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1698A -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 Google Patents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698A
KR20170011698A KR1020150104802A KR20150104802A KR20170011698A KR 20170011698 A KR20170011698 A KR 20170011698A KR 1020150104802 A KR1020150104802 A KR 1020150104802A KR 20150104802 A KR20150104802 A KR 20150104802A KR 20170011698 A KR20170011698 A KR 2017001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rones
take
per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철
허영철
정용하
이청주
Original Assignee
이병철
허영철
정용하
이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허영철, 정용하, 이청주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15010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698A/en
Publication of KR2017001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69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이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구비한 드론 이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및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10)로서,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takeoff and lan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 takeoff and landing system having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permission of landing of a dro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a dron (30) takes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landing permission of the dron for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wherein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es, A signal for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is transmitted, and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procedure for completion of landing and delivery of the drones proceeds.

Description

착륙허가모듈이 구비된 드론 이착륙 시스템{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본 발명은 드론 이착륙 시스템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구비하여,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a landing permission of a dron. When receiv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To a drones take-off and landing system.

드론(Drone)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다. 카메라, 센서, 통신 시스템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25g부터 1200kg까지 무게와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처음에는 군사용도로 탄생했지만, 최근에는 고공촬영, 물류배송, 농약살포, 공기질 측정 등으로 그 활용분야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인의 생활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는 물류배송 분야라 할 것이다.Drone is a drone that can be controlled by radio waves. It is equipped with camera, sensor, communication system, and it has various weight and size from 25g to 1200kg. The drones were originally created as military roads, but recently their application area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by high-definition photography, logistics delivery, pesticide application, and air quality measurement. Among them, the field most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general public is the logistics delivery field.

물류배송에 드론을 사용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2721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가 보유한 이착륙 장치에 무인으로 드론이 물류를 운송하는 시스템과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이착륙 장치와 드론 사이에 물류 배송 위치에 대한 확인이 이뤄진 후, 드론이 착륙가능하도록 드론이 착륙할 이착륙 장치의 베이스가 펼쳐진다. A prior art using drones for logistics delivery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7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ystem in which a dragon carries a logistics to an unmanned take-off and landing device owned by a us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In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system of Patent Document 1, after confirming the delivery position of the goods between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the drone, the base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on which the drones land so that the dron can land is unfolded.

그러나 드론과 이착륙 장치 사이에 물류 배송에 대한 위치확인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무선 신호를 이용한 제어방식으로 운영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전파 교란이나 장애 등의 이유로 드론 배송 서버에 이상작동이 발생될 경우, 잘못된 배송위치로 배송이 이뤄질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묻지마 폭력 등 불특정 다수에 대한 무차별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들로 인해 “사회 안전”이라는 이슈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드론 배송 서버의 오작동으로 배송에 문제가 생기거나, 악의적인 의도로 원하지 않는 물건(예를 들면 혐오성 물건이나, 폭발물 등의 위험물)이 배송될 경우에도, 오배송의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However, even if the location of the logistics delivery between the drones and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is checked, the dron landing and landing system operated by the control method using the wireless signal can not be operated if the dron ship server malfunctions due to radio disturbance, Delivery to the location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o this, the issue of "social saf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because of people who indiscriminately violence agains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uch as violence. Therefore, even if a malfunction of the delivery server causes malfunctions or malicious intentions (for example, dangerous goods such as disgusting goods or explosives) are delivered,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olution .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2721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7210 한국공개특허공보 2014-00384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3849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제공하여, 드론의 오배송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an article recipient of arrival of a delivery article when a first landing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a dron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dispensing of drones.

또한 본 발명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배송도착 알람장치를 통해 전송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ding permission module that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arrival of a delivery item to a recipient of the article through a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transmits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hrough a home autom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an articl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a delivery article through a cellular phone of an article recipient.

또한 본 발명은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이착륙장치를 관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arrival of a delivery item via a mobile phone of an article recipient via a drone operation server managing a drag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접힘상태와 전개상태 사이를 회전 이동하여,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dron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a dron can take off and land and a second position where a dron can not land or take off by rotating between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about a hinge (H) And a base.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슬라이더(S)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건물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거나 건물의 외벽 내부로 삽입되어,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ructure that slides along a horizontal slider S supported by a building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re is no gap.

또한 본 발명은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it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ase is in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dron can not take off,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또한 본 발명은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및 제2 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ne operation server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it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and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and the base,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e can not take- The drones move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es can take off and lan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및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10)로서,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base for providing a floor for taking-off and landing of a dron, a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a landing permission of a dron for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wherein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 The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delivery of the delivery item, and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recipient of the goods, Device.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배송도착 알람장치를 통해 전송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to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to notify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to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이착륙장치를 관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o the mobile phone of the recipient via the drone operation server managing the drag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는, 상기 베이스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접힘상태와 전개상태 사이를 회전 이동하여,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cedure for completion of landing and delivery of the dron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base between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about the hinge H supported by the building to form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And a second position that can not be achieved.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는, 상기 베이스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슬라이더(S)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건물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거나 건물의 외벽으로 삽입되어,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letion of the landing and the delivery of the dron is accomplished by slidably moving along the horizontal slider S supported by the building so that the base protrudes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moving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es can not take off and land.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는, 상기 이착륙 장치가 상기 드론에게 착륙유도신호를 송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nding / landing completion procedure may include a procedure in which the landing gear transmits a landing induction signal to the drones.

