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971A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2971A KR20160132971A KR1020167028463A KR20167028463A KR20160132971A KR 20160132971 A KR20160132971 A KR 20160132971A KR 1020167028463 A KR1020167028463 A KR 1020167028463A KR 20167028463 A KR20167028463 A KR 20167028463A KR 20160132971 A KR20160132971 A KR 201601329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adhesive layer
- liquid crystal
- pair
- crystal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 G02F2001/133331—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의 가장자리부와 워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액정 패널(S1) 상에 접착제(R)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R1)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1)와, 액정 패널(S1) 또는 커버 패널(S2)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부(6)와,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접착층(R1)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 장치(2)를 구비한다. 접착제 보충부(6)는, 접합 장치(2)에 있어서 접합되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R1)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커버 패널(S2)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한다.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액정 패널(S1) 상에 접착제(R)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R1)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 장치(1)와, 액정 패널(S1) 또는 커버 패널(S2)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부(6)와,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접착층(R1)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 장치(2)를 구비한다. 접착제 보충부(6)는, 접합 장치(2)에 있어서 접합되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R1)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커버 패널(S2)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평판형의 표시 장치(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표시 패널과, 필요에 따라서 조작용의 터치 패널이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패널(커버 패널), 백라이트나 그 도광판 등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표시 패널, 터치 패널, 커버 패널, 백라이트나 그 도광판 등의 워크(이하, 단순히 워크라고 함)는, 적층되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케이스에 삽입된다. 각각의 워크는, 개별적으로 혹은 미리 적층된 상태로 삽입된다. 예컨대, 보호 커버에 터치 패널을 적층한 복합 패널로서 구성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표시 패널에는, 터치 패널의 기능이 삽입된 것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로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지만, 이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워크를 복수적층한 것을 표시 장치용 부재라고 부른다.
이러한 표시 장치용 부재로서 적층되는 각 워크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면, 외광 반사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각 워크를 접착층을 통해 접합하여 적층함으로써, 각 워크 사이의 갭을 매립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워크의 적층에는,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과 유동성이 있는 액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접착 시트는, 접착제에 비해 비교적 고가이며, 박리지의 박리 등의 공정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최근의 비용 삭감의 요구 등으로 인해,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접착층은, 각 워크 사이의 완충재로서, 워크를 보호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등으로 인해, 워크도 대면적이 되어,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변형을 흡수하여 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접착층에 요구되는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수백 ㎛의 두께가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접착층의 두께를, 액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확보하고자 하면, 필요한 접착제의 양이 증가한다. 그렇게 되면, 워크에 도포된 접착제가 유동하여 워크로부터 비어져 나오기 쉬워진다. 따라서, 워크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함과 함께, 도포 형상이 붕괴되지 않도록 가경화(假硬化)를 행했다(특허문헌 1 참조).
예컨대, 슬릿형의 노즐로부터 UV 경화 수지의 접착제를 워크의 도포면에 도포하면서, 노즐과 워크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워크의 도포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직사각형의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 때, 노즐의 직후 근방을 따라 조사부에 의해 UV광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를 가경화시켜 유동을 억제했다.
예컨대,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액정 패널(S1)을, 도 16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주에 인쇄 프레임(P)이 형성된 커버 패널(S2)과 접합하여 표시 장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 접착제는 일례로서 액정 패널(S1)측에 도포한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S1)의 표시 영역과 커버 패널(S2)의 인쇄 프레임(P)에 둘러싸인 내측 프레임(F)은, 상사형(相似形)이며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의 표면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는 것은, 액정 패널(S1)에 형성하는 접착층(R1)이, 커버 패널(S2)의 인쇄 프레임(P)에 둘러싸인 내측 프레임(F)과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는 것과 동일하다. 즉, 내측 프레임(F)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접착층(R1)도 대략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양쪽 패널이 접합될 때에, 접착층(R1)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 패널의 내측 프레임의 프레임선에 중복되어 접착층(R1)의 선이 보이지 않게 되어, 제품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형의 노즐을 이용하는 슬릿 코터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또한 도포후에 가경화를 행하여 접착제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접착층의 형상 및 크기를 컨트롤할 수 있다. 그러나, 노즐로부터 토출된 접착제는, 워크에 도포된 후 표면장력에 의해 반구형이 된다. 따라서, 슬릿형의 노즐로 접착제를 직사각형으로 도포했다 하더라도,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의 가장자리는 단면으로 봤을 때 직각은 되지 않고, 상부에 R을 갖는 곡면 상태가 되어 버린다. 또한,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볼 때 네 모서리의 각의 부분은 R을 갖는 곡면 상태가 되어 버린다. 즉, 네 모서리의 부분은 표면장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1/4의 구형이 되어, 다른 부분보다 큰 R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을 접합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R1)의 가장자리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프레임선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릴 가능성이 있다.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R의 크기를 미리 고려하여 도포형상을 컨트롤할 수도 있지만,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 부분에 관해서는 직선 부분보다 큰 R이 형성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와의 사이에 시인 가능한 정도의 간극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최근,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확대화가 요구되고 있고, 인쇄 프레임의 폭은 가능한 한 좁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와 같은 엄격한 요구가 있으면, 근소하더라도 간극이 생겨 버리면 외관의 면에서 제품 불량이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을 터치 패널 등과 접합하는 경우는, 인쇄 프레임에 관계없이 접합면의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충전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접착층 가장자리의 선이 표시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어, 외관상의 불량이 되어 버린다. 어느 경우든, 간극 부분으로부터 박리 등이 생기기 쉬워져 제품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층의 가장자리와 워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보충용 접착제로 충전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표시 장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제품의 수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워크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접착제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도포부와,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에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부와, 상기 한쌍의 워크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 접합되는 한쌍의 워크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워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워크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접착제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도포 처리와,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에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 처리와, 상기 한쌍의 워크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 처리를 가지며, 상기 접착제 보충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접합 처리에 있어서 접합되는 한쌍의 워크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워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와 워크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보충용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접착층 부분으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파손이 예방되어, 외관이 양호한 표시 장치용 부재를 제조할 수 있고, 제품의 수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접착제 도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B)는, 접착제의 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접합 장치의 개략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경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반송 장치의 횡단 방향에서 본 촬상부 및 접착제 보충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접착제 도포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촬상 처리 및 위치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버 패널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접착제 보충 처리의 후에 행해지는 접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액정 패널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접착제 보충 처리의 후에 행해지는 접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에서의 접착제 도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B)는 접착제 보충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접착층을 형성한 액정 패널의 평면도이다. (B)는 접착층을 형성한 액정 패널의 측면도이다. (C)는 커버 패널의 저면도이다. (D)는 커버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의 접합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의 (A)는, 접착제 도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B)는, 접착제의 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접합 장치의 개략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경화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반송 장치의 횡단 방향에서 본 촬상부 및 접착제 보충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접착제 도포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촬상 처리 및 위치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버 패널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접착제 보충 처리의 후에 행해지는 접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액정 패널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접착제 보충 처리의 후에 행해지는 접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에서의 접착제 도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B)는 접착제 보충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제 보충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접착층을 형성한 액정 패널의 평면도이다. (B)는 접착층을 형성한 액정 패널의 측면도이다. (C)는 커버 패널의 저면도이다. (D)는 커버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의 접합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접합시의 액정 패널 및 커버 패널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접합후의 적층체를 커버 패널의 상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워크]
본 장치는, 표시 장치용 부재가 되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이다. 표시 장치용 부재에는, 표시 패널과 커버 패널을 적층한 부재와 같이 표시 기능을 갖춘 부재도, 커버 패널과 터치 패널을 적층한 부재와 같이 그 부재만으로는 표시 기능을 갖추지 않은 부재도 포함된다. 즉, 적층의 대상이 되는 워크는, 표시 패널, 터치 패널, 커버 패널, 백라이트나 그 도광판 등의 여러가지 것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패널과 커버 패널을 접착제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표시 장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그 형상도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일례로서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액정 패널(S1)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접착제는,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의 어느 한쪽에 도포해도 좋고, 또는 양쪽에 도포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표면에 접착제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R1)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접착제는, 액정 패널(S1)의 전면에 넓게 퍼지도록 도포하지만, 접합시에 접착제가 양쪽 패널의 사이에서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정 패널(S1)의 외측 가장자리를 약간 남기도록 도포는 행해진다. 즉, 접착층(R1)은 액정 패널(S1)과 서로 닮은 직사각형이며, 액정 패널(S1)보다 약간 작은 크기이다.
