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1882B1 -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 Google Patents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882B1
KR100761882B1 KR1020040040332A KR20040040332A KR100761882B1 KR 100761882 B1 KR100761882 B1 KR 100761882B1 KR 1020040040332 A KR1020040040332 A KR 1020040040332A KR 20040040332 A KR20040040332 A KR 20040040332A KR 100761882 B1 KR100761882 B1 KR 10076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ser engraving
pattern
laser
vene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066A (ko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김종렬
장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렬, 장세일 filed Critical 김종렬
Priority to KR102004004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8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8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9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mprising a decorative sheet and a core formed by one or more resin impregnated sheets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제1 층(layer); 및 상기 제1 층과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제1 층에 문양이 새겨지고, 상기 제1 층에 새겨진 문양을 통해 상기 제2 층이 노출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은 이질감, 특히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는 서로 다른 재료를 접착하여 평판을 구성하고, 평판을 구성하는 재료들 중 어느 하나의 재료에 레이저로 문양이나 도안을 조각하여 다른 재료가 노출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문양이나 도안이 새겨진 기념품들이라도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도안이 조각된 후 노출되는 층을 다수로 적층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조각물에서도 다양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공예, 조각, 무늬목, 대상물, 레이저

Description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TARGET MATERIAL FOR LASER ENGRAV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문양이 조각된 기념품들을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념품을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101 : 제1 층
102 : 제2 층 103 : 제3 층
본 발명은 관광 기념품, 가구 장식 등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를 이용한 평면조각에 이용되는 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광지 등에서 판매되는 기념품은 현지 주민, 상인들에게는 단순한 판매 물품으로 이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홍보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어 다양한 상품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념품들로는 그림이나 문구가 새겨진 목재 소품, 벽걸이, 조각상, 열쇠고리, 엽서, 책갈피 등이 있다.
이들 중, 벽걸이, 엽서, 책갈피는 평판형태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면, 벽걸이는 나무판, 금속판 등에 입체감이 있는 그림이나 문구를 조각해 넣거나, 나무판의 경우 인두 등으로 그림이나 문구를 평면 상에 그려 넣을수 있으며, 엽서는 해당 지역의 특색있는 경치나 문화재를 인쇄해 넣고 있고, 책갈피는 금속판 등을 조각하여 관광지의 상징, 문화재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평면조각에 이용되는 재료, 즉 대상물들은 나무판이나 금속판으로 제한되어 도안의 차이만 있을 뿐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형태 및 새로운 표현 방법에 의한 기념품들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기념품들을 평면 조각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제1 층(layer); 및
상기 제1 층과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제1 층에 문양이 새겨지고, 상기 제1 층에 새겨진 문양을 통해 상기 제2 층이 노출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1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100)은 레이저에 의해 실제로 문양, 도안 등이 새겨지는 제1 층(layer)(101)과, 상기 제1 층(101)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2 층(102)과, 상기 제2 층(102)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3 층(103)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층(101, 102, 103)은 순차적으로 서로 접착되어 하나의 평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층(101)은 무늬목, 켄선지, 펄지, 한지, 필름 등의 나무, 종이, 플 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작하고자 하는 기념품과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예시되지 않은 재료들을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층(102)은 합판, 색종이, 금속박, 금속판, 골판지, 주름지, 필름 등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층(101)을 구성하는 재료로도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층(102)을 구성하는 재료들은 상기 제1 층(101)을 구성하는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층(103)은 상기 제1 층(101) 또는 제2 층(102)을 구성하는 재료들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무늬목의 경우에는 상기 제1 층(101)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층(101)에 새겨진 문양, 도안을 통해 상기 제2 층(102)이 노출되므로 상기 제2 층(102)의 재료는 상기 제1 층(101)과 이질감, 특히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는 재료로 선택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무늬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층(101)과 제2 층(102)을 동시에 구성한다면, 색상이 서로 다른 무늬목을 사용하거나, 무늬목의 나무결이 나란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게 구성하여 시각적 이질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이용되는 무늬목은 그 두께가 0.2 내지 0.5mm 정도로서 쉽게 파손되거나 균질한 평판을 확보하기 어려운데, 상기 제1 내지 제3 층(101, 102, 103)을 모두 무늬목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층을 구성하는 무늬목의 나무결이 서로 교차하게 구성하면 시각적 이질감 뿐만 아니라 상기 대상물(100)의 강도와 균질한 평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층(101)에는 무늬목을 사용하고, 제2 층(102)에는 금속박을 사용하면, 동일한 도안이 새겨지더라도 금속박의 색상에 따라 상기 제1 층(101)과 대비되어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늬목은 레이저에 의해 쉽게 조각되는 반면, 금속박은 레이저에 의한 조각이 안되기 때문에 레이저 조각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1 층(101)에 종이를 이용하고, 상기 제2 층(102)에 금속박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층(101)에는 켄선지, 펄지 또는 한지 등을 사용하고, 상기 제2 층(102)에는 골판지, 주름지 등을 사용하면, 제1 층(101)에 새겨진 문양, 도안을 통해 골판지나 주름지의 질감이 드러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켄선지 또는 펄지로 제1 층(101)을 구성하고, 골판지 또는 금속박으로 제2 층(102)을 구성하여 문양을 각각 조각한 기념품들(110, 120, 130)을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념품(130)을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기념품들(110, 130)은 상기 제2 층(102)을 골판지로 형성하여, 제1 층(101)에 새겨진 문양을 통해 골판지의 질감이 드러난 형태이고, 도 3에 도시된 기념품(120)은 제2 층(102)을 금속박으로 형성하되, 금속박에 구김을 주어 제작된 형태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재질들의 재료를 서로 접착하여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층(101)과 제2 층(102), 제2 층(102)과 제3 층(103) 사이에는 필름, 아크릴 등의 재료를 이용해 서로 접착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층(102)은 상기 제1 층(101)과 제3 층(103) 사이에 단일 재질로 구성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층(102)은 시각적 이질감을 갖는 재질의 재료들을 다수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무늬목, 켄선지, 금속박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제2 층을 구성하고, 제1 층과 제3 층을 각각 제2 층의 양면에 접착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도안을 조각함에 있어서, 그 깊이를 다르게 하면 제2 층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재료들의 질감이 드러나 더욱 다양한 느낌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은 이질감, 특히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는 서로 다른 재료를 접착하여 평판을 구성하고, 평판을 구성하는 재료들 중 어느 하나의 재료에 레이저로 문양이나 도안을 조각하여 다른 재료가 노출되게 함으로써 동일한 문양이나 도안이 새겨진 기념품들이라도 서로 다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도안이 조각된 후 노출되는 층을 다수로 적층한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조각물에서도 다양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제1 층(layer); 및
    상기 제1 층과 시각적인 이질감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착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이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제1 층에 문양이 새겨지고, 상기 제1 층에 새겨진 문양을 통해 상기 제2 층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무늬목, 켄선지, 펄지, 한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합판, 색종이, 금속박, 금속판, 골판지, 주름지, 필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결을 따라 무늬가 형성된 무늬목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5. 제2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층과 동일한 재질의 제3 층이 더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결을 따라 무늬가 형성된 무늬목이며,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층의 결과 제2 층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시각적 이질감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재질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KR1020040040332A 2004-06-03 2004-06-03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76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32A KR100761882B1 (ko) 2004-06-03 2004-06-03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32A KR100761882B1 (ko) 2004-06-03 2004-06-03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066A KR20050115066A (ko) 2005-12-07
KR100761882B1 true KR100761882B1 (ko) 2007-10-04