또한 본 발명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및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dredge take-off and landing device, comprising a base 11 providing a floor for taking-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30,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drones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landing and landing device including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landing permission of the drones; And a dron including a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wherein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and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 The base moves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 can not take off and lan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

또한 본 발명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드론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착륙허가모듈로부터 전송된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물품수령자에게 전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착륙 장치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ake-off device comprising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and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of the dron to the drones take-off device to the drones operation server; And a dron oper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o an article recipient, wherein when the drones operating server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dmission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base moves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 can not take off and land,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base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hereby controlling the drones.

또한 본 발명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드론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착륙허가모듈로부터 전송된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물품수령자에게 전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착륙 장치와 드론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이착륙 장치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착륙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받은 상기 착륙허가수락신호와 상기 드론으로부터 받은 착륙허가수락신호를 비교하여 검증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golf club head comprising: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light; A drones including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droned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drones take-off device to the drones operating server; and a drones operating server for deliver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o the article recipient The drones operating server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the dron when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rticle recipient, and the dron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 , The take-off device compares and verifi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 signal received from the drones,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after the verification is completed .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착륙 장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ke-off landing device,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es,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arrival of the article to the article recipient, .

또한 본 발명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배송도착 알람장치를 통해 전송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공급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transmitting a signal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supplying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ting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thereby preventing the article delivery.

또한 본 발명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공급 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article dispatching by supplying a landing permission module which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of arrival of the article to be delivered through the cellular phone of the article recipient.

또한 본 발명은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이착륙장치를 관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에게 전달하는 착륙허가모듈을 제공 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delivering a signal informing the arrival of a delivery item to an article recipient via a drone operation server managing the take-off landing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article from being sent out.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접힘상태와 전개상태 사이를 회전 이동하여, 드론이 착륙할 때에만 베이스가 전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base is opened only when the dron is landed by rotating between the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about the hinge H supported by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슬라이더(S)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건물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거나 건물의 외벽 내부로 삽입되어, 드론이 착륙할 때에만 베이스가 돌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liding the slider S along a horizontal slider S supported by a building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ase protrudes only when the drones land.

또한 본 발명은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it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ase is in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dron can not take off,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ron take-off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hereby preventing the article from being sent out.

또한 본 발명은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여, 물품 오배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ne operation server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it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ase is in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drone can not take off,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dron take-off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hereby preventing the article from being sent ou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개요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 근처까지 드론이 이동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1 실시예의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2 실시예의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3 실시예의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4 실시예의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 장치에 드론이 이동하고 이착륙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ones takeoff and lan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show a dredge take-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ep of moving a dron to a vicinity of a drones take-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ep of moving and landing a dron to and from a dron take-off and la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이착륙 장치] [Takeoff and landing gea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개별적인 운송 목적지에 드론의 이착륙 장치(10)가 각각 설치되고, 드론(30)이 물품을 들고 해당하는 목적지의 이착륙 장치(10)에 이동하여 물품을 내려놓음으로써 물품의 운송이 완료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dron take-off and lan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ke-off and landing device 10 for a drone installed at an individual transportation destination, And the transportation of the goods is completed by moving the goods down.

드론의 이착륙 장치(10)는 건물(B)의 외벽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가령 이착륙 장치(10)는 오피스 빌딩의 창문 근처,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베란다, 단독건물의 외벽이나 옥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10 of the drone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 For example,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10 can be installed near a window of an office building, on a veranda of an apartment building, on an outer wall or on the roof of a single building.

이착륙 장치가 건물(B)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고정형으로 외벽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거나,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30)의 이착륙이 필요할 때에는 펼쳐지거나 돌출되고 그 외에는 접히거나 건물 내측으로 인입되어 건물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근처를 지나는 드론의 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 the landing and landing device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outer wall. Alternatively, when the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 30 is required as shown in FIGS. 2 and 3, But it can be folded or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from being adversely affected or obstructing the flight of the drones passing near.

이러한 이착륙 장치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전동 장치 등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히는 시기가 결정될 수 있다.Movement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can be performed manually by a user or automatically by install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r the like. Also, the timing of unfolding or collapsing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s operation or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이착륙 장치(10)는 건물(B)의 창문에 인접한 외벽에 설치되며 드론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의 아이디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와,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30)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과,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과, 항법용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위성항법위치모듈(17)과, 후술할 사용자단말(50)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The take-off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1 installed on an outer wall adjacent to a window of a building B and providing a floor for taking-off and landing the drones, a storage unit 13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drone 30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landing permission of the dron for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exchanging data with a user terminal 50 to be described later.

