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1040A - 간접열 오리 구이기 - Google Patents

간접열 오리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040A
KR20170011040A KR1020150102928A KR20150102928A KR20170011040A KR 20170011040 A KR20170011040 A KR 20170011040A KR 1020150102928 A KR1020150102928 A KR 1020150102928A KR 20150102928 A KR20150102928 A KR 20150102928A KR 20170011040 A KR20170011040 A KR 20170011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ll
space
container
du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5010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040A/ko
Publication of KR2017001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4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13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원체의 가열용기의 내부에 가열공기가 공급되는 가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낚시나 등산시 야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이 용기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며, 육질을 부드럽게 조리 가능하고, 냄새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한 간접열 오리 구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접열 오리 구이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가열공간(100a)이 형성된 가열용기(100);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0); 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용기(100)는, 외벽부(110); 상기 외벽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공간(100a)을 형성하는 내벽부(120); 상기 내벽부(120) 하부에 구비되는 가열부(130); 상기 외벽부(100)와 상기 가열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1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접열 오리 구이기{A roast heater using indirect fever way}
본 발명은 간접열 오리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된 공기로 오리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솥이나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국, 찌개 및 밥 등의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도구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내부에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가열기의 열원, 예컨대, 가스, 전기, 숯불 등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용기는 가열기의 열에 의한 직접 가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가열기의 과도한 열에 의해 음식물의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 중에 함유된 내용물이 눌어붙거나 타게 되고, 이로 인해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거나 영양분이 파괴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12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원체의 가열용기의 내부에 가열공기가 공급되는 가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낚시나 등산시 야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음식물이 용기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며, 육질을 부드럽게 조리 가능하고, 냄새가 많이 발생하지 않아 위생적이고, 신속하게 조리가 가능한 간접열 오리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접열 오리 구이기는,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가열공간(100a)이 형성된 가열용기(100);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0); 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용기(100)는, 외벽부(110); 상기 외벽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공간(100a)을 형성하는 내벽부(120); 상기 내벽부(120) 하부에 구비되는 가열부(130); 상기 외벽부(100)와 상기 가열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150); 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부(110)와 상기 내벽부(120)는 상,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타원체 형상이다.
상기 가열부(130)의 내주면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이동하도록 개방된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가열수단(200)의 점화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132)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가열수단(200)은, 상기 가열부(130)에서 상기 관통공(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스관(210); 상기 가스관(21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분사노즐(220); 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기 내벽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기름유도부(14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름유도부(140)의 하부에는 기름받이용기(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용기(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4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400)의 하부에는 음식물을 걸 수 있는 고리(42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간접열 오리 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상기 가열수단(200)을 설치하여 가열된 공기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음식물의 일부분이 지나치게 타거나 용기의 내측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여 요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되며, 육질을 부드럽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아 위생적이며, 야외에서 비나 바람이 불어도 조리에 문제가 없고, 가정에서도 통구이 요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기 외벽부(110)와 상기 내벽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음식물이 고열로 신속하게 조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기름유도부(14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기름받이용기(300)가 배치됨으로써, 기름 등의 이물질이 바닥으로 배출되어 바닥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을 한번에 모아 버릴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하부에 상기 고리(420)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꼬치가 없어도 음식물을 쉽게 걸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일부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일부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는 가열용기(100), 가열수단(200), 기름받이용기(300) 및 덮개(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원체이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공간(100a)이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용기(100)는 외벽부(110), 내벽부(120), 가열부(130), 기름유도부(140) 및 받침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벽부(110)는 항아리와 같이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형상이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외벽부(110)의 외부 양측에는 용기손잡이(11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손잡이(111)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용기(100)를 이동시 쉽게 잡고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벽부(120)는 상기 외벽부(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공간(1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벽부(120)는 상기 외벽부(110)와 마찬가지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형상이며, 상기 외벽부(110)와의 간격이 약 7~8c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외벽부(110)와 상기 내벽부(120) 사이의 공간은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가열공간(100a)의 열이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부(130)는 상기 내벽부(120)의 하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구간으로, 상기 가열부(130)의 내부에는 후술할 상기 가열수단(200)이 배치되는 설치공간(13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설치공간(130a)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이동하도록 개방된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가열수단(200)의 점화시 상기 설치공간(130a)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132)가 하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통공(131)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기름유도부(140)는 상기 가열부(130)의 내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으로,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타원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기름유도부(140)는 하단이 개방되며, 음식물에서 흘러나온 기름이나 이물질을 하방향으로 모이도록 유도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름유도부(140)의 하부에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담는 기름받이용기(300)가 배치되며, 후술할 상기 받침부(150)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름받이용기(300)를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52)가 형성된다.
상기 기름받이용기(30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기름 등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름유도부(14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기름받이용기(300)가 배치됨으로써, 기름 등의 이물질이 바닥으로 배출되어 바닥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을 한번에 모아 버릴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받침부(15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110)의 하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150)는 상기 가열부(130)를 지지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130), 상기 기름유도부(140), 상기 기름받이용기(300) 및 후술할 상기 가열수단(200) 등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50)에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게 하고,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공(151)이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가열수단(200)에 부탄가스(10)를 탈부착할 시 상기 받침부(15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가스덮개(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50)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름받이용기(30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52)가 형성되고, 상부 측면에는 상기 가열부(120)의 내부 불꽃을 볼 수 있는 불꽃확인창(15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52)는 좌우 이격 배치되며, 길게 나란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로 상기 기름받이용기(300)가 배치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200)은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가스관(210), 분사노즐(220), 가스연결체(230) 및 점화조절밸브(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관(210)은 상기 가열부(130)의 설치공간(130a)에 배치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의 관이며, 후술할 상기 가스연결체(23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스관(210)의 상측에는 상기 분사노즐(22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220)은 가스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열부(130)의 상기 관통공(13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노즐(220)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131)에 일치되게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상기 가스연결체(230)는 상기 받침부(15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부탄가스(10)를 연결하여 상기 가스관(210)으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가스연결체(230)는 일반적인 부탄가스용 가스렌지의 연결 부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점화조절밸브(240)는 상기 가열용기(100)의 상기 가열부(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점화조절밸브(240)는 상기 가스관(210)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분사노즐(220)에 불을 붙이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인 부탄가스용 가스렌지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덮개(400)는 상기 가열용기(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덮개손잡이(4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음식물을 걸 수 있는 고리(420)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420)에는 오리나 닭 등을 걸 수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을 상기 가열공간(100a) 내부에서 부양시킨 상태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하부에 상기 고리(420)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꼬치가 없어도 음식물을 쉽게 걸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고리(420)에 음식물을 걸지 않고 별도의 보조용기(500)를 상기 가열용기(100)에 설치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용기(500)의 외측으로 걸칩부(51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칩부(510)에 의해 상기 보조용기(500)는 상기 가열용기(100)의 내부에 빠지지 않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용기(500)는 탕이나 찌개 등을 조리할 때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열 오리 구이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20)에 불이 붙게 되면,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부(130)에서 상기 관통공(131)을 통해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열공간(100a)의 뜨거운 공기로 인해 음식물은 익게 된다.
즉, 상기 가열공간(100a)에 배치된 음식물은 찜 형태로 조리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상기 가열수단(200)을 설치하여 가열된 공기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음식물의 일부분이 지나치게 타거나 용기의 내측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여 요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되며, 육질을 부드럽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기 외벽부(110)와 상기 내벽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쉽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음식물이 고열로 신속하게 조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기름유도부(14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상기 기름받이용기(300)가 배치됨으로써, 기름 등의 이물질이 바닥으로 배출되어 바닥을 지저분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을 한번에 모아 버릴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하부에 상기 고리(420)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꼬치가 없어도 음식물을 쉽게 걸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가열용기 100a : 가열공간
110 : 외벽부 111 : 용기손잡이
120 : 내벽부 130 : 가열부
130a : 설치공간
131 : 관통공 132 : 흡입구
140 : 기름유도부 150 : 받침부
151 : 환기공 200 : 가열수단
210 : 가스관 220 : 분사노즐
230 : 가스연결체 240 : 점화조절노밸브
300 : 기름받이용기 400 : 덮개
410 : 덮개손잡이 420 : 고리
500 : 보조용기

