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7249B1 -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 Google Patents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49B1
KR100817249B1 KR1020070029961A KR20070029961A KR100817249B1 KR 100817249 B1 KR100817249 B1 KR 100817249B1 KR 1020070029961 A KR1020070029961 A KR 1020070029961A KR 20070029961 A KR20070029961 A KR 20070029961A KR 100817249 B1 KR100817249 B1 KR 10081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holder
table tennis
finger
hitting
g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종렬
Original Assignee
류종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렬 filed Critical 류종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4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0Handles with two 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having holding means provided inside, on the edge or on the rear face of the strik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 홀더 형태로 그립을 잡으면서도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양쪽면에 한쌍의 러버가 부착된 타구부와; 상기 타구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형태로 파지할 수 있으면서 그 끝단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펜 홀더 그립부와; 상기 펜 홀더 그립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쉐이크 형태로 잡아 쥐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쉐이크 그립부를 구비함으로써 그립의 크기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들어와서 그립을 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루는 면과 타구면이 평행을 이루어 라켓을 수직을 향하게 잡을 수 있어 자유롭게 이면 타법을 구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 holder type ping pong racket capable of hitting the back while holding a grip in the form of a pen holder, comprising: a hitting portion having a pair of rubbers attached to both sides thereof; A pen holder grip port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batting portion to be gripped in the form of a pen holder with a thumb and an index finger, and having an end thereof fitted into a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he size of the grip is entere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by having a shake grip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en holder grip part and which can be gripped or held in a shake form with at least one of a middle finger, a ring finger and a holding finger. The side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holding the grip and the batting surface are parallel, so the racket can be held vertically, so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batting method freely.

Description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PEN HOLDER TABLE TENNIS PADDLE CAPABLE OF THE STYLE OF BATTING USING THE OTHER SIDE}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which is available for back side {PEN HOLDER TABLE TENNIS PADDLE CAPABLE OF THE STYLE OF BATTING USING THE OTHER SIDE}

도 1은 종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도 2는 종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사용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ing a conventional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사용 상태도.Figure 7 is a first use state of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하여 위에서 본 쇼트 타구 시의 사용 상태도.Figure 8 is a state of use when the shot hit from the top using a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하여 이면 타법에 의한 타구 시의 개념도.9 is a conceptual view of hitting by the back hitting method using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결합각이 변경된 제 6실시예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in which the engagement angle of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7실시예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8실시예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9실시예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i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0실시예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1실시예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2실시예의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elf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2사용 상태도.Figure 18 is a second use state of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3실시예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4실시예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5실시예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e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탁구 라켓100: table tennis racket

110 : 타구부110: batting

111 : 러버가부착된정면타구부,111: front hitch with rubber,

112 : 러버가부착된이면타구부112: If the rubber is attached to the ball

120 : 펜 홀더 그립부120: pen holder grip

130 : 쉐이크 그립부130: shake grip

140 : 엄지 밀착 그립부140: thumb close grip

150 : 손등 밀착 그립부150: close hand grip

본 발명은 탁구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펜 홀더 형태로 그립을 잡으면서도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tennis 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backing while holding a grip in the form of a pen holder.

일반적으로, 종래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에만 러버(11)가 부착된 타구부(12)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펜을 잡듯이 파지하면서 중지손가락으로는 타구부(12)의 이면에서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그립부(13)를 구비한다.In general, a pen holder-type ping pong racket as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stopper 12 with a rubber 11 attached to one side and a thumb and index finger held by a stop finger while holding a pen like a pen. Has a grip portion 13 formed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hitting portion 12.