커버 패널도 여러가지 종류나 형상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보다 큰 직사각형의 커버 패널(S2)을 이용한다. 이 커버 패널(S2)의 저면측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만들도록 소정폭의 인쇄 프레임(P)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하면에서 볼 때, 커버 패널(S2)에는 인쇄 프레임(P)에 둘러싸인 내측 프레임(F)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C) 및 (D)의 예에서는, 내측 프레임(F)은 직사각형으로 네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른 다각형이어도 좋고, 네 모서리는 상면시에 직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는 단면시에서는 대략 직각으로 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F)의 크기는, 액정 패널(S1)보다 약간 작아져 있다. 전술한 접착층(R1)은, 이 내측 프레임(F)과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도포된다.
액정 패널(S1)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과 커버 패널(S2)의 인쇄 프레임(P)이 형성된 면을 접합함으로써 표시 장치용 부재가 구성된다. 접합시에는, 액정 패널(S1)에 도포된 접착제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선에 중복되도록 적층한다. 액정 패널(S1)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액정 패널(S1)의 외측 가장자리는 인쇄 프레임(P) 상에 적층된다. 이것에 의해, 완성된 적층체를 위에서 보았을 때에, 액정 패널(S1)의 외측 가장자리는 인쇄 프레임(P)에 가려서 보이지 않게 되어 있어,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는, 전술한 액정 패널(S1)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와,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접합을 행함으로써, 표시 장치용 부재를 제조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경화 장치(3), 반송 장치(4) 및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S1), 커버 패널(S2)은, 로더(200)에 의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에 반입되고,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 장치(4)를 따라서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및 경화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액정 패널(S1), 커버 패널(S2)은 반송 장치(4)로부터 픽업되고, 도시되지 않은 반입구를 통해 각 장치에 대한 반입 및 반출이 이루어진다. 각 장치에서의 공정을 거쳐 표시 장치용 부재(L)가 제조되고, 언로더(300)에 의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로부터 반출된다. 이하에, 각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접착제 도포 장치(1)]
접착제 도포 장치(1)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도포부로서, 워크의 표면에 접착제(R)를 도포하여 접착층(R1)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표면에 접착제(R)를 도포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지만, 커버 패널(S2)에 도포를 행해도 좋고, 또는 양쪽 패널에 도포를 행해도 좋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 장치(1)는, 액정 패널(S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유닛(11)과, 지지 유닛(11)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 도포 유닛(12) 및 조사 유닛(13)을 구비한다.
지지 유닛(11)은, 접착제 도포 장치(1)에서의 액정 패널(S1)을, 도포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지지한다. 이 지지 유닛(11)은, 스테이지(11a), 구동 기구(11b)를 갖는다. 스테이지(11a)는, 액정 패널(S1)이 배치되는 평판형의 테이블이다. 구동 기구(11b)는, 스테이지(11a)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구동 기구(11b)로는, 예컨대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볼나사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 배치된 액정 패널(S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좋다. 구동 기구(11b)에서의 스테이지(11a)의 이동의 개시, 정지 및 속도는,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
도포 유닛(12)은, 액정 패널(S1)에 대하여 접착제(R)를 도포한다. 도포 유닛(12)은, 접착제(R)를 수용하는 탱크(T)와, 디스펜서(14)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T)는, 접착제(R)의 유로인 배관 및 접착제(R)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통해 디스펜서(14)에 접속된다. 디스펜서(14)는, 예를 들면, 펌프에 의해 액정 패널(S1)에 접착제(R)를 면형으로 공급하는 슬릿을 구비한 슬릿 코터를 이용할 수 있다.
슬릿은, 액정 패널(S1)의 도포면에 평행하고, 액정 패널(S1)의 상대 이동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 개구이며, 그 긴 방향의 길이가, 액정 패널(S1)의 폭과 동등하거나 또는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디스펜서(14)의 선단 부분은, 이러한 슬릿을, 스테이지(11a) 상에 배치된 액정 패널(S1)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한 노즐(슬릿 노즐)을 형성하고 있다.
이 노즐로부터 접착제를 토출하면서, 액정 패널(S1)을 배치한 스테이지(11a)를 노즐의 아래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거의 전면에 면형으로 접착제(R)가 도포되어 직사각형의 접착층(R1)이 형성된다. 거의 전면에라는 것은, 가장자리 부분을 약간 남기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크기는 액정 패널(S1)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층(R1)을 액정 패널(S1)의 가장자리를 약간 남기도록 도포함으로써, 내측 프레임(F)과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접착층(R1)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접착제(R)는, 외부로부터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이면 된다. 예컨대, 자외선(UV) 경화 수지나 열경화 수지, 그 밖의 전자파, 방사선 등의 에너지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 등이 고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V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되는 접착제(R)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단, 가경화에 의한 유동의 억제의 필요성이 높은 점도로는, 2000∼수만 cps가 상정되고, 비교적 점도가 낮은 2000∼5000 cps가 바람직하다.
