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133491A - 치료 기구 - Google Patents

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491A
KR20160133491A KR1020167028080A KR20167028080A KR20160133491A KR 20160133491 A KR20160133491 A KR 20160133491A KR 1020167028080 A KR1020167028080 A KR 1020167028080A KR 20167028080 A KR20167028080 A KR 20167028080A KR 20160133491 A KR20160133491 A KR 2016013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herapeutic
barrel
hol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814B1 (ko
Inventor
고지 니시다
다케시 소마
유스케 고토
기쿠오 미토모
Original Assignee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꾸리쯔 다이가꾸 호우징 오사까 다이가꾸
Publication of KR2016013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8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95Packages or dispensers for prostheses or othe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or corneal implants;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impla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rosthes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료 기구 (20) 는,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지지하는 혀상의 지지부 (50) 를 갖는 지지 부재 (25) 와,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지지부 (50) 를 수납 가능한 통부 (30) 를 가짐과 함께, 통부 (30) 의 선단에 지지부 (50) 를 출납 가능한 개구 (34) 가 형성된 노즐 부재 (23) 와, 통부 (30) 내에 지지부 (50) 와 함께 수납한 치료용 물질을, 개구 (34) 를 통해 통부 (30) 밖으로 압출하기 위해서 통부 (30) 내에 양압을 작용시키는 시린지 유닛 (22) 과, 치료용 물질을 지지부 (50) 와 함께 통부 (30) 에 수납한 상태에서, 통부 (30) 내에 의료수를 공급했을 때에, 지지부 (50) 와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지부 (50) 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 (53) 를 포함하는 수류 형성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치료 기구{THERAPEUTIC TOOL}
본 발명은,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할 때에 사용하기 바람직한 치료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자 혹은 도너로부터 채취된 세포를 시트상으로 배양, 재생하고, 이 세포 시트를 환부에 이식하는 많은 치료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세포 시트에 의한 치료 기술의 적용 범위는 광범위하게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치료 기술은, 안과 분야에 있어서의 각막 내피 장애의 치료, 망막의 결손 조직의 치료 외에, 심근경색의 치료, 소화관 내벽의 내시경적 절제 지점의 치료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치료에는, 환부에 대한 세포 시트의 공급 시에 인체에 대한 침습의 정도가 낮을 것, 취약한 세포 시트를 보호할 수 있을 것, 이식 시에 세포 시트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적정한 형상으로 전개할 수 있을 것, 이식 시의 작업성이 우수할 것 등이 요구된다.
전술한 세포 시트와 같은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하기 위한 치료 기구로서, 본 출원인은, 원통상의 외통과, 이 외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부재와,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지지해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외통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된 자유 상태에서는 평면상의 전개 상태로 유지되고, 슬라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외통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외통의 선단부에 맞닿아 롤상으로 변형되면서 외통 내에 수납되는 시트상 지지 부재를 갖는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2 를 참조).
또 종래에 있어서는, 심층 각막 내피 이식술 (DLEK) 용으로 특화된 의학 툴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을 참조). 이 의학 툴에 있어서는, 툴 본체로부터 돌출시킨 유연 기판으로 각막 도너 디스크를 지지하고, 플런저 등에 의한 기계적인 구동 기구에 의해, 툴 본체에 대해 유연 기판을 출납하는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치료 기구는, 비교적 저비용으로 얻어지고, 또한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단, 각막 부분에의 이식 시에 시트상 지지 부재가 치료용 물질과 함께 전개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의 이식에는 약간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의학 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각막 도너 디스크를 지지한 유연 기판을 구동 기구에 의해 인입하여 툴 본체에 수납할 때에, 각막 도너 디스크가 툴 본체에 걸리거나 해, 각막 도너 디스크의 수납 상태가 불완전해지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 결과, 툴 본체로부터 각막 도너 디스크를 압출할 때에, 각막 도너 디스크가 툴 본체 내에서 막히는 경우가 있어, 확실성이 부족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통상의 공간에 수납한 후, 그곳으로부터 치료용 물질을 압출해 환부에 공급하는 경우에, 그 압출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치료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4 를 참조). 이 치료 기구는,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수납함과 함께, 그 수납한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하기 위한 치료 기구이고, 치료용 물질을 변형시켜 수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통부를 가짐과 함께, 치료용 물질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를 통부의 선단에 갖는 노즐 부재와, 이 노즐 부재의 통부 내에 음압 및 양압을 선택적으로 작용시키는 압력 생성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통부의 공간은, 치료용 물질을 통부에 수납할 때에는, 압력 생성 수단에 의해 통부 내에 음압을 작용시켜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로 흡입하기 위한 공간이 된다. 또, 통부의 공간은, 흡입에 의해 통부 내에 수납한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할 때에는, 압력 생성 수단에 의해 통부 내에 양압을 작용시켜 치료용 물질을 통부 밖으로 압출하기 위한 공간이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8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11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9-524486호 국제 공개 제2012/018006호 팜플렛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치료 기구에 대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새로운 과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하, 설명한다.
통상적인 안과 수술에서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치료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에 수납하는 작업은, 환자의 안구에 치료용 물질을 공급하기 직전에 실시된다. 이 때문에,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에 수납하고 나서 통부 밖으로 압출할 때까지의 시간은, 길어도 2 ∼ 3 분 정도에 그친다고 생각된다. 이 정도의 시간이면, 특별히 문제 없이 치료용 물질을 통부 밖으로 압출할 수 있다.
단, 안과 수술에서는 반드시 당초의 예정 대로에 수술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치료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에 수납해 사용의 준비를 하고, 막상 환부에 치료용 물질을 공급하려고 했을 때에, 환자의 안압이 지나치게 약해 조정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안압의 조정을 마칠 때까지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에 수납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안압의 조정을 마치고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하려고 했을 때에는, 통부 내에 치료용 물질을 수납하고 나서 상당한 시간 (예를 들어, 5 분 이상) 이 경과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치료용 물질이 통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즉,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혀상의 지지부로 지지하고, 이 지지부와 함께 치료용 물질을 통부 내에 수납하고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치료용 물질이 지지부에 첩부 (貼付) 되어 잘 압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단,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치료용 물질을 다른 치료용 기구에 다시 세트해 재사용하게 되지만, 재사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가의 치료용 물질이 쓸모없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치료 기구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문헌 2 또는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것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치료용 물질이 통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져도, 치료용 물질을 통부 밖으로 순조롭게 압출할 수 있는 치료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지지하는 혀상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수납 가능한 통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부의 선단에 상기 지지부를 출납 가능한 개구가 형성된 노즐 부재와,
상기 통부 내에 상기 지지부와 함께 수납한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통부 밖으로 압출하기 위해서 상기 통부 내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양압 발생 수단과,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통부 내에 의료수를 공급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양압 발생 수단은, 상기 통부의 후단측으로부터 당해 통부 내로 의료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통부 내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띄워서 지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압 발생 수단이 공급하는 상기 의료수를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도입해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양태에 기재된 치료 기구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이 형성하는 수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돌출 치수가, 하류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돌출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2 양태에 기재된 치료 기구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통부에 형성된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관통공에 대응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에 겹치는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통부 내에 의료수를 주입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료 기구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통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1 절입부에 대응해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에 겹치는 제 2 절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2 절입부가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통부 내로 의료수를 주입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 1 ∼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료 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료용 물질이 통부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져도, 치료용 물질을 통부 밖으로 순조롭게 압출할 수 있다.
도 1 은 안구의 평면적인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각막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측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5 의 도면 중 (A) 는 도 4 의 (A) 의 P 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면 중 (B) 는 노즐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 은 유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하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평면도이다.
도 7 의 도면 중 (A) 는 유지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B) 는 유지 부재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 은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지지 부재의 지지부를 폭 방향으로 단면한 도면이다.
도 10 은 시일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도 11 은 바늘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측면도, (B) 는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 는 연결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 13 의 도면 중 (A) 는 연결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B) 는 연결 부재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 는 누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후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C) 는 측면도이다.
도 15 는 지지 부재에 시일 부재와 바늘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조립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조립이 완료된 본체 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측단면도이다.
도 17 은 치료 기구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그 1) 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측단면도이다.
도 18 은 치료 기구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그 2) 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측단면도이다.
도 19 는 치료 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은 수류 형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5 는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 은 수류 형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30 은 지지부에 각막 내피층을 얹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31 은 각막 내피층을 지지한 지지부를 통부 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도 32 는 도 31 의 (B) 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3 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의료수의 주입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치료 기구를, 예를 들어 안과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기구로서 적용한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각막 내피 세포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각막 내피 이식 수술 (DSAEK) 에 사용되는 치료 기구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치료 기구는, 안과 수술용 기구에 대한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안과 이외의 의료용 수술 기구, 나아가서는 의료용 이외의 일반적인 용도, 예를 들어 각종 실험용 (또는 시험용) 기구로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음의 순서로 설명을 실시한다.