그런데, 종래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하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구조상 쥐어진 주먹을 기준으로 하여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라켓을 잡는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근본적으로 쉐이크형 탁구 라켓처럼 이면 타법을 구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설령 이면 타법을 구사하더라도 탁구대의 네트 가까운 곳에서는 타구면이 아래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음으로써 이면 스매시 타법이 어려워서 라켓 끝을 몸쪽으로 돌리거나 라켓을 몸쪽으로 가까이 당겨서 기울어진 타구면이 약간 세워지도록 해서 이면 드라이브 방식으로 타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a conventional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s shown in FIG. 2, the racket is held in an inclined state at an arbitrary angle with respect to the clenched fist in its structure.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other method like a shake table tennis racket fundamentally. Even if you use the other method, the surface of the table tennis table is inclined much down near the net of the table tennis table, so the smashing method is difficult, so turn the end of the racket toward you or pull the racket towards you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slightly raised. There was a problem that you must hit the driv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펜 홀더형이면서도 자유자재로 이면 타법을 구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구면을 세워서 타구할 수 있도록 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en holder-type, but also free to use the other method of backing as well as to provide a pen holder-type ping-pong racket that can be hit by hitting the batter surfac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양쪽면에 한쌍의 러버가 부착된 타구부와; 상기 타구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형태로 파지할 수 있으면서 그 끝단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펜 홀더 그립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performing a back hi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tting part having a pair of rubbers attached to both sides thereof; It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hit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en holder grip of the shape that can be gripped in the form of a pen holder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can be fitted to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여기서, 상기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펜 홀더 그립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쉐이크 형태로 잡아쥐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쉐이크 그립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펜 홀더 그립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엄지손가락을 세워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밀착 그립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pen holder-type ping-pong racket capable of performing the backing metho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art, and a shake grip part having a shape in which at least one of a middle finger, a ring finger and a holding finger can be grasped or held in a shake form. It may be provided, o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lose grip portion of the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can hold the thumb up.

또한, 상기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이면타구부 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 하부에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performing the back hitting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support part to support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under the pen holder grip part on the back hitting part.

또한, 상기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돌출 지지부에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끼울 수 있는 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performing the backing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f a middle finger, a ring finger and a holding finger on the protruding support.

또한, 상기 이면 타법이 가능한 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정면타구부 상의 엄지가 위치하는 부분에 엄지를 받칠 수 있는 엄지받침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lder-type ping-pong racket that enables the backside hitting may further include a thumb res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thumb on a portion where the thumb is placed on the front hitting portion.

또한, 상기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펜홀더 그립부에 연장되어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 는 형상의 손등 밀착 그립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performing the backside may further include a close contact grip of the back of the shape extending to the pen holder grip and allowing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 be in close conta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하여 위에서 본 쇼트 타구 시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하여 이면 타법에 의한 타구 시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결합각이 변경된 제 6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7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8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9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다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0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2사용 상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제 15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n holder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table tennis racke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irst use state diagram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short batting viewed from above using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batting time by the backside batting method using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in which the engagement angle of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and FIG. According pen holder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igh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ni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en holder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elf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eenth embodiment of a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크게 타구부(110), 펜 홀더 그립부(120) 및 쉐이크 그립부(130)를 구비한다.As shown,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provided with a hitting part 110, a pen holder grip part 120, and a shake grip part 130.

상기 타구부(110)는 양면에 한쌍의 러버가 부착된 정면타구부(111),이면타구부(112)로 타구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쉐이크형 탁구 라켓처럼 양면 타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는 통상의 탁구 라켓처럼 타구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형태로 파지할 수 있으면서 그 끝단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그립부(120)를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루는 면이 타구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 hitting part 110 has a hitting surface formed of a front hitting part 111 and a bottom hitting part 112 having a pair of rubbers on both sides thereof. In other words, both sides can be hit like a shake table tennis racket.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hitting portion 110 like a normal table tennis racket, while the tip and the index finger can be gripped in the form of a pen holder, the end of which is hel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t has a shape that can be fitted. 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is held by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he surface formed by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s parallel to the hitting surface.