조사 유닛(13)은, 접착제(R)에 대하여 가경화를 위한 에너지를 조사하는 처리부이다. 가경화는, 접착제(R)의 대부분이 겔화하지만, 완전하게는 경화하지 않은 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하는 에너지의 종류는, 사용하는 접착제(R)의 종류에 따라서 자외선, 적외선 등의 전자파, 방사선, 열원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R)에 UV 경화 수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사 유닛(13)은, 자외선(UV)을 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LED나 LD, 램프 등의 조사원을 갖고 있다. 조사 유닛(13)은, 스테이지(11a) 상측에 있어서 도포 유닛(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조사원은 스테이지(11a) 상에 배치된 액정 패널(S1)에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지(11a)의 이동에 따라 접착제(R)가 도포된 액정 패널(S1)에 대하여 연속하여 에너지 조사를 행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스테이지(11a)에 구동 기구가 구비되고, 스테이지(11a)가 각 유닛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 이동은 상대적이면 된다. 즉, 스테이지(11a)는 고정으로 하고, 도포 유닛(12) 및 조사 유닛(13)에 구동 기구를 구비하여, 스테이지(11a)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접합 장치(2)]
접합 장치(2)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접합부로서,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을 적층하여 접합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장치(2)는, 챔버(21) 내에 하측 플레이트(22)와 상측 플레이트(23)를 대향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챔버(21)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측으로 이동하면 하측 플레이트(22)와 상측 플레이트(23)가 외부에 개방되고,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이 반입 가능해진다. 하측으로 이동하면 하측 플레이트(22)와 상측 플레이트(23)는 챔버(21) 내에 수용되고, 챔버(21) 내부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챔버(21)는 도시되지 않은 배기 수단에 의해 내부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이 반입되면, 챔버(21)가 하강하여 내부가 밀폐된 후에 감압되고, 감압 분위기하에 접합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하측 플레이트(22)에, 접착제(R)가 도포된 액정 패널(S1)이 지지되고, 상측 플레이트(23)에 커버 패널(S2)이 유지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측 플레이트(23)의 유지 기구로서, 예를 들면, 정전 척, 미케니컬 척, 진공 척, 점착 척 등, 현재 또는 장래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모든 유지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복수의 종류의 척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측 플레이트(23)에는 구동 기구(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동 기구(25)에 의해, 상측 플레이트(23)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의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플레이트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지한 커버 패널(S2)을 하측 플레이트(22)에 지지된 액정 패널(S1)에 압박하여 적층한다.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은, 액정 패널(S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R)를 통해 접합되어 적층체(S10)가 형성된다.
또, 하측 플레이트(22)는, 지지된 액정 패널(S1)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상측 플레이트(23)와 동일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경화 장치(3)]
경화 장치(3)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경화부로서,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을 접합하고 있는 접착층(R1)을 경화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 장치(3)는, 적층체(S10)가 배치되는 배치대(31)와, 배치대(31) 상에 배치된 조사 유닛(33)을 구비한다.
조사 유닛(33)은, 경화 에너지를 조사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조사하는 에너지의 종류는, 사용하는 접착제(R)의 종류에 따라서, 자외선, 적외선 등의 전자파, 입자선으로 이루어진 방사선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접착제(R)로서 UV 경화 수지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조사 유닛(33)은, 예컨대 UV를 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램프나 LED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조사 유닛(33)의 조사는, 접착층(R1)을 경화하는 데 필요한 양의 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 에너지의 양은, 조사의 강도와 시간에 따라 조정된다. 예컨대, 접착제 도포 장치(1)에 있어서 가경화된 접착층(R1)을 완전히 경화하는 데 필요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의 강도와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가경화를 수반하지 않는 접착층(R1)을 완전히 경화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반송 장치(4)]
반송 장치(4)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반송부를 구성한다. 반송 장치(4)는,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을, 전술한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및 경화 장치(3)의 각 부에 반송하는 반송부와 그 구동 기구로 구성된다. 반송부로는, 예를 들면, 턴테이블, 컨베어, 레일 위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픽업 수단 등이 고려되지만, 상기 각 장치의 사이에서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을 반송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로서 컨베어(40)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은, 이 컨베어(40)의 면에 배치되어 반송된다.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및 경화 장치(3)는 이 컨베어(40)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컨베어(40)로부터 각 장치에 패널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컨베어(40)에 의해 양쪽 패널이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하고, 컨베어(40) 상에 있어서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횡단 방향」으로 한다. 컨베어(40)의 반송 방향에서의 로더(200)측을 「상류측」으로 하고, 언로더(300)측을 「하류측」으로 한다. 컨베어(40)의 횡단 방향에서의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및 경화 장치(3)에 가까운 측을 「깊이측」으로 하고, 먼 측을 「전방측」으로 한다.
반송 장치(4)에는,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가 횡단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는, 컨베어(40) 상의 접착제 도포 장치(1)와 접합 장치(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5)는, 컨베어(40) 상측에 배치된 카메라 본체(51a)와, 카메라 본체(51a)로부터 컨베어(40)를 향하여 연장되는 렌즈 경통(51b)을 구비한다.
접착제 보충부(6)는 촬상부(5)의 장치 전방에 배치되고, 보충용 접착제(R10)를 수용하는 탱크(T10)와, 디스펜서(61)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T10)는 접착제(R)의 유로인 배관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통해 디스펜서(61)에 접속된다.
디스펜서(61)로서 각종 노즐을 사용할 수 있지만, 소량의 접착제를 원하는 개소(箇所)에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제트 노즐이나 니들 노즐로 구성할 수 있다. 디스펜서(61)는 촬상부(5)의 렌즈 경통(51b)에 고정구를 통해 부착되고, 노즐 선단이 컨베어(40)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촬상부(5)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 기구에 의해, 촬상부(5)는 적어도 횡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촬상부(5)에 연결되어 있는 접착제 보충부(6)도 촬상부(5)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또, 촬상부(5)와 접착제 보충부(6)를 연결하지 않고, 각각에 구동 기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컨베어(40)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과, 촬상부(5)의 횡단 방향으로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컨베어(40) 상에서 반송되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원하는 부분의 촬상이 가능해진다. 접착제 보충부(6)도 마찬가지로, 컨베어(40)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과, 접착제 보충부(6)의 횡단 방향으로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컨베어(40) 상에서 반송되는 액정 패널(S1) 또는 커버 패널(S2)의 원하는 부분에 대하여 보충용의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다. 촬상부(5)와 접착제 보충부(6)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서는, 작용의 항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충용 접착제(R10)는, 접착층(R1)을 형성하는 접착제(R)와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보충용 접착제(R10)에 대해서는 가경화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R)보다 점도가 높고 유동이 적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가경화후의 접착제(R)와 동등한 점도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제어 장치(7)]
제어 장치(7)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제어 장치(7)는, 각 부를 구성하는 장치의 동작의 제어나,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반송 타이밍의 제어, 나아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검출 처리나 산출 처리 등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7)는 특히, 촬상부(5)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을 이용하여 위치 검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위치 검출 처리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착제 보충부(6)의 동작의 제어와, 접합부에서의 위치 맞춤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7)는 또한,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고, 기억부에는 전술한 처리를 위해 필요한 기준치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 장치(7)의 전술한 처리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도, 작용의 항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 장치(7)는, 예컨대 전용의 전자 회로 또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동작하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7)에 스위치,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접속하여, 오퍼레이터가 제어 장치(7)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장치나 패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램프, 미터 등의 출력 장치를 접속해도 좋다.
[작용]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도 1∼도 6에 더하여, 도 7∼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각 장치나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위치 및 크기 등은 설명을 위한 편의적인 표현에 불과하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이, 로더(200)에 의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에 반입되고, 반송 장치(4)의 컨베어(40) 상에서 반송된다. 각각의 패널은, 접합면이 되는 면이 상측이 되도록 반송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패널(S1)은 접착층(R1)이 형성되는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커버 패널(S2)은 인쇄 프레임(P)이 형성된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컨베어(40)에 배치된다.