1. 안구의 구조
2.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구성
3. 치료 기구의 제조 방법 (조립 순서)
4. 치료 기구의 사용 방법
5.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6. 제 2 실시형태의 설명
7. 제 3 실시형태의 설명
8. 제 4 실시형태의 설명
9. 제 5 실시형태의 설명
10. 변형예 등
<1. 안구의 구조>
(안구의 전체 구조)
도 1 은 안구의 평면적인 단면 (斷面)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와 같이, 안구 (1) 는, 전체적으로 구상을 이루고, 전방의 각막 (2) 부분을 제외하고 강막 (3) 에 의해 피복 보호되고 있다. 각막 (2) 주위의 강막 (3) 의 표면은 결막 (4) 으로 덮여 있다. 각막 (2) 은, 안구 보호 기능 외에,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광을 굴절시키는 렌즈 기능을 달성한다. 각막 (2) 의 내측 (이면측) 에는, 방수 (房水) 로 채워진 전방 (前房)(5) 이 있고, 이 전방 (5) 에 면해 홍채 (6) 의 중앙에 동공 (7) 이 있다.
홍채 (6) 는, 동공 (7) 의 크기 (개구의 치수) 를 조절함으로써, 안구 (1) 의 내부에 입사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동공 (7) 에는 수정체 (8) 의 전방면이 임하고 있다. 수정체 (8) 에는, 모양소대 (9) 를 개재하여 모양체 (10) 가 연결되어 있다. 모양체 (10) 는, 수정체 (8) 의 두께를 제어해 핀트 맞춤을 실시하는 근육 조직이다.
수정체 (8) 의 이면측에는 초자체 (11) 가 있다. 초자체 (11) 는, 안구 (1)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초자체 (11) 는, 젤리상의 무색 투명한 조직이고, 안구 (1) 의 형상과 탄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 초자체 (11) 는, 수정체 (8) 에서 굴절된 광선을 망막 (13) 까지 보내는 기능을 한다. 망막 (13) 은, 안구 (1) 의 내부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막조직이다. 망막 (13) 에는, 동공 (7) 을 통해 안구 (1) 내로 입사하는 광을 느끼고, 그 강도, 색, 형태 등을 식별하는 시세포가 존재한다.
망막 (13) 의 외측에는 맥락막 (14) 이 있다. 맥락막 (14) 은, 강막 (3) 의 내측 (요컨대, 강막 (3) 과 망막 (13) 사이) 에 위치하는 막조직이다. 맥락막 (14) 은, 혈관이 풍부하고, 안구 (1) 의 각 조직으로의 혈류로로서, 안구 (1) 내에 영양을 주는 역할도 달성한다. 또한, 안구 (1) 의 후측 (이면측) 에는 시신경 (15) 이 연결되어 있다. 시신경 (15) 은, 망막 (13) 이 받은 광 자극을 뇌에 전달하는 신경이다. 시신경 (15) 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맹점 (16) 이 존재한다. 맹점 (16) 은, 중심와 (17) 에서 4 ∼ 5 ㎜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있다.
(각막의 구조)
도 2 는 각막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각막 (2) 은, 다층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막 (2) 은, 각막 상피층 (2a) 과, 보우만막 (2b) 과, 각막 실질층 (2c) 과, 데스메막 (내경계판)(2d) 과, 각막 내피층 (2e) 을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각막 상피층 (2a) 은, 각막 (2) 의 최표층에 존재하는 것이고, 5 ∼ 6 층의 중층 편평 상피 세포로 이루어진다. 보우만막 (2b) 은, 각막 상피층 (2a) 과 각막 실질층 (2c)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고, 두께 10 ㎛ 정도의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진다.
각막 실질층 (2c) 은, 보우만막 (2b) 과 데스메막 (2d)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고, 각막 전체층의 90 % 를 차지한다. 데스메막 (2d) 은, 각막 실질층 (2c) 과 각막 내피층 (2e)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고, 두께 5 ∼ 10 ㎛ 의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다. 각막 내피층 (2e) 은, 각막 (2) 의 가장 내측에 존재하는 것이고, 두께 5 ㎛ 의 편평 육각형의 1 층의 세포 (각막 내피 세포) 로 이루어진다.
<2.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구성>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치료 기구 (20) 는,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수납함과 함께, 그 수납한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막 내피 세포 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각막 내피 이식의 수술에 사용되는 치료 기구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는, 각막 내피 이식 수술을 실시하는 안과의가 취급하는 수술용 기구의 하나가 된다. 또, 그 이식 수술 시에는, 예를 들어 도너로부터 채취해 배양된 각막 내피층이,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이식에 사용되는 각막 내피층은, 직경 8.0 ∼ 9.0 ㎜ 정도의 원형의 시트상 물질이 된다. 또, 각막 내피층의 공급은, 질환 부분이 되는 안구의 각막 부분 (상세하게는 각막 내피층의 이식 대상 부위) 에 대해 실시된다.
치료 기구 (20) 는, 크게는 본체 유닛 (21) 과, 시린지 유닛 (22) 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 유닛 (21) 과 시린지 유닛 (22) 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할 때에는, 도 3 의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평면도, 도 3 의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하면도로 한다.
(본체 유닛의 구성)
본체 유닛 (21) 은, 크게는 노즐 부재 (23) 와, 유지 부재 (24) 와, 지지 부재 (25) 와, 시일 부재 (26) 와, 바늘 부재 (27) 와, 연결 부재 (28) 와, 누름 부재 (29)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 부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노즐 부재)
도 4 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측면도, (B) 는 하면도이다. 또, 도 5 의 (A) 는 도 4 의 (A) 의 P 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 의 (B) 는 노즐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노즐 부재 (23) 는, 치료용 물질이 되는 각막 내피층의 수납이나 공급 등의 주요한 기능을 달성한다. 노즐 부재 (23) 는, 예를 들어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중공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 부재 (23) 를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구성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노즐 부재 (23) 는, 통부 (30) 와, 1 쌍의 손가락 접촉부 (32) 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통부 (30) 는, 통상의 공간 (33) 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공간 (33) 은, 단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공간 (33) 은, 통부 (30) 의 중심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통부 (30) 를 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본체 유닛 (21) 에 시린지 유닛 (22) 을 장착하여 치료 기구 (20) 를 구성하고, 이 치료 기구 (20) 를 사용하여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할 때에, 환부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단부 (端部) 를 「선단」, 환부로부터 먼 측에 배치되는 단부를 「후단」이라고 한다. 또, 치료 기구 (20) 를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1 쌍의 손가락 접촉부 (32) 가 돌출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서술한 공간 (33) 은, 통부 (30) 의 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균일한 단면 형상 (타원 형상) 이고, 또한 균일한 개구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 (30) 의 선단에는 공간 (33) 에 통하는 개구 (34) 가 형성되고, 통부 (30) 의 후단에도 공간 (33) 에 통하는 개구 (35)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개구 (34, 35) 는, 공간 (33) 의 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 (30) 의 선단측은, 개구 (34) 의 단축 방향에 있어서, 그 외형 부분이 테이퍼상 (편평) 으로 좁혀져 있다. 또한, 그 좁혀진 부분보다 통부 (30) 의 선단측 부분은 얇게 형성되고, 이 얇은 부분이 주둥이부 (36) 로 되어 있다. 주둥이부 (36) 는, 치료용 물질을 환부에 공급할 때에, 이 환부에 임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주둥이부 (36) 의 선단은, 노즐 부재 (23) 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노즐 부재 (23) 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컷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 부분에 개구 (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부 (30)(주둥이부 (36)) 의 선단을 경사진 컷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주로 두가지 있다. 하나는, 후술하는 압출 공정에 있어서, 환부의 일례가 되는 각막 부분에 각막 내피층을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다른 하나는, 절개창에의 통부 (30)(주둥이부 (36))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주둥이부 (36) 의 두께(두꺼움)는, 예를 들어 0.05 ∼ 0.2 ㎜ 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 주둥이부 (36) 의 길이 (L)(도 4 의 (B) 를 참조) 는, 예를 들어 1 ∼ 7 ㎜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서술한 개구 (34) 는, 주둥이부 (36) 의 선단부에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 (34) 의 단면의 경사 각도 (θ)(도 5 의 (A) 를 참조) 는, 각막 내피 이식 시의 치료용 물질의 공급 용이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통부 (30) 의 중심축에 대해 θ = 45 ∼ 60° 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1 쌍의 손가락 접촉부 (32) 는, 통부 (30) 의 후단측이고 또한 통부 (30) 의 외주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손가락 접촉부 (32) 는, 각각에 대응하는 날개부 (37) 를 개재하여 통부 (30) 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날개부 (37) 는, 통부 (30) 의 외주부로부터 당해 통부 (30) 의 직경 방향 (개구 (35) 의 장축 방향) 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날개부 (37) 는, 개구 (35) 의 장축의 축선 상에, 당해 장축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1 쌍의 손가락 접촉부 (32) 는,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에 대응하는 날개부 (37) 와의 조합으로 전체적으로 T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손가락 접촉부 (32) 는, 개구 (35) 의 단축과 대략 평행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손가락 접촉부 (32) 의 외면에는, 실제로 손가락끝의 복부를 대어 노즐 부재 (23) 를 협지했을 때의 안정성을 배려해, 각각 평면으로 볼 때 요면상의 함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손가락 접촉부 (32) 의 외면은, 치료 기구 (20) 의 사용 시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억제하기 위해서, 복수 (다수) 의 세구 (細溝) 가 통부 (30) 의 축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형태의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유지 부재)
도 6 은 유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하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평면도이다. 또 도 7 의 (A) 는 유지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B) 는 유지 부재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유지 부재 (24) 는, 노즐 부재 (23) 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상대 이동」이란, 구조적으로 독립된 2 개의 부재가 본체 유닛 (21) 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본체 유닛 (21) 의 중심축 방향은,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의 중심축 방향, 유지 부재 (24) 의 중심축 방향, 바늘 부재 (27) 의 중심축 방향, 치료 기구 (20) 의 중심축 방향 모두 일치하는 방향이 된다.