상기 쉐이크 그립부(130)는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쥘 수 있도록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그립부(120)를 잡은채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강하게 움켜쥐거나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e shake grip unit 1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unit 120 to be held by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That is, while holding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is to be able to strongly grab or close to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상기 쉐이크 그립부(130)는 크기, 형태, 방향, 비틀림에 제한적이지 않으며, 종래의 펜홀더그립부의 길이가 작아짐으로써 라켓을 지지하는 힘이 부족한 형태를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강하게 움켜쥐거나 밀착시키므로써 강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shake grip 130 is not limited in size, shape, direction, and torsion, and has a function of compensating a form lacking a force for supporting a racket by reducing the length of a conventional penholder grip and stopping fingers, ring finger and hand. Strong grip or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ngers to maintain a strong and stable state.

여기서,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와 상기 쉐이크 그립부(130)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의 각도가 90°를 이룰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이내의 예각을 이룰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이상의 둔각을 이룰 수도 있다.Here,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and the shake grip part 130 may be coup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angle therebetween may form 90 °, as shown in FIG. 4, an acute angle within 90 ° may be formed, and an obtuse angle of 90 ° or more as shown in FIG. 5. It can also be achieved.

이 때, 90°나 90°이내의 예각을 이룰 경우에는, 쉐이크 그립부(130)가 펜 홀더 그립부(120) 아래의 어느 부위에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90°이상의 둔각을 이룰 경우에는, 적어도 쉐이크 그립부(130)가 펜 홀더 그립부(120)의 끝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채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 홀더 그립부(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엄지 밀착 그립부(140)를 더 구비하게 되면 펜 홀더 그립부(120) 아래의 어느 부위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At this time, when the acute angle within 90 ° or 90 ° is achieved, the shake grip 130 may be coupled to any portion below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but when at least 90 ° obtuse angle, at least the shake grip portion 130 is preferably coupl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However, as shown in FIG. 6, if the rod-shaped thumb contact grip part 14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is further provided, it may be coupled to any portion below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

여기서, 90°이상의 둔각을 이룰 경우, 적어도 쉐이크 그립부(130)가 펜 홀더 그립부(120)의 끝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채로 결합되거나 엄지 밀착 그립부(140)를 구비해야 되는 이유는 쇼트 타구 시 엄지손가락을 세워서 펜 홀더 그립부(120)와 상기 쉐이크 그립부(130) 사이에 형성된 홈에 지지하거나 엄지 밀착 그립부(140)에 밀착시키기 위함이다.In this case, when the obtuse angle of 90 ° or more is achieved, the reason why the shake grip part 130 is provided with at leas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or the thumb contact grip part 140 should be provided is the thumb at the time of hitting the shot. This is to support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and the shake grip part 130 to stand up or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contact grip part 140.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상기 펜홀더 그립부(120)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손등 그립부(150)를 더 구비하여 타구시 손아귀 부근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어 라켓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타구할 수 있으며, 타구 시 스냅 효과를 더 낼 수가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등 그립부(150)는 상기 펜홀 더 그립부(120)가 손아귀에 일부 또는 전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도 10)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ck grip portion 150 of the form extending from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when hitting the racket without shaking the racket You can hit it stably, and you can get more snap effect when you hit it. In detail, the back grip portion 150 of the hand extends in such a manner that the penholder grip portion 120 is partially or completely fitted to the hand. (Figure 10)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 하부 근처에 중지손가락이 쉐이크 그립부를 쥐지 않은 경우, 중지손가락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타구할 수 있도록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된 형태의 돌출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iddle finger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on the back hitting portion 112 does not hold the shake grip portion,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ding support of the protruding shape that can support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to minimize the hitting more stable.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 하부 근처의 상기 돌출지지부에 타구시에 더욱 센 타구에도 안정되게 타구할 수 있도록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끼울 수 있는 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hit the protruding support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on the back hitting portion 112 in order to be able to hit the ball more stably in hitting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상기 정면타구부(111)상의 엄지가 위치한 부분에 위치하여 그 두께의 정도에 따라 타구면의 수직 정도를 조절하여 더욱 자연스럽고 원할한 타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엄지받침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position where the thumb on the front batting portion 111 is located, and adjusts the vertical degree of the batting surf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ickness more natural and smooth hitting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humb rest that functions to enable.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100)은 종래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사용할 때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그립부(120)를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루는 면이 타구면과 평행을 이루게 됨으로써 이면 타법을 우측면 또는 정면 또는 좌측면으로 자유롭게 구사할 수가 있다.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when using a conventional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as well as the thumb and index finger when holding the pen holder grip 120 Since the surface formed by the index finger is parallel to the hitt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freely use the backside hitting method on the right side or the front side or the left 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이크그립부(130)와 돌출지지부는 유사한 지지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서로 동시에 구비되거나 배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ke grip 130 and the protrusion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similar support function,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or exclusively provid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데, 이면타구의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하여 상기 펜홀더그립부(120)와 타구부(110)의 결합각도를 3차원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1)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the oth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a limited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obvious.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the back hitting, the coupling angle of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and the hitting part 110 may be changed in three dimensions. (Figure 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그립의 크기가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들어와서 그립을 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루는 면과 타구면이 평행을 이루게 됨으로써 수직을 향하게 라켓을 잡을 수 있어 자유롭게 이면 타법을 구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hitting the back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ize of the grip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so that the grip and the index finger are held in parallel with the face formed by the index finger. By doing so, the racket can be held vertically, and the other side can freely use other methods.

