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83A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 Google Patents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4283A KR20170004283A KR1020150094423A KR20150094423A KR20170004283A KR 20170004283 A KR20170004283 A KR 20170004283A KR 1020150094423 A KR1020150094423 A KR 1020150094423A KR 20150094423 A KR20150094423 A KR 20150094423A KR 20170004283 A KR20170004283 A KR 20170004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portion
- racket
- grip
- table tennis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라켓 몸체(10)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11)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3)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 또는 정면축(c)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comprising: a racket body (10); Two pawl portions 11 to which rubber is attached on both sides of the racquet body 10; And a grip portion 13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racket body 10 and having at least two side axes a or front axes c of the grip portion 13. [
Description
본 발명은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일반적으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에 각각 러버(1)가 부착된 양면 타구부와, 사용자가 라켓을 잡을 수 있는 그립부(2)로 구성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2)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손가락이이면 타구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엄지손가락과 중지, 약지, 새끼 손가락이 상기 그립부(2)를 잡아 쥐는 형태로 파지하여 상기 러버(1)가 부착된 양면 타구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탁구공을 상대방측으로 넘김으로써 탁구를 즐기는 것으로, 탁구공을 타격할 수 있는 타구부가 양면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백핸드 나 포핸드공격과, 쇼트공격은 물론 드라이브 공격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is composed of a double-sided hitting portion on both sides of which rubber 1 is attached, and a
그러나,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428238호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 쉐이크 핸드형 라켓이 지닌 문제점들인, 그립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이 그립부에 거의 전체가 밀착되어 발생한 땀으로 인하여 그립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 이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백핸드에서 포핸드로 공격을 전환할 때 라켓의 타구부를 전환시킴에 있어서의 손목에 무리가 오는 문제점이나, 또는 타구부의 타격점에 탁구공이 정확하게 타구 되지 않는 문제점들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참조)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28238,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hake hand type racke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henomenon that the grip of the user who grips the grip portion is almost enti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ip portion, And when the attack is switched from the backhand to the forehand due to the slippa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rist in the turning of the racket is shifted to the wrist or the problem in which the table tennis ball is not hit correctly at the hit point It is a fact that I can not. (See Patent Document 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립부의 정면 또는 측면 축이 두개 이상 존재 하도록 만들어 이로 인하여 손으로 그립부 파지 시 손과 그립부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확보한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t leas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 portion in which two or more front or side axes of a grip portion are provided, thereby forming a void space between a hand and a grip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은, 라켓 몸체와; 상기 라켓 몸체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와; 상기 라켓 몸체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의 정면축 또는 측면축이 두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comprising: a racket body; Two hit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racket body with rubber attached thereto;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racquet body, wherein at least two front axes or side axes of the grip portion are present.
또한, 상기 그립부의 파지 시 사용자의 수도(手刀)가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grip portion to support a user's hand when gripping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그립부의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so that a user's finger is held while being gripped by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그립부의 파지시 상기 타구부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racket from shaking when the grip portion is gripped, the lower end of the hit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p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hereby preventing the racket from swinging.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립부의 정면축 또는 측면축이 두 개 이상 존재하므로써 손으로 그립부를 파지시 그립부의 두 측면 축으로 인하여 손바닥과 그립의 사이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손과 그립부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므로써 접촉 시 발생하는 열이 감소하여 발생되는 땀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인접손바닥에서 발생된 땀도 형성된 공간를 통해서 유입되는 바람으로 인하여 쉽게 증발할 수가 있어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two or more front axes or side axes of the grip por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lm and the grip due to the two side axes of the grip portion when the grip portion is gripped by the hand, The sweat generated in the adjacent palm can be easily evaporated due to the wind which flows through the formed space and the slip is minimized.
또한, 검지손가락을 라켓 몸체의 후면부에 밀착지지하고 그립부를 엄지손가락과,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쉐이크 핸드형 라켓의 그립부에 수도 지지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도(手刀)를 지지하여 그립부에서 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탁구공의 타격에 따른 공격성 향상이 기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dex fing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racket body and the grip portion of the shake hand type racket is gripped with the thumb, the stop, the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separately, Thereby preventing the hands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grip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aggressiveness due to the hit of the table tennis ball.
