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형태 또는 비-염 형태 (즉, 유리 염기로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염 형태 및 비-염 형태 둘 다를 커버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 부가염은 다양한 무기 또는 유기 산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산 (예를 들어, 화학량론적 양의 산)과 혼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물,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수성/유기 혼합물 중에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산 부가염은,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히드로클로라이드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약 염을 제조하는 일반적 원리 및 기술, 예컨대 예를 들어 문헌 [Berge et al., J. Pharm. Sci., 66, 1-19 (1977)]에 기재된 것들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및 염은 1개 이상의 키랄 (즉,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조 또는 화학 명칭이 키랄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 이러한 구조 또는 명칭은 그 구조 또는 명칭에 상응하는 임의의 단일 입체이성질체 (즉, 임의의 단일 키랄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입체이성질체의 임의의 혼합물 (예를 들어, 라세미체)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일 입체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사용하여 이성질체의 혼합물 (예를 들어, 라세미체)로부터 단리함으로써 수득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일 입체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키랄 출발 물질로부터의 직접적 합성을 통해 수득된다.
고체 결정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 다른 화학 물질과의 공-결정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모든 이러한 공-결정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매화물 (예컨대, 수화물) 뿐만 아니라 비용매화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모든 이러한 용매화물을 커버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및 염은 다양한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모든 이러한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괄한다. "호변이성질체"는 수소 원자의 이동으로부터 생성되는 평형이 존재하는 구조 이성질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및 염은 동위원소-표지 (또는 "라디오-표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1개 이상의 원자는 자연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다. 포함될 수 있는 방사성핵종의 예는 2H (중수소에 대해 "D"로도 기록됨), 3H (삼중수소에 대해 "T"로도 기록됨), 11C, 13C, 14C, 13N, 15N, 15O, 17O, 18O 및 36Cl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방사성핵종은 라디오-표지 유도체의 특정한 적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관내 수용체 표지 및 경쟁 검정에 대해, 3H 또는 14C가 종종 유용하다. 라디오-영상화 적용에 대해, 11C가 종종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사성핵종은 3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사성핵종은 14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사성핵종은 11C이다.
알킬 기 및 모이어티는 직쇄 또는 분지쇄, 예를 들어 C1-8 알킬, C1-6 알킬, C1-4 알킬 또는 C5-6 알킬이다. 알킬 기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과 n-옥틸, 예컨대 메틸 또는 n-헥실이다.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5 또는 6원 고리; 또는 그의 N-옥시드 또는 그의 S-옥시드 또는 S-디옥시드이다. 헤테로시클릴의 예는 1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비-방향족 5 또는 6원 고리; 또는 그의 N-옥시드 또는 그의 S-옥시드 또는 S-디옥시드, 예를 들어 피롤리디닐 또는 피페리디닐, 예컨대 피페리딘-4-일이다. 의심을 피하기 위해, 헤테로시클릴 고리 상의 치환기는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은 모이어티 (예를 들어, 염, 투여 형태 또는 부형제)를 의도된 환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특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특정한 측면에서, R1은 화학식 I의 나머지에의 부착 지점에 대해 2-위치에서 페닐 기에 치환된다.
추가 측면에서, R1은 C1-4 알킬이다.
추가 측면에서, R1은 메틸이다.
추가 측면에서, m은 1이다.
추가 측면에서, A는 페닐 또는 피페리디닐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측면에서, A는 페닐이다.
추가 측면에서, A는 피페리디닐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X는 -C(=O)-NR4-이다.
추가 측면에서, X는 -C(=O)-NH-이다.
기 X가 -C(=O)-NR4-인 한 측면에서, X의 카르보닐은 A에 연결되고, X의 아미노 기는 (CH2)n에 연결된다. 기 X가 -C(=O)-NR4-인 또 다른 측면에서, X의 아미노 기는 A에 연결되고, X의 카르보닐 기는 (CH2)n에 연결된다.
기 X가 -O-C(=O)-NR5-인 한 측면에서, X의 에테르 산소는 A에 연결되고, X의 아미노 기는 (CH2)n에 연결된다. 기 X가 -O-C(=O)-NR5-인 또 다른 측면에서, X의 아미노 기는 A에 연결되고, X의 에테르 산소는 (CH2)n에 연결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기 X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나머지에의 부착 지점에 대해 4-위치에서 기 A에 치환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n은 2이다.
추가 측면에서, R2는 C1-8 알킬이다.
추가 측면에서, R2는 n-헥실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R3은 C5 알킬-OH이고, 여기서 상기 C5 알킬 기는 추가 3개의 -OH 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3은 C6 알킬-OH이고, 여기서 상기 C6 알킬 기는 추가 4개의 -OH 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된다.
추가 측면에서, R3은
또 다른 측면에서, R3은
추가 측면에서, R3은
또 다른 측면에서, R3은 (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 (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또는 (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측면에서, R3은 (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 (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또는 (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R5는 수소이다.
추가 측면에서, R1은 C1-4 알킬이고; m은 1 또는 2이고; A는 페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X는 -C(=O)-, -C(=O)-NR4- 또는 -O-C(=O)-NR5-로부터 선택되고; n은 2 또는 3이고; R2는 수소 또는 C1-8 알킬이고; R3은 C5-6 알킬-OH이고, 여기서 상기 C5-6 알킬 기는 추가 3 또는 4개의 -OH 기에 의해 추가로 치환되고; R4 및 R5는 둘 다 수소이다.
추가 측면에서, R1은 C1-4 알킬이고; m은 1이고; A는 페닐 또는 피페리디닐이고; X는 -C(=O)-NH-이고; n은 2이고; R2는 C1-8 알킬이고; R3은
추가 측면에서, R1은 C1-4 알킬이고; m은 1이고; A는 페닐이고; X는 -C(=O)-NH-이고; n은 2이고; R2는 C1-8 알킬이고; R3은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에서 별표 (*)로 표시된 탄소 중심에서 R 입체화학을 나타낸다.
<화학식 Ia>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는 하기와 같다:
3,5-디아미노-6-클로로-N-(2-(2-메틸벤질)-3-(((1-(3-((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4-(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2-(2-메틸벤질)-3-((1-(3-(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3-(2-(헥실(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예는 하기와 같다:
3,5-디아미노-6-클로로-N-(2-(2-메틸벤질)-3-(((1-(3-(((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2-(2-메틸벤질)-3-((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3-(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예는 하기와 같다: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4-(((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추가의 특색은 임의의 구체적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청구되지 않는 한, 상기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이다. 예를 들어, 추가의 특색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의 상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화합물이 개별적으로 청구되지 않는 한, 상기 기재된 임의의 실시양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에 인용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배제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예시하기 위해, 일부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실시예 X에 개시된 화합물을 배제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며, 여기서 X는 1, 2, 3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실시예 Y에 개시된 화합물을 배제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이며, 여기서 Y는 1, 2, 3 등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 따라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R1, R2, R3, A, X, m 및 n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여기서 p = m-1이다.
<반응식 1>
a) NaH(OAc)3, AcOH, THF 또는 NaBH4, MeOH
대안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2에 기재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R1, R2, R3, A, X, m 및 n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여기서 Y는 할로겐, 예를 들어 염소,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이고, p = m-1이다.
<반응식 2>
a) NaH 또는 K2CO3 또는 Cs2CO3 또는 DIEA, DMF.
대안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합한 폴리히드록실화 알킬알데히드, 예컨대 헥소스 또는 펜토스 (R3-알데히드)의 환원성 알킬화에 의한 최종 단계에서의 R3의 도입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R1, R2, R3, A, X, m 및 n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R3에 존재하는 폴리히드록시알킬 쇄는, 예를 들어 문헌 [P. G. M. Wuts, Th. W. Greene,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Interscience, New York, 200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알콜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및 본원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추가의 아미노 기는, 예를 들어 문헌 [Wuts and Greene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적합한 아미노 보호기, 예컨대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Boc) 또는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FMoc) 보호기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반응식 3>
a) NaBH(OAc)3 또는 NaBH3CN, AcOH, THF 또는 NaBH4, MeOH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반응식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 (J. C. D. Mueller-Hartwieg, L. La Vecchia, H. Meyer, A. K. Beck, D. Seebach, Org. Synth. 85 (2008), 295.) 또는 반응식 4 및 6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거울상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R1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4>
a) i) L-프롤린, DMF, ii) NaBH4, MeOH; b) 프탈이미드, PPh3, DEAD, THF; c) CH3NH2, EtOH, d) Boc2O, DCM, TEA; e) Pd(OH)2, H2, MeOH, 70 psi; f) (3-클로로-5-(1H-이미다졸-1-일카르보닐)피라진-2,6-디아민, DIPEA, NMP; g) TFA, DCM; h) NaOH, THF.
<반응식 5>
a) BuLi, THF; b) TiCl4, TEA, DCM; c) LiOH, H2O2, THF, H2O; d) (COCl)2, NH4OH, DCM; e) BH3*THF; f) NMP; g) TFA, DCM; h) NaOH, THF.
<반응식 6>
a) 디알릴카르보네이트, 리파제 PS-C 아마노(Amano) II, MTBE; b) 산 (예를 들어, D-타르트레이트), 재결정화; c) 10M NaOH, MTBE; d) (BOC)2O, MTBE; e) LiBH4, Pd(PPh3)4, THF; f) CDI; iPrOAc; g) TFA, DCM; h) NaOH, THF.
반응식 4, 5 및 6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R)-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접근을 기술한다. 이들 반응식에 기재된 반응은 역전된 절대 배위의 출발 물질 또는 상이한 입체 특이성의 효소를 사용함으로써 관련 (S)-거울상이성질체에 접근하도록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S)-배위를 갖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반응식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7>
a) CDI; iPrOAc; b) LiBH4, Pd(PPh3)4, THF.
반응식 6의 단계 (a)에 기재된 방법은 디알릴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한 디아민 (III)의 효소 매개 탈대칭화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
이러한 반응에 적합한 효소는 리파제, 특히 칸디다 안타르크티카(Candida Antarctica) 또는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seudomonas Cepacia)로부터 유래한 리파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효소는 IMM CALB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IMM CALBY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노보자임(Novozym) 435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아마노 리파제 PS-C1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 아마노 리파제 PS-IM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 및 아마노 리파제 PS-D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 예컨대 아마노 리파제 PS-C1, 아마노 리파제 PS-D 및 아마노 리파제 PS-IM을 포함한다. 반응은 tert-부틸 디메틸 에테르 (TBME),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메틸-THF (MeTHF, 예를 들어 2-메틸-THF), 헵탄, 시클로헥산 및 톨루엔, 예컨대 MeTHF를 포함한, 소정 범위의 극성 및 비-극성 용매, 및 그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은 소정 범위의 온도, 예를 들어 0℃ 내지 50℃, 예를 들어 15℃ 내지 35℃, 예를 들어 약 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생성된 조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분해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타르트레이트 염으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임의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디알릴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디아민 (III)을 효소 매개 탈대칭화시키고, 임의로 그 후 거울상이성질체 분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R1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V의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R)-알릴-(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V>
추가 측면에서, 효소는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또는 슈도모나스 세파시아로부터 유래한 것, 예컨대 IMM CALB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IMM CALBY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노보자임 435 (칸디다 안타르크티카 리파제 B), 아마노 리파제 PS-C1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 아마노 리파제 PS-IM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 및 아마노 리파제 PS-D (슈도모나스 세파시아 리파제)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효소는 아마노 리파제 PS-C1, 아마노 리파제 PS-D 및 아마노 리파제 PS-IM, 예컨대 아미노 리파제 PS-IM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화합물 (R)-알릴-(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가 제공된다.
