬티 기저귀도 존재한다. 이러한 팬티 기저귀는 허리에서 함께 접혀져 공급되지만, 예를 들어 물품의 내용물을 점검하기 위해서 개방될 수 있고, 그 다음 다시 닫힐 수 있다.
벨트 기저귀는, 기저귀의 흡수 부분과 비교하여, 기저귀의 앞이나 뒤의 횡단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나의 횡단 벨트를 포함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벨트 기저귀가 적용될 때 벨트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제일 처음 고정된다. 다음에, 기저귀의 흡수 부분이 벨트에서 느슨하게 드리워진다. 다음에, 기저귀의 흡수 부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연결되고 벨트에 체결되며, 벨트는 기저귀의 자유로운 횡단 가장자리를 따라 기저귀의 흡수 부분에 배치된 고정 부재에 빨리 고정하기 위한 고정 표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벨트 기저귀에 벨트와 다리 구멍은 탄성을 가진다.
다른 종류의 벨트 기저귀는 두 부분을 가지며 별도의 벨트와 별도의 흡수 구조로 구성된다. 사용하는 동안 벨트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체결되고, 이후 흡수 구조가 흡수 구조의 모서리에서 후크 및 루프 요소 또는 테이프 요소에 의해 벨트의 바깥쪽에 연결된다.
올인원 기저귀, 팬티 기저귀 또는 벨트 기저귀는 아직 대소변을 가지지 못하는 아이를 위한 아기 기저귀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성인 실금 사용자를 위한 실금 보호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부합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흡수체(15)를 나타낸다. 흡수체(15)는 특히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를 포함하는 제1 흡수층(16) 및 제2 흡수층(17)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흡수체(15)의 제1 및 제2 흡수층(16, 17)이 명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분리되지만, 도 2a는 흡수체(15)가 흡수 물품에 적용된 경우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는 달리, 흡수체(15)는 추가의 흡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흡수체에서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가 흡수 동안 다량의 액체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액체-함유 겔을 형성하는 종류의 고도의 흡수성 중합체 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와 혼합된다.
각각의 흡수층(16, 17)은 50 g/㎡에서 최대 1000 g/㎡까지의 기본 중량을 가질 수 있고, 0-80%의 고도의 흡수성 중합체 재료, 소위 말하는 SAP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15)는 흡수체(15)의 다양한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들은 결합 섬유, 각종 액체-전파 층 또는 섬유, 형태-안정화 성분, 강화 섬유 등이다. 이러한 성분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흡수층(16, 17)은 일반적으로 전체 흡수 물품을 제조하는 같은 기계에서 일렬 제조된다; 그러나 흡수층(16, 17)은 사전 제작 흡수 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전 제작 흡수 재료는 일반적으로 롤 형태로 공급되며, 이 재료는 정해진 형태로 절단되고 접혀진다. 사전 제작 흡수 재료는 일렬 제조되는 흡수체와 동일한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결합 섬유는 원칙적으로 사전 제작 흡수 재료에서 필수 성분이며, 이로써 이들은 취급 동안 함께 잔류한다.
흡수체(15)는 앞쪽 단부 영역(27), 뒤쪽 단부 영역(28), 단부 영역(27, 28)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26), 및 길이방향 가장자리(30)를 포함한다. 흡수체( 15)는 모래시계 모양을 가지고, 가랑이 영역(16)은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28)보다 좁다.
또는 달리, 흡수체(15)는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흡수체가 통상적이다.
흡수체(15)는 길이방향 중심선(25)을 가진다.
제1 흡수층(16)은 길이방향 가장자리(31)를 가진다.
길이방향 개구부(20)가 제1 흡수층(16)의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되며 중심선(25)과 일치한다. 개구부(20)는 가랑이 영역(26)에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20)는 길이방향으로 제1 흡수층(16)의 길이의 30% 연장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개구부(20)는 제1 흡수층(16)의 길이의 10% 내지 100%에서 길이방향 배향으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20)는 15mm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에서 다양할 수 있다.
제2 흡수층(17)은 길이방향 가장자리(32)를 가진다. 길이방향 압축부(35)가 제2 흡수층(17)의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되며 중심선(25)과 일치한다. 압축부( 35)는 흡수층(17)의 주변 부분들과 비교하여 명확히 가시적이다. 흡수층(17)의 두께는 압축부(35)의 중심 부분에서 20-90%까지, 바람직하게 50-90%까지, 더욱 더 바람직하게 70-90%까지 감소되었다.
압축부(35)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길이방향으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압축부(35)는 길이방향으로 제2 흡수층(17)의 길이의 30% 연장되며, 이것은 압축부(35)가 제1 흡수층(16)에 있는 개구부(20)만큼 길게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압축부(35)는 제1 흡수층(16)에 있는 개구부(20 )의 길이의 30%에서부터 제2 흡수층(17)의 최대 전 길이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35)는 15mm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흡수체(15)는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개구부(20)가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압축부(35)와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점에서 주로 구별된다. 시험은 하나의 층에 있는 길이방향 개구부와 나머지 층에 있는 길이방향 압축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힘에 노출되었을 때 원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더 큰 보안성을 가진 흡수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형성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개선된 회복력이 얻어지며, 이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밀봉함으로써 많은 누출이 방지된다.