[접착제 도포 처리]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은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픽업되고, 접착제 도포 장치(1)의 스테이지(11a) 상에 배치된다. 스테이지(11a)는, 구동 기구에 의해, 도포 유닛(12) 및 조사 유닛(13)으로 향하는 방향(이후 「이동 방향」이라고 함)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 유닛(12)은, 디스펜서(14)의 슬릿 노즐의 선단 위치에, 액정 패널(S1)의 도포 시작 위치가 온 지점에서 접착제(R)의 토출을 시작한다. 스테이지(11a)는 이동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면 위에 접착제(R)가 도포되어 간다. 슬릿 노즐의 선단 위치에, 액정 패널(S1)의 도포 종료 위치가 온 지점에서 접착제(R)의 토출을 종료한다. 도포 시작 위치는 액정 패널(S1)의 한 변의 단부(도면 중 좌단)이고, 도포 종료 위치는, 이것에 대향하는 한 변의 단부(도면 중 우단)이다.
이 스테이지(11a)의 이동과 도포 유닛(12)에 의한 접착제(R)의 토출에 의해 액정 패널(S1)의 상면에 직사각형의 접착층(R1)이 형성된다. 접착층(R1)은, 액정 패널(S1)이 접합되는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과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란,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이 접합되었을 때에, 접착층(R1)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측 프레임(F)의 외측 가장자리와 거의 중복되는 형상 및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사형 및 동일한 크기」와 같은 경우에도, 완전히 크기가 일치하는 것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거의 동일한 크기를 의미하는 「대략 동일한 크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단,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R1)의 가장자리는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곡면형상이 된다. 특히, 네 모서리의 부분에 있어서는 표면장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R이 커져 1/4의 구형이 된다. 1/4의 구형이란, 수평으로 볼 때에도 단면으로 볼 때에도 곡면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는, 단면시에서 대략 직각이다. 접합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S1)에 도포된 접착층(R1)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선에 중복되도록, 즉 접촉하도록 적층한다. 그러나,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는 큰 R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착층(R1)의 네 모서리가, 접합에 있어서 커버 패널(S2)과 접촉 가능해지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즉, 접착층(R1)은 그 상태 그대로 커버 패널(S2)과 접합하면,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R1)의 가장자리 또는 네 모서리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변이나 네 모서리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테이지(11a)는 이동을 더 계속하여,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층(R1)의 시단(始端)이 조사 유닛(13)의 하측에 위치한 지점에서, 조사 유닛(13)은 에너지의 조사를 시작한다. 스테이지(11a)는 이동을 계속하여, 접착층(R1)의 종단(終端)이 조사 유닛(13)을 통과한 지점에서, 조사 유닛(13)은 조사를 종료한다. 접착층(R1)은 가경화의 상태가 되고, 접착제(R)의 유동이 억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조사 유닛(13)에서 조사하는 총에너지를 조정하여, 접착제(R)의 경화율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또는, 조사 유닛(13)에서 에너지가 조사되는 부분의 분위기 가스의 성분을 조정하여, 접착제(R)의 경화율을 조정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는, 조사 유닛(13)의 하측에 위치하는 접착층(R1)의 주위를 덮고, 내부의 분위기 조정을 행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또, 가경화 처리는 필수가 아니며, 접착제(R)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생략해도 좋다.
[촬상 처리, 위치 검출 처리 및 접착제 보충 처리]
접착층(R1)이 형성된 액정 패널(S1)은,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접착제 도포 장치(1)로부터 반출되고, 다시 반송 장치(4)의 컨베어(40) 상에 배치되고, 커버 패널(S2)과 합류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은, 컨베어(40)의 횡단 방향으로 인접하여, 또한 대략 나란히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액정 패널(S1)이 컨베어(40) 깊이측, 커버 패널(S2)이 컨베어(40)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배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패널(S1)이 컨베어(40) 전방측, 커버 패널(S2)이 컨베어(40) 깊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은 컨베어(40) 상에서 반송되어,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의 아래까지 이동한다.
여기서, 촬상부(5)에 의한 촬상 처리, 제어 장치(7)에 의한 위치 검출 처리 및 접착제 보충부(6)에 의한 접착제 보충 처리가 행해진다.
촬상 처리 및 위치 검출 처리는, 후술하는 접합 처리의 양쪽 패널의 위치 맞춤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은, 액정 패널(S1)에 형성된 접착층(R1)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선에 중복되도록 적층된다. 즉, 액정 패널(S1) 상에 형성된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와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이하, 단순히 「커버 패널(S2)의 네 모서리」라고도 함)를 맞추도록 접합을 행한다. 양쪽 패널의 네 모서리의 위치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는, 접합전에 그 어긋남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촬상 처리에서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의 촬상을 행하고, 위치 검출 처리에서 양쪽 패널의 네 모서리의 좌표를 특정한다.
이 접합 처리에서의 위치 맞춤을 위해 취득된 액정 패널(S1) 또는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의 좌표는, 접착제 보충 처리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접착제 보충 처리는, 어느 패널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행해지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에 형성된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는 R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커버 패널(S2)과 접합하면,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접착제 보충부(6)는, 이 간극을 보충용 접착제(R10)로 충전하기 위해,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한다.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와의 사이에 간극은 미소한 것이며, 이 미소한 간극의 충전을 위해서는 소량의 보충용 접착제(R10)를 정확한 위치에 토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양쪽 패널의 위치 맞춤을 위해 특정된 모서리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대한 보충용 접착제(R10)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한다」란, 직접적 및 간접적인 공급을 포함한다. 「직접적으로 공급한다」란, 보충용 접착제(R10)를, R이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직접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간접적으로 공급한다」란, 접착층(R1)이 아니라 커버 패널(S2)의 쪽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부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접합 처리에 있어서,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는 액정 패널(S1)의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위치 부여되어 적층된다. 그 때문에,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부착시키면, 결과적으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할 수 있다.
촬상 처리, 위치 검출 처리 및 접착제 보충 처리는 각각 별개로 행해도 좋지만, 컨베어(40)의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과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의 횡단 방향으로의 이동을 조합하여, 동시 진행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배치한 컨베어(40)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패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단부(이후, 전단이라고 함)가 촬상부(5)의 아래가 되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5)를 장치 전방측으로부터 깊이측으로 횡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각 모서리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한다. 또, 컨베어(40) 및 촬상부(5)의 이동량 및 정지 위치는, 패널의 치수 등에 맞춰 미리 정해 놓고, 제어 장치(7)의 기억부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제어 장치(7)는, 촬상부(5)가 각 모서리의 화상을 취득할 때마다 위치 검출 처리를 행한다. 위치 검출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패널(S1)에 관해서는, 화상을 해석하여 패널의 윤곽을 검출하고, 패널 2변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 범위를 모서리로서 특정하여 그 좌표를 구한다. 커버 패널(S2)에 관해서는, 마찬가지로 화상을 해석하여 내측 프레임(F)의 윤곽을 검출하고, 내측 프레임(F)의 프레임선 2변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 범위를 모서리로서 특정하여 그 좌표를 구한다.
보충용 접착제(R10)의 토출이 행해지는 패널에 대해서는, 위치 검출 처리의 후, 위치 검출 처리에 의해 취득한 좌표에 기초하여 접착제 보충 처리도 행한다. 제어 장치(7)에 있어서 특정된 모서리의 좌표에, 접착제 보충부(6)의 디스펜서(6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디스펜서(61)로부터 보충용 접착제(R10)를 토출한다.