또한, 화를 칠 경우에도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타구면의 경사가 이루어져서 편하게 타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ng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mfortably hit because the inclination of the natural hitting surface is made without twisting the wrist.

또한, 이면 타구면이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잡을 수가 있으므로 화쪽으로 넘어오는 공이거나 백쪽으로 넘어오는 공이거나 가운데로 넘어오는 공이거나 모두 이면 타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ing surface can be caught in a form close to the vertic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handled by a ball throwing toward the fire, a ball falling into the back, a ball falling into the middle, or both.

또한, 쉐이크 그립부가 부착된 경우에는 타구시에 쉐이크 그립부를 쥐거나 또는 쉐이크 그립부에 밀착시켜서 타구하므로써, 더욱 안정되고 힘이 있는 화, 쇼 트, 백, 이면 타구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ke grip part is attached, by holding the shake grip part at the time of hitting or hitting the shake grip part in close conta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oes, shot, back, and the back hitting can be more stable and powerful.

또한, 쉐이크 그립부가 부착된 경우에는 화, 쇼트, 백, 이면 타구시 상대가 모르게 순간 쉐이크 그립부를 쥐거나 밀착시키는 위치를 조금씩 변경하여 타구함으로써 상대방이 타구의 방향이 화쪽인지 백쪽인지 인식하기가 어려워서 더욱 많은 득점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ke grip part is attached, it is difficult for the other party to recognize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batter is the Japanese side or the white side by batting by slightly chang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grip grip part is held or adhered momentarily without knowing when the shot, the shot, the back, or the back batter is hit. There are advantages to getting more points.

또한, 쉐이크 그립부가 부착된 경우에는 쉐이크 그립부를 잡은 상태에서 이면 타구 또는 백 핸드 또는 화 타구시 또는 서비스시에 펜 홀더 그립부와 쉐이크 그립부가 회전축 역할을 함으로써 타구면의 순간 가속 회전이 발생하여 더욱 강력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서비스 시에도 더욱 강력한 회전 서브를 넣을 수 있으며 또한 스냅 효과를 발휘하여 더욱 강하고 빠른 타구를 구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ke grip part is attached, the pen holder grip part and the shake grip part serve as a rotation axis when the back grip or the back hand or the shoe hit or the service is held while the shake grip part is held, and thus, the momentary acceleration rotation of the hit face occurs, resulting in a more powerful It can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even more powerful rotational subs in servic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it a stronger and faster hit by snap effect.

또한, 타구면을 세워서 타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네트에서 먼곳 뿐만 아니라 가까운 곳에서도 이면 스매시 타법과 이면 드라이브 타법이 가능하여 속공을 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by hitting the batter uprigh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not only to be far from the net, but also to smash and back drive from near.