흡수체(15)의 가랑이 영역(26)은, 길이방향 중심선(25)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힘에 노출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V-자처럼 모양이 형성되며, 압축부(35)를 포함하는 제2 흡수층(17)은 V 모양의 바깥쪽을 향해서 배향되고, 개구부(20)를 포함하는 제1 흡수층(16)은 V 모양에서 안쪽으로 배향된다.
제2 흡수층(17)에서 압축부(35)는 흡수체(15)가 형성될 때 접힘 표시로서 기능한다. 제1 흡수층(16)에서 개구부(20)의 너비는 모양 형성 동안 감소되고, 개구부(20)가 형성 동안 함께 압박되는 임의의 재료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형성은 어느 경우에도 방해되지 않는다.
도 2b는 두 부분으로 분할된 특수한 흡입 재료(45)가 흡수체(15)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의 사용 동안 사용자와 마주하게 되도록 의도된 흡수체(15)의 측면에 배치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흡입 재료(45)의 두 부분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흡수체(15)의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되지만, 또한 흡수체(15)의 앞쪽 또는 뒤쪽 부분(27, 28)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 재료(45)의 두 부분의 각 부분은 흡수체(15)의 중심선(25)과 길이방향 가장자리(3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흡입 재료(45)의 각각의 횡단 부분의 최외각 가장자리(46)는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로부터 10-30mm, 바람직하게 15-30mm의 간격에 배치된다.
또는 달리, 흡입 재료(45)는 더 큰 중앙 개구부를 가진 재료로 구성되며, 흡입 재료(45)의 길이방향 외부 가장자리는 2-부분 흡입 재료(45)에 대해 상기 정의된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또한, 중앙 개구부가 흡수체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로부터 일정 거리에 그것의 가장자리와 함께 배치되지 않은 상태의 흡입 재료(45)를 고안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 재료(45)는, 흡입 재료(45)가 놓여 있는 제1 흡수층(16)보다 큰 기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흡입 재료(4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섬유로 구성된다. 또한, 소위 말하는 2-성분 섬유는 섬유 품질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흡입 재료(45)는 육중한 유속으로 물품을 덮치는 액체를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일을 하며, 이후 액체는 더 느린 속도로 흡수체(15)에 의해 배액될 수 있다.
도 3a는 상기 설명에 따른 흡수체(15)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 물품(6)을 나타낸다.
물품(6)은 아기 기저귀 또는 성인 실금 사용자를 위한 실금 기저귀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흡수 물품(6)은 소위 말하는 올인원 기저귀이지만, 본 발명에 특징적인 컵 모양은 또한, 예를 들어 팬티 기저귀 및 벨트 기저귀와 같은 소변 흡수를 위한 대안적 물품과도 관련된다.
물품(6)은 가랑이 영역(48), 앞쪽 단부 영역(49), 및 뒤쪽 단부 영역(50)을 포함한다. 또한, 흡수 물품(6)은 길이방향 가장자리(44)를 포함한다.
물품(6)은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하게 되도록 의도된 물품의 표면에 배치된 액체-투과성 겉면층(2)을 포함하고, 물품(6)의 표면에 배치되며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의도된 뒷면층(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부합하는 흡수체(15)가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15)는 상기 도 1, 2a 및 2b와 함께 설명된다.
액체-투과성 겉면층(2) 아래서 물품(6)이 구성되는 방식을 더 잘 명확히 하기 위해, 액체-투과성 겉면층(2)의 영역은 개방되었다. 개방된 영역은 물품(6)을 통해서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2-부분 흡입 재료(45), 흡수체(15), 제1 흡수층(16)의 길이방향 개구부(20) 및 제2 흡수층(17)의 길이방향 압축부(35)를 나타낸다. 또한, 개방된 영역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 중 하나를 나타낸다.
액체-투과성 겉면층(2)은 흡수체(15)의 전체 외주부를 따라 흡수체(15)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겉면층(2)은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 발생하는 액체-투과성 겉면 재료의 예들은 부직 재료,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또는 직물 네트 및 액체-투과성 폼 층이다.
가로 방향으로 최외각에 배열된 2-조각 흡입 재료(45)의 가장자리(46)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1, 32) 사이의 영역에서 액체-투과성 겉면층(2)은 친수성 특성을 가진다. 이들 두 가장자리 영역에서 친수성 특성은 높은 확률로 액체-투과성 겉면층(2) 위로 넘치는 액체가 포집되어 흡수체(15)로 수송될 것임을 의미한다. 친수성 특성은, 예를 들어 액체-투과성 겉면층(2)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내부 시험은 적어도 액체-투과성 겉면층(2)의 부분들의 친수성 특성이 아래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서 소변이 포집되는 것을 보장하고 액체가 표면 위로 흐르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친수성 특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뒷면층(4)은 그것의 전체 외주부를 따라 흡수체(15)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통상 발생하는 뒷면층은 일반적으로 액체-불투과성이며, 얇은 액체-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다.
액체-불투과성이지만 증기-투과성인 재료로 구성된 뒷면층(4)이 현재 원칙적으로 많은 종류의 흡수 물품에 대한 표준이다. 증기 투과성은 물품이 통기성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것은 물품이 상당히 더 편안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액체 장벽으로 기능하는 액체-불투과성 재료와 바깥쪽으로 배향된 표면에서 물품을 의복 물품처럼 만드는 직물-유사 재료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로 구성된 뒷면층이 또한 오늘날 거의 표준이라고 고려될 수 있다.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은 흡수체(15)의 전체 외주부 바깥쪽에서 서로 연결된다.