베이스(11)는 드론이 이착륙하는 물리적인 공간을 제공하며, 물품을 운송받을 때에는 물품이 올려지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베이스(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접힘상태와 전개상태 사이를 회전 이동하여,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품을 내려 놓을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는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슬라이더(S)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건물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거나 건물의 외벽 내부로 삽입되어,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드론이 물품을 내려 놓을 수 있는 제1위치와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건을 내려 놓을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류가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는 건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드론의 이착륙이 필요 없거나 물류가 없는 상태에서는 건물 쪽으로 접히거나 인입된 상태가 된다.The base 11 provides a physical space through which the drones take off and land, and provides space for the article to be lifted when the article is transported. 2, the base 11 rotates about a hinge H supported by a building between a folded state and an unfolded state, so that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or the article can be placed, As shown in Fig. 3, the base slides along a horizontal slider S supported by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can be moved Or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move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land or land or a dron can place the articl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 can not land or land . In other words, when the drones are taking off and landing or the logistics are placed, they are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when the drones are not required to take off and land or there is no logistics, they are folded or pulled into the building.

저장부(13)는 해당 저장부가 설치된 이착륙 장치(10)의 아이디와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아이디는 해당 이착륙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근거가 되고, 위치정보는 가령 해당 이착륙 장치(10)의 베이스(11)의 정확한 x,y,z 좌표이다. 아이디는 이착륙 장치(10)마다 고유하게 부여되어 서로 중복되지 않고, 위치정보는 이착륙 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변경되어 업데이트되는 정보이다. 위치정보는 설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한 후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입력을 잘못 하거나 이착륙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물류가 잘못 배송되거나 드론의 이착륙 과정에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13 stores the I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ke-off and landing apparatus 10 having the corresponding storage unit. The ID i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for example, the exact x, y, z coordinates of the base 11 of the take- The IDs are uniquely assigned to each take-off landing gear 10 and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s changed and upda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ake-off landing gear. Location information can be entered manually after precise measurement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However, if the input is wrong or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is changed, the logistics may be delivered incorrectly or an accident may occur during the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

이러한 위치정보는 해당 베이스에 설치된 위성항법위치모듈(17)에 의해 계측되어 업데이트된다. 위치정보는 최초 설치 시 1회 업데이트 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위성 신호의 잡음이나 기타 건물에 의한 신호의 반사나 차폐 등으로 인해 신호가 교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위성항법위치모듈(17)이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부(13)에 축적하고, 저장부(13)에서는 이렇게 축적된 위치 데이터 산포의 중심이 되는 지점을 상기 베이스의 위치정보로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업데이트 과정이 일정 기간 지속된 후 데이터 산포의 중심이 특정 좌표로 수렴하게 되는 시점에 이르면 업데이트를 중지할 수도 있다.This positional information is measured and updated by the satellite navigation position module 17 installed in the base. Alth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updated once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the satellite navigation position module 17,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ignal may be disturbed due to noise of the satellite signal or reflection or shielding of the signal due to other buildings,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al data of the base station is periodical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nd the storage unit 13 updates and store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accumulated positional data distribution a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base. Of course, after the update process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pdating may be stopped as soon as the center of data scattering converges to a specific coordinate.

제1근거리통신모듈(15)은 근처에 오게 되는 드론(30)과 통신하는 장치로서, 해당 이착륙 장치(10)의 아이디와 위치 정보, 그리고 착륙유도신호를 드론의 제2근거리통신모듈(미도시)에 송신하고, 또한 드론의 제2근거리통신모듈이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5 is a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nearby drone 30 and transmits the ID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anding and landing gear 10 and the landing induction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 And can also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rone.

제1근거리통신모듈과 제2근거리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와 단거리 전용 통신(Dedicated Short RangeCommunications, DSRC)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Wi-Fi,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등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적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use Zigbee and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DSRC). However, o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NFC,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echnology.

통신부(미도시)는 홈 오토메이션, PC,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사용자단말(50)과 LAN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또는 블루투스, Wi-Fi, NFC 등의 근거리 통신이나 3G, LTE, Wibro 등의 원거리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단말(50)에 해당 이착륙 장치(10)의 아이디와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50)은 통상의 통신수단으로 이러한 정보를 후술할 서버(70)에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통신부는 서버(70)와 직접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50)은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고 복수개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기기의 추가나 기존 기기의 삭제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50 such as a home automation, a PC,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or a tablet with a LAN cable or a USB cable by wire, or by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Wi-Fi, NFC, , Wibro, etc.,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unit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50 with the I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keoff equipment 10 and the user terminal 50 can store this information in the server 70 to be described later by a normal communication means.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unit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70 to exchang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50 need not necessarily be one, but a plurality of the user terminals 50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and it is possible to add a new device or delete an existing device.

