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1325A - 휘어지는 판자개 - Google Patents

휘어지는 판자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325A
KR20170011325A KR1020150103767A KR20150103767A KR20170011325A KR 20170011325 A KR20170011325 A KR 20170011325A KR 1020150103767 A KR1020150103767 A KR 1020150103767A KR 20150103767 A KR20150103767 A KR 20150103767A KR 20170011325 A KR20170011325 A KR 2017001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k
pattern
engraved
layer
do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환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325A/ko
Publication of KR2017001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32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44C3/085Stamping or bending st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1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streams of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44C3/082Stamping or bending comprising a cutting ou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자개 표면에 규칙적인 패턴을 음각으로 각인시켜 유연성이 부여된 휘어지는 판자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판자개는 가방, 옷, 장신구 및 인테리어 소품 등 유연성이 있거나 곡면이 있는 물체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휘어지는 판자개 및 이의 제조방법{A FLEXIBLE MOTHER-OF-PEARL LAYER AND METHOD OF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휘어지는 판자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판자개 표면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음각 각인시켜 휘어지는 특성을 지닌 휘어지는 판자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개는 전복과 같이 다양한 색상이 발하는 조가비 껍데기 등의 조각을 일컫는 것으로, 그 빛깔이 아름다워서 장롱이나 장식장, 서랍장 등과 같은 가구의 꾸밈새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손거울이나 보석함 등 크기가 작은 소품류에도 널리 이용된다.
자개장 등과 같이 자개로 꾸며진 가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목재 패널 위에 옻칠과 건조를 수회 반복한 뒤, 옻칠 표면 위에 자개를 원하는 무늬로 부착한 다음, 다시 그 위에 자개를 보호하는 천연 옻칠, 우레탄 또는 카슈칠을 도포하고 있다.
또한, 자개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상감기법이 있다.
상기 상감기법은 여러 조각의 얇은 자개를 에폭시 접착제 등으로 연결 부착하여 0.5㎜ 두께의 판자개(가로 140㎜ 세로 240㎜의 규격제품)를 만든 후, 이를 10장 또는 50 장씩 적층하여 그 사이에 묽은 아교를 칠해서 부판하여, 건조한다. 이후, 정교한 톱날을 이용하여 색상별로 판 자개를 절삭하여 색상별로 문양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절삭이 완료되어 색상별의 자개문양이 얻어지면 상감기법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자개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흰색 자개 판에 청색 자개문양을 상감하여 넣기 위해서는 백색 자개 판에 도안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정밀하게 절삭으로 오려서 공간을 형성한 후, 역시 동일한 모양으로 청색 자개를 오려서 상기 백색 자개 판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 넣어 상감기법에 의한 자개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상감기법에 의한 자개무늬 형성방법은 얇은 자개를 한장 한 장 낱장으로 끼워 넣어야하므로, 높은 숙련도와 긴 제조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칠기 제품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비상감기법에 비해 크게 저하되어 비능률적이며 자개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쉽게 부서져서 불량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125호에는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나전칠기 제작방법은 그림의 형상에 맞춰 자개를 끊거나 꺾어서 자개를 붙이는 자개 붙임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숙련된 기술을 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작방법에 사용되는 자개는 모두 조개껍질이 가진 고유의 뻣뻣함을 유지하고 있어 가구를 비롯하여 딱딱한 표면을 가진 기재 제품에의 적용만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며, 유연성이 요구되는 옷 또는 가방 등의 경우에는 유연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극히 일부분에만 장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연한 기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자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125호
종래의 판자개는 취성이 강하여 판자개가 휘어지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유연한 물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물체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자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딱딱한 물체뿐만 아니라, 유연한 물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물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판자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연성이 부여된 판자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칠층, 판자개 및 피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휘어지는 판자개로,
상기 피막층 아래 판자개 상부 표면은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판자개 후면에 색을 칠하여 색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판자개 상부 표면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하는 단계; 및
(3)상기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판자개 상부에 피막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판자개는 유연성이 부여되어 휘어질 수 있어, 딱딱한 물체뿐만 아니라 곡선을 포함하는 물체 및 유연한 물체에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광 및 문화 산업에서 경제적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는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3은 판자개 상부 표면에 마름모 패턴이 형성된 그림이다.
도 4는 판자개 상부 표면에 원형 패턴이 형성된 그림이다.
도 5는 판자개 상부 표면에 비늘 패턴이 형성된 그림이다.
도 6은 판자개 상부 표면에 격자 패턴이 형성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의 휘어짐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색칠층, 판자개 및 피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휘어지는 판자개로,