흡수 물품(6)은 소위 말하는 다리 탄성부를 구성하는 탄성 요소(5)를 포함한다. 다리 탄성부의 탄성 요소(5)는 흡수 물품(6)의 적어도 가랑이영역(48)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요소(5)는 흡수체(15)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와 흡수 물품(6)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44)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탄성 요소는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탄성 요소(5)는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의도된 뒷면층(4)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요소(5)는 인장된 상태로 적용되며, 흡수체(15)의 바깥쪽에 배치된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을 더 직립 구성형태로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한 밀봉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흡수 물품(6)의 가장자리에서 액체가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다리 탄성부는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 3개의 탄성 요소(5)를 포함하지만, 대안적 물품에서는 몇 개 또는 더 적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의도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즉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해서 밀봉하기 위해, 물품(6)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44)를 따라 배치된 탄성 요소(5)는 아래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30N 내지 0.80N의 회복력을 가져야 한다.
물론, 물품(6)의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44)를 따라 배치된 탄성 요소(5)는 또한 동일한 회복력을 가져야 한다.
흡수 물품의 가장자리에서 액체나 분변의 누출을 더 방지하기 위해, 물품(6)에는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 소위 말하는 직립 수집부가 제공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의 근처에 배치된다.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그것의 자유 가장자리(13)와 관련하여, 인장된 상태에서 측면 누출 장벽(11)에 연결된 탄성 요소(12)를 포함한다(도 3b 참조). 또는 달리, 탄성 요소(12)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레드, 탄성 밴드, 탄성 필름, 탄성 폼 또는 대용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요소(12)는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자유 가장자리(13)와 관련하여 배치되어야 하지는 않지만, 또는 달리 흡수 물품(6)의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대한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부착부와 자유 가장자리(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별도의, 하나의 접힌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스트립의 자루 부분이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연결된다. 또는 달리, 측면 누출 장벽(11)은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있는 접힘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인장된 탄성 요소(12)가 자유로워졌을 때 이들은 측면 누출 장벽(11)의 내부 자유 가장자리와 함께 수축되며,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적어도 물품(6)의 가랑이 영역(48)에서 액체-투과성 겉면층(2)으로부터 떨어져 직립 구성형태가 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직립 구성형태를 달성하기 위해, 장벽(11)에 배치된 탄성 부재(12)는 아래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20N 내지 0.40N의 회복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흡수 물품(6)의 뒤쪽 단부 영역(50)에는 물품(6)의 뒤쪽 횡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탄성 부재로 구성된 소위 말하는 허리 탄성부(8)가 제공된다. 허리 탄성부(8)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흡수 물품(6)에 부드럽고 유연한 그립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설명된 물품에서는 단지 뒤쪽 부분에만 허리 탄성부(8)가 제공된다. 대안적 물품에서는 앞쪽 부분에도 허리 탄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물품이 적용되고 사용자에 배치된 때 앞쪽 단부 영역(49)에 연결하기 위하여 특수한 체결 부재(9)가 흡수 물품(6)의 뒤쪽 단부 영역(50)에 배열된다.
도 3b는 흡수 물품(6)이 사용 동안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의 횡력(F)에 노출된 때 도 3a의 단면 A-A가 형성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흡수체(15)는 도 1 및 도 2와 함께 설명된 대로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15)에는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해서 배향된 제1 흡수층(16)과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향된 제2 흡수층(17)이 배치된다.
2-부분 흡입 재료(45)는 제1 흡수층(16)과 액체-투과성 겉면층(2) 사이에 그것의 최외각 가장자리(46)가 배치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대해 안쪽으로 배향된 부착부(47)를 포함한다.
도면은 컵 모양이 형성되는 방식을 나타내며, 흡수체(15)는 제2 흡수층(17)의 길이방향 압축부(35) 주변에서 접히고, 이 압축부는 유효한 벤딩 표시를 구성한다. 제1 흡수층(16)의 개구부(20)의 너비는 흡수체(15)가 휜/형성된 때 너비가 동시에 감소되며, 개구부(20)가 함께 압박되어야 하는 임의의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휘는/형성되는 동안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컵 모양은 소변이 공급되는 속도에서 흡수체(15)에 의해 흡수될 수 없는 소변이 형성된 컵 모양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이 도시하는 대로, 물품(6)의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 탄성 요소(5)가 인장된 상태에서 적용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은 실질적으로 직립 구성형태를 수용하고, 또한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탄성 요소(12)가 인장된 상태에서 적용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또한 사용 동안 직립 구성형태를 수용한다.
도 3c는 사용 동안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의 공간이 적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 길이 방향에 수직인 각도로 횡력에 물품이 노출된 때 도 3a의 단면 A-A가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물품의 가랑이 영역은 가로방향으로 어느 정도 압축되고, 이로써 중심선(25)의 한쪽 측면에 배치된 2-부분 흡입 재료(45)의 한 부분이 중심선의 반대쪽 측면에 배치된 2-부분 흡입 재료(45)의 제2 부분 상에 거의 놓이게 된다. 극단적인 경우, 그것은 2-부분 흡입 재료(45)의 두 부분이 서로 위에 있도록 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와 부합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대안적 흡수체(15)를 나타낸다. 흡수체(15)는 적어도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를 포함하는 제1 흡수층(16)과 제2 흡수층(17)을 포함한다.