추가 측면에서, 제약 중간체로서의 화합물 (R)-알릴-(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용도가 제공된다. 추가 측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서의 중간체로서의 화합물 (R)-알릴-(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상세한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및 염은 일반적으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서 다양한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포유동물은, 예를 들어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제약, 특히 ENaC의 조정제로서 활성을 가지며, 호흡기도 질환, 골 및 관절의 질환, 및 다른 자가면역 및 알레르기성 장애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 상태는 호흡기도의 질환, 예컨대 기도의 폐쇄성 질환, 예를 들어 간헐성 및 지속성 둘 다 및 모든 중증도의 기관지성, 알레르기성, 내인성, 외인성, 운동-유발, 약물-유발 (아스피린 및 NSAID-유발 포함) 및 분진-유발 천식을 포함한 천식, 및 기도 과민반응의 다른 원인;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감염성 및 호산구성 기관지염을 포함한 기관지염; 기종; 기관지확장증; 낭성 섬유증; 사르코이드증; 농부폐 및 관련 질환; 과민성 폐장염; 잠재성 섬유화 폐포염을 포함한 폐 섬유증, 특발성 간질성 폐렴, 특발성 폐 섬유증, 섬유증 합병성 항신생물 요법, 및 결핵 및 아스페르길루스증 및 다른 진균 감염을 포함한 만성 감염; 폐 이식의 합병증; 폐 혈관계의 혈관염성 및 혈전성 장애, 및 폐고혈압; 기도의 염증성 및 분비 상태와 연관된 만성 기침 및 의인성 기침의 치료를 포함한 진해 활성; 약물성 비염을 포함한 급성 및 만성 비염, 및 혈관운동성 비염; 신경성 비염을 포함한 통년성 및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 (고초열); 비강 폴립증; 감기를 포함한 급성 바이러스 감염, 및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코로나바이러스 (SARS 포함) 및 아데노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급성 폐 손상; 또는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ARDS)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치료될 수 있는 호흡기도 질환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감염성 및 호산구성 기관지염을 포함한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낭성 섬유증; 기도의 염증성 및 분비 상태와 연관된 만성 기침 및 의인성 기침의 치료를 포함한 진해 활성; 간헐성 및 지속성 둘 다 및 모든 중증도의 기관지성, 알레르기성, 내인성, 외인성, 운동-유발, 약물-유발 (아스피린 및 NSAID-유발 포함) 및 분진-유발 천식을 포함한 천식, 및 기도 과민반응의 다른 원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 상태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낭성 섬유증,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기관지확장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 상태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COPD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COPD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COPD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OPD를 앓고 있거나 또는 그의 위험이 있는 포유동물에서 COPD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치료될 수 있는 질환 상태는 낭성 섬유증 (CF)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CF의 치료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CF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CF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F를 앓고 있거나 또는 그의 위험이 있는 포유동물에서 CF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염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투여되는 경우에, "치료 유효량"은 장애의 증상 또는 다른 유해한 효과를 감소 또는 완전 완화시키거나; 장애를 치유하거나; 장애의 진행을 역전, 완전 정지 또는 저속화시키거나; 또는 장애 악화의 위험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조합 요법이 사용되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염의 양 및 다른 제약 활성제(들)의 양은 조합 시에 동물 환자에서 표적화된 장애를 치료하기에 치료상 유효하다. 이와 관련하여, 합한 양은 이들이 조합 시에 장애의 증상 또는 다른 유해한 효과를 감소 또는 완전 완화시키거나; 장애를 치유하거나; 장애의 진행을 역전, 완전 정지 또는 저속화시키거나; 또는 장애 악화의 위험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경우에 "치료 유효량"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양은, 예를 들어 화합물 또는 염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투여량 범위 및 다른 제약 활성 화합물(들)의 승인되거나 또는 달리 공개된 투여량 범위(들)로 출발함으로써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의 치유적 치료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성분은 통상적으로 표준 제약 실무에 따라 제약 조성물로서 제제화된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활성 성분), 및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을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투여 방식에 따라,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0.05 내지 99 중량% (중량 퍼센트), 예컨대 0.05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0.10 내지 70 중량%, 예컨대 0.10 내지 50 중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서 모든 중량 백분율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치료가 요구되는 질환 상태에 대한 표준 방식으로, 예를 들어 국소 (예컨대, 폐 및/또는 기도로 또는 피부로), 흡입, 경구, 직장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제약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의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 예를 들어 0.1 mg 내지 1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또는 캡슐이다.
각각의 환자는, 예를 들어 0.0001 mgkg-1 내지 10 mgkg-1, 예를 들어 0.005 mgkg-1 내지 5 mgkg-1 범위의 용량의 투여되는 활성 성분을, 예를 들어 1일당 1 내지 4회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흡입 투여 (경구 및 비강 흡입 포함)를 위해 제제화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합한 전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흡입기, 계량 용량 흡입기, 네뷸라이저 또는 비강 전달 디바이스로부터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후자의 경우에는 미분된 분말 또는 질서있는 혼합물로서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는 단일 용량 또는 다중-용량일 수 있으며, 건조 분말 또는 분말-함유 캡슐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은 건조 분말 흡입기 (DPI)에 의해 투여된다.
DPI는 "수동" 또는 호흡-작동식이거나, 또는 분말이 환자의 흡입 이외의 일부 메카니즘, 예를 들어 압축 공기의 내부 공급에 의해 분산되는 경우에는 "능동"일 수 있다. 현재, 3가지 유형의 수동 건조 분말 흡입기가 이용가능하다: 단일-용량, 다중 단위 용량 또는 다중용량 (저장소) 흡입기. 단일-용량 디바이스에서, 개별 용량은 통상적으로 젤라틴 캡슐 내에 제공되고, 사용 전에 흡입기에 로딩되어야 하며, 그의 예는 스핀할러(Spinhaler)® (아벤티스(Aventis)), 로타할러(Rotahaler)®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에어로라이저(Aeroliser)™ (노파르티스(Novartis)), 인할러(Inhalator)® (베링거(Boehringer)) 및 이클립스(Eclipse) (아벤티스)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중 단위 용량 흡입기는 다중 젤라틴 캡슐로서 또는 블리스터 내에 다수의 개별적으로 포장된 용량을 함유하며, 그의 예는 디스크할러(Diskhaler)®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디스쿠스(Diskus)®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넥스트할러(Nexthaler)® (키에시(Chiesi)) 및 에어로할러(Aerohaler)® (베링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중용량 디바이스에서, 약물은 개별 용량이 계량된 벌크 분말 저장소 내에 저장되며, 그의 예는 제누에어(Genuai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터부할러(Turbuhaler)® (아스트라제네카), 이지할러(Easyhaler)® (오리온(Orion)), 노볼라이저(Novolizer)® (아스타 메디카(ASTA Medica)), 클릭할러(Clickhaler)® (이노바타 바이오메드(Innovata Biomed)), 스피로맥스(Spiromax)® (테바(Teva)) 및 풀비날(Pulvinal)® (키에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DPI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은 미분된 활성 성분 (일반적으로 10 μm 이하, 예컨대 5 μm 이하, 예를 들어 1 내지 5 μm의 공기역학 직경을 가짐)을 담체 물질, 예를 들어 모노-, 디-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당 알콜 또는 또 다른 폴리올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당, 예를 들어 락토스, 글루코스, 라피노스, 멜레지토스, 락티톨, 말티톨, 트레할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전분이다. 적합하게는, 활성 성분의 입자는 담체 입자에 부착하여 질서있는 (상호작용) 분말 혼합물을 형성한다. 담체 입자는 20 내지 1000 μm, 보다 통상적으로 50 내지 500 μm의 질량 중앙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은 미분된 분말 (예를 들어, 미분된 활성 성분 및 미분된 담체 입자로 이루어짐)을 흡입 절차 동안 파쇄되는 구체로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분말 혼합물은 필요한 경우에, 각각 원하는 용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질 젤라틴 캡슐에 분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말 혼합물은 다중용량 흡입기, 예를 들어 제누에어® 또는 터부할러®의 저장소에 로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계량 용량 흡입기, 특히 가압 계량 용량 흡입기 (pMDI)에 의해 투여된다. pMDI는 가압 용기 내의 적합한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활성제를 함유한다. 활성제는 pMDI 디바이스 상의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달된다. 작동은 수동 또는 호흡 작동식일 수 있다. 수동 작동식 pMDI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흡입하는 것처럼, 예를 들어 pMDI 디바이스 상에서 적합한 방출 메카니즘을 가압함으로써 작동된다. 호흡 작동식 pMDI는 환자가 pMDI의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하는 경우에 작동된다. 이는 디바이스의 작동이 환자의 흡입과 시간을 맞추며 활성제의 보다 일관된 투여를 생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pMDI 디바이스의 예는, 예를 들어 라피할러(Rapihaler)® (아스트라제네카)를 포함한다.
pMDI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합한 추진제 중에 및 추가의 부형제, 예컨대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계면활성제, 윤활제 또는 안정화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추진제는 탄화수소,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및 히드로플루오로알칸 (예를 들어, 헵타플루오로알칸) 추진제, 또는 임의의 이러한 추진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추진제는 P134a 및 P227이며, 이들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추진제 및/또는 계면활성제 및/또는 다른 부형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계량 용량 흡입기에 의해 스페이서와 조합되어 투여된다. 적합한 스페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네뷰챔버(Nebuchamber)® (아스트라제네카) 또는 볼류매틱(Volumatic)®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네뷸라이저에 의해 투여된다. 적합한 네뷸라이저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플로우(eFlow)® (파리 게엠베하(PARI GmbH))를 포함한다.