Claims (5)

  1.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가열공간(100a)이 형성된 가열용기(100);
    상기 가열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수단(200); 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용기(100)는,
    외벽부(110);
    상기 외벽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가열공간(100a)을 형성하는 내벽부(120);
    상기 내벽부(120) 하부에 구비되는 가열부(130);
    상기 외벽부(100)와 상기 가열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110)와 상기 내벽부(120)는 상,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타원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30)의 내주면에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공간(100a)으로 이동하도록 개방된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가열수단(200)의 점화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132)가 개방 형성되며,
    상기 가열수단(200)은,
    상기 가열부(130)에서 상기 관통공(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스관(210);
    상기 가스관(21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분사노즐(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100)는,
    상기 내벽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기름유도부(14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름유도부(140)의 하부에는 기름받이용기(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100)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4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400)의 하부에는 음식물을 걸 수 있는 고리(4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1020150102928A 2015-07-21 2015-07-21 간접열 오리 구이기 Abandoned KR20170011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28A KR20170011040A (ko) 2015-07-21 2015-07-21 간접열 오리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28A KR20170011040A (ko) 2015-07-21 2015-07-21 간접열 오리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40A true KR20170011040A (ko) 2017-02-02

Family

ID=5815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928A Abandoned KR20170011040A (ko) 2015-07-21 2015-07-21 간접열 오리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0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060A1 (ja) 2017-01-24 2018-08-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防水および光漏れ防止の構造を含むスイッチ
KR20230118807A (ko) 2020-12-25 2023-08-14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방법
KR20230123917A (ko) 2020-12-25 2023-08-24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20240140347A (ko) 2023-03-16 2024-09-24 김갑용 숯불 바베큐 훈제구이용 녹청자 화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246A (ko) 2006-05-17 2007-11-21 배병태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246A (ko) 2006-05-17 2007-11-21 배병태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060A1 (ja) 2017-01-24 2018-08-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防水および光漏れ防止の構造を含むスイッチ
KR20230118807A (ko) 2020-12-25 2023-08-14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방법
KR20230123917A (ko) 2020-12-25 2023-08-24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20240140347A (ko) 2023-03-16 2024-09-24 김갑용 숯불 바베큐 훈제구이용 녹청자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US8227728B2 (en) Radiant tube broiler
US9420914B2 (en) Gril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147407B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226468B1 (ko) 구이 용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101717978B1 (ko) 중탕 구이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813854B1 (ko) 직화구이기
KR101538792B1 (ko) 기능성 국솥
KR101999956B1 (ko) 다용도 구이장치
KR200484169Y1 (ko) 음식물 조리대
KR20070019526A (ko) 고 효율 조리용 팬
KR102359096B1 (ko) 수직화통이 구비된 직화구이기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