커버 패널(S2)에 대하여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각 모서리의 좌표에 디스펜서(61)를 이동시켜 보충용 접착제(R10)를 토출한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충용 접착제(R10)는,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모서리에 있어서 인쇄 프레임(P)에 올라타듯이 부착된다.
액정 패널(S1)에 대하여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각 모서리의 좌표에 디스펜서(61)를 이동시켜 보충용 접착제(R10)를 토출한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충용 접착제(R10)는, 액정 패널(S1)의 외측 가장자리 바로 곁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올라타듯이 부착된다. 접착층(R1)은 접착제 도포 장치(1)에 있어서 가경화되어 있기 때문에, 보충용 접착제(R10)가 접착층(R1)에 흡수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또, 디스펜서(61)는 촬상부(5)에 연결되고, 횡단 방향으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촬상부(5)로 모서리를 촬상한 후에, 촬상부(5)를 장치 전방측 또는 깊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펜서(61)를 용이하게 모서리의 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단측의 각 모서리에 대하여 전술한 처리가 완료되었다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어(40)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부(이후, 후단이라고 함)가 촬상부(5)의 아래가 되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깊이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촬상부(5)를 횡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후단측의 각 모서리를 촬상한다. 전단측과 마찬가지로, 모서리의 화상을 취득할 때마다 제어 장치(7)에 있어서 위치 검출 처리를 행하고, 또한 보충용 접착제(R10)의 공급이 행해지는 패널에 관해서는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한다.
또, 전술한 각 모서리의 처리의 순서는 일례이며,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컨베어(40)의 이동이나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의 이동도 상대적인 것이면 되며, 예컨대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를 횡단 방향뿐만 아니라 반송 방향이나 반송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접합 처리]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모든 네 모서리의 촬상 처리 및 위치 검출 처리와, 커버 패널(S2)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가 완료되면,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은 컨베어(40) 상에서 반송되고,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접합 장치(2)에 반입된다. 이 때, 전술한 위치 검출 처리에서 검출된 각 모서리의 좌표가 유지되도록 반입이 행해진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 장치(2)에 있어서, 접착층(R1)이 형성된 액정 패널(S1)이 하측 플레이트(22)에 배치된다. 이 때, 접착층(R1)이 형성된 표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패널(S2)은 접합하는 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반전되어 상측 플레이트(23)에 전달되어 유지 기구에 의해 유지된다. 양쪽 패널은, 반송 장치(4)에 있어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유지하도록 전달된다.
이 때, 챔버(21)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하측 플레이트(22)와 상측 플레이트(23)는 개방되어 있다. 양쪽 패널의 반송이 완료되면 챔버(21)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되고, 하측 플레이트(22)와 상측 플레이트(23)를 챔버(21)의 내부에 수용한다. 챔버(21) 내부에는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기 수단에 의해 밀폐 공간 내가 감압된다.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네 모서리를 맞추도록 적층되지만, 각각의 네 모서리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길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접합전에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위치 보정을 행한다. 위치 보정은, 반송 장치(4)의 위치 검출 처리에서 검출된 각 모서리의 좌표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위치 보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예컨대 제어 장치(7)의 기억부에 각 모서리의 위치 기준치를 미리 저장해 두고, 그 위치 기준치와 검출한 각 모서리의 좌표의 차분으로부터 위치 보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위치 보정량에 기초하여 상측 플레이트(23)를 x, y, θ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한다. 또, 여기서는 상측 플레이트(23)를 움직여 위치 보정을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하측 플레이트(22)의 쪽, 혹은 상측 및 하측 플레이트(22, 23)의 양쪽을 움직여 위치 보정을 행해도 좋다.
위치 어긋남이 보정된 후,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플레이트(23)가 하측 플레이트(22)를 향하여 하강하고, 상측 플레이트(23)에 유지되어 있는 커버 패널(S2)을, 하측 플레이트(22)에 지지되어 있는 액정 패널(S1)에 압박한다. 액정 패널(S1)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R1)은, 액정 패널(S1)을 통해 하측 플레이트(22)에 압박되고 양쪽 패널에 밀착됨으로써, 양쪽 패널을 접합한다.
전술한 접착제 보충 처리에 있어서, 커버 패널(S2)에 대하여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한 경우의 접합을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양쪽 패널이 접합되면,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던 보충용의 접착제가, R이 형성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와, 단면시 대략 직각의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매립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프레임(P)과 접착층(R1)의 간극이 없는 적층체(S10)가 완성된다. 또, 적층체(S10)에 있어서, 보충용 접착제(R10)는 접착층(R1)과 일체화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보충용 접착제(R10)와 접착층(R1)의 경계는 없어진다. 그 때문에, 도 10의 (B)에 있어서 보충용 접착제의 부호 R10은 괄호로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접착제 보충 처리에 있어서, 액정 패널(S1)에 대하여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한 경우의 접합을 도 12에 도시하고 있다. 양쪽 패널이 접합되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 상에 형성된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보충 접착제가, R이 형성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와, 단면시 대략 직각의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매립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에 의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프레임(P)과 접착층(R1)의 간극이 없는 적층체(S10)가 완성된다. 이 적층체(S10)에 있어서도, 보충용 접착제(R10)는 접착층(R1)과 일체화하기 때문에, 도 12의 (B)에 있어서도, 도 10의 (B)와 마찬가지로 보충용 접착제의 부호 R10은 괄호로 나타내고 있다.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의 접합이 완료되면, 감압 상태가 해제되고, 챔버(2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밀폐 공간이 개방된다. 적층체(S10)는, 접합 장치(2)로부터 반출되고, 다시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된다. 계속해서, 도시되지 않은 픽업 수단에 의해 경화 장치(3)에 반입된다. 또, 접합 장치(2)로부터 경화 장치(3)로의 반송의 과정에서, 적층체(S10)를 일정 시간 대기중에서 방치해도 좋다. 이 방치 시간에 있어서, 적층체(S10)가 대기압에 의해 압박되어 안정된다. 또한, 접착층(R1)에 보이드가 잔류하고 있더라도, 충분한 시간 방치함으로써 보이드도 저감시킬 수 있다.
[경화 처리]
경화 장치(3)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S10)는 배치대(31)에 배치되고, 조사 유닛(33)에 의해, 가경화된 접착층(R1)이 완전히 경화하는 데 필요한 강도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접착층(R1)의 본경화가 완료된다.
[효과]
(1)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워크인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이 접착제(R)를 통해 접합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로서, 액정 패널(S1) 상에 접착제(R)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R1)을 형성하는 도포부로서의 접착제 도포 장치(1)와, 액정 패널(S1) 또는 커버 패널(S2)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부(6)와,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접착층(R1)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로서의 접합 장치(2)를 구비한다. 보충용 접착제(R10)는, 접합 장치(2)에서 접합되는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에서, 상기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인 네 모서리와 커버 패널(S2)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한다.