네뷸라이저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합한 수성 매질 중에 분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합한 pH 및/또는 장성 조정제, 계면활성제 및 보존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뷸라이저로부터의 흡입에 적합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9 mg/g); 건조된 시트르산 (0.0735 mg/g); 시트르산나트륨 (0.19 mg/g);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1 mg/g),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0.1 mg/g)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0.3 mg/g)을 포함하는 수성 매질 (밀리-큐(Mill-Q) 물 중 mg/g) 중에 분산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합한 비강 전달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프레이 펌프 또는 MDI로부터 스프레이로서 비강으로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은 적합한 DPI 디바이스, 예를 들어 리노코트(Rhinocort)®, 터부할러® (아스트라제네카)를 사용하여 분말로서 비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스프레이 펌프 또는 MDI 비강 전달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적합한 수성 매질 중에 분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적합한 pH 및/또는 장성 조정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윤활제, 향미제 또는 점도 개질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비강으로부터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첨가제, 예컨대 적합한 생체접착성 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비강 전달에 적합한 건조 분말 조성물은 DPI 전달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그러나, 화합물의 폐내 침투를 제한하고 화합물을 비강에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보다 큰 입자 크기, 예를 들어 약 10 μm 초과, 예를 들어 10 μm 내지 50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흡입가능한 제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흡입기 디바이스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흡입기, 특히 다중 단위 용량 건조 분말 흡입기 또는 pMDI 흡입기)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열거된 상태 중 1종 이상의 치료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2 활성 성분을 공동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투여하는 조합 요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합은 1종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본원에 열거된 질환 또는 상태 중 1종, 예컨대 CF 또는 COPD의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은,
a)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b)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c) 연합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d) 톨-유사 수용체 효능제 (예컨대, TLR7 또는 TLR9 효능제)
e) 아데노신 길항제;
f)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g) p38 길항제;
h) IKK2 길항제;
i) PDE4 길항제;
j) 케모카인 수용체 기능의 조정제 (예컨대, CCR1, CCR2B, CCR5, CXCR2 또는 CXCR3 수용체 길항제);
k) CRTh2 길항제; 또는
l) 삼투물질, 예를 들어 이온성 삼투물질, 예컨대 고장성 염수.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베타 수용체 하위유형 1-4 포함), 예컨대 테르부탈린 (예를 들어, 술페이트 염으로서), 살메테롤 (예를 들어, 크시나포에이트 염으로서), 살부타몰 (알부테롤) (예를 들어, 술페이트 염으로서), 프로카테롤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피르부테롤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염으로서), 오르시프레날린 (메타프로테레놀) (예를 들어, 술페이트 염으로서), 밀베테롤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레보살부타몰 (레발부테롤)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아베디테롤, 이소프레날린 (이소프로테레놀)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인다카테롤 (예를 들어, 말레에이트 염으로서), 빌란테롤 (예를 들어, 트리페나테이트 (트리페닐아세트산) 염으로서), 포르모테롤 (예를 들어, 푸마레이트 염, 예를 들어 푸마레이트 2수화물 염으로서), 카르모테롤, 비톨테롤 (예를 들어, 메실레이트 염으로서), 올로다테롤, 베도라드린 (예를 들어, 술페이트 염으로서), 밤부테롤 (예를 들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아르포르모테롤 (예를 들어, 타르트레이트 염으로서), PF-610355 (2-[3-[2-[[(2R)-2-히드록시-2-[4-히드록시-3-(메탄술폰아미도)페닐]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페닐]-N-[[3-(4-히드록시페닐)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N-(2-디에틸아미노에틸)-N-[2-[2-(4-히드록시-2-옥소-3H-1,3-벤조티아졸-7-일)에틸아미노]에틸]-3-[2-(1-나프틸)에톡시]프로판아미드, N-시클로헥실-3-[2-(3-플루오로페닐)에틸아미노]-N-[2-[2-(4-히드록시-2-옥소-3H-1,3-벤조티아졸-7-일)에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또는 N-시클로헥실-N-[2-[2-(5-히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에틸아미노]에틸]-3-[2-[3-(1-메틸피라졸-4-일)페닐]에톡시]프로판아미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M1, M2 또는 M3 길항제, 예컨대 선택적 M3 길항제), 예컨대 티오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염으로서), 옥시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염으로서), 이프라트로피움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염으로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예를 들어, 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로서, 또는 R,R-, R,S-, S,R- 또는 S,S- 입체이성질체로서, 또는 R,R-, R,S-, S,R- 또는 S,S- 입체이성질체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아클리디늄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염으로서), GSK573719 (3-[2-[3-(5-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티오펜-2-일)-우레이도]-3-(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아미노]-1-(3-히드록시-벤질)-1-메틸-피페리디늄), BEA2180BR (히드록시-디-티오펜-2-일-아세트산 8-메틸-8-아자-비시클로[3.2.1]옥트-6-엔-3-일 에스테르) (예를 들어, 히드로브로마이드 염으로서), [(3R)-1-[2-옥소-2-(2-피리딜아미노)에틸]퀴누클리딘-1-윰-3-일] 1-페닐시클로헵탄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브로마이드 염으로서), 또는 2-[(4-클로로페닐)메톡시]에틸-[[2-[(R)-시클로헥실-히드록시-페닐-메틸]옥사졸-5-일]메틸]-디메틸-암모늄 (예를 들어, 나파디실레이트 염으로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연합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M1, M2 또는 M3 길항제, 예컨대 선택적 M3 길항제) 및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예컨대 PF4348235 ([1-[9-[[(2R)-2-히드록시-2-[4-히드록시-3-(메탄술폰아미도)페닐]에틸]아미노]노닐]-4-피페리딜] N-[2-(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페닐]카르바메이트), 3-[2-[2-클로로-3-[[8-(2-에틸티아졸-4-카르보닐)-11-옥사-3,8-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메틸]페닐]에톡시]-N-시클로펜틸-N-[2-[2-(5-히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에틸아미노]에틸]프로판아미드, N-부틸-N-[2-[2-(5-히드록시-3-옥소-4H-1,4-벤족사진-8-일)에틸아미노]에틸]-3-[2-[3-[2-[8-(2-이소프로필티아졸-4-카르보닐)-11-옥사-3,8-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에틸]페닐]에톡시]프로판아미드, 또는 7-[(1R)-2-[2-[2-플루오로-5-[[8-(2-이소프로필티아졸-4-카르보닐)-11-옥사-3,8-디아자스피로[5.5]운데칸-3-일]메틸]페닐]에틸아미노]-1-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3H-1,3-벤조티아졸-2-온인 작용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톨-유사 수용체 효능제 (TLR7 또는 TLR9의 효능제 포함), 예컨대 록소리빈 (7-알릴-2-아미노-9-[(2R,3R,4S,5R)-3,4-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1H-퓨린-6,8-디온), 메틸 2-[3-[[3-(6-아미노-2-부톡시-8-옥소-7H-퓨린-9-일)프로필-(3-모르폴리노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디말레에이트 염으로서), 4-(디메틸아미노)부틸 2-[4-[[2-아미노-4-메틸-6-(펜틸아미노)피리미딘-5-일]메틸]페닐]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디사카린, 디푸마르산, 디-1-히드록시-2-나프토산 또는 모노-벤조산 염으로서), 또는 5'-TCG AAC GTT CGA AGA TGA TGA T (WO2004/0158179에 SEQ ID 171로서 개시됨)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아데노신 길항제, 예컨대 레가데노손, ATL-313 (메틸 4-[3-[6-아미노-9-[(2R,3R,4S,5S)-5-(시클로프로필카르바모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퓨린-2-일]프로프-2-이닐]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아파데노손 (메틸 4-[3-[6-아미노-9-[(2R,3R,4S,5S)-5-(에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록시-테트라히드로푸란-2-일]퓨린-2-일]프로프-2-이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예컨대 트리암시놀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프레드니손,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로테프레드놀 에타보네이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티카손 푸로에이트,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덱사메타손 시페실레이트, 데스이소부티릴 시클레소니드,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시클레소니드, 부틱소코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데소니드,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알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1R,3aS,3bS,10aR,10bS,11S,12aS)-1-{[(시아노메틸)티오]카르보닐}-7-(4-플루오로페닐)-11-히드록시-10a,12a-디메틸-1,2,3,3a,3b,4,5,7,10,10a,10b,11,12,12a-테트라데카히드로시클로펜타[5,6]나프토[1,2-f]인다졸-1-일 2-푸로에이트, (1R,2R,3aS,3bS,10aS,10bR,11S,12aS)-10b-플루오로-1-{[(플루오로메틸)술파닐]카르보닐}-7-(6-플루오로피리딘-3-일)-11-히드록시-2,10a,12a-트리메틸-1,2,3,3a,3b,4,5,7,10,10a,10b,11,12,12a-테트라데카히드로시클로펜타[5,6]나프토[1,2-f]인다졸-1-일 메톡시아세테이트, 2,2,2-트리플루오로-N-[(1S,2R)-2-[1-(4-플루오로페닐)인다졸-5-일]옥시-2-(3-메톡시페닐)-1-메틸-에틸]아세트아미드, 3-[5-[(1R,2S)-1-(4H-1,3-벤조디옥신-7-일)-2-(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일아미노)프로폭시]인다졸-1-일]-N-(3-피리딜메틸)벤즈아미드, 3-[5-[(1R,2S)-2-(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일아미노)-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프로폭시]인다졸-1-일]-N-[(3R)-1,1-디옥소티올란-3-일]벤즈아미드, 또는 3-[5-[(1R,2S)-2-(2,2-디플루오로프로파노일아미노)-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프로폭시]인다졸-1-일]-N-[(3R)-테트라히드로푸란-3-일]벤즈아미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p38 길항제, 예컨대 PH797804 (3-[3-브로모-4-(2,4-디플루오로-벤질옥시)-6-메틸-2-옥소-2H-피리딘-1-일]-4,N-디메틸-벤즈아미드), 로스마피모드, PF03715455 (1-[5-tert-부틸-2-(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피라졸-3-일]-3-[[2-[[3-[2-(2-히드록시에틸술파닐)페닐]-[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6-일]술파닐]페닐]메틸]우레아), N-시클로프로필-4-메틸-3-[6-(4-메틸피페라진-1-일)-4-옥소-퀴나졸린-3-일]벤즈아미드, 또는 N-시클로프로필-3-플루오로-4-메틸-5-[3-[[1-[2-[2-(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시클로프로필]아미노]-2-옥소-피라진-1-일]벤즈아미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포스포디에스테라제 (PDE) 억제제, 예컨대 테오필린 및 아미노필린을 포함한 메틸크산타닌 또는 선택적 PDE 동종효소 억제제 (PDE4 억제제 또는 이소형 PDE4D의 억제제 포함), 예컨대 테토밀라스트, 로플루밀라스트, 오글레밀라스트, 이부딜라스트, GPD-1116 (3-벤질-5-페닐-1H-피라졸로[4,3-c][1,8]나프티리딘-4-온), 로노밀라스트, NVP ABE 171 (4-[8-(2,1,3-벤족사디아졸-5-일)-1,7-나프티리딘-6-일]벤조산), RPL554 (2-[(2E)-9,10-디메톡시-4-옥소-2-(2,4,6-트리메틸페닐)이미노-6,7-디히드로피리미도[6,1-a]이소퀴놀린-3-일]에틸우레아), CHF5480 ([(Z)-2-(3,5-디클로로-4-피리딜)-1-(3,4-디메톡시페닐)비닐](2S)-2-(4-이소부틸페닐)프로파노에이트), 또는 GSK256066 (6-[3-(디메틸카르바모일)페닐]술포닐-4-(3-메톡시아닐리노)-8-메틸-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IKK2 