[드론][drone]

본 발명의 드론(30)은, 이동하고자 하는 베이스의 아이디와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와, 상기 이착륙 장치(10)의 제1근거리통신모듈(15)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35)와,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위성항법장치(미도시)와, 드론의 비행 자세와 비행 궤적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드론은 후술할 서버(70)와 원거리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drone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the I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to be moved, a second memory 30 for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the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of the tak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5,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for receiving a satellite signal to digitize its positio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flight position and flight path of the drones. Also, the drones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드론의 메모리에는 무인 비행을 하여 물류를 운송할 때 목적지인 이착륙 장치(10)의 아이디와 위치정보가 저장되며, 이러한 정보는 후술할 서버(70)로부터 제공받는다. 또한 드론은 도 4에 도시된 출발지(WPS)에서 목적지 근처(WPF)에 이르는 최적의 웨이포인트들의 정보도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따라서 드론은 이러한 목적지의 위치정보와 목적지를 향하는 경로인 웨이포인트들의 정보를 근거로 비행을 하여 목적지 근처에 도달하기 위한 비행을 하게 된다.The memory of the drones stores the I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anding gear 10, which is the destination when the unmanned flight is carried and the logistics are transporte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server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drones are also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optimal waypoints from the source WPS to the destination (WPF) shown in Fig. Therefore, the drones fly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waypoints, which i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fly to reach the destination.

드론에는 위성항법장치가 내장되어 있어서 드론 자신의 위치를 x,y,z 좌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드론에는 방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은 자신의 위치좌표와 다음으로 이동해야 할 웨이포인트(WPn)의 위치좌표의 차이를 산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드론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다시 자신의 위치좌표와 해당 웨이포인트(WPn) 좌표를 비교하여 두 위치가 오차범위 내로 들어오는지 확인한다. 확인한 결과 오차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다시 해당 웨이포인트(WPn)로 이동하는 제어를 하게 되고,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웨이포인트(WPn)의 다음 웨이포인트(WPn+1)의 위치좌표로 이동하는 제어를 계속하게 된다. 이렇게 하나씩 웨이포인트를 지나서 목적지 근처에 있는 최종 웨이포인트(WDF)에 오게 되면, 드론은 근처에 있는 이착륙 장치로부터 제2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아이디를 통해 이착륙 장치(10)가 메모리에 저장된 목적지의 이착륙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착륙하는 과정에 돌입한다.The drones have a built-i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at can convert the location of the drones into x, y, z coordinate data. The drones also have built-in sensors to measure the bearing.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dron can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dron and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next waypoint WPn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fter the drone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coordinates of the own position are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waypoint (WPn) to check whether the two positions are within the error range. If it is within the tolerance range, it is moved to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next waypoint (WPn + 1) of the corresponding waypoint (WPn) Control is continued. When the landing gear 10 arrives at a final way point (WDF) near the destination via the waypoints one by one, the drones are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via the ID received from the nearby take-off device via the second short- Landing device, and enters the process of landing.

[드론 이착륙 절차 돌입][Entering the landing and landing drones]

목적지 근처에 드론이 도착하면, 이착륙 장치(10)의 제1근거리통신모듈(15)은 드론의 제2근거리통신모듈의 신호에 근거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이 이루어지면 베이스(또는 이착륙 장치)의 아이디를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전송한다. When the drones arrive near the destinatio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5 of the take-off and landing apparatus 10 attempts to make a connection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rones,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드론의 제2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송신한 베이스(또는 이착륙 장치)의 아이디를 수신하고, 드론의 제어부는 이렇게 수신된 아이디가 이동하고자 하는 베이스의 아이디인지 확인한다.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rone receives the ID of the base (or takeoff and landing device) transmitted by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ler of the drone checks whether the received ID is the ID of the base to which the ID is to be moved.

목적지인 베이스의 아이디가 아닌 다른 아이디라면, 드론은 근처의 다른 이착륙 장치로부터 다시 아이디를 전송받는다. 수신한 아이디가 목적지인 이착륙 장치임이 확인되면, 드론은 상기 제2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이착륙 장치의 제1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락요청신호를 송신한다.If the ID is not the ID of the destination base, the drones receive the ID again from another nearby takeoff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ID is the destination landing gear, the drone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rresponding landing gear through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이와 같이 착륙하는 과정에 돌입할 때, 드론(30)은 착륙을 해도 된다는 허가를 얻은 후 이착륙 장치(10)에 착륙하거나 물품을 놓을 수 있다.When entering the process of landing in this way, the drones 30 can land on the take-off device 10 or place the goods after obtaining permission to do landing.