도 4a에서는 흡수체(15)의 제1 및 제2 흡수층(16, 17)이 명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분리되지만, 도 4b는 흡수체(15)가 흡수 물품에 적용된 경우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흡수체(15)는 앞쪽 단부 영역(27), 뒤쪽 단부 영역(28) 및 단부 영역(27,28)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 영역(26)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중심선(25)을 포함한다.
제1 흡수층(16)은 길이방향 가장자리(31)를 가진다.
제1 흡수층(16)은 또한 제1 길이방향 개구부(20)와 제2 길이방향 개구부(21)를 포함한다.
개구부(20, 21)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길이 방향으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20, 21)는 상기 중심선(25)과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1) 사이에서 중심선(25)의 각 측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개구부(20, 21)는 제1 흡수층(16)의 길이의 30%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이들은 제1 흡수층(16)의 길이의 10% 내지 100%에서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15mm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에서 다양할 수 있다.
제2 흡수층(17)은 길이방향 가장자리(32)를 가진다.
제2 흡수층(17)은 또한 제1 길이방향 압축부(35)와 제2 길이방향 압축부(36)를 포함한다.
압축부(35, 36)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길이 방향으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압축부(35, 36)는 상기 중심선(25)과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2) 사이에서 중심선(25)의 각 측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
압축부(35, 36)는 길이 방향으로 제2 흡수층(17)의 길이의 30% 연장되며, 이것은 압축부(35, 36)가 제1 흡수층(16)에 있는 개구부(20, 21)만큼 길게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압축부(35, 36)는 제1 흡수층(16)에 있는 개구부(20, 21)의 길이의 30%에서부터 제2 흡수층(17)의 최대 전 길이까지 길이방향 배향으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35, 36)는 15mm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35, 36)는 흡수층(17)의 주변 부분들과 관련하여 명확히 가시적이며, 흡수층(17)의 두께는 압축부(17)의 중심 부분에서 20-90%까지, 바람직하게 50-90%까지, 더욱 바람직하게 70-90%까지 감소되었다.
흡수체(15)는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제1 개구부(20)가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제1 압축부(35)와 실질적으로 중첩되고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제2 개구부(21)가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제2 압축부(36)와 실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점에서 주로 구별된다.
흡수체(15)의 가랑이 영역(26)은, 길이방향 중심선(25)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힘에 노출되었을 때 U-자처럼 모양이 형성되며, 개구부(20, 21)를 포함하는 제1 흡수층(16)은 U 모양에서 안쪽으로 배향된다. 압축부(35, 36)를 포함하는 제2 흡수층(17)은 U 모양의 바깥쪽에 배향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흡수체(15)를 위한 중첩된 개구부 - 압축부의 조합은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며, 즉 압축부는 개구부에서 임의의 재료의 압축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벤딩 표시처럼 기능한다.
도 4c는 흡수체(15)가 흡수 물품의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액체-불투과성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 때와 물품이 사용 동안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의 횡력(F)에 노출된 때 도 4b의 단면 B-B가 형성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흡수 물품은 바람직하게 소변의 흡수를 위해 소용되며, 예를 들어 아기 기저귀 또는 성인 사용자를 위한 실금 물품일 수 있다.
흡수체(15)는 상기 도 4a 및 4b와 함께 설명된 대로 물품의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15)에는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향된 제2 흡수층(17)과 사용자와 마주하여 배향된 제1 흡수층(16)이 배치된다.
제2 흡수층(17)의 길이방향 압축부(35, 36)는 제1 흡수층(16)의 길이방향 개구부(20, 21)와 협력하여 U 모양의 바깥쪽으로 배향된 2개의 측면 접힘부(40, 41)를 형성한다.
2-부분 흡입 재료(45)는 제1 흡수층(16)과 액체-투과성 겉면층(2) 사이에 배치되고,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해서 내부 측면 장벽(11)이 배치된다.
바깥쪽으로 배향된 두 측면 접힘부(40, 41)는 제2 흡수층(17)의 각각의 압축부(35, 36) 주변에 형성되며, 이 압축부는 유효한 벤딩 표시를 구성한다. 제1 흡수층(16)의 길이방향 개구부(20, 21)는 측면 접힘부(40, 41)가 휜/형성된 때 너비가 감소되며, 개구부(20, 21)가 임의의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휘는/형성되는 동안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부합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에 위치되도록 제공된 흡수체(15)를 나타낸다. 흡수체(15)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 4a 및 4b와 관련하여 설명된 흡수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추가로 제1 흡수층(16)이 제3 길이방향 압축부(37)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17)이 제3 길이방향 개구부( 22)를 포함한다.
도 5에서는 흡수체(15)의 제1 및 제2 흡수층(16, 17)이 명료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분리되지만, 도 6은 흡수체(15)가 흡수 물품에 적용된 경우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중심선(25)과 일치하는 제3 압축부(37)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길이방향으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압축부(37)는 길이방향으로 제1 흡수층(16)의 길이의 30% 연장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그것은 제2 흡수층(17)에 있는 개구부(22)의 길이의 30%에서부터 제1 흡수층(16)의 최대 전 길이까지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압축부(37)는 15mm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중심선과 일치하는 제3 개구부(22)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길이방향으로 주 연장부를 갖지만, 또한 앞쪽 및 뒤쪽 단부 영역(27, 28)으로 모두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22)는 길이방향으로 제2 흡수층(17)의 길이의 30%에 걸쳐서 연장되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그것은 제2 흡수층(17)의 길이의 10% 내지 100%에서 길이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15mm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너비를 갖지만, 본 발명의 대안적 양태에서 2 내지 30mm, 바람직하게 5 내지 20mm, 더욱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5mm에서 다양할 수 있다.