또한, 타구면을 세워서 타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타구시에 순간 좌우방향전환이 용이하여 상대가 공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여유를 주지 않고 속공을 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tting surface can be hit by standing up, so it is easy to turn left and right at the time of batting, so that the opponent can apply the speed without giving room to grasp the direction of the ball.

또한, 상기 펜홀더 그립부에 연장되어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손등 밀착 그립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가 되므로써, 종래의 펜홀더 라켓을 사용시 종래의 펜홀더 그립부의 하부에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하여 안정된 타구를 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grip portion extends to the pen holder grip and the back of the hand portion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 the structure that further has a structure, so that when using a conventional pen holder racket, the ha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en holder grip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a stable hit by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이면타구부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 하부 근처에 중지손가락이 쉐이크 그립부를 쥐지 않은 경우, 중지손가락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타구할 수 있도록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된 형태의 돌출지지부를 더 구비하여 안정된 타구를 가능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 finger does not hold the shake grip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on the back hit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hit more stably 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stop finger from side to sid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stable hitting by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support of a protruding shape capable of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이면타구부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 하부 근처의 상기 돌출지지부에 홈을 구비하여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끼워 타구하므로써 타구 시에 더욱 세고 안정된 타구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on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near the bottom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on the back hitting portion, so that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is inserted to hit the ball. There is an advantage to hit harder and more stable.

또한, 본 발명의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은, 상기 정면타구부상의 엄지가 위치한 부분에 엄지받침부를 구비하여 그 두께의 정도에 따라 타구면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여 더욱 자연스럽고 원할한 타구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umb is provided in the portion where the thumb on the front batting portion is located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batter surfa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ickness can be more natural and smooth hitting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의 발명효과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invention effects of 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can perform the backsi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이면을 자유스럽게 사용하는 구조이며, 타구면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어 강한 공을 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It is a structure that uses the back side freely, and the batting surface has an advantage of hitting a strong ball perpendicular to the ground.

기존 라켓에서는 원심력을 일으켜주는 라켓이 없어서, 팔과 몸통을 이용하여 돌려서 원심력을 일으키며, 원심력은 강력한 회전력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중요하 다.Existing rackets do not have a racket that causes centrifugal force, so it is important to use centrifugal force by turning with arms and torso.

본 발명에 따르면 타구부의 아래에 구비된 지지부 또는 세이크 그립부를 이용하므로써 원심력을 쉽게 일으키고 이용할 수 있다. 이면 화 드라이브나 이면 백 드라이브시에 원심력을 이용하여 위력적이고 강력한 회전력을 공에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ifugal force can be easily generated and used by using the support portion or the shake grip portion provided under the hitting portion. In case of the back drive or the back drive, centrifugal force is used to transfer the powerful and powerful turning force to the ball.

기존의 펜홀더는 스윙을 약간 위로 올려치는 느낌이 들지만, 본 발명에 따른 라켓은 수평으로 타구하는 느낌이 더 드는 라켓이다.Conventional penholders feel the swing up slightly, but the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cket that feels more hitting horizontally.

그렇게 타구하므로써 공의 운동방향과 타구면이 수직으로 만나게 되어 약한 스윙에서도 더욱 강한 반발력이 생겨나는 장점이 있다.By hitting such a ball,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ball and the hitting surfac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tronger repulsion occurs even in a weak swing.

본 발명라켓은 화 스매시를 할 때 공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맞도록 수평 스윙으로 타구하여 어깨가 편안하고 강한 공을 칠수가 있다.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t with a horizontal swing to fi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ball when smashing, the shoulder can be hit with a comfortable and strong ball.

또한 화에서 이면(뒷면)으로 스매시 타구가 가능하며, 라켓의 열린 방향에 따라서 상대의 화 또는 백족으로 타구방향 변경이 용이하다.It is also possible to hit the smash from the back to the back (back side).