길항제, 예컨대 5-(2-이소프로필이소인돌린-5-일)-3-[1-(2-메톡시에틸술포닐)-4-피페리딜]-1H-인돌-7-카르복실산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케모카인 수용체 기능의 조정제, 예컨대 CCR1, CCR2, CCR2A, CCR2B, CCR3, CCR4, CCR5, CCR6, CCR7, CCR8, CCR9, CCR10 또는 CCR11 (C-C 패밀리에 대해)의 길항제, 예를 들어 CCR1, CCR2B 또는 CCR5 수용체 길항제; CXCR1, CXCR2, CXCR3, CXCR4 또는 CXCR5 (C-X-C 패밀리에 대해)의 길항제, 예를 들어 CXCR2 또는 CXCR3 수용체 길항제; 또는 C-X3-C 패밀리에 대해 CX3CR1의 길항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PS-031291 (피롤리딘-1,2-디카르복실산 2-[(4-클로로-벤질)-메틸-아미드]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드]), CCX-354 (1-[4-(4-클로로-3-메톡시-페닐)피페라진-1-일]-2-[3-(1H-이미다졸-2-일)피라졸로[3,4-b]피리딘-1-일]에타논), 비크리비록, 마라비록, 세니크리비록, 나바릭신 (2-히드록시-N,N-디메틸-3-[[2-[[(1R)-1-(5-메틸-2-푸릴)프로필]아미노]-3,4-디옥소-시클로부텐-1-일]아미노]벤즈아미드), SB656933 (1-(2-클로로-3-플루오로-페닐)-3-(4-클로로-2-히드록시-3-피페라진-1-일술포닐-페닐)우레아), N-[1-[(3R)-3-(3,5-디플루오로페닐)-3-(1-메틸술포닐-4-피페리딜)프로필]-4-피페리딜]-N-에틸-2-(4-메틸술포닐페닐)아세트아미드, N-[2-[(2S)-3-[[1-[(4-클로로페닐)메틸]-4-피페리딜]아미노]-2-히드록시-2-메틸-프로폭시]-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2-[2-클로로-5-[(2S)-3-(5-클로로스피로[3H-벤조푸란-2,4'-피페리딘]-1'-일)-2-히드록시-프로폭시]-4-(메틸카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N-[2-[(2,3-디플루오로페닐)메틸술파닐]-6-[(1R,2S)-2,3-디히드록시-1-메틸-프로폭시]피리미딘-4-일]아제티딘-1-술폰아미드, 또는 N-[2-[(2,3-디플루오로페닐)메틸술파닐]-6-[[(1R,2R)-2,3-디히드록시-1-메틸-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아제티딘-1-술폰아미드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5-리폭시게나제 (5-LO) 억제제 또는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FLAP) 길항제, 예컨대 TA270 (4-히드록시-1-메틸-3-옥틸옥시-7-시나피노일아미노-2(1H)-퀴놀리논), PF-4191834 (2H-피란-4-카르복스아미드, 테트라히드로-4-[3-[[4-(1-메틸-1H-피라졸-5-일)페닐]티오]페닐]-), 세틸레우톤, CMI977 (1-[4-[(2S,5S)-5-[(4-플루오로페녹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일]부트-3-이닐]-1-히드록시-우레아), 피브로플라폰 (3-[3-tert-부틸술파닐-1-[[4-(6-에톡시-3-피리딜)페닐]메틸]-5-[(5-메틸-2-피리딜)메톡시]인돌-2-일]-2,2-디메틸-프로판산), GSK2190915 (1H-인돌-2-프로판산, 3-[(1,1-디메틸에틸)티오]-1-[[4-(6-메톡시-3-피리디닐)페닐]메틸]-α,α-디메틸-5-[(2-피리디닐)메톡시]-), 리코펠론, 퀴플라폰 (3-[3-tert-부틸술파닐-1-[(4-클로로페닐)메틸]-5-(2-퀴놀릴메톡시)인돌-2-일]-2,2-디메틸-프로판산), 벨리플라폰 ((2R)-2-시클로펜틸-2-[4-(2-퀴놀릴메톡시)페닐]아세트산), ABT080 (4,4-비스[4-(2-퀴놀릴메톡시)페닐]펜탄산), 질류톤, 자피르루카스트, 또는 몬테루카스트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CRTh2 길항제 또는 DP2 길항제, 예컨대 ACT129968 (2-[2-[(5-아세틸-2-메톡시-페닐)메틸술파닐]-5-플루오로-벤즈이미다졸-1-일]아세트산), AMG853 (2-[4-[4-(tert-부틸카르바모일)-2-[(2-클로로-4-시클로프로필-페닐)술포닐아미노]페녹시]-5-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AM211 (2-[3-[2-[[벤질카르바모일(에틸)아미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메톡시-페닐]아세트산), 2-[4-아세트아미도-3-(4-클로로페닐)술파닐-2-메틸-인돌-1-일]아세트산, (2S)-2-[4-클로로-2-(2-클로로-4-에틸술포닐-페녹시)페녹시]프로판산, 2-[4-클로로-2-[2-플루오로-4-(4-플루오로페닐)술포닐-페닐]페녹시]아세트산, 또는 (2S)-2-[2-[3-클로로-4-(2,2-디메틸피롤리딘-1-카르보닐)페닐]-4-플루오로-페녹시]프로판산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MK2 (MAPKAP 키나제 2) 길항제, 예컨대 바레스플라딥, PF-3644022 ((10R)-10-메틸-3-(6-메틸피리딘-3-일)-9,10,11,12-테트라히드로-8H-[1,4]디아제피노[5',6':4,5]티에노[3,2-f]퀴놀린-8-온), 또는 4-벤조일-D-페닐알라닐-D-세릴-D-트립토필-D-세릴-2,3,4,5,6-펜타플루오로-D-페닐알라닐-3-시클로헥실-D-알라닐-D-아르기닐-D-아르기닐-D-아르기닐-D-글루타미닐-D-아르기닐-D-아르기닌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미엘로퍼옥시다제 길항제, 예컨대 레스베라트롤, 피세아타놀, 3-[[(2R)-테트라히드로푸란-2-일]메틸]-2-티옥소-7H-퓨린-6-온, 또는 1-(2-이소프로폭시에틸)-2-티옥소-5H-피롤로[3,2-d]피리미딘-4-온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삼투물질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삼투물질"은 삼투-활성 소분자이며, 이온성 및 비-이온성 삼투물질 둘 다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이온성 삼투물질, 예컨대 고장성 염수의 조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본원에 열거된 질환 또는 상태 중 1종, 예컨대 CF 또는 COPD의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a)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b)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c) 연합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또는
d)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또는
e) 삼투물질, 예를 들어 이온성 삼투물질, 예컨대 고장성 염수.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은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은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이다. 추가 측면에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이다. 추가 측면에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은 연합 무스카린성 수용체 길항제 및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이다. 추가 측면에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은 삼투물질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에 추가로 예시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며, 비-제한적이다.
약어:
aq 수성
(BOC)2O/Boc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CV 칼럼 부피
DEA 디에틸아민
DEAD 디에틸아자디카르복실레이트
DIPA 디이소프로필아민
DIEA/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SI 전기분무 이온화
FA 포름산
FMOC/Fmoc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HATU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SS 행크 평형 염 용액
HBTU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EPES 2-[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일]에탄술폰산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PA 이소프로필아민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분석법
MeTHF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MTB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NMP N-메틸피롤리디논
Rt 체류 시간
sat. 포화
SFC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TBM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TEA 트리에틸아민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wt-% 중량-%
일반적 방법
NMR 스펙트럼은 400, 500 또는 600 MHz의 양성자 주파수에서 브루커 아반스(Bruker Avance), 아반스 II 또는 아반스 III 분광계 상에서 기록하였다. 제올(JEOL) EX-270 분광계는 270 MHz의 양성자 주파수가 기록된 경우에 사용하였다. 클로로포름-δ (H 7.26 ppm), 아세톤 (H 2.04 ppm), 디클로로메탄-d2 (H 5.32 ppm), CH3OD (H 3.30 ppm) 또는 DMSO-d6 (H 2.49 ppm)의 중앙 피크를 내부 참조로서 사용하였다. 화학적 이동의 약간의 변동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샘플 제조에서의 변동, 예컨대 분석물 농도 변동 및 첨가제 (예를 들어, NMR 검정 표준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포함 또는 생략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다.
LC/MS 실험은 ESI 모드의 워터스 제보(Waters Xevo) Q-ToF 질량 분광계와 조합된 워터스 액퀴티(Acquity) UPLC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LC는 하기 2가지 설정으로 실행하였다: 1) 1.0 mL/분의 유량으로의 pH 10의 수성 46mM 탄산암모늄/암모니아 완충제 (A) 및 MeCN (B)의 구배 (5분 동안 2-95% B)와 조합된 BEH C18 칼럼 (1.7 μm 2.1x50 mm). 2) 1.0 mL/분의 유량으로의 pH 3의 수성 10 mM FA/1 mM 포름산암모늄 완충제 (A) 및 MeCN (B)의 구배 (5분 동안 2-95% B)와 조합된 HSS C18 칼럼 (1.8 μm 2.1x50mm)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 ee)로서 제시되는 광학 순도는 애질런트(Agilent) 1100 시리즈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키랄 HPLC에 의해 결정하였다. 방법 A: 키랄팩(Chiralpak) IC 250x4.6 mm; 5μm를 구비한 시스템. 이동상으로서, 헵탄/iPrOH/에탄올아민 (60:40:0.1)을 1 mL/분의 유량으로 사용하였다. 주입 부피는 10 μL였고, 화합물 검출은 UV에 의해 268 nm에서 수행하였다. 방법 B: 키랄팩 IC 150x4.6 mm, 3μm를 구비한 시스템. 이동상으로서, CO2, 120 bar (A) 및 MeOH (0.5% DEA) (B)를 80/20의 비 A/B로 4 mL/분의 유량으로 사용하였다. 주입 부피는 5 μL였다.
정제용 HPLC는 통합 MS 검출을 갖고 엑스-브리지(X-Bridge) 또는 선파이어(Sunfire)로부터의 정제용 C18 OBD 5μm 19 x 150 mm 칼럼을 구비한 워터스 프랙션링스(FractionLynx)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대안적으로, 크로마실(Kromasil) C8 10μm, 20x250 ID 또는 50x250 ID mm를 구비한, 통합 UV 검출을 갖는 길슨(Gilson) GX-281을 사용하였다. 용리액으로서, 물/MeCN/AcOH (95/5/0.1) 또는 물/0.05% TFA 또는 물/0.1% NH4HCO3 (A) 및 MeCN (B)의 구배를 적용하였다.
정제용 SCF는 워터스 비리디스(Viridis) 2-EP 또는 페노메넥스 루나 힐릭(Phenomenex Luna Hilic), 30 x 250 mm, 5μm를 구비한, 통합 MS 검출을 갖는 워터스 프렙100(Prep100) SCF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용리액으로서, CO2 (100g/분, 120 bar, 40℃) (A) 및 MeOH/NH3 (20mM) 또는 MeOH (5% FA) 또는 MeOH (B)의 구배를 적용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출발 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또는 이전에 문헌에 기재되어 있었다. 모든 용매 및 상업용 시약은 실험실 등급의 것이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공받은 대로 사용하였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화학 명칭은 켐드로우(ChemDraw) (울트라(Ultra) 11) 명명 패키지를 사용하여 생성시켰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이한 명명 패키지가 동일한 화합물에 대해 상이한 화학 명칭을 생성시킬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단지 예시로서, ACD/Name 2012 명명 패키지를 사용하여 하기 실시예 1 내지 16에 대해 생성된 화학 명칭은 각각 하기와 같다:
3,5-디아미노-6-클로로-N-[(2R)-2-(2-메틸벤질)-3-({[1-(3-{[(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데옥시-1-[(2-{[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크실리톨;
1-데옥시-1-{[2-({[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카르보닐}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3,5-디아미노-6-클로로-N-[(2R)-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2R)-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데옥시-1-[{4-[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4-옥소부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3,5-디아미노-6-클로로-N-[(2R)-2-(2-메틸벤질)-3-({[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2R)-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데옥시-1-[(2-{[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만니톨;
1-데옥시-1-[(2-{[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1-데옥시-1-{[2-({[4-({[(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1-데옥시-1-[(2-{[4-(2-{[(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1-데옥시-1-[(2-{[4-(2-{[(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크실리톨;
1-데옥시-1-[(2-{[4-({[(2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크실리톨;
5-데옥시-5-[(2-{[4-({[(2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크실리톨;
1-데옥시-1-[(2-{[3-(2-{[(2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카르보닐]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일]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D-글루시톨.