유지 부재 (24) 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부재이다. 유지 부재 (24) 는, 전체적으로 중공부 (40) 를 갖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원형의 개구 (41, 42) 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의 양측에는, 유지 부재 (24) 와 중심축 방향과 평행으로 가늘고 긴 슬릿 (43) 이, 좌우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릿 (43) 은, 유지 부재 (24) 의 후단의 개구 (42) 로부터 유지 부재 (24) 의 선단 부근까지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의 선단측에는 작은 돌기 (44)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44) 는, 날개부 (37) 에 손가락을 대어 노즐 부재 (23) 를 상대 이동시켰을 때에, 시각적으로 날개부 (37) 의 정지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 즉,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선단측으로 이동 (전진) 시켜 가면, 돌기 (44) 에 날개부 (37) 가 근접해 간다. 그리고, 노즐 부재 (23) 를 이동 종단의 근처까지 전진시키면, 돌기 (44) 와 날개부 (37)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좁아진다. 따라서, 이 간극의 대소에 의해 날개부 (37) 의 정지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유지 부재 (24) 의 외주면에는, 슬릿 (43) 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각각 상이한 요철 무늬 (45, 46) 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 무늬 (45) 는, 대략 V 자형의 무늬를 유지 부재 (24) 의 중심축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형태의 무늬로 되어 있다. 요철 무늬 (46) 는, 유지 부재 (24) 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선상의 무늬를 원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형태의 무늬로 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 (24) 에는 가이드홈 (38)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 (38) 은, 유지 부재 (24) 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으로 가늘고 길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 (38) 은, 유지 부재 (24) 의 외주벽을 관통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 (38) 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관통공 (39) 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 (38) 과 관통공 (39) 은, 각각 중공부 (40) 에 연결되어 있다. 관통공 (39) 의 직경은, 가이드홈 (38) 의 도랑폭 (짧은 쪽 방향 치수)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의 후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 (24) 의 후단부에는, 유지 부재 (24) 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1 쌍의 걸림 구멍 (47)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걸림 구멍 (47) 은, 1 쌍의 슬릿 (43) 과 원둘레 방향으로 90°위상을 어긋나게 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 부재 (24) 의 후단부에는, 1 쌍의 절결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절결부 (48) 는, 각각에 대응하는 걸림 구멍 (47) 의 형성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
도 8 은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지지 부재 (25) 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 (25) 는, 지지부 (50) 와, 기부 (51) 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지지부 (50) 는, 전술한 치료용 물질의 일례로서의 각막 내피층을 지지하는 것이다. 기부 (51) 는,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지지부)
지지부 (50) 는, 예를 들어 두께가 0.08 ㎜ 정도의 얇은 혀상 (시트상) 의 부재로 되어 있다. 지지부 (50) 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는, 대략 평면적으로 전개한 상태가 된다. 또, 지지부 (50) 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했을 때에,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 (50) 의 외형 (평면 형상) 은, 전체적으로 둥근 「가지형」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 (50) 의 둥근 부분의 외형 치수는, 지지부 (50) 에 지지되는 각막 내피층의 외형 치수와 동일한 치수로 설정해도 되고, 각막 내피층의 외형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 또는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해도 된다. 여기서 기술하는 「약간」이란, 바람직하게는 0.2 ∼ 1.0 ㎜ 의 치수 범위를 말한다.
지지부 (50) 의 기단측은 서서히 폭이 좁게 좁혀지고 있다. 단, 지지부 (50) 의 기단부 근방에는, 부분적으로 폭이 넓은 튀어나옴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튀어나옴부 (52) 는, 지지부 (50) 의 형상을 맞추거나, 그 형상을 유지하거나 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지지부 (50) 의 표면에는, 도 9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부 (53) 는, 지지부 (50) 의 면 방향으로 가늘고 길며 곧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부 (53) 는, 지지부 (50) 의 표면 (각막 내피층을 지지하는 측의 면) 을 기준면으로 해서, 예를 들어 0.10 ㎜ 정도의 돌출 치수 (높이)(H) 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지지부 (50) 의 선단쪽의 대략 절반의 영역에 형성된 볼록부 (53) 를 선단측 볼록부 (53a) 로 하고, 지지부 (50) 의 후단쪽의 대략 절반의 영역에 형성된 볼록부 (53) 를 후단측 볼록부 (53b) 로 한다.
선단측 볼록부 (53a) 는, 지지 부재 (25) 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볼록부 (53a) 는, 지지부 (50) 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도시예에서는 7 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후단측 볼록부 (53b) 는 3 개 형성되어 있다. 3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 중, 지지 부재 (25) 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후단측 볼록부 (53b-1) 는, 지지 부재 (25) 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 2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2) 는, 지지 부재 (25) 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운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 2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2) 는, 후단측 볼록부 (53b-1) 를 사이에 두도록 좌우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 양측 2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2) 는, 지지부 (50)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양자 간격이 서서히 커지도록 대략 V 자형을 따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기부)
기부 (51) 는,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상대 이동시킨 경우에, 유지 부재 (24) 와는 상대 이동하지 않고, 노즐 부재 (23) 와 상대 이동하는 것이다. 기부 (51) 는,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통부 (30) 내의 공간 (33) 의 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 (51) 는, 원형의 구멍부 (56a) 와 타원형의 구멍부 (56b) 를 동일축 상에 갖는 중공의 부재로 되어 있다. 구멍부 (56a) 는 기부 (51) 의 후단측에 형성되고, 구멍부 (56b) 는 기부 (51) 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 (56b) 는, 기부 (51)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서서히 구멍의 폭 (장축 치수) 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지지부 (50) 는, 구멍부 (56b) 를 막지 않도록, 기부 (51) 의 단축 방향의 일단측에 대어 배치되어 있다.
한편, 기부 (51) 의 외주부에는 홈부 (57) 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 (57) 는, 후술하는 시일 부재 (26) 를 기부 (51) 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홈부 (57) 가 형성된 부분의 기부 (51) 의 외형은, 타원형이 아닌 원형으로 되어 있다.
(시일 부재)
도 10 은 시일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C) 는 하면도이다.
시일 부재 (26) 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의 합성 고무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26) 는, 구멍 (59) 을 갖는 중공의 부재이다. 시일 부재 (26) 의 외형은, 상기 서술한 기부 (51) 의 외형과 마찬가지로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구멍 (59) 의 형상은, 기부 (51) 의 홈부 (57)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외주 형상에 대응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 (26) 는, 기부 (51) 의 홈부 (57) 에 장착됨으로써, 마개를 구성한다. 즉,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상대 이동시키면, 이 상대 이동 중에 시일 부재 (26) 의 외주면이 통부 (3) 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써 시일 부재 (26) 가 마개의 역할을 달성한다.
(바늘 부재)
도 11 은 바늘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측면도, (B) 는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바늘 부재 (27) 는, 금속제의 가늘고 긴 관상의 부분이다. 바늘 부재 (27) 의 구성 재료로서는, 바람직하게는 SUS304 등의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늘 부재 (27) 는, 축구멍 (27a) 을 갖고,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늘 부재 (27) 의 외경은, 상기 서술한 기부 (51) 의 구멍부 (56a) 의 직경에 대응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바늘 부재 (27) 의 양 끝은, 모두 중심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플랫한 형상으로 컷되어 있다.
(연결 부재)
도 12 는 연결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또, 도 13 의 (A) 는 연결 부재를 선단측으로부터 본 도면, (B) 는 연결 부재를 후단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연결 부재 (28) 는, 본체 유닛 (21) 에 대해 시린지 유닛 (22) 을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연결 부재 (28) 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 (28) 는, 크게는 바늘 접속부 (61) 와, 시린지 접속부 (62) 와, 계착부(係着部) (63) 를 일체로 갖고 있다.
(바늘 접속부)
바늘 접속부 (61) 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늘 접속부 (61) 에는 관통공 (64)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4) 의 구멍 직경은, 연결 부재 (28) 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이로써 관통공 (64) 이 단이 형성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 관통공 (64) 의 구멍 직경은, 상기 서술한 바늘 부재 (27) 의 외경에 대응해 설정되어 있다. 바늘 접속부 (61) 의 외주면에는, 1 쌍의 스토퍼편 (60)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스토퍼편 (60) 은, 연결 부재 (28) 를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토퍼편 (60) 은, 유지 부재 (24) 의 후단부에 연결 부재 (28) 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지 부재 (24) 의 슬릿 (43) 에 걸어맞춰지는 것이다.