[착륙허가모듈][Landing Permission Module]

착륙허가모듈은 드론 배송 서버의 오작동으로 배송에 문제가 생기거나, 악의적인 의도로 원하지 않는 물건(예를 들면 혐오성 물건이나, 폭발물 등의 위험물)이 배송될 경우에, 물품 수령자의 물품 배송에 대한 수락의사를 확인하여 오배송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is used for the delivery of goods to the consignee when malfunctions occur due to a malfunction of the drones delivery server, or when undesired items (eg, dangerous goods such as abominable items or explosives) are delivered due to malicious intent. It is a device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sending out by checking the acceptance intention.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 이착륙 장치에 접근한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은 물품 수령자는 배송 물품이 수령 받기로 예정된 물품이면 드론의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고, 배송 물품이 수령 받기로 예정된 물품이 아니라면 드론의 착륙거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물품 수령자가 오배송 물품을 수령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착륙허가모듈은 후술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es approaching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articl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The recipient of the item having received the signal inform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of the drone if the delivery item is the item to be received, and transmits a drones' landing rejection signal if the delivery item is not the item to be received , So that the recipient of the item does not receive the returned ite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5는 착륙허가모듈의 제1 실시예의 개요도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허가모듈은 물품 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 이착륙 장치(10)가 설치된 장소에 구비된 별도의 배송도착 알람장치(52)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수령자는 상기 배송도착 알람장치(52)의 알람 신호로 배송 물품의 도착을 인지하고, 배송물품이 물품 수령자가 수령 받기로 예정된 물품인지 확인한 후, 배송도착 알람장치(52)를 통해 드론의 착륙허가수락신호 또는 착륙거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알람 신호는 LED와 같은 시각 신호일 수도 있고, 벨과 같은 청각 신호일 수도 있다. 이는 설계자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5A,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o a separate signal (not shown) provided in the place where the drones take-off device 10 is installed Can be transmitted via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52). The goods receipt recognizes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by the alarm signal of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52 and confirms whether the delivery item is the article scheduled to be received by the goods recipient, And transmits a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or a landing rejection signal. The alarm signal may be a time signal such as an LED or an audible signal such as a bel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signers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using th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한편 물품 배송을 알리는 알람 신호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내부에 통상적으로 설치된 홈오토메이션(53)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착륙허가모듈과 배송도착 알람장치/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B, an alarm signal for notifying the delivery of goods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home automation system 53, which is typically installed in a house. Communication betwe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and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 home automation system may be via wired or wireless.

배송도착알람장치(52)나 홈오토메이션(53)을 통해 착륙허가 수락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가,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드론(30)이 물품(40)을 놓고 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착륙거부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는 드론에게 착륙이 거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어 드론이 되돌아가도록 하고, 드론이 물품을 내릴 수 없도록 베이스가 제2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When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52 or the home automation 53, the base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and land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 can not take off and land To allow the drones 30 to leave the article 40. [ Conversely, if a landing rejection signal is sent, the drones are signaled that the landing has been denied, allowing the drones to return, and the base continues to mainta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dron can not lower the item.

한편 만약 물품 수령자가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다면, 착륙허가모듈은 무응답이라는 신호를 드론에 보낼 수 있고, 이는 착륙거부와 같이 취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ipient has not respond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may send a signal of non-response to the drones, which may be treated as a landing rejection.

도 6은 착륙허가모듈의 제2 실시예의 개요도이다. 도 5의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착륙허가모듈이 물품 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55)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드론 배송 서버를 관리하는 사업체는 드론 배송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공급하고, 물품 수령자는 드론 배송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드론 배송 어플리케이션을 본인의 휴대폰에 설치한다. 물품 수령자는 드론 배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폰을 통해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휴대폰의 드론 배송 어플을 이용하여 드론의 착륙허가수락신호 또는 착륙거부신호를 전송한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In contrast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5,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55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to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The business that manages the drones delivery server supplies the drones application, and the recipient installs the drones application on his mobile phone to use the drones delivery service. The recipient confirms the signal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e drones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dron's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or landing rejection signal using the drones application of the mobile phone.

제2 실시예에서 예시한 신호 전달 체계는 착륙허가모듈이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 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인데, 이렇게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도 6a와 같이 착륙허가모듈이 직접 통신망을 통해 휴대폰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도 6b와 같이 착륙허가모듈이 앞서 제1 실시예의 배송도착 알람장치나 홈 오토메이션에 신호를 전달한 후 배송도착 알람장치나 홈 오토메이션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the signal delivery system illustrat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o the recipient's mobile phone. There are various ways of transmitting the sig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via the direct communication network. After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to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the home autom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B, Or home automation can send signals.

이때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륙허가모듈이 우선 배송도착알람장치(52)나 홈 오토메이션(53)에 신호를 전송한 후, 물품 수령자가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배송도착알람장치(52)나 홈 오토메이션(53)이 배송물품 도착 신호를 물품 수령자의 휴대폰(55)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as mentioned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to the priority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52 or the home automation 53 and there is no respon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larm device 52 or the home automation 53 sends the delivered article arrival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55 of the article recipient.