본 발명라켓은 화 드라이브시에 스매시와 유사하게 수직으로 타구하여 순간 라켓을 앞으로 밀련서 누르므로써 스매시의 강함이 가미된 드라이브가 가능하다.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with the strength of the smash by hitting the racket forward by hitting the racket vertically similarly to the smash during the shoe drive.

또한 화에서 이면(뒷면)으로 드라이브가 가능하며, 특히 서비스 리시브시에 순간 이면드라이브를 걸므로써 상대방의 화 깊은 네트와 모서리의 사이 사각으로 타구가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rive from the back to the back (back side). In particular, it is easy to hit the blind spot between the opponent's deep net and the edge by hanging the back drive at the moment when receiving the service.

본 발명라켓에서 이면 화 드라이브가 용이한 이유는 통상 펜홀더에서 드라이브시공을 올려치면서 다시 내려누르는 동작이, 본 발명에서는 아래면으로 타구하므 로써 라켓의 운동이 자연스럽게 전진회전이 눌려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적당한 각을 유지하여 힘껏 스윙하여도 강한 드라이브가 걸리는 확률이 높은 이점이 있다.The reason why the backside drive is easy in 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peration of pushing down again while raising the construction of the drive in the pen holder is carried out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you keep swinging hard, there is a high chance of getting a strong drive.

또한 방향전환이 용이한 이유는 라켓의 구조상 이면의 각이 많이 위로 열려있어서 약간만 라켓의 앞면의 방향을 틀어 상대의 백쪽 또는 화쪽으로 공이 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acket, because the angle of the back of the rack is open a lo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ll can be directed toward the opponent's back or fire by slightly turning the front of the racket.

상대가 백쪽에서 나의 백쪽으로 공격을 한다면 간단하게 이면 드라이브나 이면 스매시로 비어있는 상대의 화쪽으로 공략이 가능하다.If your opponent attacks you from the back side to the back side, you can simply hit the empty opponent's fire with a drive or a smash.

이면 드라이브는 자연적으로 상대의 화쪽 깊은 곳으로 휘어지게 되어있다.The drive naturally bends deep into the opponent's fire.

본 발명라켓은 기존 펜홀더의 최대 장점인 몸한가운데 공을 쇼트로 처리하는 기능이 동일하며, 오히려 안정된 쇼트와 강한 쇼트가 가능하며, 백쪽으로 오는 공에 대해서도 기존 펜홀더의 백핸드를 구사할 수가 있다.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function of treating the ball as a short in the center of the body, which is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existing pen holder, and is possible to have a stable short and a strong short, and can also use the backhand of the existing pen holder for the ball coming back.

또한 세이크의 장점인 백쪽에서의 공을 이면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더욱 강력하게 구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advantage of the shake is the ability to handle the ball from the back side more powerfully.

더욱 강력하다는 이유는 세이크핸드는 라켓을 손바닥면으로 쥐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인 반응과 튕김이 부자연스러운면이 있지만, 본 발명라켓은 펜홀더처림 쥐고 있으므로 손목으로 스냅을 자유스럽게 구사할 수가 있다. 그로인하여 상대방의 화쪽은 물론 백쪽으로도 용이하게 공을 보낼 수가 있다.The more powerful reason is that since the shake hand holds the racket in the palm of the hand, there is an unnatural side of instantaneous reaction and retraction, but 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the pen freely so that the snap can be used freely by the wrist. This makes it easy to send the ball back to the other side as well as back.

본 발명라켓은 타구면이 편하고 자연스럽게 위로 열려있는 형태이므로, 네트근처에서 이면 스매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of being able to smash in the vicinity of the net, since the hitting surface is comfortable and naturally open.

기존 이면용 라켓으로는 중펜을 들수가 있는데, 타구면이 앞으로 많이 숙여 져 있으므로 인하여 이면 스매시보다는 이면드라이를 하는데 주로 이용한다.The existing backing racket can be a heavy pen, because the batter is leaned a lot in front of the back smash rather than smash is mainly used to dry.