상기 피막층 아래 판자개 상부 표면은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자개는 천연 판자개로 조개껍질이 가진 고유의 뻣뻣함으로 휘었을 때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깨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곡선을 포함하는 물체나 유연한 물체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자개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딱딱한 물체뿐만 아니라, 곡선을 포함하는 물체 및 유연한 물체에도 적용이 가능한 휘어지는 판자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는 색칠층, 판자개 및 피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판자개 하부에 색칠층을 적층시킨 후, 상기 판자개 상부에 피막층을 적층하여 휘어지는 판자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하부에 위치한 상기 색칠층은 판자개의 후면에 위치하는 층으로, 판자개의 색을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층이다.
상기 색칠층은 아크레탄을 사용하여 색칠이 이루어지며, 칠해지는 색은 백색, 자색 및 적색 등으로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판자개는 1.5 내지 1.7mm의 두께의 천연 판자개를 다이아몬드 연마공정을 거쳐 0.7 내지 1.2mm의 두께로 만들어진 판자개를 사용한다.
상기 판자개의 두께가 0.7mm 미만이면 판자개가 얇아 부러지기 쉽고, 1.2mm를 초과하면 판자개의 휘어지는 특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자개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하여 유연성을 부여한다. 상기 패턴은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뱀의 비늘, 물고기의 비늘 등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패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마름모, 정사각형, 부채꼴 및 원형 등의 규칙적인 패턴을 일정 간격으로 판자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의 간격은 그 범위가 정해진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가 적용되는 물체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레이져 또는 커팅기에 의하여 음각으로 각인되며,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가 적용되는 물체에 따라 음각의 깊이는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상기 판자개는 음각 패턴 각인 후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표면을 매끄럽게 평면으로 형성하고자 다이아몬드 연마 공정을 거친 후, 그 위에 피막층을 적층한다.
상기 피막층은 광학 필름을 강접하거나, 에폭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를 제품에 적용할 시, 보다 신속하게 제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색칠층 하부에 추가로 접착층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으로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휘어지는 판자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1)판자개 후면에 색을 칠하여 색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판자개 상부 표면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하는 단계; 및
(3)상기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판자개 상부에 피막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의 색칠층을 형성하기 전에, 판자개의 연마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연마 공정은 다이아몬드 연마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 공정 전의 판자개는 1.5 내지 1.7mm 두께의 천연 판자개로, 상기 판자개의 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실시하여 판자개의 두께를 0.7 내지 1.2mm로 만든다.
상기 판자개의 두께가 0.7mm 미만이면 판자개가 얇아 부러지기 쉽고, 1.2mm를 초과하면 판자개의 휘어지는 특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
상기 (1)단계는 상기 두께의 판자개의 후면에 색칠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색칠층은 판자개의 색을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층으로, 아크레탄을 사용하여 색칠이 이루어지며, 칠해지는 색은 백색, 자색 및 적색 등으로 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단계는 하부에 색칠층이 적층된 판자개의 상부 표면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시켜 유연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패턴은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뱀의 비늘, 물고기의 비늘 등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패턴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마름모, 정사각형, 부채꼴 및 원형 등의 규칙적인 패턴을 일정 간격으로 판자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의 간격은 그 범위가 정해진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가 적용되는 물체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레이져 또는 커팅기에 의하여 음각으로 각인되며,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가 적용되는 물체에 따라 음각의 깊이는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상기 판자개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시킴으로써 뻣뻣한 자개 조직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를 섬유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형성 후, 음각 각인에 의하여 판자개의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다이아몬드 연마 공정을 거쳐 판자개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들어주는 공정을 추가로 실시한다.
상기 (3)단계는 상기 음각으로 패턴이 각인된 판자개 상부에 피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피막층 형성 전에 판자개 표면에 원하는 문양을 세공 또는 인쇄하며, 그 위에 피막층을 형성한다.
상기 피막층은 광학필름을 강접하거나, 에폭시를 도포 후 응고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피막층 형성 전에 문양 세공 또는 인쇄 과정을 거치므로, 문양을 오려 장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부여되었으므로 섬유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은 상기 휘어지는 판자개를 제품에 적용할 시, 보다 신속하게 제품에 부착하기 위하여 색칠층 하부에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1)단계의 색칠층 형성 후 추가로 수행되는 단계로, 색칠층 하부에 접착층을 적층시키고, 그 후 색칠층 상부에 판자개를 적층시키는 순서로 수행된다.
상기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를 원하는 곳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접착층은 일반적으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는 판자개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시켜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가방, 옷, 장신구 또는 인테리어 소품 등 유연성이 있는 소재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휘어지는 판자개는 자연 그대로의 자개 문양과 빛깔을 가져 미관상 우수하며, 유연성과 관련된 불편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
1.5 내지 1.7mm 두께의 14X24cm의 천연 판자개를 준비하였다. 상기 판자개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하여 0.9mm 두께를 가진 판자개를 만들었다.
그 후, 상기 판자개 후면에 백색 아크레탄을 칠하였으며, 상기 백색 아크레탄 칠 후면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였다.
레이저 마킹을 이용하여 상기 판자개 표면에 마름모선을 음각으로 각인하였으며, 상기 마름모선의 간격은 2mm으로 하였다. 상기 각인을 통하여 판자개에 유연성이 부여되었다.
상기 마름모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판자개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를 수행하여 표면을 평탄하게 곱게 갈아낸 후, 상기 표면 위에 문양을 세공하였다.
문양이 세공된 판자개의 표면에 광학필름을 강접착하여 휘어지는 판자개를 제조하였다.