물품 수령자가 휴대폰(55)을 통해 물품이 도착되었음을 확인하고 착륙허가 수락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는 베이스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드론(30)이 물품(40)을 놓고 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착륙거부신호를 송출한 경우에는 착륙허가모듈이 드론에게 착륙이 거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어 드론이 되돌아가도록 하고, 드론이 물품을 내릴 수 없도록 베이스가 제2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When the goods receipt confirms arrival of the goods through the mobile phone 55 and send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he base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dron 30 can leave the goods 40 do. Conversely, if a landing rejection signal is sent,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sends a signal to the drones indicating that the landing has been denied, allowing the drones to return, and the base continues to mainta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dron can not lower the article.

한편 만약 물품 수령자가 휴대폰을 통해서도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없다면, 착륙허가모듈은 무응답이라는 신호를 드론에 보낼 수 있고, 이는 거부와 같이 취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ipient has not respond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rough the mobile phone,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can send a signal indicating non-response to the drone, which can be treated as rejec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3 실시예의 개요도이다. 도 6의 제2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착륙허가모듈이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직접 또는 배송도착알람장치(52)나 홈 오토메이션(53)을 통해 휴대폰(55)에 보낼 때, 드론 이착륙 장치를 관리하는 드론 운영 서버(70)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가 드론 이착륙 장치를 관리하는 드론 운영 서버를 경유하도록 하는 이유는 드론 운영 서버가 물품배달 서비스를 일반 배송서비스와 프리미엄 배송서비스로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함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6, in the third embodiment,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directly to the cellular phone 55 via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52 or the home automation 53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ipient's mobile phone via the drone operation server 70 which manages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The reason that the signal of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is passed through the dron operation server managing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is for the dron operation server to separate the goods delivery service into the general delivery service and the premium delivery service.

드론 운영 사업자는 드론 운영 서버를 통해 일반 배송서비스(드론과 드론 이착륙 장치 사이에 아이디와 위치확인만을 통해 드론이 배송물품을 이착륙 장치에 배송하는 서비스)와 별도로, 프리미엄 배송서비스(물품 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품 수령자로 하여금 물품 배송 서비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드론 운영 사업자는 별도의 수익모델을 만들 수 있다. 드론 운영 서버는 물품 수령자가 신청한 서비스가 프리미엄 배송서비스인 경우,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normal delivery service (the service of delivering the goods to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through ID and location confirmation only between the drones and the drones) through the dron operation server, the dron operation company provides the premium shipping service Of the goods to be delivered through the mobile phone of the recipient of the goods), thereby allowing the recipient to broaden the selection of the goods delivery service, and the drone operator can create a separate profit model. If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recipient is a premium delivery service, the drone operation server may transmit a signal notify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mobile phone of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륙허가모듈의 제4 실시예의 개요도로서, 착륙허가모듈은 드론에 형성되며, 드론의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원거리통신망을 통해 드론 운영 서버에 전송한다. 드론 운영 서버는 착륙허가모듈로부터 전송된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55) 등에 전달한다.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is formed in a dron and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drones server via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 drone operation server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o the cellular phone 55 of the article recipient or the like.

그 후 드론운영서버(70)가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드론운영서버(70)는 이착륙 장치(10)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착륙 장치(10)의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할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고, 드론이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의 비행을 제어한다.Then, when the drone operation server 70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drone operation server 70 can transmit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off device 10. Then, the base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10 moves from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es can not take off and land to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es can take off and land, and controls the flight of the drones so that the drones land on the base.

한편 드론운영서버(70)가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드론운영서버(70)는 이착륙 장치(10)와 드론(30)에 모두 특정 코드를 보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정 코드를 수신받은 드론(30)은 제2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이착륙장치의 제1근거리통신모듈로 해당 코드를 송신하고, 이착륙 장치는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코드와 서버(70)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검증한 후, 베이스가 제2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제어부가 드론의 착륙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서버로부터 각각 받은 특정 코드를 검증하는 절차를 넣으면, 드론(30)이 올바른 이착륙 장치(10)와 근거리통신모듈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드론(30)이 목적지가 아닌 이착륙 장치(10)와 연결되어 물품을 배송하는 오류를 한번 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ones operating server 70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drones operating server 70 may be configured to send a specific code to both the take-off device 10 and the drones 30. The drone 30 receiving the specific code transmits the code to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take-off device transmits the code received from the dron and the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70 After verification, the base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landing flight of the drones. By inserting a procedure for verifying a specific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drone 30 is connected to the right landing gear 10 and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drones 30 are connected to the take-off device 10, which is not a destin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in delivering the goods once more.