(시린지 접속부)
시린지 접속부 (62) 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 접속부 (62) 에는 관통공 (65)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65) 은, 연결 부재 (28) 의 중심축 방향으로 바늘 접속부 (61) 의 관통공 (64) 과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관통공 (65) 의 구멍 직경은, 바늘 접속부 (61) 의 관통공 (64) 의 구멍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관통공 (65) 의 구멍 직경은, 후술하는 시린지 (74) 의 끼워넣음부 (76) 의 외경에 대응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관통공 (65) 의 구멍 직경은, 연결 부재 (61)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시린지 접속부 (62) 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루어락용 튀어나옴부 (66) 가 형성되어 있다. 튀어나옴부 (66) 는, 시린지 접속부 (62) 의 직경 방향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튀어나옴부 (66) 는, 연결 부재 (28) 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착부)
계착부 (63) 는, 바늘 접속부 (61) 와 시린지 접속부 (62) 의 이음매 부분에 플랜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착부 (63) 에는, 1 쌍의 걸림 클로 (67)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걸림 클로 (67) 는, 연결 부재 (28) 의 중심축 둘레의 원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1 쌍의 스토퍼편 (60) 과 90°위상을 어긋나게 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걸림 클로 (67) 는, 적당한 가요성을 갖는 것이고, 연결 부재 (28) 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걸림 클로 (67) 는,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24) 에 형성된 1 쌍의 걸림 구멍 (47) 에 걸리는 것이다.
(누름 부재)
도 14 는 누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A) 는 평면도, (B) 는 후단측에서 본 도면, (C) 는 측면도이다.
누름 부재 (29) 는, 각막 내피 이식의 수술을 실시할 때에, 필요에 따라 홍채 (6)(도 1 을 참조) 를 누르기 위해서 (홍채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재이다. 누름 부재 (29) 는, 예를 들어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고, 박판상으로 연장되는 누름부 (70) 와, 이 누름부 (70) 보다 두꺼운 지지편 (71) 과, 이 지지편 (71) 의 단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부 (72) 와, 이 기둥부 (72) 의 돌출단 (突出端) 에 형성된 걸림부 (73) 를 가지고 있다. 누름부 (70) 는, 각막 내피 이식의 수술 시에 눈 내에 삽입되어 홍채 (6) 를 누르는 것이다. 지지편 (71) 은, 누름부 (70) 를 지지하는 것이고, 누름부 (70) 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편 (71) 의 두께 치수는, 기둥부 (72) 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서는 균일한 치수로 되어 있지만, 누름부 (70) 와 지지편 (71) 의 경계부로부터 기둥부 (72) 측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고 있다. 기둥부 (72) 는,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24) 에 형성된 가이드홈 (38) 에 걸어맞춰지면서, 가이드홈 (38) 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걸림부 (73) 는,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24) 에 형성된 관통공 (39) 을 통해 가이드홈 (38) 에 걸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걸림부 (73) 는, 관통공 (39) 의 구멍 직경보다 작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 유닛의 구성)
시린지 유닛 (22) 은, 상기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린지 (74) 와 플런저 (75) 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린지 유닛 (22) 은, 이 시린지 유닛 (22) 이 갖는 몇가지 기능 중 하나로서, 통부 (30) 내에 지지부 (50) 와 함께 수납한 치료용 물질을, 노즐 부재 (23) 의 개구 (34) 를 통해 통부 (30) 밖으로 압출하기 위해서 통부 (30) 내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양압 발생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시린지 (74) 는, 전체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 (74) 의 선단에는, 끼워넣음부 (76) 와 안나사부 (77) 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넣음부 (76) 는, 시린지 (74) 의 중공부에 통하는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끼워넣음부 (76) 는, 상기 서술한 시린지 접속부 (62) 의 관통공 (65) 에 끼워넣어지는 부분이다. 안나사부 (77) 는, 끼워넣음부 (76) 를 둘러싸는 상태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나사부 (77) 의 내주면에는 나선상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안나사부 (77) 는, 상기 서술한 시린지 접속부 (62) 와 함께, 루어락식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시린지 (74) 의 후단에는 플랜지부 (78) 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75) 는, 고무제의 슬라이딩부 (80) 와, 이 슬라이딩부 (80) 를 지지하는 로드부 (81) 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부 (80) 는, 플런저 (75) 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 (80) 는, 시린지 (74) 의 내주면에 밀착하면서, 로드부 (81) 의 인입 또는 압입의 동작 (조작) 에 의해, 시린지 (74) 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로드부 (81) 는, 시린지 (74) 에 대해 꼽고 빼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드부 (81) 의 선단측은, 상기 슬라이딩부 (80) 와 함께 시린지 (74) 내에 삽입되어 있다. 로드부 (81) 의 후단측은, 시린지 (74) 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로드부 (81) 의 후단부에는, 브림부 (82) 가 형성되어 있다.
<3. 치료 기구의 제조 방법 (조립 순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치료 기구 (20) 는, 본체 유닛 (21) 과 시린지 유닛 (22) 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시린지 유닛 (22) 에 대해서는, 전용품이 아니라, 범용품 (기성품) 이라도 상관없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시린지 유닛 (22) 에 범용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본체 유닛 (21) 의 조립 공정이 치료 기구 (20) 의 제조 공정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이하에, 본체 유닛 (21) 의 구체적인 조립 공정의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지지 부재 (25) 의 기부 (51) 에 바늘 부재 (27) 의 선단부를 끼워넣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기부 (51) 의 홈부 (57) 에 시일 부재 (26) 를 장착한다. 이로써, 도 15 와 같은 조립품이 얻어진다. 이 조립품에서는, 기부 (51) 의 홈부 (57) 에 시일 부재 (26) 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치료 기구 (20) 의 사용 중에 시일 부재 (26) 가 기부 (51) 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시일 부재 (26) 는, 지지 부재 (25) 에 바늘 부재 (27) 를 장착하기 전에 장착해도 된다. 다음으로, 바늘 부재 (27) 의 후단부를 연결 부재 (28) 의 관통공 (64) 에 끼워넣어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으로, 노즐 부재 (23) 의 후단측의 개구 (35) 를 통해 통부 (30) 의 공간 (33) 내에 지지 부재 (25) 와 바늘 부재 (27) 를 삽입한다. 이때, 지지부 (50) 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한다. 즉, 주둥이부 (36) 선단의 개구 (34) 로부터 지지부 (50) 를 돌출시켰을 때에, 경사지게 컷되어 있는 개구 (34) 의 가장자리가 보다 크게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의 주둥이부 (36) 의 내면에, 지지부 (50) 의 튀어나옴부 (52) 가 따르는 방향으로 한다. 그 경우, 주둥이부 (36) 선단의 개구 (34) 로부터 지지부 (50) 를 돌출시킨 상태로 해도, 지지부 (50) 의 튀어나옴부 (52) 만은 통부 (30) 내에 수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통부 (30) 의 내주면을 따라 튀어나옴부 (52) 가 만곡되기 때문에, 이 만곡 형상을 따라 지지부 (50) 도 조금 만곡된 형상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 (24) 의 중공부 (40) 내에 누름 부재 (29) 를 세트한다. 이때, 유지 부재 (24) 의 선단측의 개구 (41) 로부터 누름 부재 (29) 를 중공부 (40) 내에 삽입한다. 또, 누름 부재 (29) 의 걸림부 (73) 를 유지 부재 (24) 의 내주측으로부터 관통공 (39) 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누름 부재 (29) 를 조금 선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누름 부재 (29) 의 기둥부 (72) 를 유지 부재 (24) 의 가이드홈 (38) 에 통과시켜 둔다.
다음으로, 유지 부재 (24) 의 후단측의 개구 (42) 로부터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를 중공부 (40) 내에 삽입한다. 이때, 노즐 부재 (23) 의 양측에 돌출되는 날개부 (37) 와, 가이드홈 (38) 의 양측에 돌출되는 스토퍼편 (60) 을, 각각 대응하는 유지 부재 (24) 의 슬릿 (43) 에 삽입한다. 또, 연결 부재 (28) 의 상하에 형성한 1 쌍의 걸림 클로 (67) 를, 유지 부재 (24) 에 형성한 절결부 (48) 의 형성 부위에서 걸림 구멍 (47) 에 걸리게 한다. 이로써, 유지 부재 (24) 의 후단부에 연결 부재 (28) 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 유지 부재 (24) 의 중공부 (40) 내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24) 의 내주면과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의 외주면 사이에, 누름 부재 (29) 의 누름부 (70) 나 지지편 (71) 이 끼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체 유닛 (21) 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와 노즐 부재 (23) 가 중심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실제로 노즐 부재 (23) 와 유지 부재 (24) 를 움직이려고 힘을 가하면, 양자는 통부 (30) 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시일 부재 (26) 의 슬라이딩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유지 부재 (24) 에 대한 노즐 부재 (23) 의 이동 범위는, 노즐 부재 (23) 의 날개부 (37) 가 슬릿 (43) 의 선단에 부딪치는 상태로부터, 노즐 부재 (23) 의 날개부 (37) 가 연결 부재 (28) 의 스토퍼편 (60) 에 부딪치는 상태까지의 범위 내로 제한된다. 노즐 부재 (23) 를 가장 선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의 개구 (41) 로부터 통부 (30) 가 크게 돌출된 상태로 됨과 함께, 지지 부재 (25) 의 전부 (全部) 가 통부 (30) 내의 공간 (33) 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노즐 부재 (23) 를 가장 후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의 개구 (41) 로부터 통부 (30) 의 주둥이부 (36) 의 부분이 돌출된 상태가 됨과 함께,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통부 (30) 의 개구 (34) 를 통해 외부로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때, 노즐 부재 (23) 의 회전 동작은, 노즐 부재 (23) 의 날개부 (37) 와 유지 부재 (24) 의 슬릿 (43) 의 끼워맞춤에 의해 규제된다.
