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112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17112A KR20170017112A KR1020150110535A KR20150110535A KR20170017112A KR 20170017112 A KR20170017112 A KR 20170017112A KR 1020150110535 A KR1020150110535 A KR 1020150110535A KR 20150110535 A KR20150110535 A KR 20150110535A KR 20170017112 A KR20170017112 A KR 201700171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display unit
- output
- information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M1/72519—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팔찌 형태의 와치 타입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치 타입 단말기의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컨텐트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이벤트의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컨텐트의 제어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벤트의 상세 분량에 따라, 시간 정보가 점유하는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부가 원형일 때 이벤트의 상세 정보 또는 컨텐트의 제어 화면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마이크가 활성화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이동 단말기가 회전함에 따라, 이벤트의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이동 단말기의 출력 모드가 변경되면서 이벤트의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이벤트의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피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설정값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은 음악 재생 중 다른 음악 파일을 탐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에 따라, 걸려온 전화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손목을 회전하는 제스처에 따라, 걸려온 전화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22 : 마이크
151 : 디스플레이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1)
-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벤트의 발생을 가리키는 오브젝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다가,
소정의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이벤트의 상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착용한 팔이 펴져 있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팔을 굽히는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간 정보가 더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이벤트의 상세 정보의 분량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 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선에 의해 좌우 영역으로 양분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착용한 팔과 반대편 영역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 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가상선에 의해 상하 영역으로 양분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하단 영역을 통해 상기 상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를 들어 올리는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변환한 텍스트를 상기 이벤트에 응답하기 위한 메시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재생 중인 컨텐트의 정보를 출력하다가, 상기 소정의 제스처가 입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컨텐트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동안 손목 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이벤트의 상기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회전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상세 정보의 출력 분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 엣지를 동시에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시 상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문자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상기 상세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를 전송한 상대방에게 상기 이벤트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가 부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를 제외한 시간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손목 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피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트가 더욱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손목 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방해 금지 모드, 비행기 모드 및 진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설정값을 On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설정값을 Off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연결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부터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통화 연결 화면에 상기 전화를 걸어온 상대방의 정보가 더욱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손목 위 상기 이동 단말기를 회전하는 제스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전화를 연결하거나, 상기 전화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 이벤트의 발생을 가리키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소정의 제스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스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하면서, 상기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535A KR20170017112A (ko) | 2015-08-05 | 2015-08-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CT/KR2016/000637 WO2017022910A1 (en) | 2015-08-05 | 2016-01-2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5/004,782 US10082876B2 (en) | 2015-08-05 | 2016-01-22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16161747.7A EP3128725B1 (en) | 2015-08-05 | 2016-03-22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201610580149.0A CN106446728A (zh) | 2015-08-05 | 2016-07-21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0535A KR20170017112A (ko) | 2015-08-05 | 2015-08-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7112A true KR20170017112A (ko) | 2017-02-15 |
Family
ID=5558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535A Ceased KR20170017112A (ko) | 2015-08-05 | 2015-08-05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082876B2 (ko) |
EP (1) | EP3128725B1 (ko) |
KR (1) | KR20170017112A (ko) |
CN (1) | CN106446728A (ko) |
WO (1) | WO201702291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2896A (ko) * | 2019-04-19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WO2022114885A1 (ko) * | 2020-11-27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타일러스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받는 전자 장치 |
WO2025127701A1 (ko) * | 2023-12-12 | 2025-06-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Gui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28766B2 (en) * | 2014-09-12 | 2019-03-1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Enhanced Display Rotation |
US20160342327A1 (en) * | 2015-05-22 | 2016-11-24 | Lg Electronics Inc. |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
KR102607562B1 (ko) * | 2016-08-30 | 2023-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베젤 기반 인터랙션에 따른 비주얼 이펙트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
CN110316087B (zh) * | 2018-03-30 | 2023-05-05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车辆和车载显示终端系统 |
US11150746B2 (en) * | 2018-06-28 | 2021-10-19 | Google Llc |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user interface mirroring based on device position |
JP7055721B2 (ja) * | 2018-08-27 | 2022-04-18 | 京セラ株式会社 |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そ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155808B2 (ja) * | 2018-09-25 | 2022-10-19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
CN111045577A (zh) * | 2018-10-11 | 2020-04-21 |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横竖屏切换方法、可穿戴设备和具有存储功能的装置 |
CN109849921A (zh) * | 2018-12-25 | 2019-06-07 | 北京珠穆朗玛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驾驶模式切换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
CN109582432A (zh) * | 2018-12-29 | 2019-04-05 |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 一种智能手表屏幕显示界面的控制方法以及智能手表 |
CN109445267B (zh) * | 2018-12-29 | 2021-06-25 |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 一种智能手表 |