또한, 라켓 몸체를 파지하는 그립부의 외면에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양면을 모두 사용함에 있어 타구면의 전환시 돌기부의 마찰 작용에 의해 백핸드와 포핸드간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미끄러짐을 방지되므로써 초보자들도 쉽게 쉐이크 핸드형 라켓의 양면타법을 이용하여 탁구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흔들림이 적어짐으로써 탁구공의 타격에 따른 공격성이 향상된다.Further, sinc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racquet body to support the fingers, both of the both surfaces are used. Thus, the frictional action of the protrusions facilitates switching between the backhand and the forehand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enjoy the table tennis game using the double-sided method of the shake hand type racket, and the aggressiveness due to the hit of the table tennis ball is improved by reducing the shaking.
또한, 타구부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가 형성되어 안정된 라켓의 각도가 유지하기가 용이하고 미끄러짐이 없어서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사람도 용이한 화백전환을 구사하기가 쉬우며 더욱 강하고 안정된 타구를 구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i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ip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 prevent the racket from shaking, the anti-shake portion is formed at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it portion, Beginners as well as skilled people can easily switch to a straight line and can play a more stable and stable batting.
도 1은 종래 쉐이크 핸드 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쉐이크 핸드 라켓의 그립부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20은 본 발명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ake hand racket.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ip portion of a conventional shake hand racket is hel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improved with a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20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3은 본 발명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그립부(13)의 정면축 또는 측면축이 두개 이상 존재 하도록 만들어 이로 인하여 손으로 그립부(13) 파지시 손과 그립부(13) 사이에 빈 공간부(80)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그립부를 개선한 것이다. (도 3은 측면축이 두 개인 경우를 도시함)In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front axes or side axes of the
도 5 내지 10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Figures 5 to 10 show views of another embodiment.
도 11은 도 10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11 shows a side view from the side of Fig. 10; Fig.
도 12는 그립부가 두 개인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having two grip portions, and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13)가 두 개 형성됨으로써 공이 날아오는 방향에 따라 오른손과 왼손으로 번갈아 잡으면서 타구하는데 용이한 기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12,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improved grip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도 13은 도 12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13 shows a side view from the side of Fig.
도 14는 그립부의 정면축이 2개 이상 존재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improved with a grip portion in which two or more front axes of grip portions are present, and Fig. 15 is a front view of Fig. 14 viewed from the front.
도 16은 타구부에 그립부가 틀어져 부착되어 있는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그립부 정면축이 2개이상 존재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7는 도 16를 타구면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를 나타낸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improved grip portions in which there are two or more grip front portions of the grip portion of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attached with a grip portion on a hit portion, FIG. 17 is a front view As shown in FIG.
도 18은 도 15, 16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Fig. 18 shows a side view of Figs. 15 and 16; Fig.
도 19는 도 15에 있어서 그립부의 정면축(c)와 타구부의 정면축(d)을 나타낸다.Fig. 19 shows the front axis c of the grip portion and the front axis d of the hitting portion in Fig.
도 20은 도 17에 있어서 그립부의 정면축(c)와 타구부의 정면축(d)을 나타낸다.Fig. 20 shows the front axis c of the grip portion and the front axis d of the hitting portion in Fig.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통상의 라켓 몸체(10), 상기 라켓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11), 상기 라켓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3)를 구비하되,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 또는 상기 그립부(13)의 정면축(c)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이 두 개 이상 존재한다는 것은 그립부의 측면축(a)이 두 차례 이상 절곡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presence of two or more side axes (a) of the grip portion (13) means that the side axes (a) of the grip portions are bent at least twice.