또, 노즐 부재 (23) 와 유지 부재 (24) 의 상대 이동과는 별도로, 누름 부재 (29) 가 유지 부재 (24) 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누름 부재 (29) 는, 유지 부재 (24) 에 형성된 가이드홈 (38) 을 따라 이동한다. 누름 부재 (29) 의 이동 범위는, 누름 부재 (29) 의 걸림부 (73) 가 가이드홈 (38) 의 선단에 부딪치는 상태로부터, 누름 부재 (29) 의 걸림부 (73) 가 관통공 (39) 의 근방에 위치하는 상태까지의 범위 내로 제한된다. 누름 부재 (29) 를 가장 선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의 개구 (41) 로부터 누름부 (70) 의 전부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누름 부재 (29) 를 가장 후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의 개구 (41) 로부터 누름부 (70) 의 선단만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상으로, 본체 유닛 (21) 의 조립이 완료가 된다. 도 16 의 (A), (B) 에 조립이 완료된 본체 유닛 (21) 의 상태를 나타낸다. 실제로 치료 기구 (20)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 시에 본체 유닛 (21) 에 시린지 유닛 (22) 을 장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부재 (24) 의 후단에 고정한 연결 부재 (28) 의 시린지 접속부 (62) 에, 시린지 (74) 의 선단부를 가볍게 누르도록 해 시린지 (74) 를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시린지 접속부 (62) 의 튀어나옴부 (66) 와 시린지 (74) 안나사부 (77) 가 나사 결합하면서, 시린지 (74) 의 끼워넣음부 (76) 가 관통공 (65) 의 안측으로 서서히 끼워넣어진다. 이때, 시린지 (74) 의 끼워넣음부 (76) 의 선단이 관통공 (65) 의 안측에 부딪치지만, 그 상태에서 적당한 저항이 생길 때까지 시린지 (74) 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바늘 부재 (27) 의 구멍 (27a) 과 시린지 (74) 의 중공부가, 공간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본체 유닛 (21) 에 대한 시린지 유닛 (22) 의 장착은, 시린지 (74) 에 플런저 (75) 를 장착한 상태에서 실시해도 되고, 시린지 (74) 로부터 플런저 (75) 를 분리한 상태에서 실시해도 된다.
<4. 치료 기구의 사용 방법>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치료 기구 (20) 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는, 먼저 치료 기구 (20) 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고, 그 후에 실제로 각막 내피 이식 수술에서 치료 기구 (20) 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한다.
(기본 동작)
먼저, 상기 도 16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부재 (23) 를 유지 부재 (24) 의 가장 후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누름 부재 (29) 를 유지 부재 (24) 의 가장 후단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누름 부재 (29) 의 누름부 (70) 의 선단이 유지 부재 (24) 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지 부재 (24) 의 선단을 기준으로 한 누름부 (70) 의 선단의 돌출 치수와 통부 (30) 의 선단 (주둥이부 (36)) 의 돌출 치수가,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된다.
상기 도 16 의 (A), (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선단측으로 이동 (이하, 「전진」이라고도 한다) 시키면, 이 이동에 따라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통부 (30) 내로 서서히 인입된다. 이때,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는, 통부 (30) 선단의 개구 (34) 의 가장자리에 접하면서, 서서히 만곡되고, 최종적으로 롤상으로 변형된 상태 (호상으로 둥글게 된 상태) 가 된다. 그리고, 노즐 부재 (23) 를 가장 전진시킨 단계에서는, 도 17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볼록부 (53) 의 형성면을 내측으로 해 롤상으로 변형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도 17 의 (A), (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후단측으로 이동 (이하, 「후퇴」라고도 한다) 시키면, 이 이동에 따라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통부 (30) 의 선단으로부터 서서히 돌출된다. 이때,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는, 롤상으로 변형된 상태로부터 서서히 평면적인 형상으로 전개된다.
상기 서술한 노즐 부재 (23) 의 전진 동작 및 후퇴 동작에 있어서는, 어느 경우도, 시일 부재 (26) 의 외주부와 통부 (30) 의 내주면의 접촉 부분에 슬라이딩 마찰 저항이 작용한다. 이 슬라이딩 마찰 저항의 크기는, 시일 부재 (26) 의 외경 치수 등을 조정 파라미터로 해서, 노즐 부재 (23) 와 유지 부재 (24) 의 상대 이동을 과도하게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으로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마찰 저항의 작용에 의해, 상기 서술한 상대 이동 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노즐 부재 (23) 와 유지 부재 (24) 를 정지시키고, 또한 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도 17 의 (A), (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누름 부재 (29) 를 선단측으로 이동 (이하, 「전진」이라고도 한다) 시키면, 이 이동에 따라 누름 부재 (29) 의 누름부 (70) 의 돌출 치수가 서서히 증대해 간다. 그리고, 누름 부재 (29) 를 가장 전진시킨 단계에서는, 도 18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 (70) 의 선단이 통부 (30) 의 선단보다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 (70) 를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누름부 (70) 보다 두꺼운 지지편 (71) 이 유지 부재 (24) 의 개구 (41) 의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지지편 (71) 이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에 압박된다. 그리고, 그때에 발생하는 기계적인 접촉 저항에 의해, 누름 부재 (29) 의 이동이 적당히 억제된다.
또, 상기 도 18 의 (A), (B)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누름 부재 (29) 를 후단측으로 이동 (이하, 「후퇴」라고도 한다) 시키면, 이 이동에 따라 누름 부재 (29) 의 누름부 (70) 의 돌출 치수가 서서히 감소해 간다. 그리고, 누름 부재 (29) 를 가장 후퇴시키면, 상기 도 17 의 (A), (B) 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여기서는 치료 기구 (20) 의 기본 동작을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지만, 실제로 안과 수술에서 치료 기구 (20) 를 사용하는 경우에 실시하는 기본 동작은, 이하의 사용 방법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그 중의 일부이다.
(사용 방법)
다음으로, 치료 기구 (20)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치료 기구 (20) 의 사용 방법을 시계열로 크게 나누면, 수납 공정과 압출 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납 공정)
먼저, 상기 도 16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 (21) 의 상태로서, 노즐 부재 (23) 를 가장 후퇴시킨 상태로 해 둔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의 선단으로부터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가 평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크게 돌출된다. 한편, 시린지 유닛 (22) 의 상태로는, 미리 시린지 (74) 내에 의료수를 충전해 둔다. 의료수의 충전은, 예를 들어 본체 유닛 (21) 에 시린지 유닛 (22) 을 장착하기 전에, 용기 등에 넣어 준비한 의료수 중에 시린지 (74) 의 끼워넣음부 (76) 를 삽입하고, 플런저 (75) 를 인입하도록 조작한다. 이로써, 끼워넣음부 (76) 를 통해 시린지 (74) 안으로 의료수가 흡입된다. 그래서, 플런저 (75) 의 인입에 의해 시린지 (74) 내에 소정량의 의료수를 흡입한 상태에서, 시린지 유닛 (22) 을 본체 유닛 (21) 에 장착한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의료수란, 예를 들어 멸균 처리된 물, 또는 생리 식염수 등과 같이, 의료용으로 적절한 물을 말한다. 안과 수술에서는 관유수로서 사용된다. 시린지 (74) 에 충전하는 의료수는, 통부 (30) 내를 음압이나 양압으로 할 때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이것 대신에 공기 등의 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린지 유닛 (22) 의 시린지 (74) 를 소정량만 압입함으로써,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내에 의료수를 충전시킨다.
다음으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준비되어 있는 각막 내피층 (2e) 을 지지부 (50) 상에 얹는다. 이때, 지지부 (50) 의 표면 상에 있어서는, 각막 내피층 (2e) 이 각각의 볼록부 (53) 상에 놓인다. 이 때문에, 각막 내피층 (2e) 은, 지지부 (50) 의 표면으로부터 조금 뜬 상태에서 각각의 볼록부 (53) 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50) 상의 각막 내피층 (2e) 에 디스펜서 (83) 를 사용하여 액체 (84) 를 공급 (적하) 한다. 각막 내피층 (2e) 에 공급하는 액체 (84) 로는, 상기 서술한 의료수여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의료수보다 점탄성이 높은 물질 (점탄성 물질) 인 편이 좋다. 또, 점탄성 물질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히알루론산을 들 수 있다. 히알루론산 등의 점탄성 물질의 액체를 각막 내피층 (2e) 에 공급한 경우에는, 각막 내피층 (2e) 의 표면이, 당해 액체의 점탄성의 특성에 의해 피복 보호된다. 이 때문에, 각막 내피 이식 수술에서 각막 내피층 (2e) 이 받는 데미지 (세포의 손상 등) 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부 (50) 상의 각막 내피층 (2e) 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노즐 부재 (23) 를 천천히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도 17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50) 를 통부 (30) 내의 공간 (33) 에 수납한다. 그렇게 하면, 노즐 부재 (23) 를 전진시키는 도중에 지지부 (50) 가 통부 (30) 의 개구 (34) 의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수반하는 외력을 받아 지지부 (50) 가 서서히 U 자형으로 변형된다. 이때, 각막 내피층 (2e) 도 지지부 (50) 와 마찬가지로 변형된다. 또, 노즐 부재 (23) 를 전진시키면, 시일 부재 (26) 의 존재와 노즐 부재 (23) 의 이동에 의한 통부 (30) 내의 용적 증가에 의해, 통부 (30) 내에 음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지지부 (50) 에 지지된 각막 내피층 (2e) 과 액체 (84) 가, 상기 음압의 발생에 의해, 통부 (30) 내의 공간 (33) 으로 흡입되도록 수납된다.