흡수체(15)는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제3 개구부(22)와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제3 압축부(37)가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점과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제1 개구부(20)가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제1 압축부(35)와 실질적으로 중첩되고 제1 흡수층(16)에 배치된 제2 개구부(21)가 제2 흡수층(17)에 배치된 제2 압축부(36)와 실질적으로 중첩된다는 점에서 주로 구별된다.
흡수체(15)의 가랑이 영역(26)은, 길이방향 중심선(25)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힘에 노출되었을 때 W-자처럼 형성되며, 압축부(37)와 개구부(20, 21)를 포함하는 제1 흡수층(16)은 W 모양에서 안쪽으로 배향된다. 개구부(22)와 압축부(35, 36)를 포함하는 제2 흡수층(17)은 W 모양에서 바깥쪽으로 배향된다.
도 7은 흡수 물품에서 흡수체(15)가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액체-불투과성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 때와 물품이 사용 동안 사용자의 허벅지로부터의 횡력(F)에 노출된 때 도 6의 단면 C-C가 형성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흡수체(15)는 상기 도 5 및 6과 함께 설명된 대로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체(15)에는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져 배향되는 제2 흡수층(17)과 사용자와 마주하여 배향되는 제1 흡수층(16)이 배치된다.
제2 흡수층(17)의 길이방향 압축부(35, 36)는 제1 흡수층(16)의 길이방향 개구부(20, 21)와 협력하여 W 모양의 바깥쪽으로 배향된 2개의 측면 접힘부(40, 41)를 형성한다.
2-부분 흡입 재료(45)는 제1 흡수층(16)과 액체-투과성 겉면층(2) 사이에 배치되고,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해서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이 배치된다.
바깥쪽으로 배향된 두 측면 접힘부(40, 41)는 도 4c와 함께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1 흡수층(16)의 길이방향 제3 압축부(37)는 제2 흡수층(17)의 길이방향 개구부(22)와 협력하여 W 모양의 안쪽으로 배향된 중앙 접힘부(39)를 형성한다. 중앙 접힘부(39)는 제1 흡수층(16)의 압축부(37) 주변에 형성되며, 이 압축부는 유효한 벤딩 표시를 구성한다. 제2 흡수층의 개구부(22)는 중앙 접힘부(39)가 휜/형성된 때 너비가 감소되며, 개구부(22)가 임의의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휘는/형성되는 동안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설명된 양태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용된 본 발명의 양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후의 청구항의 틀 내에서 다른 조합에도 당연히 적합하다.
다리 개구부의 탄성 요소 및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의 탄성 요소에 대해 회복력을 결정하는 방법
정의
회복력 P(X)는 최대 이용가능한 신장의 X%가 잔류했을 때의 샘플의 탄성력이며, 예를 들어 P(30)은 샘플이 최대 이용가능한 신장의 70%까지 신축되었을 때 얻어진 회복력이다.
장비
- 흡수 물품
- 500 mm/min의 빔 속도 및 20 N 하중 셀을 가진 인장 시험 장치
- 이용가능한 신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흡수 물품을 신축할 수 있기 위한 장비. 테이프, 페이퍼 클립, 자석 등.
- 마킹 펜 및 가위
- 스톱워치
- mm 규모의 자
- mm 규모의 가요성 자. 이러한 가요성 곡선 자는 scalerulers.com에서 구입될 수 있다.
- 시험 프로토콜
회복력을 결정하기 위한 샘플의 제조
A. 흡수 물품(6)이 소위 말하는 팬티 기저귀라면 물품은 먼저 측면에서 개방된다.
B. 다리 개구부 및/또는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의 탄성 요소(5, 12)의 최대 이용가능한 신장을 결정하기 위해, 흡수 물품(6)은 모서리가 평평한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축되어야 한다. 흡수 물품은 다리 개구부(11) 및 내부 측면 누출 장벽의 탄성 요소(5, 12)를 둘러싼 재료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펴지도록, 즉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접힘이 없도록 신축되어야 한다. 흡수 물품(6)은 액체-투과성 겉면층(2) 또는 뒷면층(4)이 과도하게 신축되는 정도로는 신축되지 않아야 하며, 이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펴지도록만 신축되어야 한다.
신장된 상태에서 흡수 물품(6)의 모서리의 고정은 테이프, 페이퍼 클립, 자석 등으로 적절히 수행된다.
C. 다리 개구부의 신장된 탄성 요소(5) 및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신장된 탄성 요소(12)의 200mm±2mm의 거리를 표시한다(물품의 탄성 요소가 200mm의 신장된 길이를 갖지 않는다면 100mm±1mm). 표시된 신축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탄성 요소(5, 12)의 중앙 지점 주변에서 길이방향으로 중심이 있어야 한다.