본 발명라켓은 이면스매시와 이면드라이브를 모두 구사하는 데 용이하며, 서비스 리시브시에도 순간 이면 백드라이브 또는 이면 화 드라이브를 구사하는데 용이하다.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oth the back smash and the back drive, and is also easy to use the back drive or the back drive when the service is received.

백쪽에서 경우에 따라 기존 펜홀더처럼 백쇼트를 대다가 이면백핸드 스매시를 구사하는 것을 자유자재로 번갈아가면서 할 수가 있다.In the case of the back side, it is possible to alternately use the back hand smash by holding the back shot like the existing pen holder.

그동안 거의 실전상 구현이 불가능했던 화 이면 드라이드나 화 이면 스매시가 가능한 새로운 효과가 있다.There are new effects that can be driven by a dry drive or a smash if it is almost impossible to implement in practice.

본 발명라켓은 이면타법을 강점으로 하기 때문에 역시 이면타법에 강한 기존의 세이크핸드 전형의 선수도 쉽게 적응 가능하다.Since the 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ength of the back hitting method, a player of the conventional shake hand type which is also strong in the back hitting method can be easily adapted.

종래의 펜홀더 라켓형태와 유사하므로 역시 펜홀더의 쇼트와 스매시를 살려서 기존 펜홀더 선수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Since it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penholder racket form,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use the existing penholder player by utilizing the short and smash of the penholder.

만일 탁구를 처음으로 배우는 사람이 사용하여 익힌다면, 반사적으로 양면을 사용하여 많은 득점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 first person learns to play ping-pong, it is easy to reflexively use both sides to get many points.

Claims (10)

펜 홀더형 탁구 라켓으로서,As a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양쪽면에 한쌍의 러버가 부착된 정면타구부(111),이면타구부(112)로 구성된 타구부(110)와;A hitting part 110 including a front hitting part 111 and a bottom hitting part 112 having a pair of rubbers attached to both sides thereof; 상기 타구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펜 홀더 형태로 파지할 수 있으면서 그 끝단이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의 손아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펜 홀더 그립부(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hitting unit 110, while holding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of the shape that can be gripped in the form of a pen holder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can be fitted to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finger. Pen holder type ping pong racket which is available for back side punch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쥐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쉐이크 그립부(13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is a pen holder capable of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ake grip portion 130 of the shape that can be gripped or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holding finger. Type table tennis racke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엄지손가락을 세워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엄지 밀착 그립부(14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thumb contact grip portion 140 of the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up.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 근처에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A pen capable of backing,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to support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on the back hitting portion 112. Holder table tennis racke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펜홀더 그립부(120)에 연장되어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손등 밀착 그립부(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타법이 가능한 펜홀더형 탁구라켓.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further comprises a hand contact grip part 150 having a shape capable of bringing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 근처에 중지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지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The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top finger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ortion 120 on the back hitting portion 112.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펜홀더 그립부(120)에 연장되어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손등 밀착 그립부(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면타법이 가능한 펜홀더형 탁구라켓.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further comprises a hand contact grip part 150 having a shape capable of bringing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펜홀더 그립부(120)에 연장되어 엄지손가락 및 검지손가락 사이 손아귀 부분의 손등을 밀착시킬 수 있는 형상의 손등 밀착 그립부(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면타법이 가능한 펜홀더형 탁구라켓.The pen holder-type table tennis racket, which is further extended to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further comprises a hand contact grip part 150 having a shape capable of bringing the back of the han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 근처의 돌출지지부에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끼울 수 있는 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면타법이 가능한 펜홀더형 탁구라켓.The back hitting method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on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on the back hitting part 112. Penholder table tennis racke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면타구부(112)상의 상기 펜 홀더 그립부(120)의 하부 근처의 돌출지지부에 중지손가락, 약지손가락 및 소지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끼울 수 있는 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면타법이 가능한 펜홀더형 탁구라켓.The back hitting method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roov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f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holding finger on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pen holder grip part 120 on the back hitting part 112. Penholder table tennis racket.
KR1020070029961A 2007-03-02 2007-03-27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2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761 2007-03-02
KR1020070020761 2007-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249B1 true KR100817249B1 (en) 2008-03-27