실시예 1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R)-(9H-플루오렌-9-일)메틸 (3-(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건조 THF (6 mL) 중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18 mg, 0.91 mmol) (중간체 A), (9H-플루오렌-9-일)메틸 3-(4-포르밀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440 mg, 1.08 mmol) (중간체 F) 및 아세트산 (80 μL, 1.40 mmo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340 mg, 1.6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추가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에 10% NaHCO3 (aq)을 pH 8-9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EtOAc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황색 유기 상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크로마실 C8; H2O/MeCN/AcOH 95/5/0.2)에 의해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10% NaHCO3 (aq)을 첨가하고, 수상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 점착성 오일을 DCM/헵탄 중에 중에 용해시키고, 증발시킨 후, 표제 화합물을 고체, 196 mg (29%, 순도 87%)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39 [M+H]+
단계 2
(R)-3,5-디아미노-N-(3-(((1-(3-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R)-(9H-플루오렌-9-일)메틸 3-(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196 mg, 0.27 mmol) (단계 1로부터임)를 DCM (5 mL) 중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0.5 mL)으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THF (5 mL) 및 DIPEA (280 μL, 1.60 mmol) 중에 용해시키고, THF (1 mL) 중 (BOC)2O (0.141 mL, 0.61 mmo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3시간 후, LC/MS는 모노-Boc 보호된 생성물로의 단지 작은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은 여전히 미반응 아민이었다. 큰 과량의 DIPEA 및 BOC2(O)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CN (2-3 ml)을 용해도가 증가되도록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주위 온도에서 주말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상을 0.5 M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산성화시켰다. 염수를 상의 분리를 돕도록 첨가하였다. 유기 상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OAc/헵탄, 구배 30 -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디-BOC 보호된 표제 화합물 (96 m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디-BOC-보호된 물질 (96 mg)을 DCM (2 mL) 중에 용해시키고, TFA (0.5 mL)로 처리하고,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정제용 HPLC (크로마실 C8; 16분에 걸쳐 H2O/MeCN/HCO2H 95/5/0.2에서 60/40/0.2)에 의해 정제하였다. 동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64 mg, 45%)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17 [M+H]+
1H NMR (500 MHz, MeOD) δ 1.13 - 1.34 (m, 2H), 1.83 - 2.06 (m, 3H), 2.29 - 2.39 (m, 1H), 2.35 (s, 3H), 2.59 - 2.93 (m, 9H), 3.08 - 3.23 (m, 3H), 3.32 - 3.37 (m, 1H), 3.67 - 3.74 (m, 1H), 3.87 - 3.96 (m, 1H), 4.52 - 4.6 (m, 1H), 7.11 - 7.22 (m, 4H), 8.51 (s, 0.4H, 포름산 잔류물).
단계 3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R)-3,5-디아미노-N-(3-(((1-(3-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900 mg, 1.74 mmol)를 메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2R,3S,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알 (261 mg, 1.74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물 5 방울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328 mg, 5.22 mmol)를 첨가하고, pH를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7.0으로 조정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생성된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20분에 걸쳐 H2O/MeCN/AcOH 95/5/0.2에서 60/40/0.2)에 의해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켰다. 표제 화합물을 2M HCl (4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키고, 절차를 3회 반복하여 표제 화합물의 HCl 염 (144 mg, 11%)을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MeOD) δ 1.30 (ddd, 2H), 1.84 - 2.13 (m, 3H), 2.32 - 2.45 (m, 4H), 2.62 - 2.77 (m, 2H), 2.81 - 2.98 (m, 7H), 3.15 (dd, 1H), 3.26 (d, 2H), 3.32 - 3.42 (m, 2H), 3.58 - 3.83 (m, 6H), 3.95 (t, 1H), 4.06 (dd, 1H), 4.55 (s, 1H), 7.05 - 7.33 (m, 4H).
실시예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방법 A
단계 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중간체 E, 1.23 g, 1.73 mmol), (2R,3S,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알 (0.521 g, 3.47 mmol) 및 DIPEA (0.303 mL, 1.73 mmol)를 MeOH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0.327 g, 5.20 mmol) 및 아세트산 (0.099 mL, 1.73 mmol)을 첨가하고, 교반을 50℃에서 3일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100 mL) 및 8% NaHCO3 (aq)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20 - 6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8 nm에서 검출하였다. 화합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1 g, 8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43.5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4 - 0.85 (m, 3H), 1.12 - 1.27 (m, 6H), 1.27 - 1.45 (m, 11H), 2.20 (s, 3H), 2.25 - 2.35 (m, 1H), 2.39 - 2.66 (m, 6H), 2.9 - 3.06 (m, 1H), 3.06 - 3.51 (m, 12H), 3.53 - 3.6 (m, 1H), 3.6 - 3.72 (m, 1H), 4.2 - 4.68 (m, 5H), 6.97 (bs, 2H), 7.03 - 7.19 (m, 6H), 7.72 (d, 2H), 7.78 - 7.99 (m, 1H), 8.21 - 8.36 (m, 1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5.69 mL, 80.0 mmol)를 MeOH (20 mL)의 빙조 냉각된 플라스크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1 g, 1.4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17 g, 100%)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43.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 - 0.9 (m, 3H), 1.2 - 1.33 (m, 6H), 1.62 - 1.74 (m, 2H), 2.26 (s, 3H), 2.3 - 2.41 (m, 1H), 2.59 - 2.74 (m, 2H), 2.74 - 2.85 (m, 1H), 2.86 - 2.98 (m, 1H), 3.09 - 3.51 (m, 11H), 3.56 - 3.62 (m, 1H), 3.62 - 3.75 (m, 2H), 3.99 - 4.09 (m, 1H), 4.14 - 4.29 (m, 2H), 4.58 (s, 4H), 7 - 7.21 (m, 6H), 7.62 (d, 2H), 7.92 (d, 2H), 8.27 (t, 1H), 8.91 - 9 (m, 1H), 9.16 (d, 2H), 9.52 (d, 1H).
단계 3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17 g, 1.43 mmol)를 물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10% Na2CO3 (aq)을 첨가하여 pH ~11로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물을 EtOAc (5x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반고체/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02 g, 96%)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43.5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5 - 0.85 (m, 3H), 1.12 - 1.26 (m, 6H), 1.31 - 1.43 (m, 2H), 1.94 - 2.05 (m, 1H), 2.24 (s, 3H), 2.35 - 2.49 (m, 5H), 2.54 - 2.65 (m, 4H), 3.14 - 3.23 (m, 1H), 3.25 - 3.4 (m, 5H), 3.4 - 3.49 (m, 2H), 3.53 - 3.59 (m, 1H), 3.62 - 3.78 (m, 3H), 4.26 (d, 1H), 4.38 (d, 1H), 4.45 (t, 1H), 4.51 (d, 1H), 6.96 (bs, 2H), 7.03 - 7.14 (m, 4H), 7.40 (d, 2H), 7.74 (d, 2H), 8.24 - 8.37 (m, 2H).
방법 B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5 L 플랜지 플라스크에, EtOH (1500 mL) 중 4-포르밀-N-(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벤즈아미드 (중간체 I, 133 g, 108.5 g 활성, 0.26 mol)의 용액,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A, 108.8 g, 0.31 mol), EtOH (230 mL) 및 DIPEA (64.4 mL, 0.37 mol)를 채웠다. 혼합물을 40℃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투명한 용액에 AcOH (45.4 ml, 0.79 mol)를 채웠다. 용액을 40℃에서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NaCNBH3 (23.2 g, 0.37 mol)을 10분에 걸쳐 조금씩 채웠으며, 기체 발생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4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3100 mL)으로 조심스럽게 켄칭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MeOH/EtOAc (2 x 5000 mL) 및 10% MeOH/DCM (50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271 g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NMR 분석은 대략 80% 순도와, NaCNBH3 신호가 존재함을 나타내었다. 잔류물을 DCM (12 L) 및 IPA (770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 (2700 ml) 및 물 (770 ml)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DCM (12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298 g (191 g 활성, 9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HPLC-MS는 88.0% 순도를 나타내었다. 1H NMR은 대략 60% 순도와, 대략 27 wt-% IPA 및 대략 8 wt-% 중간체 A를 나타내었다.
그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 (290 g, 235 mmol)을 따뜻한 MeOH (750 mL)로 희석하고, 아세토니트릴 (15 L)을 혼합물로부터 공비 증발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대략 10 L의 용매를 증발시킨 후, 검 유사 침전물을 함유하는 남아있는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 4일 동안 교반하였다.
액상을 검 유사 잔류물로부터 가만히 따라내었다. 잔류물에, 아세토니트릴 2.5 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을 가만히 따라내었다. 그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 (대략 175 g)을 HPLC 크로마토그래피 [셀루코트(CelluCoat) 250x100 mm, 10μm; 이동상: MeOH / MeCN / TEA = 95:5:0.1; 주입된 양: 1.0 g / 사이클; 사이클 시간: 3.5분]에 의한 최종 정제로 처리하였다. 표제 화합물의 수율: 148 g (77%).
LC/MS: m/z 743.5 [M+H]+
1H NMR (600 MHz, DMSO; 회전장애이성질체 피크의 경우에는, 주요 회전장애이성질체의 이동만이 기록됨) δ 0.80 (t, 3H), 1.34 - 1.4 (m, 2H), 1.09 - 1.24 (m, 6H), 1.34 - 1.4 (m, 2H), 2.00 (s, 1H), 2.00 (s, 1H), 2.24 (s, 3H), 2.36 - 2.42 (m, 1H), 2.43 - 2.49 (m, 4H), 2.51 - 2.54 (m, 1H), 2.56 - 2.64 (m, 4H), 3.15 - 3.22 (m, 1H), 3.23 - 3.3 (m, 3H), 3.35 - 3.4 (m, 1H), 3.42 (s, 1H), 3.43 - 3.49 (m, 1H), 3.54 - 3.59 (m, 1H), 3.62 - 3.7 (m, 2H), 3.74 (d, 1H), 4.27 (s, 1H), 4.39 (s, 1H), 4.46 (t, 1H), 4.52 (s, 1H), 6.96 (s, 1H), 7.03 - 7.08 (m, 2H), 7.40 (d, 2H), 7.74 (d, 2H), 8.26 - 8.31 (m, 1H), 8.31 - 8.35 (m, 1H).
13C NMR (151 MHz, DMSO) δ 13.91, 19.04, 22.08, 26.48, 26.61, 31.27, 34.23, 37.42, 38.60, 41.55, 50.84, 53.06, 53.44, 54.55, 57.43, 62.65, 69.23, 71.12, 72.61, 112.95, 117.12, 125.54, 125.83, 126.89, 127.72, 129.63, 130.03, 132.85, 135.82, 138.74, 144.02, 152.69, 154.14, 165.55, 166.01.
키랄 HPLC (방법 A; 헵탄/IPA/TEA 75:25:0.1): 98.9% ee, Rt = 14.75분 (R), 18.63분 (S).