다리 개구부의 탄성 요소(5)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탄성 요소(12)가 곡선 신장부를 가진다면 200mm±2mm는 가요성 자로 측정되어야 한다. 가요성 자는 곡선 탄성 요소(5, 11)에 따라서 형성되어야 하고, 이후 200mm±2mm가 표시된다.
D. 다리 개구부의 탄성 요소(5)의 회복력을 결정하고자 한다면 탄성 요소(5)에 평행한 라인이 다리 개구부의 각각의 최외각 및 가장 안쪽에 배치된 탄성 요소(5)의 바깥쪽과 안쪽에서 5mm±1mm의 간격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그 다음, 스트립이 표시된 라인을 따라 절단된다. 각각의 스트립은 각각의 다리 개구부에 배치된 모든 탄성 요소(5)를 포함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물품(6)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가능한 길에 절단되어야 한다.
각각의 다리 개구부의 최외각에 배치된 탄성 요소(5)의 바깥쪽에 5mm의 재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라인이 표시되지 않아야 하고 재료는 어느 쪽에서도 절단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대한 의견은 시험 프로토콜에 작성되어야 한다.
다리 개구부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 탄성 요소(5)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로부터 5mm 미만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난다면 마킹은 표시되지 않아야 한다. 이 경우, 절단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에 가능한 가깝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한 의견은 시험 프로토콜에 작성되어야 한다.
흡수 물품(6)으로부터 스트립이 분리된 후에 이들은 적어도 30분 동안 절대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결정되어야 하는 회복력이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탄성 요소(12)에 관한 것이라면, 제1 라인은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자유 가장자리(13)의 방향으로 최외각에 배치된 탄성 요소(12)로부터 5mm±1mm의 거리에 탄성 요소(12)와 평행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최외각에 배치된 탄성 요소(12)란, 탄성 요소(12)가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자유 가장자리(13)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최외각에 배치된 탄성 요소(12)와 자유 가장자리(13) 사이의 거리가 5mm 미만인 것으로 나타난다면 제1 라인은 표시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대한 의견은 시험 프로토콜에 작성되어야 한다.
제2 라인은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과 액체-투과성 겉면층(2)의 결합 방향으로 가장 안쪽에 배치된 탄성 요소(12)로부터 5mm±1mm의 거리에 탄성 요소(12)와 평행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가장 안쪽에 배치된 탄성 요소(12)란,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에서 탄성 요소(12)가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가장 안쪽에 배치된 탄성 요소(12)와 액체-투과성 겉면층(2) 사이의 거리가 5mm 미만인 것으로 나타난다면 제2 라인은 표시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대한 의견은 시험 프로토콜에 작성되어야 한다.
모든 탄성 요소(12)를 포함하는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스트립은 이제 표시된 제1 및 제2 라인을 따라 절단되어야 한다.
상기에 따라서 제1 라인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료가 절단되지 않아야 하고, 제2 라인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액체-투과성 겉면층(2)에 가능한 가깝게 절단이 수행되어야 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흡수 물품(6)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가능한 길게 절단되어야 한다.
흡수 물품(6)으로부터 스트립이 분리된 후에 이들은 적어도 30분 동안 절대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시험
절단된 스트립을 인장 시험 장치에 위치시키고 이용가능한 신장(200mm±1mm)의 70%까지 신축하는데, 즉 표시된 마킹 사이의 거리가 140mm가 될 때까지 신축한다(100mm±1mm의 거리에 마킹이 표시된 경우 70mm). 이용가능한 신장의 70%는 이용가능한 신장의 30%가 잔류한 것을 의미하며, P(30)으로 칭한다.
신장이 완료된 후 5초 이내에 샘플의 회복력 P(30)을 등록한다.
다리 개구부의 탄성 요소(5)의 시험을 완료하기 위해, 탄성 요소(5)는 3개의 흡수 물품(6)에서 우측 및 좌측 다리 개구부에서 모두 시험되어야 한다.