또한, 상기 그립부(13)의 정면축(c)이 두 개 이상 존재한다는 것은 그립부의 정면축(c)이 두 차례 이상 절곡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presence of two or more front axes (c) of the grip portion (13) means that the front axis (c) of the grip portion is bent more than tw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 또는 정면축(c)이 두 개 이상 존재하므로써 절곡된 그립부에 공간부(80)를 형성하고, 손으로 그립부를 파지시 손바닥이 밀착되지 않는 꺾인 그립부에 형성된 공간부(80)로 인하여 손바닥을 밀착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땀의 발생을 억제하므로써 그립부와 손바닥의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시켜서 정확하고 강한 타구를 가능하게 한다.In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이 상기 타구부(11)의 측면축(b)에 2차례 이상 꺾여 형성됨으로써 꺾인 그립부에 만들어진 공간부(80)를 통해서 공기의 흐름이 원할해져서 배출된 땀이 빠르게 증발되므로써 그립의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The side shaft a of the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그립부(13)의 정면축(c)이 상기 타구부(11)의 정면축(d)에 2차례 이상 꺾여 형성됨으로써 꺾인 그립부에 만들어진 공간부(80)를 통해서 공기의 흐름이 원할해져서 배출된 땀이 빠르게 증발되므로써 그립의 미끄러짐 현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Likewise, the front axis c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상기 그립부(13)의 파지 시 사용자의 수도(手刀)가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13)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도 지지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그립부(13)의 파지 시 사용자의 수도(手刀) 즉, 새끼손가락 끝 부분에서 손목에 이르는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그립부(13)에서 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13)의 끝단에 수도 지지부(2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the improved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상기 그립부(13)의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과 그립부(13)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0)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Further,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improved grip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라켓은, 타구부(11)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11)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70)가 더 형성되므로써, 더욱 견고하게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편안한 라켓과 손의 일체감을 갖도록 해준다.In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Although the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with improved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limit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라켓 몸체 11 : 타구부
13 : 그립부 20 : 수도 지지부
30 : 돌기부 70 : 흔들림방지부
80 : 공간부
a : 그립부(13)의 측면축
b : 타구부(11)의 측면축
c : 그립부(13)의 정면축
d : 타구부(11)의 정면축10: Racket body 11:
13: grip part 20: water support part
30: protrusion 70: anti-shake part
80:
a: the side surface of the
b: the side surface of the
c: the front surface of the
d: the frontal axis of the
Claims (4)
라켓 몸체(10)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양면에 각각 러버가 부착된 2개의 타구부(11)와;
상기 라켓 몸체(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그립부(13)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13)의 측면축(a) 또는 정면축(c)이 두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In a shake hand type racket,
A racket body (10);
Two pawl portions 11 to which rubber is attached on both sides of the racquet body 10;
And a grip portion (13)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racket body (10)
Characterized in that there are two or more side axes (a) or front axes (c) of the grip portion (13).
상기 그립부(13)의 파지 시 사용자의 수도(手刀)가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13)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도 지지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ort part (20) formed at an end of the grip part (13) so as to support a user's hand at the time of gripping the grip part (13).
상기 그립부(13)의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1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3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 so that a user's finger is held while being held by the grip portion (13).
상기 그립부(13)의 파지시 타구부(11)의 하단부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밀착하여 라켓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구부(11)의 하단부의 밀착부분에 흔들림방지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부가 개선된 쉐이크 핸드형 탁구 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ip portion 11 when gripping the grip portion 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ip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 prevent the racket from swinging In the close contact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tip portion 11, 7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cket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423A KR20170004283A (en) | 2015-07-02 | 2015-07-02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423A KR20170004283A (en) | 2015-07-02 | 2015-07-02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283A true KR20170004283A (en) | 2017-01-11 |
Family
ID=5783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423A KR20170004283A (en) | 2015-07-02 | 2015-07-02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4283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238B1 (en) | 1997-05-13 | 2004-04-30 | 사노피-신델라보 | A new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
-
2015
- 2015-07-02 KR KR1020150094423A patent/KR20170004283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238B1 (en) | 1997-05-13 | 2004-04-30 | 사노피-신델라보 | A new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6905B1 (en) | Shake hand-type ping pong rackets with protrusions | |
KR100817249B1 (en) |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 |
CN203777626U (en) | Shock absorption table tennis bat | |
KR20170112301A (en)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hand | |
KR20170004283A (en)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 |
JP3184479U (en) | Table tennis racket | |
CN204428746U (en) | A kind of table tennis bat | |
KR20170004282A (en) |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hand | |
CN103977545A (en) | Talon-shaped base plate of table tennis bat | |
KR200481957Y1 (en) | Table tennis racket | |
KR200407263Y1 (en) | Practice grip for badminton racket | |
KR20120080046A (en) | A racket for ping-pong | |
KR200428238Y1 (en) | Table tennis racket | |
CN204017303U (en) | Table tennis bat pen-hold grip | |
KR200461622Y1 (en) | A handle for badminton | |
TWM639471U (en) | Table tennis racket | |
KR20080111867A (en) | Double-sided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 |
CN209392691U (en) | Pen-holding type pingpong bat | |
JPH09294834A (en) | Golf club | |
CN107413030A (en) | A kind of ring-handle table tennis bat | |
CN209108555U (en) | Double-peak type table tennis bat | |
CN207614289U (en) | A kind of right angle handle table tennis bat | |
US10272306B2 (en) | Table tennis paddle | |
CN205683517U (en) | A kind of stock-type table tennis is clapped | |
CN204170369U (en) | Novel table tennis b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