표면장력의 작용에 의해 곡면형상이 되는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와, 대향하는 커버 패널(S2) 사이에 생기는 간극에 접착제를 공급하여 간극을 충전함으로써, 접착층 부분으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파손이 예방되어, 외관이 양호한 표시 장치용 부재(L)를 제조할 수 있고, 제품의 수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간극을 충전한다」라는 것은 접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생긴 간극을 충전한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라,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지 않으면 간극이 생겨 버릴만한 장소에 미리 접착제를 공급해 두어, 최종적으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한,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함으로써, 접착제 도포 장치(1)에서의 접착제(R)의 도포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엄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나 패널을 적용할 수 있고, 접착제의 도포 환경 변동의 영향을 저감하고, 메인터넌스나 조건 조성 등을 간이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2) 접착제 보충부(6)는,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보충용 접착제(R10)의 공급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의 곡면 상태의 정도에 따라, 보충용 접착제(R10)의 위치나 양을 미조정할 수도 있다.
(3) 접착제 보충부(6)는,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커버 패널의 부분인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함으로써,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간접적으로 공급해도 좋다. 곡면 상태로 되어 있는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직접 접착제를 보충하지 않더라도,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해 두면, 접합 장치(2)의 접합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접착제가 보충되게 된다. 내측 프레임(F)의 네 모서리는 평탄한 상태이므로, 보충용 접착제(R10)가 정확한 위치에 토출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접착층(R1)에 직접적으로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는 경우는, 보충용 접착제(R10)가 접착층(R1)에 흡수되지 않도록 접착제 도포 장치(1)에서 접착층(R1)을 가경화한 편이 좋지만, 커버 패널(S2)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하는 경우는, 보충용 접착제(R10)가 접합전에 접착층(R1)에 흡수되지는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재질에 따라서 가경화를 생략할 수도 있다.
(4) 커버 패널(S2)에는 직사각형의 내측 프레임(F)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 장치(1)는, 액정 패널(S1) 상에 내측 프레임(F)과 상사형 및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접착층(R1)을 형성한다. 접합 장치(2)에서, 접착층(R1)이 내측 프레임(F) 내에 들어가도록 액정 패널(S1)과 커버 패널(S2)은 접합된다. 접착제 보충부(6)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이 접합된 적층체(S10)에서, 접착층(R1)의 각 모서리와 내측 프레임(F)의 각 모서리 사이에 최종적으로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한다.
커버 패널(S2)의 직사각형의 내측 프레임(F)은, 각 모서리가 거의 직각이다. 특히, 표시 영역을 크게 하기 위해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 R도 거의 없다. 한편, 직사각형에 도포된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각 모서리는 도포후 곡면형상이 된다. 접착층(R1)의 가장자리 중에서도, 표면장력이 크게 작용하는 네 모서리는 보다 큰 곡면이 형성되고, 간극이 허용 범위를 넘어 버릴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접착제(R)의 도포시 또는 도포 직후에 접착층(R1)의 가장자리를 허용 범위 내의 곡면에 형성할 수 있다 하더라도, 네 모서리는 허용 범위밖이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접착층(R1)의 가장자리 중에서도, 특히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을 행함으로써, 접착층(R1)의 네 모서리가 허용 범위밖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충용 접착제(R10)를 접착층(R1)의 가장자리 전체에 도포하지 않더라도, 간극에 의한 외관 불량이나 박리에 의한 파손이 저감되는 높은 품질의 표시 장치용 부재(L)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보충용 접착제(R10)를 접착층(R1)의 가장자리 전체에 도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접착제 보충 처리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접착제 보충부(6)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5)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촬상하는 촬상부(5)를 더 구비한다. 접착제 보충부(6)는, 촬상부(5)가 촬상한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화상에 기초하여 보충용 접착제(R10)의 공급을 행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접착제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접착제 도포 장치(1)와 접합 장치(2) 사이에서 반송하는 반송 장치(4)를 더 구비하고,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는 이 반송 장치(4)에 설치되어 있다. 접합 장치(2)는, 촬상부(5)가 촬상한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화상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의 위치 맞춤을 행한다. 즉, 촬상부(5)로 촬상한 화상은, 보충용 접착제(R10)의 공급 위치의 결정뿐만 아니라, 접합시의 위치 맞춤에도 이용된다. 즉, 각각의 처리에 대하여 복수의 촬상부(5)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부품수의 저감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구성 및 작용]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보충부(6)는 반송 장치(4)에 설치되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보충부(6)가 접착제 도포 장치(1)에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보충부(6)는, 지지 유닛(11)의 상측의, 조사 유닛(13)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접착제 보충부(6)는, 보충용 접착제(R10)를 수용하는 탱크(T10)와, 디스펜서(6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펜서(62)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S1)의 횡단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지지부에 2개의 노즐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2개의 노즐은 액정 패널(S1)의 횡단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액정 패널(S1)이 접착제 보충부(6)의 아래에 위치했을 때, 각각의 노즐이 액정 패널(S1)의 횡단 방향을 따른 변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보충 처리는 접착제 도포 처리의 후에 행해진다. 즉, 스테이지(11a)가 도포 유닛(12)과 조사 유닛(13)의 아래를 이동하고, 스테이지(11a) 상에 배치된 액정 패널(S1)에 접착층(R1)이 형성되고, 또한 접착층(R1)이 가경화된다. 그 후, 스테이지(11a)는 하류 방향으로 더 이동을 계속하고, 액정 패널(S1)의 하류측의 단부가 접착제 보충부(6)의 아래에 도달한 지점에서 정지한다.
접착제 보충부(6)는, 2개의 노즐로부터 보충용 접착제(R10)를 토출한다. 보충용 접착제(R10)는, 액정 패널(S1)의 하류측 단부의 접착층(R1)의 두 모서리에 부착된다. 스테이지(11a)를 다시 하류 방향 이동시키고, 액정 패널(S1)의 상류측의 단부가 접착제 보충부(6)의 아래에 도달한 지점에서 스테이지(11a)를 다시 정지시킨다. 접착제 보충부(6)가 2개의 노즐로부터 보충용 접착제(R10)를 토출함으로써, 액정 패널(S1)의 상류측 단부의 접착층(R1)의 두 모서리에도 보충용 접착제(R10)를 부착시킨다.
전술한 스테이지(11a)의 이동량 및 정지 위치는, 액정 패널(S1)의 치수 등에 맞춰 미리 정해 두고, 제어 장치(7)의 기억부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접착제 보충부(6)를 2개의 노즐로 구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액정 패널의 네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4개의 노즐로 구성해도 좋다. 그것에 의해, 네 모서리에 대한 접착제 보충 처리를 한번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시간이 단축된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 장치(1)는, 액정 패널(S1) 상에 접착제(R)를 도포하는 도포 유닛(12)과, 도포 유닛(1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액정 패널(S1) 상에 도포된 접착제(R)에 대하여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접착제(R)를 가경화시키는 조사 유닛(13)과, 액정 패널(S1)을 지지하고, 도포 유닛(12) 및 조사 유닛(13)에 대하여 액정 패널(S1)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11a)를 포함하며, 접착제 보충부(6)는, 조사 유닛(13)에 대하여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조사 유닛(13)에 의해 가경화된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한다.