Claims (11)

  1. 색칠층, 판자개 및 피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휘어지는 판자개로,
    상기 피막층 아래 판자개 상부 표면은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자개는 0.7 내지 1.2m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각 각인은 레이져 또는 커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막층은 에폭시 또는 광학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휘어지는 판자개는 색칠층 하부에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6. (1)판자개 후면에 색을 칠하여 색칠층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판자개 상부 표면에 음각으로 패턴을 각인하는 단계; 및
    (3)상기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판자개 상부에 피막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판자개는 두께가 0.7 내지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각인은 레이져 또는 커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단계 후, 패턴이 음각으로 각인된 판자개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연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막층은 광학필름 또는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1)단계 후, 색칠층 하부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어지는 판자개 제조방법.
KR1020150103767A 2015-07-22 2015-07-22 휘어지는 판자개 Ceased KR20170011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67A KR20170011325A (ko) 2015-07-22 2015-07-22 휘어지는 판자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67A KR20170011325A (ko) 2015-07-22 2015-07-22 휘어지는 판자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25A true KR20170011325A (ko) 2017-02-02

Family

ID=5815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67A Ceased KR20170011325A (ko) 2015-07-22 2015-07-22 휘어지는 판자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1177A (zh) * 2019-07-22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壳体、壳体的制造方法以及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25B1 (ko) 2005-12-19 2007-06-12 김영준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25B1 (ko) 2005-12-19 2007-06-12 김영준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1177A (zh) * 2019-07-22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壳体、壳体的制造方法以及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2452829E (pt) Método para a aplicação de uma decoração a uma placa de material derivado de madeira
ITMI20071212A1 (it) Rivestimento decorativo per oggetti e relativo metodo per decorare
KR101305272B1 (ko) 전통 나전칠기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5891B1 (ko) 기타용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1325A (ko) 휘어지는 판자개
US20170057268A1 (en) Process for Producing Printed Wooden Plaques and Trophies
CN215790550U (zh) 一种原木本色多维雕刻工艺品
KR101336029B1 (ko) 장식판 및 그 제조방법
JP3235842U (ja) 微細掘り込み様相を呈している木製装飾板材。
EP2383110B1 (en) Decorative embossed sheets for covering panels, particularly for the furniture industry,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
KR20100053754A (ko) 자개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414129Y (zh) 一种塑料装饰线条
KR101378424B1 (ko) 자개 판넬의 제조 방법
JP2008012887A (ja) 突板貼り彫刻化粧板とその製造法
CN206277870U (zh) 柔性珍珠母板
KR20110114739A (ko) 자개 장식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물
KR101378678B1 (ko) 다채로운 장식 패턴이 가미된 자개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55988Y1 (ko) 무지개빛 필름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101820866B1 (ko) 스크레치 시트
KR100897855B1 (ko) 장식성이 우수한 부분 홀로그램을 갖는 전사지의 제조방법및 그 물품
CN110053406A (zh) 一种套色雕刻方法及由该方法雕刻的套色雕刻品
JP3008944U (ja) モザイク模様化粧板
KR100761882B1 (ko)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JPS6033007Y2 (ja) 立体模様化粧板
JP2001138444A (ja) 熱硬化性樹脂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