실시예 3
3,5-디아미노-6-클로로-N-((R)-3-((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9H-플루오렌-9-일)메틸 2-(((2S,3R)-2,3-디히드록시-3-((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N-(2-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g, 4.71 mmol, 1.0 당량), (2R,4aR,7R,8R,8aS)-2-페닐-헥사히드로-2H-피라노[3,2-d][1,3]디옥신-6,7,8-트리올 (1.51 g, 5.63 mmol, 1.20 당량), 메탄올 (30 mL)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NaBH3CN (590 mg, 9.39 mmol, 2.00 당량), AcOH (570 mg, 9.49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헥산알 (530 mg, 5.29 mmol, 1.50 당량)을 첨가하고, 이어서 추가의 NaBH3CN (450 mg, 7.16 mmol, 2.0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1.6 g (73%)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19 [M+H]+
1H NMR (300 MHz, CD3OD): 1.80 - 1.92 (m, 3H), 1.15 - 1.40 (m, 6H), 1.41 - 1.72 (m, 2H), 2.88 - 3.15 (m, 5H), 3.33 - 3.43 (m, 2H),3.55 - 3.61 (m, 1H), 3.67 - 3.83 (m, 1H), 3.85 - 4.12 (m, 3H), 4.22 - 4.40 (m, 4H), 5.57 (s, 1H), 7.33 - 7.65 (9H, m), 7.67 (d, 2H), 7.83 (d, 2H).
단계 2:
(1R,2S)-3-((2-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1-[(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판-1,2-디올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N-(2-[[(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1.6 g, 2.59 mmol, 1.0 당량), 메탄올 (10 mL), 디에틸아민 (5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적용하고, 암모니아/MeOH (1:100)로 용리시켰다.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600 mg (59%)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97 [M+H]+
단계 3: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2-(((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DCM (5 mL) 중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B, 400 mg, 0.60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 (177 mg, 1.75 mmol, 3.0 당량), 트리포스겐 (173 mg, 0.58 mmol, 1.0 당량)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 3x10 mL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중간체 크로로포름아미드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DCM 중에 용해시켜) DCM (5 mL) 중 트리에틸아민 (177 mg, 1.75 mmol, 3.0 당량) 및 (1R,2S)-3-[(2-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1-[(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판-1,2-디올 (347 mg, 0.88 mmol, 1.5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에 의해 DCM/MeOH (10:1)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145 mg (22%)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90 [M+H]+
단계 4: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8-mL 바이알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2-(((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144 mg, 0.13 mmol, 1.0 당량), 에탄올 (0.5 mL), 4M HCl (3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표제 화합물 120 mg (조 물질)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02 [M+H]+
단계 5:
3,5-디아미노-6-클로로-N-((R)-3-((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 중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120 mg, 0.12 mmol, 1.0 당량), 디에틸아민 (2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100 mg)을 정제용 HPLC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2#-애널라이즈HPLC-시마즈(2#-AnalyseHPLC-SHIMADZU)(HPLC-10)): 칼럼, 엑스브리지 정제용 C18 OBD 칼럼,5um,19*150mm,; 이동상, 0.05% TFA를 포함하는 물 및 ACN (23.0% ACN, 15분 동안 33.0%로 상승); 검출기, MS,UV 254 nm.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8 mg (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80 [M+H]+
1H NMR (300 MHz, CD3OD): 0.91- 0.95 (m, 3H), 1.27 - 1.38 (m, 8H), 1.81 -1.97 (m, 5H), 2.36 (s, 4H), 2.62-2.69(m, 1H), 2.86-2.96 (m, 7H), 3.31-3.55 (m, 3H), 3.63-3.68 (m, 6H), 3.70-3.83 (m, 6H), 4.05-4.17 (m, 3H), 7.13-7.20 (m, 4H)
실시예 4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벤질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메틸벤젠-1-술폰산 벤질 3-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2.00 g, 5.69 mmol, 1.0 당량), (2R,4aR,7R,8R,8aS)-2-페닐-헥사히드로-2H-피라노[3,2-d][1,3]디옥신-6,7,8-트리올 (2.29 g, 8.54 mmol, 1.5 당량), 메탄올 (30 mL)을 넣었다. 30분 후, NaBH3CN (720 mg, 11.46 mmol, 2.00 당량), AcOH (680 mg, 11.32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진공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1.9 g (77%)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LC/MS: m/z 967 [M+H]+
단계 2:
벤질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벤질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90 g, 조 물질), 헥산알 (660 mg, 6.59 mmol, 1.5 당량), 메탄올 (30 mL)을 넣었다. 30분 후, NaBH3CN (550 mg, 8.75 mmol, 2.0 당량) 및 AcOH (530 mg, 8.83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적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2)로 용리시켰다. 이렇게 하여 벤질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3 g (57%)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16 [M+H]+
단계 3: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판산
10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벤질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1.3 g, 2.52 mmol, 1.0 당량), Pd/C (5 중량%, 700 mg), 에탄올 (20 mL)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에, H2 (g)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H2-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판산 0.5 g (47%)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26 [M+H]+
단계 4: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판산 (381.49 mg, 0.90 mmol, 3.00 당량),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B, 200.0 mg, 0.30 mmol, 1.0 당량), HATU (170.5 mg, 0.45 mmol, 1.5 당량), DIEA (57.9 mg, 0.45 mmol, 1.5 당량),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를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 (DCM:MeOH=10:1)에 의해 정제하였다. 관련 분획을 수집하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표제 화합물 200 mg (62%)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76 [M+H]+
단계 5: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4, 200 mg, 0.19 mmol, 1.0 당량) 및 HCl의 용액 (에탄올 중 4M, 2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 200 mg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87 [M+H]+
단계 6: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5, 200 mg, 0.20 mmol, 1.00 당량), 메탄올 (6 mL), 디에틸아민 (3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100 mg)을 정제용 HPLC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용 HPLC-019): 칼럼, 엑스셀렉트(XSelect) CSH 정제용 C18 OBD 칼럼,5um,19*150mm; 이동상, 0.05% TFA를 포함하는 물 및 MeCN (22.0% MeCN, 8분 동안 30.0%로 상승, 1분 동안 100%로 상승, 1분 동안 100% 유지, 2분 동안 22%로 하강); 검출기, UV 254/220 nm. 이렇게 하여 3,5-디아미노-6-클로로-N-[(2R)-3-([[1-(3-[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페닐)메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8 mg (21%)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3OD): δ 0.95 - 0.97 (m, 3H), 1.22 - 1.50 (m, 8H), 1.70 - 2.10 (m, 5H), 2.30 - 2.51 (m, 4H), 2.63 - 2.81 (m, 2H), 2.88 - 3.16 (m, 7H), 3.16 - 3.20 (m, 2H), 3.34 - 3.78 (m, 5H), 3.51-3.87 (m, 7H), 3.95 - 4.10 (m, 1H), 4.10 - 4.25 (m, 1H), 4.54 (d, 1H), 7.14 - 7.22 (m, 4H).
LC/MS: m/z 765 [M+H]+
실시예 5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S)-(9H-플루오렌-9-일)메틸 (1-(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플라스크 (25 mL)에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B, 300 mg, 0.45 mmol), 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산 (100 mg, 0.53 mmol), DIPEA (145 mg, 1.13 mmol), HATU (342 mg, 0.9 mmol)를 채우고, DMF (1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하고, 물 (3 x 2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한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20:1, v/v)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0 mg, 67%)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39 [M+H]+
단계 2:
(S)-(9H-플루오렌-9-일)메틸 (1-(3-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S)-(9H-플루오렌-9-일)메틸 (1-(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1, 216 mg, 0.26 mmol, 1.0 당량) 및 염화수소 (메탄올 중 4M, 5 mL)를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 190 mg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39 [M+H]+
단계 3: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S)-(9H-플루오렌-9-일)메틸 (1-(3-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2, 190 mg, 0.26 mmol, 1.0 당량), (3R,4S,5R)-옥산-2,3,4,5-테트롤 (39 mg, 0.26 mmol, 1.0 당량), 메탄올 (6 mL)을 넣었다. 30분 후, NaBH3CN (66 mg, 1.05 mmol, 4.0 당량)을 0℃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헥산알 (39 mg, 0.39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이어서 추가의 NaBH3CN (66 mg, 1.05 mmol, 4.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직접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957 [M+H]+
단계 4: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3, 230 mg, 0.24 mmol, 1.00 당량), 메탄올 (5 mL), 디에틸아민 (0.5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용 HPLC-019): 칼럼, 엑스셀렉트 CSH 정제용 C18 OBD 칼럼,5um,19*150mm,; 이동상, 0.05% TFA를 포함하는 물 및 MeCN (18.0% MeCN, 8분 동안 35.0%로 상승, 1분 동안 100.0%로 상승, 1분 동안 100.0% 유지, 2분 동안 18.0%로 하강); 검출기, UV 254/220 nm.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36.9 mg (16%)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35 [M+H]+
1H NMR (300 MHz, CD3OD): δ 0.96 (d, 3H), 1.26-1.40 (m, 8H), 1.81-2.01(m, 5H), 2.37 (s, 4H), 2.62-2.94 (m, 9H), 3.17-3.47 (m, 7H), 3.55-3.78 (m, 6H), 3.98 (d, 1H), 4.15 (s, 1H), 4.56 (d, 1H), 7.14-7.21 (m, 4H).
실시예 6
3,5-디아미노-6-클로로-N-((R)-3-((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S)-(9H-플루오렌-9-일)메틸 ((1-(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DMF (10 mL) 중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B, 900mg, 1.35 mmol), 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821 mg, 4.04 mmol), HATU (2305 mg, 6.06 mmol) 및 DIEA (1.06 mL, 6.06 mmol)를 넣어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50 mL)로 희석하고, 물 (5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 중 20에서 70% EtOAc의 구배에 의해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834 mg, 73%)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53 [M+H]+
단계 2:
(S)-(9H-플루오렌-9-일)메틸 (1-(4-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S)-(9H-플루오렌-9-일)메틸 ((1-(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1, 834 mg, 0.98 mmol)를 HCl의 메탄올성 용액 (4M)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53 [M+H]+
단계 3: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S)-(9H-플루오렌-9-일)메틸 (1-(4-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2, 250 mg, 0.33 mmol, 1.0 당량), 아세탈 보호된 D-글루코스 (2R,4aR,7R,8R,8aS)-2-페닐-헥사히드로-2H-피라노[3,2-d][1,3]디옥신-6,7,8-트리올 (133 mg, 0.50 mmol, 1.5 당량) 및 메탄올 (5 mL)을 넣었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NaBH3CN (41 mg, 0.65 mmol, 2.0 당량) 및 AcOH (40 mg, 0.67 mmol, 2.0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10 mg (조 물질)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05 [M+H]+
단계 4: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10 mg, 조 물질)를 MeOH (5 mL) 중에 용해시키고, 헥산알 (42 mg, 0.42 mmol, 2.00 당량)을 첨가하고, 이어서 NaBH3CN (26 mg, 0.41 mmol, 2.00 당량) 및 AcOH (25 mg, 0.42 mmol, 2.0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녹이고, 에틸 아세테이트 3x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52 mg (67%)을 조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89 [M+H]+
단계 5: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4, 152 mg, 0.14 mmol, 1.00 당량), HCl (에탄올 중 4M, 5 mL) 및 에탄올 (1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 138 mg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02 [M+H]+
단계 6:
3,5-디아미노-6-클로로-N-((R)-3-((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4-(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부타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4, 138 mg, 0.14 mmol, 1.0 당량), 디에틸아민 (2 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를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110 mg)을 정제용 HPLC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셀렉트 CSH 정제용 C18 OBD 칼럼,5um,19*150mm,; 이동상, 0.05% TFA를 포함하는 물 및 MeCN (23% MeCN, 8분 동안 30%로 상승, 1분 동안 100%로 상승, 1분 동안 100% 유지, 2분 동안 23.0%로 하강); 검출기, uv 254/220 nm.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로서의 표제 화합물 15.7 mg (13%)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79.5 [M+H]+
1H NMR (300 MHz, CD3OD): 0.92- 0.96 (m, 3H), 1.21 - 1.39 (m, 8H), 1.78 -2.03 (m, 7H), 2.36 (s, 4H), 2.61-2.69 (m, 4H), 2.87-2.93 (m, 5H), 3.13-3.31 (m, 5H), 3.32-3.36 (m, 1H), 3.63-3.77 (s, 6H), 3.78-3.96 (m, 1H), 4.15-4.18 (m, 1H), 4.84-4.86 (m, 1H), 7.13-7.20 (m, 4H).