접착제 보충부(6)를, 접착제 도포 처리가 행해지는 스테이지(11a)의 이동 방향 위에 설치함으로써, 촬상을 행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정확한 위치에 접착제의 보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보충부(6)를 조사 유닛(13)의 하류측에 설치함으로써, 접착제를 가경화한 후에 접착제의 보충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충용 접착제(R10)가 접착층(R1)에 흡수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그 밖의 실시형태]
(1)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반송하는 반송부로서 컨베어(40)를 구비한 반송 장치(4)의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송부는, 예컨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아암(41a, 41b)을 구비한 유지 수단(41)을, 레일(42) 위를 주행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은, 2개의 아암(41a, 41b)의 각각에 유지되고, 대향하는 형태로 레일(42) 위에서 반송된다. 촬상부(5) 및 접착제 보충부(6)는, 레일(42) 위의 2개의 아암(41a, 41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촬상부(5)는, 예컨대 상하 양측에 카메라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하의 패널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다.
접착제 보충부(6)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상측에 유지된 패널에 대해서도 접착제 보충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제트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2)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층(R1)의 가장자리의 네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했지만, 네 모서리에만 한정되지 않고, 네 모서리 이외의 부분에 공급해도 좋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전체에 공급해도 좋다. 그 경우, 접착제 보충부(6)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소량의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멀티 노즐이나 니들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R이 큰 접착층(R1)의 네 모서리와 그 밖의 직선 부분에서는, 보충용 접착제(R10)의 도포량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도 17이나 도 10과 같이, 사이즈가 작은 액정 패널(S1)의 거의 전면에 접착층(R1)을 형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사이즈가 큰 커버 패널(S2)의 쪽에 접착층(R1)을 형성해도 좋다. 그 경우는, 접합하는 액정 패널(S1)의 사이즈에 따른 크기의 접착층(R1)을 커버 패널(S2)에 면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패널(S2)의 내측 프레임(F)은, 직사각형이며 네 모서리에 라운딩이 있고 단면시 직각인 것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네 모서리에 라운딩이 없는 것, 즉 수평으로 봤을 때 대략 직각인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는, 단면으로 봤을 때 대략 직각이 아니라, 예컨대 R형상 등의 여러가지 형상인 것을 이용해도 좋다.
(3)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접착제 도포 장치(1), 접합 장치(2) 및 경화 장치(3)의 전후 또는 그 사이에 별도의 공정을 행하는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예컨대, 완성된 액정 표시 패널을 포장하는 테이핑 유닛 등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경화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나, 경화 처리를 별개의 장치로 행하는 경우 등에는, 경화 장치(3)가 없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로 해도 좋다.
(4)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패널(S1) 및 커버 패널(S2)을 접합 대상이 되는 워크의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적층체가 되는 부재이며, 한면에 접착제(R)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합하는 것이라면, 종류, 크기, 형상, 재질 등은 상관없다. 물론, 인쇄 프레임이 없는 워크를 접합해도 좋다. 예컨대, 편광판 등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조작용의 터치 패널,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패널(S2), 평판형의 백라이트나 백라이트의 도광판 등, 이들의 적어도 2종을 접합하여 표시 장치용 부재(L)를 구성하는 것이면 된다. 표시 장치로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접합되는 평판형의 워크를 가지며, 현재 또는 장래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폭넓게 포함한다.
(5) 또한, 서로 접합되는 한쌍의 워크는, 1장이어도 좋고 복수매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표시 패널, 구동 회로, 프린트 기판을 접합한 적층체에, 터치 패널, 보호 패널 또는 복합 패널을 더 접합하거나 해도 좋다. 즉, 표시 장치용 부재(L)로서 적층되는 워크의 적층수는, 특정한 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6)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의 워크의 접합이었기 때문에 접착층(R1)을 직사각형으로 도포했지만, 워크의 형상에 맞춰 접착층(R1)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보충용 접착제(R10)의 공급 위치는, 접착층(R1)과 접합되는 워크의 형상에 따라서, 접착층(R1)과, 대향하는 워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충전되도록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삼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접착층(R1)이라면, 그 각 모서리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원형의 접착층(R1)이라면, 가장자리 전체 둘레에 걸쳐 보충용 접착제(R10)를 공급해도 좋다.
(7)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도포 장치(1)에 있어서, 접착제(R)의 도포후에 가경화를 행했지만, 예컨대 접착제(R)의 점도가 높고 도포형상이 붕괴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경화를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접합 장치(2)의 챔버(21) 내부를 감압하여 진공하에 접합을 행했지만, 대기하에 접합을 행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가경화 또는 밀폐하여 감압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표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1 : 접착제 도포 장치
2 : 접합 장치
3 : 경화 장치 4 : 반송 장치
5 : 촬상부 6 : 접착제 보충부
7 : 제어 장치 11 : 지지 유닛
11a : 스테이지 11b : 구동 기구
12 : 도포 유닛 13 : 조사 유닛
14 : 디스펜서 21 : 챔버
22 : 하측 플레이트 23 : 상측 플레이트
25 : 구동 기구 31 : 배치대
33 : 조사 유닛 40 : 컨베어
51a : 카메라 본체 51b : 렌즈 경통
61, 62 : 디스펜서 100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200 : 로더 300 : 언로더
S1 : 액정 패널 S2 : 커버 패널
P : 인쇄 프레임 P F : 내측 프레임
S10 : 적층체 L : 표시 장치용 부재
R : 접착제 R1 : 접착층
R10 : 보충용 접착제 T, T10 : 탱크
3 : 경화 장치 4 : 반송 장치
5 : 촬상부 6 : 접착제 보충부
7 : 제어 장치 11 : 지지 유닛
11a : 스테이지 11b : 구동 기구
12 : 도포 유닛 13 : 조사 유닛
14 : 디스펜서 21 : 챔버
22 : 하측 플레이트 23 : 상측 플레이트
25 : 구동 기구 31 : 배치대
33 : 조사 유닛 40 : 컨베어
51a : 카메라 본체 51b : 렌즈 경통
61, 62 : 디스펜서 100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200 : 로더 300 : 언로더
S1 : 액정 패널 S2 : 커버 패널
P : 인쇄 프레임 P F : 내측 프레임
S10 : 적층체 L : 표시 장치용 부재
R : 접착제 R1 : 접착층
R10 : 보충용 접착제 T, T10 : 탱크
Claims (9)
-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워크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접착제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도포부와,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에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부와,
상기 한쌍의 워크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접합부에서 접합되는 한쌍의 워크에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워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보충용 접착제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대향 워크의 부분에 대하여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보충용 접착제를 간접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워크의 면 위에는, 다각형의 내측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는, 상기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사형(相似形) 및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상기 내측 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한쌍의 워크는 접합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접합된 한쌍의 워크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워크의 면 위에는, 다각형의 내측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는, 상기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사형 및 동일한 크기의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고, 그 접착층의 각 모서리는 도포후 곡면형상이 되는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접착층이 상기 내측 프레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한쌍의 워크는 접합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접합된 한쌍의 워크에서, 상기 접착층의 각 모서리와 상기 내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워크를 촬상하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한쌍의 워크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보충용 접착제의 공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워크를 상기 도포부와 상기 접합부 사이에서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 및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인접한 상태로 반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촬상부가 촬상한 상기 한쌍의 워크의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한쌍의 워크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접착제를 면형으로 도포하는 도포 유닛과,