이로써, 각막 내피층 (2e) 은, 통부 (30) 내의 공간 (33) 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 통부 (30) 의 선단측은, 각막 내피층 (2e) 과 함께 흡입된 액체 (84) 에 의해 폐색된 상태가 된다.
덧붙여, 지지부 (50) 에 형성한 3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 중 양측 2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2) 를,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외측 개방 형상으로 경사지게 배치한 경우에는, 지지부 (50) 의 후단측에 필요없는 변형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지지부 (50) 전체를 균일하게 롤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측 2 개의 후단측 볼록부 (53b-2) 를 경사지게 배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후단측 볼록부 (53b-2) 가 리브와 같이 기능함으로써, 지지부 (50) 의 후단측을, 지지부 (50) 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말려들어오도록 변형시키기 때문이다. 또, 이것 이외에도, 복수 (도시예에서는 3 개) 의 후단측 볼록부 (53b) 는, 시린지 유닛 (22)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의료수의 흐름을 지지부 (50) 의 폭 방향으로 확산시키도록 정류하여, 각막 내피층 (2e) 이 지지되는 지지 영역의 광범위에 수류를 형성하는 효과도 달성한다. 또, 지지부 (50) 의 선단측에 있어서도, 지지 부재 (25) 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突條) 의 선단측 볼록부 (53a) 가 지지부 (50) 의 폭 방향 전체에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롤상으로 둥글게 되기 쉬워진다.
이상으로 수납 공정이 완료가 된다. 또한, 실제의 각막 내피층 이식 수술에서는, 전술한 수납 공정 전에, 이식의 대상이 되는 안구에 대해, 각막 내피층의 제거 및 삽입을 위한 절개 수술과, 각막 질환을 초래한 각막 내피층의 제거 수술을 실시해 둔다. 또, 그 절개 수술로 각막 부분의 2 지점에 슬릿상의 창구 (創口) 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일방의 창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의료수 (관유수) 를 적당량씩 공급함으로써, 각막의 부분을 완형 (椀型) 의 돌출 형상으로 유지해 둔다.
(압출 공정)
다음으로, 압출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압출 공정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수납 공정에 의해 각막 내피층 (2e) 의 수납을 끝낸 치료 기구 (20) 를, 안구의 환부 (각막 내피층의 이식 부위) 에 근접시킨다. 이때, 통부 (30) 의 선단에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개구 (34) 를 안구측을 향한 상태에서, 치료 기구 (20) 를 안구에 근접시킨다.
다음으로, 치료 기구 (20) 를 적당히 기울인 상태에서 안구의 각막 부분에 노즐 부재 (23) 의 선단을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절개 수술에 의해 각막 부분에 형성한 타방의 창구에 통부 (30) 의 주둥이부 (36) 를 삽입한다. 이때, 누름 부재 (29) 의 걸림부 (73) 는 환자의 안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각막 내피층 이식 수술을 받는 환자가, 예를 들어 수술 중 홍채 긴장 저하 증후군 환자와 같이 홍채의 탈락 (창구로부터의 밀려나옴) 을 일으키기 쉬운 경우에는, 치료 기구 (20) 를 안구에 근접시키기 전에, 상기 도 18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 (29) 를 전진시킨다. 그리고, 치료 기구 (20) 를 안구에 근접시킬 때, 각막 부분의 창구에 누름 부재 (29) 의 누름부 (70) 를 삽입해 홍채를 누르면서, 그 창구에 노즐 부재 (23) 의 주둥이부 (36) 를 삽입한다. 이로써, 각막 내피층 이식 수술에 있어서 홍채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쪽의 손으로 치료 기구 (20) 를 쥐어 유지하면서, 다른 한쪽의 손으로 플런저 (75) 를 압입한다. 그렇게 하면, 플런저 (75) 의 압입에 의해 통부 (30) 내의 공간 (33) 에 양압이 작용한다. 또, 플런저 (75) 를 압입하면, 그 가압력을 받아 시린지 (74) 내의 의료수가, 바늘 부재 (27) 및 기부 (51) 를 통해 통부 (30) 내로 토출된다. 이때, 의료수는, 기부 (51) 의 구멍부 (56a, 56b) 를 통해, 지지부 (50) 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흐른다. 또, 지지부 (50) 의 표면에서는 복수의 볼록부 (53) 에 의해 각막 내피층을 띄운 상태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수의 일부는, 도 20 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대면하는 부분 (간극 부분) 으로도 흘러들어간다. 이러한 점에서, 복수의 볼록부 (53) 는, 시린지 유닛 (22) 의 조작에 의해 통부 (30) 내로 공급되는 의료수를,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대면하는 부분에 도입하는 기능을 달성하고, 이 기능에 의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의 대면 부분에 수류가 형성된다. 이로써, 통부 (30) 내에서 각막 내피층 (2e) 과 지지부 (50) 가 접촉하고 상당한 시간이 경과해 있었다고 해도, 각막 내피층 (2e) 은 지지부 (50) 로부터 확실하게 분리된다. 이 때문에, 각막 내피층 (2e) 은, 상기 서술한 양압의 인가에 의해 액체 (84) 와 함께 주둥이부 (36) 의 선단 (개구 (34)) 으로부터 압출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각막 내피층 (2e) 이 전방 (5)(도 1 참조) 의 내부에 삽입 (공급) 된다.
<5.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 (20) 에 의하면,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내에 각막 내피층 (2e) 을 수납한 상태로부터, 플런저 (75) 를 압입 조작한 경우에, 통부 (30) 의 공간 (33) 내에 공급되는 의료수의 흐름 (수류) 을 이용해 각막 내피층을 지지부 (50) 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막 내피층 (2e) 이 통부 (30) 내에 수납되고 있는 시간이 길어져도, 각막 내피층 (2e) 을 통부 (30) 밖으로 순조롭게 압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각막 내피층 (2e) 을 쓸모없이하는 일 없이, 안구의 각막 부분에 각막 내피층을 공급 (이식) 할 수 있다. 또, 각막 내피 이식 수술을 실시하는 안과의에 있어서는, 상기 수납 공정을 끝낸 후 압출 공정으로 이행하기 전에, 어떠한 작업 (안압의 조정 등) 이 필요하게 된 경우라도, 각막 내피층 (2e) 의 압출 불량의 리스크를 떠안는 일 없이, 적절히 수술을 진행시킬 수 있다.
<6. 제 2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비교해, 특히 지지 부재 (25) 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설명한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단측 볼록부 (53a) 의 돌출 치수 H1 과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 H2 를 비교한 경우에,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 H2 가, 선단측 볼록부 (53a) 의 돌출 치수 H1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선단측 볼록부 (53a) 의 돌출 치수 H1 은 0.08 ㎜ 로 설정되고,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 H2 는 그 2 배 상당인 0.15 ㎜ 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부 (50) 의 표면 (각막 내피층을 지지하는 측의 면) 을 기준면으로 해서, 후단측 볼록부 (53b) 쪽이 선단측 볼록부 (53a) 보다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러한 경우, 지지부 (50) 상에 각막 내피층 (2e) 을 얹으면, 각막 내피층 (2e) 의 선단측에 선단측 볼록부 (53a) 가 접촉하고, 각막 내피층 (2e) 의 후단측에 후단측 볼록부 (53b) 가 접촉한다. 이때, 지지부 (50) 에 의해 지지되는 각막 내피층 (2e) 의 자세는, 각막 내피층 (2e) 의 후단측이 솟아오른 자세 (앞으로 기운 자세) 가 된다.