Family

ID=3941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249B1 (en) 2007-03-02 2007-03-27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4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4837A1 (en) * 2018-06-19 2019-12-26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WO2021172807A1 (en) * 2020-02-27 2021-09-02 강민구 Table tennis racket including finger support part
KR20210109419A (en) * 2020-02-27 2021-09-06 강민구 Pingpong rackets with a finger support
WO2023018354A3 (en) * 2021-08-10 2023-04-06 Евгений Николаевич СОПИТЬКО Game set
JP2023065752A (en) * 2021-10-28 2023-05-15 星二 古屋 table tennis racket
JP7469149B2 (en) 2020-06-17 2024-04-16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329B2 (en) 2004-02-13 2005-11-29 Victor Popovich Table tennis paddle with two hand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9329B2 (en) 2004-02-13 2005-11-29 Victor Popovich Table tennis paddle with two handl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4837A1 (en) * 2018-06-19 2019-12-26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CN111163846A (en) * 2018-06-19 2020-05-15 安井明 Table tennis bat
JP7308825B2 (en) 2018-06-19 2023-07-14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TWI781324B (en) * 2018-06-19 2022-10-21 安井明 billiard racket
JPWO2019244837A1 (en) * 2018-06-19 2021-09-16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CN111163846B (en) * 2018-06-19 2021-10-29 安井明 Table tennis bat
KR102396371B1 (en) * 2020-02-27 2022-05-12 강민구 Pingpong rackets with a finger support
KR20210109419A (en) * 2020-02-27 2021-09-06 강민구 Pingpong rackets with a finger support
JP2023505618A (en) * 2020-02-27 2023-02-09 グ カン、ミン Table tennis racket including finger support
WO2021172807A1 (en) * 2020-02-27 2021-09-02 강민구 Table tennis racket including finger support part
JP7337418B2 (en) 2020-02-27 2023-09-04 グ カン、ミン Table tennis racket including finger support
JP7469149B2 (en) 2020-06-17 2024-04-16 明 安井 Table Tennis Racket
WO2023018354A3 (en) * 2021-08-10 2023-04-06 Евгений Николаевич СОПИТЬКО Game set
JP2023065752A (en) * 2021-10-28 2023-05-15 星二 古屋 table tennis 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05B1 (en) Shake hand-type ping pong rackets with protrusions
KR100817249B1 (en) Pen holder typ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available for back side
JP6500156B1 (en) Table tennis racket
JP2010284499A (en) Racket grip aid
KR20090045455A (en) Table tennis racket
KR200488250Y1 (en) Table Tennis Racket with hole and grip
KR100797270B1 (en) Double-sided table tennis racket with acute angled blades and grips
US20090011874A1 (en) Lacrosse Head Having an Ergonomic Throat
JP4736410B2 (en) Table tennis racket
KR102408179B1 (en) Table-tennis racket
KR20120125834A (en) Penholder type pingpong bat
JP3184479U (en) Table tennis racket
CN204106991U (en) A kind of straight racket for ping-pong ball by-blow New racket
KR20080111867A (en) Double-sided pen holder table tennis racket
KR200481957Y1 (en) Table tennis racket
CN104307150A (en) Novel table tennis bat for backhand drive with reversed side
KR20230149750A (en) Accessories For Grip Of Sports Tool Handle
CN207253683U (en) Table tennis bat and athletic equipment
KR20170112301A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hand
CN115970241B (en) Table tennis racket
KR20120080046A (en) A racket for ping-pong
KR200428238Y1 (en) Table tennis racket
CN209392691U (en) Pen-holding type pingpong bat
CN211836198U (en) A horizontal grip table tennis racket
CN101185805A (en) Ping pong pad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