Family

ID=3728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3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1882B1 (ko) 2004-06-03 2004-06-03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85B1 (ko) * 2009-10-26 2012-01-30 김인영 이미지가 조각된 건축용 칼라강판 및 그 조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08A (ko) * 1998-12-15 2000-07-05 전영범 장식부재의 문양성형방법
KR200333640Y1 (ko) 2003-08-14 2003-11-15 정을화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소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08A (ko) * 1998-12-15 2000-07-05 전영범 장식부재의 문양성형방법
KR200333640Y1 (ko) 2003-08-14 2003-11-15 정을화 무늬목 및 자개를 이용한 장식물이 부착된 장식소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066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0832B2 (en) Structured boards with matched surface
US6010338A (en) Magnetic frame kit
BE1018177A3 (nl) Bedrukt substraat,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bedrukte substraten.
KR100761882B1 (ko)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JP2007098755A (ja) 床材
US20090058070A1 (en) 3-d device that may be decorated and methods therefor
US20080107837A1 (en) Pushpin bulletin board with a textured and embossed surface to look like a framed three-dimensional oil painting
JP3244180U (ja) アクリル板製装飾体
JP3234539U (ja) 観賞用物品
JP3110118U (ja) 木質名刺類
JP4018098B2 (ja) 飾り用シート,装飾ケース,装飾付きカード及び飾り用シートの製作方法
JP2005067175A (ja) 立体感のある化粧材の製造方法
JPH0711200Y2 (ja) 襖紙・壁紙の模様選択構造
JP2700533B2 (ja) 化粧板の製造法
KR20170011325A (ko) 휘어지는 판자개
JP2004132121A (ja) 化粧床材
TWM593337U (zh) 3d立體點膠冰箱貼
JPS63236647A (ja) 彫刻板用積層板
JPH0528079Y2 (ko)
JP2540488Y2 (ja) グラデーションを有する化粧材シート
JP3127951U (ja) ジグソーパズル
JP3182983U (ja) 化粧素材付き印刷用紙
JPS60199602A (ja) 化粧単板の製造方法
JP3124968U (ja) 工芸品
JP2018012227A (ja) 寄木材の製造方法、寄木材、及び寄木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6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