상기 자세로 각막 내피층 (2e) 을 지지부 (50) 에 의해 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압출 공정에 있어서, 플런저 (75) 의 압입 조작에 의해 의료수를 통부 (30) 내에 공급한 경우에, 이 의료수의 흐름에 대해, 후단측 볼록부 (53b) 가 상류측, 선단측 볼록부 (53a) 가 하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수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 H2 를, 하류측에 위치하는 선단측 볼록부 (53a) 의 돌출 치수 H1 보다 크게 설정해 두면, 통부 (30) 내에 공급된 의료수가,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의 대면 부분으로 흘러들어가기 쉬워진다. 또, 각막 내피층 (2e) 의 후단측이 솟아오른 자세 (앞으로 기운 자세) 로 되어 있으면, 지지부 (50) 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의료수의 진행 방향에 대해, 각막 내피층 (2e) 이 적당한 기울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의 대면 부분에 있어서는, 그곳으로 흘러들어간 의료수가, 플런저 (75) 의 조작에 따른 양압 (가압력) 을 받아 각막 내피층 (2e) 을 압출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통부 (30) 의 공간 (33) 내에 공급되는 의료수의 흐름 (수류) 을 이용해 각막 내피층 (2e) 을 강제적으로 압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50) 의 후단측에 복수의 후단측 볼록부 (53b) 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모든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를 크게 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지지부 (50) 에 지지된 각막 내피층 (2e) 의 후단측이 솟아오르도록, 일부의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만을 크게 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지지부 (50) 의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를, 지지부 (50) 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지지부 (50) 의 후단측에 근접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도록 해도 된다. 또, 지지부 (50) 에 도트상의 배열로 복수 (다수) 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지부 (50) 의 선단측과 후단측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볼록부의 돌출 치수에 차를 두거나, 각각의 볼록부의 돌출 치수가 선단측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7. 제 3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비교해, 특히 노즐 부재 (23) 와 지지 부재 (25) 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설명한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하면도이고, 도 23 은 동 측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에 제 1 관통공 (31) 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 통부 (30) 의 선단측 상하면은, 각각 주둥이부 (36) 를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지고, 일방의 경사면의 도중에 제 1 관통공 (31)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관통공 (31) 은, 통부 (30) 내의 공간 (33) 에 통하고 있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관통공 (31) 에 대응해,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에 제 2 관통공 (5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통공 (54) 은, 각막 내피층을 지지하는 지지부 (50) 의 지지 영역 (SE) 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관통공 (54) 은, 각막 내피층이 지지되는 지지 영역 (SE) 중에서, 이 지지 영역 (SE) 의 중심 위치보다 후단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관통공 (31) 과 제 2 관통공 (54) 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24) 에 대해 노즐 부재 (23) 를 가장 전진시켰을 때에,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 통부 (30) 의 공간 (33) 내에서는, 제 1 관통공 (31) 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지지부 (50) 의 제 2 관통공 (54) 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관통공 (31) 과 제 2 관통공 (54) 의 각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1.0 ㎜ 의 범위 내로 설정하면 된다. 또, 각각의 관통공 (31, 54) 의 구멍 직경은, 동일한 구멍 직경이어도 되고, 상이한 구멍 직경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 (20)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수납 공정에 있어서, 지지부 (50) 에 지지한 각막 내피층 (2e) 을 음압에 의해 통부 (30) 내로 인입하도록 노즐 부재 (23) 를 가장 전진시켰을 때에, 도 2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관통공 (31) 과 제 2 관통공 (54) 이,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그 후의 압출 공정에 있어서는, 치료 기구 (20) 를 안구에 근접시키기 전에, 도 2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관통공 (31) 과 제 2 관통공 (54) 을 겹쳐진 상태 (노즐 부재 (23) 를 전진시킨 상태) 로 한다. 다음으로, 도 2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관통공 (31) 과 제 2 관통공 (54) 을 통해 통부 (30) 내로 의료수를 주입한다. 의료수의 주입은, 예를 들어 제 1 관통공 (31) 에 가는 관을 삽입하고, 이 관을 통해 실시하면 된다. 이때, 통부 (30) 내에 주입된 의료수는, 도 26 의 (B) 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대면하는 부분으로 흘러들어가고, 그곳에 수류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만일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첩부되어 있었다고 해도, 수류의 형성에 의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이 분리 (박리) 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런저 (75) 를 압입 조작했을 때에, 각막 내피층을 지지부 (50) 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켜, 통부 (30) 의 외부로 압출할 수 있다.
<8. 제 4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의 조합에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에 제 1 관통공 (31) 을 형성하고 (도 22 및 도 23 을 참조), 이것에 대응해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 (53) 에 추가로 제 2 관통공 (54) 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관통공 (54) 은, 후단측 볼록부 (53b-1) 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 (53) 의 돌출 치수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선단측 볼록부 (53a) 에 비해 후단측 볼록부 (53b) 의 돌출 치수를 크게 설정해도 되고, 모두 동일한 돌출 치수로 설정해도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치료 기구 (20) 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 1 ∼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플런저 (75) 의 압입 조작에 앞서, 노즐 부재 (23) 의 제 1 관통공 (31) 과 지지부 (50) 의 제 2 관통공 (54) 을 통해 통부 (30) 내로 의료수를 주입하고, 이로써 형성되는 수류를 이용해 지지부 (50) 로부터 각막 내피층 (2e) 을 박리시켜 두면, 보다 순조롭게 각막 내피층 (2e) 을 통부 (30) 밖으로 압출할 수 있다.
<9. 제 5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특히 노즐 부재 (23) 와 지지 부재 (25) 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이하, 설명한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노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고,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가 구비하는 지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부재 (23) 의 통부 (30) 의 선단에 제 1 절입부 (91) 가 형성되고, 이 제 1 절입부 (91) 에 대응해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의 선단에 제 2 절입부 (92)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입부 (91) 는, 통부 (30) 의 주둥이부 (36) 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노즐 부재 (23) 의 축 방향 (도면의 좌우 방향) 으로 절입되는 형태이고, 통부 (30) 의 주둥이부 (36) 에 대략 V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절입부 (91) 는, 주둥이부 (36) 의 선단에서 경사지게 컷되어 있는 개구 (34) 의 둘레가장자리 중, 보다 크게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절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입부 (91) 의 깊이 치수 D1 은, 제 2 절입부 (92) 의 깊이 치수 D2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절입부 (91) 의 폭 치수 W1 은, 제 2 절입부 (92) 의 폭 치수 W2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절입부 (91) 의 폭 치수 W1 은, 주둥이부 (36) 의 선단 가장자리의 부분이 가장 넓고, 그곳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제 2 절입부 (92) 는, 지지부 (50) 의 선단 가장자리로부터 지지 부재 (25) 의 축 방향 (도면의 좌우 방향) 으로 절입되는 형태이고, 지지부 (50) 에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절입부 (92) 는, 각막 내피층 (2e) 이 지지되는 지지부 (50) 의 지지 영역 (SE) 까지 절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 (50) 상에 각막 내피층 (2e) 을 얹으면, 도 30 의 (A) 의 평면도 및 (B) 의 하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50) 에 지지된 각막 내피층 (2e) 의 일부가 제 2 절입부 (92) 에 겹치는 (덮이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치료 기구 (20)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수납 공정에 있어서, 지지부 (50) 에 지지한 각막 내피층 (2e) 을 음압에 의해 통부 (30) 내로 인입하도록 노즐 부재 (23) 를 가장 전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31 의 (A) 의 평면도 및 (B) 의 하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입부 (91) 와 제 2 절입부 (92) 가, 서로 겹치는 상태가 된다. 또, 지지부 (50) 는, 각막 내피층 (2e) 과 함께 롤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통부 (30) 내에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 (30) 의 선단에 형성한 제 1 절입부 (91) 와, 지지부 (50) 의 선단에 형성한 제 2 절입부 (92) 가 겹치는 부분에서, 각막 내피층 (2e) 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 (50) 를 통부 (30) 내에 수납한 상태라도, 각막 내피층 (2e) 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의 압출 공정에 있어서는, 치료 기구 (20) 를 안구에 근접시키기 전에, 필요에 따라 제 1 절입부 (91) 와 제 2 절입부 (92) 가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통부 (30) 내로 의료수를 주입한다. 의료수의 주입은, 예를 들어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입부 (91) 와 제 2 절입부 (92) 가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주사바늘 등의 가는 공급관 (93) 을 통부 (30) 내에 삽입한다. 이때, 각막 내피층 (2e) 과 지지부 (50) 가 대면하는 부분에 공급관 (93) 을 삽입하고, 이 공급관 (93) 을 통해 통부 (30) 내로 의료수를 주입한다. 이로써, 의료수는,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대면하는 부분으로 흘러들어가고, 그곳에 수류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만일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첩부되어 있었다고 해도, 수류의 형성에 의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이 분리 (박리) 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런저 (75) 를 압입 조작했을 때에, 각막 내피층 (2e) 을 지지부 (50) 로부터 확실하게 분리시켜, 통부 (30) 의 외부로 압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 (50) 를 통부 (30) 내에 수납해도 각막 내피층 (2e) 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이 때문에, 플런저 (75) 에 의한 압입 조작에 의해 각막 내피층 (2e) 을 통부 (30) 의 밖으로 압출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통부 (30) 내의 각막 내피층 (2e) 을 잡아 통부 (30) 의 밖으로 인입하는 방식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부 (30) 의 주둥이부 (36) 를 각막 부분의 창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창구와는 다른 지점으로부터 섭자를 눈 안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 1 절입부 (91) 와 제 2 절입부 (92) 가 겹치는 부분에 섭자의 선단부 (파지부) 를 진출시키고, 그곳에 노출되어 있는 각막 내피층 (2e) 을 섭자로 파지한다. 다음으로, 각막 내피층 (2e) 을 파지한 상태에서 섭자를 움직임으로써, 통부 (30) 의 밖으로 각막 내피층 (2e) 을 인출한다. 이때, 상기 서술한 의료수의 주입에 의해 지지부 (50) 와 각막 내피층 (2e) 을 분리해 두면, 통부 (30) 내로부터 순조롭게 각막 내피층 (2e) 을 인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막 내피층 (2e) 에 데미지를 주는 리스크가 작아진다.