다리 개구부의 탄성 요소(5)의 회복력과 관련하여, 흡수 물품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즉 특허 청구항의 보호 범위 내에 있으려면 상기 정의된 6회 측정의 평균값이 0.30-0.80 N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에 배치된 탄성 요소(12)의 시험을 완료하기 위해, 3개의 흡수 물품(6)에서 측면 누출 장벽(11)의 우측 및 좌측 탄성 요소(12)가 모두 시험되어야 한다.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의 탄성 요소(12)의 회복력과 관련하여, 흡수 물품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즉 특허 청구항의 보호 범위 내에 있으려면 상기 정의된 6회 측정의 평균값이 0.20-0.40 N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Claims (15)
-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하게 되도록 의도된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의도된 실질적으로 액체-불투과성인 뒷면층(4) 및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실질적으로 액체-불투과성인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된 길이방향 가장자리(30)를 포함하는 흡수체(15)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으로서, 상기 물품(6)은 길이방향 중심선(25), 가랑이 영역(26), 앞쪽 단부 영역(27) 및 뒤쪽 단부 영역(28)을 포함하고, 흡수체(15)는 사용 동안 사용자를 향하게 되도록 의도된 제1 흡수층(16)과 사용 동안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의도된 제2 흡수층(17)을 포함하며,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은 흡수체(15)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5)가 흡수체(15)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의 바깥쪽에서 액체-투과성 겉면층(2)과 뒷면층(4)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 요소(5)는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30N 내지 0.80N의 회복력을 가지며, 제1 흡수층(16)은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개구부(20)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17)은 가랑이 영역에 배치된 제1 길이방향 압축부(35)를 포함하는 흡수 물품(6)에 있어서, 제1 길이방향 개구부(20)와 제1 길이방향 압축부(35)가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체(15)의 제1 길이방향 개구부(20)와 제1 길이방향 압축부(35)는 길이방향 중심선(25)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체(15)의 제1 흡수층(16)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층(16)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1) 사이에서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된 제2 길이방향 개구부(21)를 포함하고, 제1 길이방향 개구부(20)는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층(16)의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3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흡수층(17)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층(17)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2) 사이에서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된 제2 길이방향 압축부(36)를 포함하고, 제1 길이방향 압축부(35)는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층(17)의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32)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길이방향 개구부(21)와 제2 길이방향 압축부(36)는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3 항에 있어서, 제1 흡수층(16)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된 제3 길이방향 압축부(37)를 포함하고, 제2 흡수층(17)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랑이 영역(26)에 배치된 제3 길이방향 개구부(22)를 포함하며, 제3 길이방향 압축부(37)와 제3 길이방향 개구부(22)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6)은 물품(6)의 길이방향 중심선(25)의 각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을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적어도 가랑이 영역(26)에서 흡수체(15)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의 근처에 배치되며,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자유 가장자리(13)를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은 적어도 하나의 인장된 탄성 요소(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내부 측면 누출 장벽(11)에 배치된 탄성 요소(12)는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이용가능한 신장의 70%의 신장에서 0.20N 내지 0.40N의 회복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향해서 배열되도록 의도된 제1 흡수층(16)의 측면에 흡입 재료(4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7 항에 있어서, 흡입 재료(45)는 2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되며, 하나의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체(15)의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 사이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25)과 흡수체(15)의 나머지 길이방향 가장자리(30)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부분은 길이방향 중심선(25) 및 인접한 길이방향 가장자리(30)까지 일정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6)의 제1 흡수층(16)과 제2 흡수층(17)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6)의 각각의 흡수층(16, 17)은 50 g/㎡ 내지 1000 g/㎡의 표면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6)의 각각의 흡수층(16, 17)은 0% 내지 80%의 고 흡수성 중합체 재료, 소위 말하는 SAP의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6)의 흡수층(16, 17) 중 하나는 나머지 흡수층(17, 16)보다 더 큰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15)의 앞쪽 단부 영역(27)과 뒤쪽 단부 영역(28)은 가랑이 영역(26)보다 더 큰 횡단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회용 물품은 아기 기저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회용 물품은 성인 실금 사용자를 위한 실금 기저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 물품(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SE2014/050716 WO2015190962A1 (en) | 2014-06-13 | 2014-06-13 | Absorbent article exhibiting controlled deformation in 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8355A true KR20170018355A (ko) | 2017-02-17 |
Family
ID=5483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6918A Withdrawn KR20170018355A (ko) | 2014-06-13 | 2014-06-13 |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128284A1 (ko) |
EP (1) | EP3154488A4 (ko) |
JP (1) | JP2017518822A (ko) |
KR (1) | KR20170018355A (ko) |
CN (1) | CN106456414A (ko) |
AU (1) | AU2014396896B2 (ko) |
BR (1) | BR112016028039A2 (ko) |
CA (1) | CA2951998A1 (ko) |
CO (1) | CO2017000012A2 (ko) |
MX (1) | MX2016016277A (ko) |
RU (1) | RU2656200C1 (ko) |
TW (1) | TW201601695A (ko) |
WO (1) | WO20151909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09235A1 (en) | 2017-05-12 | 2018-11-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eminine hygiene article |
US11058591B2 (en) | 2017-05-12 | 2021-07-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eminine hygiene article with improved wings |
US12016756B2 (en) | 2017-12-19 | 2024-06-25 | Lyv Life, Inc. | Ultrathin absorbent hygienic pads |
USD917044S1 (en) | 2019-03-01 | 2021-04-20 | Lyv Life, Inc. |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with channels |
USD926974S1 (en) * | 2019-03-01 | 2021-08-03 | Lyv Life, Inc. | Ultrathin absorbent bladder liner with absorbent pod |
USD917043S1 (en) | 2019-03-01 | 2021-04-20 | Lyv Life, Inc. |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
CN111658329A (zh) * | 2020-07-17 | 2020-09-15 | 湖北丝宝股份有限公司 | 一种吸收制品 |
BR112023024926A2 (pt) | 2021-06-10 | 2024-02-15 | Essity Hygiene & Health Ab | Artigo higiênico |