CN109799912B (zh) * | 2019-02-25 | 2022-08-19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显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KR102143083B1 (ko) * | 2019-04-26 | 2020-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10187759B (zh) * | 2019-05-08 | 2023-01-17 |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
CN110187758B (zh) * | 2019-05-08 | 2023-06-30 |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
CN110515685A (zh) * | 2019-08-02 | 2019-11-29 |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 一种信息流展示方法与设备 |
EP3779612A1 (fr) * | 2019-08-16 | 2021-02-17 |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 Procédé et système de diffusion d'un message à un porteur d'une montre |
US11573812B2 (en) * | 2019-09-15 | 2023-02-07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Generating a next best action recommendation using a machine learning process |
CN110979010A (zh) * | 2019-12-10 | 2020-04-10 |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 车辆、车机设备及其显示设备智能控制方法 |
CN111756935A (zh) * | 2019-12-12 | 2020-10-09 |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 智能系统的信息处理方法和智能系统 |
KR102743764B1 (ko) | 2020-02-06 | 2024-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1184366A1 (zh) * | 2020-03-20 | 2021-09-23 |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 屏幕显示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
CN112612387B (zh) * | 2020-12-18 | 2022-07-12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展示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59837B1 (en) * | 1999-06-30 | 2002-03-19 | Casio Computer Co., Ltd. | Camera, camera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timepiece, and link system for camera and timepiece |
US20050276164A1 (en) * | 2004-06-12 | 2005-12-15 | Scott Amron | Watch adapted to rotate a displayed image so as to appear in a substantially constant upright orientation |
US7877703B1 (en) * | 2005-03-14 | 2011-01-25 | Seven Networks, Inc. |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
KR101078899B1 (ko) | 2010-01-29 | 2011-11-01 | 주식회사 팬택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
JP2012109901A (ja) * | 2010-11-19 | 2012-06-07 | Elmo Co Ltd | 資料提示装置 |
KR20130069066A (ko) * | 2011-12-16 | 2013-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US8988349B2 (en) * | 2012-02-28 | 2015-03-24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
US9934713B2 (en) * | 2012-03-28 | 2018-04-03 | Qualcomm Incorporated | Multifunction wristband |
EP2698686B1 (en) * | 2012-07-27 | 2018-10-10 | LG Electronics Inc. | Wrist-wear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9477313B2 (en) * | 2012-11-20 | 2016-10-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
US9652135B2 (en) * | 2012-12-10 | 2017-05-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device of bangle type, control method thereof, and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
KR102138503B1 (ko) | 2013-04-09 | 2020-07-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워치 |
KR102099358B1 (ko) | 2013-04-22 | 2020-04-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KR102179812B1 (ko) | 2013-07-18 | 202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와치형 이동단말기 |
CN103399480A (zh) * | 2013-08-19 | 2013-11-20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智能手表及其控制装置和方法 |
KR20150029453A (ko) * | 2013-09-10 | 2015-03-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
KR102014445B1 (ko) * | 2013-09-27 | 2019-08-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착용형 기기 |
US9794397B2 (en) | 2013-10-16 | 2017-10-17 | Lg Electronics Inc. |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114616B1 (ko) | 2013-12-06 | 2020-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
US9317155B2 (en) | 2013-12-27 | 2016-04-19 | Intel Corporation | Ruggediz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
EP2891942B1 (en) * | 2014-01-02 | 2018-08-22 | LG Electronics Inc. | Wearable terminal |
JP2015141293A (ja) * | 2014-01-28 | 2015-08-03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デバイス |
US9668367B2 (en) * | 2014-02-04 | 2017-05-3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Wearable computing systems |
US20150227245A1 (en) * | 2014-02-10 | 2015-08-13 | Polyera Corporation |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
JP6328797B2 (ja) * | 2014-05-30 | 2018-05-23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1つのデバイスの使用から別のデバイスの使用への移行 |
US9584645B2 (en) * | 2014-06-04 | 2017-02-28 | Grandios Technologies, Llc | Communications with wearable devices |
CN104063248B (zh) * | 2014-06-27 | 2018-01-16 |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 智能手表及其应用程序的启动方法 |
-
2015
- 2015-08-05 KR KR1020150110535A patent/KR20170017112A/ko not_active Ceased
-
2016
- 2016-01-21 WO PCT/KR2016/000637 patent/WO201702291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22 US US15/004,782 patent/US1008287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3-22 EP EP16161747.7A patent/EP312872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6-07-21 CN CN201610580149.0A patent/CN106446728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2896A (ko) * | 2019-04-19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WO2022114885A1 (ko) * | 2020-11-27 | 2022-06-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스타일러스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로부터 입력을 받는 전자 장치 |
WO2025127701A1 (ko) * | 2023-12-12 | 2025-06-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Gui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22910A1 (en) | 2017-02-09 |
EP3128725A3 (en) | 2017-04-05 |
US10082876B2 (en) | 2018-09-25 |
CN106446728A (zh) | 2017-02-22 |
US20170038845A1 (en) | 2017-02-09 |
EP3128725A2 (en) | 2017-02-08 |
EP3128725B1 (en) | 2019-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711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10605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14252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
KR20150142933A (ko) |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70027606A (ko) |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4609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416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5586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9540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1618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1070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7004216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02811A (ko) | 손목착용형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의 제스처를 통해 필기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6626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6773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4235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3024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4308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42671A (ko) | 와치형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48382A (ko) |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7004104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7627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921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13960B1 (ko) |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7002716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8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