상기 인입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양압의 발생에 의해 치료용 물질을 통부 밖으로 압출하는 양압 발생 수단이 불필요해진다. 그러한 경우의 본 발명의 양태를 이하에 부기한다.
(부기)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지지하는 혀상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수납 가능한 통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부의 선단에 상기 지지부를 출납 가능한 개구가 형성된 노즐 부재와,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통부 내에 의료수를 공급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통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1 절입부에 대응해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에 겹치는 제 2 절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2 절입부가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통부 내에 의료수를 주입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10. 변형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구성 요건이나 그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나 개량을 가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 (도 8) 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지지부 (50) 의 선단측 및 후단측의 양방에 볼록부 (53) 를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 (50) 의 후단측에만 하나 또는 복수의 볼록부 (53) 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 (50) 를 갖는 지지 부재 (25) 에 기부 (51) 를 일체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부재 (25) 와 기부 (51) 를 각각의 부재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 홍채 탈출 방지용 누름 부재 (29) 는, 각막 내피 이식 수술에 반드시 필요한 부재는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또, 지지 부재 (25) 의 지지부 (50) 에 복수의 볼록부 (53) 를 형성하는 경우의, 각각의 볼록부 (53) 의 형상, 치수에 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린지 유닛 (22) 을 사용하여 양압 발생 수단을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튜브와 펌프의 조합 등에 의해 양압 발생 수단을 구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구체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조합,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조합,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조합,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조합 등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20 : 치료 기구
21 : 본체 유닛
22 : 시린지 유닛
23 : 노즐 부재
24 : 유지 부재
25 : 지지 부재
26 : 시일 부재
27 : 바늘 부재
28 : 연결 부재
29 : 누름 부재
31 : 제 1 관통공
34 : 개구
50 : 지지부
53 : 볼록부
54 : 제 2 관통공
91 : 제 1 절입부
92 : 제 2 절입부

Claims (5)

  1. 시트상의 치료용 물질을 지지하는 혀상의 지지부를 갖는 지지 부재와,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수납 가능한 통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통부의 선단에 상기 지지부를 출납 가능한 개구가 형성된 노즐 부재와,
    상기 통부 내에 상기 지지부와 함께 수납한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통부 밖으로 압출하기 위해서 상기 통부 내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양압 발생 수단과,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통부 내에 의료수를 공급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 형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 발생 수단은, 상기 통부의 후단측으로부터 당해 통부 내로 의료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통부 내에 양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상기 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띄워 지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압 발생 수단이 공급하는 상기 의료수를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도입해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중,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이 형성하는 수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돌출 치수가, 하류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돌출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통부에 형성된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관통공에 대응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에 겹치는 제 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통부 내로 의료수를 주입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형성 수단은, 상기 통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1 절입부에 대응해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에 겹치는 제 2 절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물질을 지지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통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절입부와 상기 제 2 절입부가 겹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통부 내로 의료수를 주입했을 때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치료용 물질이 대면하는 부분에 수류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기구.
KR1020167028080A 2014-03-17 2015-02-26 치료 기구 Active KR102377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3328 2014-03-17
JPJP-P-2014-053328 2014-03-17
PCT/JP2015/055624 WO2015141432A1 (ja) 2014-03-17 2015-02-26 治療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491A true KR20160133491A (ko) 2016-11-22
KR102377814B1 KR102377814B1 (ko) 2022-03-22

Family

ID=5414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080A Active KR102377814B1 (ko) 2014-03-17 2015-02-26 치료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32153B2 (ko)
EP (1) EP3120816B1 (ko)
JP (1) JP6470738B2 (ko)
KR (1) KR102377814B1 (ko)
CN (1) CN106163465B (ko)
SG (2) SG11201607717QA (ko)
WO (1) WO2015141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6818A1 (en) 2019-02-28 2020-09-03 Tissuecor, Llc Graft tissue injector
CN214549463U (zh) * 2020-09-09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植装置
US12090262B2 (en) * 2021-09-01 2024-09-17 Tissuecor, Llc Device and system for injecting biological tissu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52A (ja) 2002-04-30 2004-01-29 Amniotec:Kk 角膜内皮様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US20060259008A1 (en) * 2005-04-27 2006-11-16 Allergan, Inc.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intravitreal injection of drugs
US20080281341A1 (en) * 2007-05-11 2008-11-13 Ens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thelial keratoplasty donor tissue transport and delivery
JP2009000511A (ja) 2007-05-22 2009-01-08 Hoya Corp 治療用物質の運搬投与器具
JP2009524486A (ja) 2006-01-26 2009-07-02 ウェイク・フォレスト・ユニヴァーシティ・ヘルス・サイエンシズ 深層内皮角膜移植を容易にする医学ツール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2098993A (zh) * 2008-04-25 2011-06-15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储藏并注入角膜移植物的装置
WO2012018006A1 (ja) 2010-08-03 2012-02-09 Hoya株式会社 治療器具および付属器具
JP2014014398A (ja) * 2012-07-05 2014-01-30 Nidek Co Ltd 手術器具本発明は、移植手術に用いられる手術器具に関す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395A (en) 1978-03-10 1986-05-13 Lemelson Jerome H Catheter and method
US4880000A (en) 1987-12-15 1989-11-14 Iolab Corporation Lens insertion instrument
US4836201A (en) 1988-03-24 1989-06-06 Patton Medical Technologies, Inc. "Envelope" apparatu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 into the eye
US6162192A (en) 1998-05-01 2000-12-19 Sub Q,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hemostasis of blood vessel punctures with absorbable sponge
US6554803B1 (en) 1997-04-02 2003-04-29 Arthur Ashman Combination syringe and aspirator for bone regeneration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the syringe
US20050214259A1 (en) 2002-04-30 2005-09-29 Yoichiro Sano Corneal endothelium-like shee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JP4569971B2 (ja) * 2007-01-19 2010-10-27 Hoya株式会社 治療用物質の運搬投与器具
US7985197B2 (en) 2007-05-22 2011-07-26 Hoya Corporation Therapeutic-substance carrying/administering appliance
KR102406619B1 (ko) * 2013-05-03 2022-06-07 클리어사이드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드 안구용 주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52A (ja) 2002-04-30 2004-01-29 Amniotec:Kk 角膜内皮様シート、及びその作製方法
US20060259008A1 (en) * 2005-04-27 2006-11-16 Allergan, Inc.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for intravitreal injection of drugs
JP2009524486A (ja) 2006-01-26 2009-07-02 ウェイク・フォレスト・ユニヴァーシティ・ヘルス・サイエンシズ 深層内皮角膜移植を容易にする医学ツール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080281341A1 (en) * 2007-05-11 2008-11-13 Ens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thelial keratoplasty donor tissue transport and delivery
JP2009000511A (ja) 2007-05-22 2009-01-08 Hoya Corp 治療用物質の運搬投与器具
CN102098993A (zh) * 2008-04-25 2011-06-15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储藏并注入角膜移植物的装置
WO2012018006A1 (ja) 2010-08-03 2012-02-09 Hoya株式会社 治療器具および付属器具
JP2014014398A (ja) * 2012-07-05 2014-01-30 Nidek Co Ltd 手術器具本発明は、移植手術に用いられる手術器具に関す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814B1 (ko) 2022-03-22
JP6470738B2 (ja) 2019-02-13
SG11201607717QA (en) 2017-02-27
WO2015141432A1 (ja) 2015-09-24
SG10201807992RA (en) 2018-10-30
CN106163465A (zh) 2016-11-23
US10232153B2 (en) 2019-03-19
US20170079838A1 (en) 2017-03-23
EP3120816A4 (en) 2017-12-06
EP3120816A1 (en) 2017-01-25
EP3120816B1 (en) 2024-07-03
JPWO2015141432A1 (ja) 2017-04-06
CN106163465B (zh)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047B1 (ko) 절개부 보조된 전달을 위한 렌즈 인젝터 루멘 팁
US9044301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eating glaucoma
KR100964765B1 (ko) 렌즈 전달 시스템 카트리지 및 제조 방법
JP3688287B1 (ja) 眼科用インプラントを送達するための装置
JP5524983B2 (ja) 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5470753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6433898B2 (ja) 眼内レンズ、特に毛様体眼内レンズ
JP2018130580A (ja) 眼内シャント配置装置
JP5886199B2 (ja) 治療器具および付属器具
US20050203542A1 (en) Apparatus for delivery of ocular implants with reduced incidence of ocular adverse events
KR20080076837A (ko) 렌즈 운반 시스템
WO2017087713A1 (en) Delivery device systems and implants for treating glaucoma
CN101715334A (zh) 角膜植入物以及用于放置的方法和系统
US201403303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in a Pseudophakic Eye
KR20160133491A (ko) 치료 기구
JP2014090772A (ja) 眼内移植物、眼内移植物セット、眼内レンズ
RU2831327C2 (ru) Инжектор, система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