실시예 7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메탄올 (5 mL) 중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실시예 5 / 단계 2, 20 mg, 0.27 mmol, 1.0 당량) 및 아세탈 보호된 D-글루코스 (2R,4aR,7R,8R,8aS)-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7,8-트리올 (218 mg, 0.81 mmol, 3.0 당량)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BH3CN (34 mg, 0.54 mmol, 2.0 당량), AcOH (30 mg, 0.50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하고, 추출 후처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조 표제 화합물 220 mg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92 [M+H]+
단계 2: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200 mg, 0.20 mmol, 1.0 당량), 에탄올 (1.5 mL) 및 HCl (에탄올 중 4M, 5 mL)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표제 화합물 180 mg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04 [M+H]+
단계 3:
3,5-디아미노-6-클로로-N-((R)-2-(2-메틸벤질)-3-((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9H-플루오렌-9-일메틸 N-[(2S)-3-[(3,5-디아미노-6-클로로-3,4-디히드로피라진-2-일)포름아미도]-2-[(2-메틸페닐)메틸]프로필]-N-[[1-(3-[[(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2, 180 mg, 0.20 mmol, 1.0 당량), 디에틸아민 (2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를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 (150 mg)을 정제용 HPLC에 의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엑스브리지 정제용 C18 OBD 칼럼,5um,19*150mm,; 이동상, 0.05% TFA를 포함하는 물 및 ACN (16.0% ACN, 15분 동안 26.0%로 상승); 검출기, MS,UV 254/220 nm.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5.5 mg (10%)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81.4 [M+H]+
1H NMR (300 MHz, CD3OD): 1.12- 1.43 (m, 2H), 1.87 - 2.12(m, 3H), 2.14(s, 4H),2.62-2.75(m, 2H),2.87-2.93(m, 7H), 3.01-3.19 (m, 3H), 3.31-3.37(m, 1H), 3.77-3.80 (m, 5H),3.87-3.95(m, 2H), 4.07-4.58(s, 1H), 4.80-4.96(d, 1H), 7.13-7.20(m, 4H).
실시예 8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R,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57.0 mg, 0.91 mmol)를 MeOH (20 mL) 중 헥산알 (45.5 mg, 0.45 mmol) 및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R,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실시예 7 / 단계 1에 대해 기재된 것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됨; 그 대신에 아세탈 보호된 D-만니톨 (2R,4aR,7S,8R,8aS)-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7,8-트리올로부터 출발함] (300 mg, 0.30 mmol)의 혼합물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 (DCM: MeOH = 25: 1)에 의해 정제하여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R,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70 mg, 83%)를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076 [M+H]+
1H NMR (300 MHz, CD3OD): δ 0.89 - 1.19 (m, 8H), 1.23 - 1.37 (m, 11H), 1.59 - 1.65 (m, 4H), 2.16 - 2.21 (m, 6H), 2.62 - 3.04 (m, 14H), 3.34 - 3.68 (m, 2H), 3.87 - 3.96 (m, 4H), 4.11 - 4.27 (m, 4H), 4.70 - 4.80 (m, 2H), 5.57 (s, 1H), 7.07 - 7.29 (m, 4H), 7.31 - 7.50 (m, 7H), 7.50 - 7.53 (m, 4H), 7.78 (d, 2H).
단계 2: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2R,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70 mg, 0.25 mmol)를 에탄올 (5 mL) 중 HCl (4M, 수성, 15 mL)에 첨가하였다.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00 mg, 81%)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87 [M+H]+
단계 3: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에틸아민 (3 mL)을 DMF (6 mL) 중 (9H-플루오렌-9-일)메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2, 200 mg, 0.20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칼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엑스 브리지 C18, 19*150 mm, 5 um; 이동상 A:물/0.05% TFA, 이동상 B: ACN; 유량: 20 mL/분; 용리액으로서 구배: 10분 동안 30% B에서 70% B; 254nm.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1-(3-(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프로파노일)피페리딘-4-일)메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3.5 mg)를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65.4 [M+H]+
1H NMR (300 MHz, CD3OD): δ 0.94 (t, 3H), 1.29 - 1.40 (m, 8H), 1.80 - 2.04 (m, 5H), 2.35 (s, 3H), 2.35 (m, 1H), 2.62 - 2.71 (m, 2H), 2.85 - 2.97 (m, 7H), 3.15 - 3.30 (m, 4H), 3.31 - 3.69 (m, 4H), 3.71 - 3.83 (m, 6H), 4.03 - 4.06 (m, 2H), 4.86 - 4.87(m, 1H),7.13 - 7.20 (m, 1H).
실시예 9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중간체 E, 500 mg, 0.70 mmol), (3S,4S,5S,6R)-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3,4,5-테트라올 (254 mg, 1.41 mmol) 및 DIPEA (0.123 mL, 0.70 mmol)를 MeOH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33 mg, 2.11 mmol) 및 아세트산 (0.040 mL, 0.70 mmol)을 첨가하고, 교반을 18시간 동안, 이어서 50℃에서 30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 M HCl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50 mL) 및 8% NaHCO3 (aq)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3x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20 - 6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8 nm에서 검출하였다. 화합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95 mg, 32%)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73.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6 - 0.85 (m, 3H), 1.13 - 1.27 (m, 6H), 1.3 - 1.44 (m, 11H), 2.21 (s, 3H), 2.24 - 2.38 (m, 1H), 2.39 - 2.53 (m, 4H), 2.57 - 2.66 (m, 2H), 2.77 (d, 1H), 2.91 - 3.06 (m, 1H), 3.06 - 3.41 (m, 8H), 3.43 - 3.49 (m, 1H), 3.51 (d, 1H), 3.55 - 3.65 (m, 3H), 4.23 - 4.55 (m, 5H), 6.97 (bs, 2H), 7.04 - 7.18 (m, 6H), 7.72 (d, 2H), 7.78 - 7.99 (m, 1H), 8.27 - 8.37 (m, 1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MeOH (5 mL, 124 mmol)의 빙조 냉각된 바이알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1.42 mL, 20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R,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90 mg, 0.2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84 mg, 100%)을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73.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1 - 0.89 (m, 3H), 1.2 - 1.33 (m, 6H), 1.62 - 1.77 (m, 2H), 2.26 (s, 3H), 2.3 - 2.41 (m, 1H), 2.6 - 2.73 (m, 2H), 2.75 - 2.84 (m, 1H), 2.86 - 2.97 (m, 1H), 3.11 - 3.27 (m, 3H), 3.27 - 3.45 (m, 5H), 3.45 - 3.52 (m, 2H), 3.52 - 3.76 (m, 5H), 3.89 - 3.99 (m, 1H), 4.03 - 4.48 (m, 7H), 6.88 - 7.23 (m, 6H), 7.63 (d, 2H), 7.93 (d, 2H), 8.26 (t, 1H), 8.93 - 9.02 (m, 1H), 9.13 - 9.34 (m, 2H), 9.55 (bs, 1H).
실시예 10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중간체 E, 1.25 g, 1.76 mmol), (3R,4S,5S,6R)-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3,4,5-테트라올 (0.635 g, 3.52 mmol) 및 DIPEA (0.308 mL, 1.76 mmol)를 MeOH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0.332 g, 5.29 mmol) 및 아세트산 (0.101 mL, 1.76 mmol)을 첨가하고, 교반을 50℃에서 40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100 mL) 및 8% NaHCO3 (aq)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x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20 - 6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8 nm에서 검출하였다. 화합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6 g, 8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73.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3 - 0.86 (m, 3H), 1.1 - 1.27 (m, 6H), 1.27 - 1.46 (m, 11H), 2.20 (s, 3H), 2.24 - 2.38 (m, 1H), 2.38 - 2.49 (m, 3H), 2.53 - 2.69 (m, 3H), 2.9 - 3.06 (m, 1H), 3.06 - 3.47 (m, 10H), 3.47 - 3.54 (m, 1H), 3.54 - 3.76 (m, 3H), 4.18 - 4.65 (m, 6H), 6.97 (bs, 2H), 7.03 - 7.19 (m, 6H), 7.72 (d, 2H), 7.78 - 8 (m, 1H), 8.24 - 8.37 (m, 1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5.69 mL, 80.0 mmol)를 MeOH (20 mL)의 빙조 냉각된 플라스크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6 g, 1.4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29 g, 106%)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73.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8 - 0.89 (m, 3H), 1.18 - 1.32 (m, 6H), 1.62 - 1.76 (m, 2H), 2.26 (s, 3H), 2.33 - 2.44 (m, 1H), 2.67 (d, 2H), 2.73 - 2.84 (m, 1H), 2.84 - 2.96 (m, 1H), 3.1 - 3.44 (m, 9H), 3.44 - 3.54 (m, 2H), 3.55 - 3.62 (m, 1H), 3.62 - 3.75 (m, 3H), 4.02 - 4.12 (m, 1H), 4.12 - 4.3 (m, 2H), 5.58 (bs, 5H), 6.91 - 7.21 (m, 6H), 7.64 (d, 2H), 7.94 (d, 2H), 8.25 (t, 1H), 8.97 - 9.06 (m, 1H), 9.28 (bs, 1H), 9.41 (bs, 1H), 9.70 (d, 1H).
단계 3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23 g, 1.45 mmol)를 물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10% Na2CO3 (aq)을 첨가하여 pH ~11로 염기성화시켰다. 생성물을 EtOAc (6x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반고체/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08 g, 96%)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73.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5 - 0.84 (m, 3H), 1.13 - 1.26 (m, 6H), 1.32 - 1.42 (m, 2H), 1.94 - 2.05 (m, 1H), 2.24 (s, 3H), 2.34 - 2.49 (m, 6H), 2.54 - 2.66 (m, 4H), 3.14 - 3.23 (m, 1H), 3.25 - 3.35 (m, 4H), 3.35 - 3.42 (m, 1H), 3.42 - 3.47 (m, 1H), 3.47 - 3.54 (m, 1H), 3.55 - 3.61 (m, 1H), 3.61 - 3.77 (m, 4H), 4.26 - 4.33 (m, 2H), 4.47 (d, 1H), 4.51 (d, 2H), 6.96 (bs, 2H), 7.04 - 7.14 (m, 4H), 7.40 (d, 2H), 7.74 (d, 2H), 8.26 - 8.37 (m, 2H).