US12193919B2 (en) | 2021-06-10 | 2025-01-14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Sanitary article comprising shaping elements |
US20220409449A1 (en) * | 2021-06-29 | 2022-12-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eminine Hygiene Article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08047A (en) * | 1985-05-28 | 1986-08-26 | Personal Products Company | 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 |
US5197959A (en) * | 1988-03-31 | 1993-03-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
GR1002237B (en) * | 1991-09-27 | 1996-04-19 | Mcneil Ppc Inc | Absorbent article having pre-formed gaskets. |
SE508041C2 (sv) * | 1994-12-30 | 1998-08-17 | Moelnlycke Ab | Absorberande alster |
US6372952B1 (en) * | 1996-03-22 | 2002-04-1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
JPH10113362A (ja) * | 1996-10-15 | 1998-05-06 | Oji Paper Co Ltd | 使いすておむつ |
JPH10137289A (ja) * | 1996-11-15 | 1998-05-26 | Kao Corp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SE511857C2 (sv) * | 1998-04-28 | 1999-12-06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rande struktur med förbättrade absorptionsegenskaper innehållande minst 50 vikts% superabsorberande material |
JP2002045398A (ja) * | 2000-08-04 | 2002-02-12 | Kao Corp | 吸収性物品 |
US6605752B2 (en) * | 2000-10-30 | 2003-08-12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instantaneous liquid adsorption, and improved fit |
JP4716629B2 (ja) * | 2001-09-27 | 2011-07-06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226843B2 (ja) * | 2002-05-10 | 2009-02-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3878085B2 (ja) * | 2002-08-09 | 2007-02-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
JP4727494B2 (ja) * | 2005-05-19 | 2011-07-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使い捨て着用物品 |
JP4794266B2 (ja) * | 2005-10-06 | 2011-10-19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105884B2 (ja) * | 2007-01-17 | 2012-12-26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2008284190A (ja) * | 2007-05-18 | 2008-11-27 | Oji Nepia Kk | 吸収性物品 |
BRPI0722202B8 (pt) * | 2007-11-20 | 2021-06-22 | Essity Hygiene & Health Ab | artigo absorvente modelado com elásticos de borda |
US9044359B2 (en) * | 2008-04-29 | 2015-06-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
US8034991B2 (en) * | 2009-04-29 | 2011-10-11 | Johnson & Johnson Ind. E Com. Ltda |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channels |
JP5566666B2 (ja) * | 2009-11-13 | 2014-08-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404379B2 (ja) * | 2009-12-28 | 2014-01-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486346B2 (ja) * | 2010-02-27 | 2014-05-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JP5548056B2 (ja) * | 2010-07-07 | 2014-07-16 | 花王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MY171358A (en) * | 2010-07-07 | 2019-10-10 | Kao Corp | Disposable diaper |
JP5623828B2 (ja) * | 2010-08-31 | 2014-11-12 | 大王製紙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EP2656826B1 (en) * | 2010-12-21 | 2018-10-31 | Kao Corporation | Absorptive article |
JP5939773B2 (ja) * | 2010-12-22 | 2016-06-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の吸収層 |
CN103282003B (zh) * | 2010-12-27 | 2014-11-19 | 花王株式会社 | 短裤型吸收性物品 |
MX337545B (es) * | 2011-06-28 | 2016-03-10 | Sca Hygiene Prod Ab | Articulo absorbente con estructura de entrada. |
JP6211747B2 (ja) * | 2011-07-07 | 2017-10-11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吸収性物品 |
EP2900191B1 (en) * | 2012-09-26 | 2019-05-15 | Drylock Technologies NV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and retractable core |
US9597236B2 (en) * | 2012-12-27 | 2017-03-21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core exhibiting controlled deformation in us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id core |
-
2014
- 2014-06-13 EP EP14894358.2A patent/EP315448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4-06-13 JP JP2016572759A patent/JP2017518822A/ja not_active Ceased
- 2014-06-13 CN CN201480079786.9A patent/CN106456414A/zh active Pending
- 2014-06-13 BR BR112016028039A patent/BR112016028039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6-13 CA CA2951998A patent/CA29519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6-13 US US15/318,077 patent/US201701282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6-13 AU AU2014396896A patent/AU2014396896B2/en not_active Ceased
- 2014-06-13 WO PCT/SE2014/050716 patent/WO201519096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13 MX MX2016016277A patent/MX2016016277A/es unknown
- 2014-06-13 RU RU2017100915A patent/RU2656200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06-13 KR KR1020167036918A patent/KR2017001835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06-02 TW TW104117796A patent/TW201601695A/zh unknown
-
2017
- 2017-01-03 CO CONC2017/0000012A patent/CO2017000012A2/e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456414A (zh) | 2017-02-22 |
MX2016016277A (es) | 2017-03-31 |
EP3154488A1 (en) | 2017-04-19 |
CO2017000012A2 (es) | 2018-01-05 |
AU2014396896B2 (en) | 2017-04-13 |
CA2951998A1 (en) | 2015-12-17 |
RU2656200C1 (ru) | 2018-05-31 |
BR112016028039A2 (pt) | 2017-08-22 |
JP2017518822A (ja) | 2017-07-13 |
AU2014396896A1 (en) | 2017-01-12 |
EP3154488A4 (en) | 2017-11-01 |
US20170128284A1 (en) | 2017-05-11 |
TW201601695A (zh) | 2016-01-16 |
WO2015190962A1 (en) | 2015-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7236B2 (en) | Absorbent core exhibiting controlled deformation in use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id core | |
KR20170018355A (ko) |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 |
RU2345749C2 (ru) |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ой защитой от утечек и прилегаемостью | |
EP1865900B1 (en)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multiple replaceable absorbent core components | |
WO2010071508A1 (en) |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waste containment | |
US20130304011A1 (en) |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KR20170018356A (ko) | 사용중 제어된 변형을 나타내는 흡수 물품 | |
US20080114320A1 (en) | Absorbent articles having fluid partition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evaluating such characteristics | |
JP6631731B1 (ja) | 吸収体及びそれを備える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