상기 도포 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한쪽의 워크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에 대하여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접착제를 가경화시키는 조사 유닛과,
상기 한쪽의 워크를 지지하고, 상기 도포 유닛 및 상기 조사 유닛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워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보충부는, 상기 조사 유닛에 대하여 워크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사부에 의해 가경화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워크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 상에 상기 접착제를 면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도포 처리와,
상기 한쌍의 워크 중 어느 한쪽의 워크에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보충 처리와,
상기 한쌍의 워크를 상기 접착층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 처리를 가지며,
상기 접착제 보충 처리에서는, 상기 접합 처리에서 접합되는 한쌍의 워크에서,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워크와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충전하는 상기 보충용 접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59093 | 2014-03-20 | ||
JPJP-P-2014-059093 | 2014-03-20 | ||
PCT/JP2015/056472 WO2015141476A1 (ja) | 2014-03-20 | 2015-03-05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2971A true KR20160132971A (ko) | 2016-11-21 |
Family
ID=5414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8463A Abandoned KR20160132971A (ko) | 2014-03-20 | 2015-03-05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2) | JP6315630B2 (ko) |
KR (1) | KR20160132971A (ko) |
CN (1) | CN106104659A (ko) |
TW (1) | TWI613009B (ko) |
WO (1) | WO2015141476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6438B1 (ko) * | 2019-08-01 | 2020-11-09 | (주)에스티아이 | Ocr 잉크젯 프린팅 방법 |
KR102250076B1 (ko) * | 2019-11-05 | 2021-05-10 | (주)에스티아이 | 라미네이팅 시스템 |
KR20210139004A (ko) * | 2020-05-13 | 2021-11-22 | (주)에스티아이 | 다중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ocr 잉크젯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07192A (ja) * | 2015-11-26 | 2017-06-15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JP7064122B2 (ja) * | 2016-05-03 | 2022-05-10 | プリシジョン バルブ アンド オートメーション インク. | 現場での硬化及び視覚的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光学的接着装置 |
KR102345432B1 (ko) * | 2017-02-07 | 2021-12-30 |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FR3082626A1 (fr) * | 2018-06-15 | 2019-12-20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Dispositif d'affich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
CN109976589B (zh) * | 2019-04-08 | 2022-04-26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检测触控屏贴合设备及其贴合方法 |
US11467681B2 (en) * | 2019-06-13 | 2022-10-11 | Lucent Advanced Material Corp. | Touch screen having gel-based optical adhesive lay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73533A (ja) | 2010-09-29 | 2012-04-12 | Shibaura Mechatronics Corp |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28752B2 (ja) * | 2002-04-24 | 2007-12-26 |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 統合型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組立装置及び基板重ね合わせ装置 |
JP5470735B2 (ja) * | 2007-04-10 | 2014-04-16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
KR20090048206A (ko) * | 2007-11-09 | 2009-05-13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시스템 |
JP5155826B2 (ja) * | 2007-12-27 | 2013-03-06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表示装置の製造方法 |
JP4406043B2 (ja) * | 2008-04-16 | 2010-01-27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ロール原反セット、及びロール原反の製造方法 |
JP5377899B2 (ja) * | 2008-07-15 | 2013-12-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ペースト塗布機 |
JP2011007830A (ja) * | 2009-06-23 | 2011-01-13 | Hitachi Displays Ltd | 表示装置 |
JP5706912B2 (ja) * | 2009-12-17 | 2015-04-22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ディスプレイパネ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作製方法 |
JP5424964B2 (ja) * | 2010-04-09 | 2014-02-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5485834B2 (ja) * | 2010-09-01 | 2014-05-07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画像表示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作製装置 |
JP5558993B2 (ja) * | 2010-09-29 | 2014-07-23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接着剤供給装置及び接着剤供給方法 |
KR20140041720A (ko) * | 2011-07-15 | 2014-04-04 |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투광성 경질 기판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투광성 경질 기판 접합 장치 |
CN102520554A (zh) * | 2011-11-21 | 2012-06-27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涂布装置及涂布方法 |
CN103323965A (zh) * | 2012-03-23 | 2013-09-25 | 芝浦机械电子装置股份有限公司 | 粘接剂供给装置以及粘接剂供给方法 |
JP6466845B2 (ja) * | 2013-08-30 | 2019-02-06 |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板状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
-
2015
- 2015-03-05 CN CN201580014649.1A patent/CN106104659A/zh active Pending
- 2015-03-05 JP JP2016508652A patent/JP6315630B2/ja active Active
- 2015-03-05 KR KR1020167028463A patent/KR20160132971A/ko not_active Abandoned
- 2015-03-05 WO PCT/JP2015/056472 patent/WO201514147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20 TW TW104108874A patent/TWI613009B/zh active
-
2017
- 2017-12-08 JP JP2017235660A patent/JP201807749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73533A (ja) | 2010-09-29 | 2012-04-12 | Shibaura Mechatronics Corp | 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6438B1 (ko) * | 2019-08-01 | 2020-11-09 | (주)에스티아이 | Ocr 잉크젯 프린팅 방법 |
KR102250076B1 (ko) * | 2019-11-05 | 2021-05-10 | (주)에스티아이 | 라미네이팅 시스템 |
KR20210139004A (ko) * | 2020-05-13 | 2021-11-22 | (주)에스티아이 | 다중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ocr 잉크젯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536426A (zh) | 2015-10-01 |
CN106104659A (zh) | 2016-11-09 |
WO2015141476A1 (ja) | 2015-09-24 |
JP2018077491A (ja) | 2018-05-17 |
JPWO2015141476A1 (ja) | 2017-04-06 |
TWI613009B (zh) | 2018-02-01 |
JP6315630B2 (ja) | 2018-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15630B2 (ja)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JP6271289B2 (ja) | 接着剤塗布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JP6404606B2 (ja) | 塗布方法、塗布装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TW201540376A (zh) | 塗布裝置、黏合劑塗布工件製造方法、顯示裝置用構件製造裝置、顯示裝置用構件製造方法 | |
TW201111061A (en) |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 |
KR101213199B1 (ko) | 터치패널용 기판 진공 부착 시스템 | |
JP2016008985A (ja)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KR20150061593A (ko) | 도포 장치, 도포 방법,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 |
KR101213198B1 (ko) | 터치패널용 기판 진공 부착 장치의 얼라인 구동장치 | |
JP6279450B2 (ja) | 塗布装置、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JP2017045010A (ja)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JP6275589B2 (ja) |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JP6404586B2 (ja) | 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20150110379A (ko)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 |
CN108698071B (zh) | 接合部件制造装置、接合部件的制造方法及涂覆物质已涂覆部件的制造方法 | |
JP2017032752A (ja) |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KR101616198B1 (ko) | 접착제 도포 장치, 접착제 도포 방법,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방법 | |
CN104933961A (zh) | 显示装置用构件的制造装置及显示装置用构件的制造方法 | |
JP2016004173A (ja) | 塗布装置、接着剤塗布ワーク製造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 |
KR101708956B1 (ko) | 접착제 공급 장치 및 접착제 공급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
SUBM |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