[드론의 착륙 또는 물품을 내려놓는 절차][Procedures for Landing Drones or Dropping Items]

착륙허가모듈이 물품 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도 2와 도 3의 위에 도시된 이착륙 장치와 같이, 베이스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H)를 중심으로 접힘상태로부터 전개상태로 회전 이동하거나, 베이스가 건물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슬라이더(S)를 따라 건물의 외벽에 대해 돌출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 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베이스는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없는 제2위치에서, 드론이 이착륙하거나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제1 위치로 이동하여, 드론이 원활하게 착륙하거나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착륙 장치가 이동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고정형 베이스가 고정형인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이착륙장치가 고정형이라 하더라도, 드론의 착륙을 유도하지 않음으로써 물품의 수취를 거부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base is mov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bout the hinge H supported by the building, such as the take- Or slides to a position where the base projects along the horizontal slider S supported by the building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at is,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base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es can not take off and land or land the article, to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take off or land So that the drones can land smoothly or load the item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take-off device is movable, it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fixed base is stationary. Even if the take-off and landing apparatus is of a fixed type, the landing of the drones may not be induced, thereby refusing the receipt of the articles.

다음으로 이착륙 장치는 다시 제1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유도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착륙유도신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에 이르는 복수의 웨이포인트(WP)일 수 있다. 착륙유도신호를 수신한 드론의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유도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한다. Next, the take-off device again transmits a landing induction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landing induction signal may be a plurality of waypoints (WP) leading to the base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of the dron that receives the landing induction signal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induction signal.

드론이 물품을 올려 놓은 뒤에는 이착륙 장치나 드론이 상술한 통신방법을 통해 다시 물품 수취인에게 물품이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fter the drones have loaded the goods, the landing gear or the drones can again transmit a signal to the article recipient that the article has arrived via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이착륙 장치
11: 베이스
13: 저장부
15: 제1근거리통신모듈
17: 위성항법위치모듈
착륙허가모듈
30: 드론
35: 제2근거리통신모듈
40: 물품
50: 사용자단말
52: 배송도착 알림장치
53: 홈 오토메이션
55: 휴대폰(스마트폰)
70: 서버
B: 건물
H: 힌지
S: 슬라이더
WP: 웨이포인트
10: Take-off and landing gear
11: Base
13:
15: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7: satellite navigation position module
Landing permission module
30: Drones
35: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40: Goods
50: User terminal
52: Delivery Notification Device
53: Home automation
55: Mobile phone (smart phone)
70: Server
B: Building
H: Hinge
S: Slider
WP: Waypoint

Claims (12)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및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10)로서,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anding and landing device (10) including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a landing permission of a drones for a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es,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article recipient of arrival of the article to be delivered,
Wherein whe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he procedure for completion of landing and delivery of the drones procee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배송도착 알람장치를 통해 전송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via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the home automation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to the cellular phone of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이착륙장치를 관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arrival of a delivery item to a mobile phone of an article recipient via a drone operation server managing a drag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드론이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드론이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rocedure for completion of the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Wherein the base is moved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dron can place the article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ron can not place the artic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 내지 물품 전달 완료 절차는,
상기 이착륙 장치가 상기 드론에게 착륙유도신호를 송신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착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rocedure for completion of the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s,
Wherein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transmits a landing induction signal to the drones.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및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 허가를 제어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및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및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
을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이 드론으로부터 착륙허가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착륙허가모듈이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근거리통신모듈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landing permission of the drones for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Wherein the dronal take-off and landing system comprises:
When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from the drones,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article recipient of arrival of the article to be delivered,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dmission signal to the second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when receiving the landing permission admission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배송도착 알람장치를 통해 전송하거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hrough the delivery arrival alarm device or through the home automation system.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물품수령자에게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recipient of the arrival of the delivery article to the mobile phone of the recipient of the artic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허가모듈은 배송물품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드론이착륙장치를 관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경유하여 물품수령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arrival of the delivery item to the mobile phone of the recipient via the drones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드론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착륙허가모듈로부터 전송된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물품수령자에게 전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착륙 장치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착륙 장치는 드론에 상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착륙허가수락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take-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light;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sending a drones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to the drones operating server,
And a drones operating server for transmitt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o an article recipient,
The drones operating server transmit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off device when receiving a landing permission admission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Wherein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transmit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drone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 을 포함하는 이착륙 장치,
이착륙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모듈;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 드론 이착륙장치에 대한 드론의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드론운영서버에 전송하는 착륙허가모듈;을 포함하는 드론,
상기 착륙허가모듈로부터 전송된 착륙허가요청신호를 물품수령자에게 전달하는 드론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으로서,
상기 드론운영서버는 물품수령자로부터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착륙 장치와 드론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이착륙 장치에 착륙허가수락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이착륙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받은 상기 착륙허가수락신호와 상기 드론으로부터 받은 착륙허가수락신호를 비교하여 검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증이 완료된 후 상기 베이스에 착륙하도록 드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A base 11 for providing a floor on which the drones 30 take off and land;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5)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drone approaching the ba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take-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light; A landing permission module for sending a drones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dron take-off and landing device to the drones operating server,
And a drones operating server for transmitting a landing permiss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anding permission module to an article recipient,
When the drone operation server receives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from the article recipient, transmit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off landing device and the dron,
The drones transmit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to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Wherein the take-off and landing device compares and verifies the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with a landing permission accept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drone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ones to land on the base after the verification is completed. Takeoff and landing system.

KR1020150104802A 2015-07-24 2015-07-24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Ceased KR201700116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02A KR20170011698A (en) 2015-07-24 2015-07-24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802A KR20170011698A (en) 2015-07-24 2015-07-24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698A true KR20170011698A (en) 2017-02-02

Family

ID=5815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802A Ceased KR20170011698A (en) 2015-07-24 2015-07-24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698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7122A (en) * 2017-07-28 2019-02-21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Port for drone
KR20190027004A (en) 2017-09-04 2019-03-14 서천석 Food delivery system
JP2019087818A (en) * 2017-11-02 2019-06-06 アイホン株式会社 Intercom system
KR20200037569A (en) * 2018-10-01 2020-04-09 권기복 Window draw-out dron landing area
JP2020184684A (en) * 2019-05-08 2020-11-12 矢崎総業株式会社 In-vehicle device, arrival notification system and arrival notification method
KR20210144084A (en) * 2020-05-21 2021-11-30 한국전력공사 A drone landing system and the method of it
KR20220077466A (en) * 2020-12-02 2022-06-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Unmanned drone take-off and landing control system
CN114852362A (en) * 2022-04-20 2022-08-05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drone parking device
CN116080903A (en) * 2021-11-04 2023-05-0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A delivery drone, delivery drone warning method and device
WO2023244766A1 (en) * 2022-06-15 2023-12-21 Wing Aviation Llc Curbside uav loa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8495A1 (en) 2012-08-06 2014-02-06 Lax Dr.,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furbishing one or more lacrosse balls
KR101527210B1 (en) 2014-12-01 2015-06-09 이병철 A Drone Taking off and Landing System and a Manag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8495A1 (en) 2012-08-06 2014-02-06 Lax Dr.,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furbishing one or more lacrosse balls
KR101527210B1 (en) 2014-12-01 2015-06-09 이병철 A Drone Taking off and Landing System and a Managing Method thereof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7122A (en) * 2017-07-28 2019-02-21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Port for drone
KR20190027004A (en) 2017-09-04 2019-03-14 서천석 Food delivery system
JP2019087818A (en) * 2017-11-02 2019-06-06 アイホン株式会社 Intercom system
KR20200037569A (en) * 2018-10-01 2020-04-09 권기복 Window draw-out dron landing area
JP2020184684A (en) * 2019-05-08 2020-11-12 矢崎総業株式会社 In-vehicle device, arrival notification system and arrival notification method
US11461730B2 (en) 2019-05-08 2022-10-04 Yazaki Corporation In-vehicle device, arrival notification system, and arrival notification method
KR20210144084A (en) * 2020-05-21 2021-11-30 한국전력공사 A drone landing system and the method of it
KR20220077466A (en) * 2020-12-02 2022-06-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Unmanned drone take-off and landing control system
CN116080903A (en) * 2021-11-04 2023-05-0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A delivery drone, delivery drone warning method and device
CN114852362A (en) * 2022-04-20 2022-08-05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drone parking device
WO2023244766A1 (en) * 2022-06-15 2023-12-21 Wing Aviation Llc Curbside uav loa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1698A (en) A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with a landing permission module
KR101527210B1 (en) A Drone Taking off and Landing System and a Managing Method thereof
US10139817B2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nteract with specifically intended objects
US20190206263A1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US11308813B2 (en) Flight management system
CN107111805B (en) Passenger catering system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US20200156808A1 (en) Package acceptance, guidance, and refuel system for drone technology
EP31754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delivery
US10535037B2 (en) Targeted location produc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WO2018059325A1 (en) Fligh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891443A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internal reservoir content of one or more internal control monitoring unmanned shipment reservoirs
CA3004906A1 (en) Product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portable unmanned delivery aircraft
KR101634501B1 (en) Method for guiding position of aircraft baggage in arrival area for mobile terminal, and server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CA3044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and secure storage unit
CN107264798A (en) For providing the system and method that the numeral based on UAV escorts unmanned plane in managing caller and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
JP6866151B2 (en) Passenger communication system
KR102010177B1 (en) An autonomous active article receipt system with UAV maintenance maintenance function and receiving method
CN110210809A (en) UAV Intelligent electric business deliv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outdoor scene three-dimensional city data
KR102296225B1 (en) Small flying vehicle without camera and moving method thereof
JP2018109929A (en) Unmanned delivery device, shipping device, shipp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EP3421403B1 (en) Building access zone specific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EP3797310B1 (en) Method for commissioning system for door identification using location fingerprinting
US10832508B2 (en) Intent driven building occupant path and system interaction optimization
EP3669558B1 (en) Method to notify a host the current position of a visitor
EP3669334B1 (en) Method to create a building path for building occupants based on histor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