실시예 11
4-(((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R)-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아세테이트
50 mL 배 형상의 플라스크에서,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A, 1.6 g, 4.59 mmol) 및 4-포르밀페닐 아세테이트 (0.753 g, 4.59 mmol)를 DCM (30 mL)에 첨가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3.89 g, 18.4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밤새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조 (R)-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아세테이트 (1.70g, 75%)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후속 단계에 직접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467 [M+H]+
단계 2: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아세테이트
(BOC)2O (1.07 mL, 4.59 mmol)를 0℃에서 혼합물 용매 디옥산 (25 mL)/물 (8 mL) 중 (R)-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아세테이트 (1.9 g, 3.82 mmol) 및 Na2CO3 (0.81 g, 7.6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석유 에테르 중 10에서 40% EtOAc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30 g, 5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97 [M+H]+
1H NMR (300 MHz, CD3OD): δ 1.47 (s, 9H), 2.25 - 2.2.51 (m, 7H), 2.54 - 2.65 (m, 2H), 3.05 - 3.22 (m, 2H), 3.31 - 3.39 (m, 2H), 4.13 - 4.45 (m, 2H), 6.93 - 7.00 (m, 2H), 7.06 - 7.10 (m, 6H).
단계 3: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히드록시벤질)카르바메이트
물 (8 mL) 중 NaOH (0.174 g, 4.35 mmol)를 MeOH (20 mL) 중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아세테이트 (1.3 g, 2.18 mmol)의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M 수성 HCl로 산성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조 표제 화합물 (1.20 g, 99%)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55 [M+H]+
단계 4: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히드록시벤질)카르바메이트 (250 mg, 0.45 mmol), DIEA (0.354 mL, 2.03 mmol)를 THF (10 mL)에 첨가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빙조로 냉각시키고, 트리포스겐 (200 mg, 0.68 mmol)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붓고, EtOAc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50 mg, 90%)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17 [M+H]+
단계 5: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옥시)벤질)카르바메이트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R,2S)-3-((2-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1-((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판-1,2-디올 (실시예 3 / 단계 2, 96 mg, 0.24 mmol) 및 DIEA (0.064 mL, 0.36 mmol)를 THF (1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생성시켰다.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단계 4, 150 mg, 0.24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에 붓고, EtOAc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정제용 TLC (DCM: MeOH = 10: 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0 mg, 84%)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77 [M+H]+
단계 6:
4-(((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 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2S,3R)-2,3-디히드록시-3-((2R,4R,5R)-5-히드록시-2-페닐-1,3-디옥산-4-일)프로필)(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옥시)벤질)카르바메이트 (단계 5, 200 mg, 0.20 mmol)를 EtOH (1 mL)에 첨가하여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성 HCl (4M, 3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조 생성물을 정제용 HPLC (워터스 엑스브리지 정제용 C18 OBD 칼럼, 5μ 실리카, 50 mm 직경, 150 mm 길이)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물 (0.05% TFA) 및 MeCN의 감소하는 극성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8.0 mg, 13%)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89.4 [M+H]+
1H NMR (300 MHz, CD3OD): δ 0.79 - 0.99 (m, 3H), 1.25 - 1.55 (m, 6H), 1.69 - 1.91 (m, 2H), 2.25 - 2.45 (m, 4H), 2.51 - 2.84 (m, 1H), 2.81 - 3.01 (m, 3H,), 3.28 - 3.31 (m, 4H), 3.34 - 3.82 (m, 12H), 3.86 - 3.92 (m, 1H), 4.09 - 4.37 (m, 3H), 7.03 - 7.35 (m, 6H), 7.453 (d, 2H).
실시예 1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1
EN06927-6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D, 500 mg, 0.69 mmol), (3R,4S,5S,6R)-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3,4,5-테트라올 (249 mg, 1.38 mmol) 및 DIPEA (0.121 mL, 0.69 mmol)를 MeOH (5 mL) 중에 용해시키고, 50℃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30 mg, 2.07 mmol) 및 아세트산 (0.044 mL, 0.76 mmol)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50℃에서 21시간 동안 계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 mL) 및 8% NaHCO3 (aq) (50 mL)로 희석하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4x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20 - 6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5 nm에서 검출하였다. 화합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85 mg, 63%)을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87.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0 (t, 3H), 1.12 - 1.26 (m, 6H), 1.29 - 1.43 (m, 11H), 2.16 - 2.29 (m, 4H), 2.41 - 2.48 (m, 2H), 2.56 - 2.67 (m, 2H), 2.71 (t, 2H), 2.96 (dd, 1H), 3.02 - 3.42 (m, 12H), 3.44 (dd, 1H), 3.47 - 3.54 (m, 1H), 3.55 - 3.74 (m, 3H), 4.18 - 4.79 (m, 4H), 6.96 (bs, 2H), 7.06 - 7.19 (m, 6H), 7.72 (d, 2H), 7.8 - 7.97 (m, 1H), 8.24 - 8.34 (m, 1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1.42 mL, 20 mmol)를 MeOH (5 mL, 124 mmol)의 빙조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용액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385 mg, 0.43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69 mg, 99%)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87.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8 - 0.88 (m, 3H), 1.17 - 1.31 (m, 6H), 1.6 - 1.74 (m, 2H), 2.23 - 2.39 (m, 4H), 2.64 - 2.75 (m, 2H), 2.75 - 2.87 (m, 1H), 2.87 - 2.99 (m, 1H), 3.05 (t, 2H), 3.09 - 3.44 (m, 11H), 3.44 - 3.54 (m, 2H), 3.55 - 3.75 (m, 4H), 4 - 4.1 (m, 1H), 4.69 (bs, 7H), 6.88 - 7.2 (m, 5H), 7.23 - 7.3 (m, 1H), 7.36 (d, 2H), 7.88 (d, 2H), 8.24 (t, 1H), 8.85 - 9.16 (m, 3H), 9.63 (d, 1H).
실시예 13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D, 500 mg, 0.69 mmol), (2R,3S,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알 (208 mg, 1.38 mmol) 및 DIPEA (0.121 mL, 0.69 mmol)를 MeOH (5 mL) 중에 용해시키고, 50℃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30 mg, 2.07 mmol) 및 아세트산 (0.044 mL, 0.76 mmol)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50℃에서 21시간 동안 계속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EtOAc (50 mL) 및 8% NaHCO3 (aq) (50 mL)로 희석하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4x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20 - 6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5 nm에서 검출하였다. 화합물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374 mg, 63%)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857.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74 - 0.85 (m, 3H), 1.11 - 1.28 (m, 6H), 1.28 - 1.44 (m, 11H), 2.14 - 2.29 (m, 4H), 2.46 (dd, 2H), 2.55 - 2.65 (m, 2H), 2.71 (t, 2H), 2.96 (dd, 1H), 3.02 - 3.51 (m, 14H), 3.52 - 3.6 (m, 1H), 3.6 - 3.71 (m, 1H), 4.17 - 4.77 (m, 3H), 6.96 (bs, 2H), 7.05 - 7.2 (m, 6H), 7.72 (d, 2H), 7.8 - 7.97 (m, 1H), 8.23 - 8.34 (m, 1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1.42 mL, 20.0 mmol)를 MeOH (5 mL, 123.59 mmol)의 빙조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용액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374 mg, 0.44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361 mg, 100%)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57.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 - 1.09 (m, 3H), 1.39 - 1.53 (m, 6H), 1.84 - 1.95 (m, 2H), 2.50 (s, 3H), 2.53 - 2.62 (m, 1H), 2.86 - 2.97 (m, 2H), 2.97 - 3.07 (m, 1H), 3.09 - 3.2 (m, 1H), 3.22 - 3.73 (m, 15H), 3.77 - 3.96 (m, 3H), 4.23 - 4.32 (m, 1H), 4.84 (bs, 6H), 7.15 - 7.42 (m, 5H), 7.45 - 7.52 (m, 1H), 7.58 (d, 2H), 8.11 (d, 2H), 8.46 (t, 1H), 9.13 - 9.2 (m, 1H), 9.30 (d, 2H), 9.92 (d, 1H).
실시예 14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단계 1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중간체 H) (163 mg, 0.23 mmol), (2R,3S,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알 (69.0 mg, 0.46 mmol) 및 DIPEA (0.040 mL, 0.23 mmol)를 MeOH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4.44 mg, 0.23 mmol) 및 아세트산 (0.039 mL, 0.6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50℃로 20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5 mL) 및 8% NaHCO3 (aq)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x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2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9 mL/분의 유량으로 H2O/ACN/AcOH 95/5/0.2 완충제 중 30 - 7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5 nm에서 검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7 mg, 65.5%)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75 - 0.84 (m, 3H), 1.13 - 1.26 (m, 6H), 1.29 - 1.42 (m, 11H), 2.20 (s, 3H), 2.25 - 2.35 (m, 1H), 2.41 - 2.47 (m, 2H), 2.56 - 2.62 (m, 2H), 2.89 - 3.05 (m, 1H), 3.07 - 3.15 (m, 1H), 3.2 - 3.49 (m, 13H), 3.52 - 3.59 (m, 1H), 3.61 - 3.69 (m, 1H), 4.21 - 4.35 (m, 2H), 4.35 - 4.55 (m, 3H), 6.96 (bs, 1H), 7.04 - 7.19 (m, 6H), 7.71 (d, 2H), 7.77 - 7.98 (m, 1H), 8.24 - 8.32 (m, 1H).
MS ES+: m/z 843.4 [M+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아세틸 클로라이드 (0.711 mL, 10 mmol)를 MeOH (2.5 mL, 61.79 mmol)의 빙조 냉각된 바이알에 적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27 m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5 mL) 및 5% Na2CO3 (aq)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5x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2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9 mL/분의 유량으로 H2O/ACN/AcOH 95/5/0.2 완충제 중 5 - 45%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8 nm에서 검출하였다. 생성물을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00 mg, 82%)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77 - 0.83 (m, 3H), 1.13 - 1.25 (m, 6H), 1.32 - 1.41 (m, 2H), 1.90 (s, 4H), 1.96 - 2.05 (m, 1H), 2.24 (s, 3H), 2.35 - 2.55 (m, 6H), 2.55 - 2.63 (m, 4H), 3.14 - 3.23 (m, 2H), 3.24 - 3.4 (m, 9H), 3.4 - 3.49 (m, 4H), 3.56 (q, 1H), 3.62 - 3.71 (m, 2H), 3.74 (d, 1H), 6.96 (bs, 2H), 7.04 - 7.14 (m, 4H), 7.40 (d, 2H), 7.74 (d, 2H), 8.28 (t, 1H), 8.33 (t, 1H).
MS ES+: m/z 743.5 [M+H]+
실시예 15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단계 1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중간체 G) (163 mg, 0.23 mmol), (2S,3R,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탄알 (69.0 mg, 0.46 mmol) 및 DIPEA (40.1 μl, 0.23 mmol)를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4.44 mg, 0.23 mmol) 및 아세트산 (39.5 μl, 0.6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50℃로 20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5 mL) 및 8% NaHCO3 (aq)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5x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2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9 mL/분의 유량으로 H2O/ACN/AcOH 95/5/0.2 완충제 중 30 - 70%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5 nm에서 검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35 mg, 69.7%)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79 (d, 3H), 1.16 (d, 6H), 1.36 (s, 11H), 2.20 (s, 3H), 2.31 (s, 1H), 2.50 (dt, 5H), 2.58 (s, 3H), 2.92 - 3.05 (m, 1H), 3.06 - 3.15 (m, 1H), 3.31 (s, 6H), 3.39 - 3.5 (m, 2H), 3.53 - 3.59 (m, 1H), 3.61 - 3.69 (m, 1H), 4.22 - 4.34 (m, 2H), 4.34 - 4.55 (m, 3H), 6.97 (bs, 2H), 7.04 - 7.18 (m, 6H), 7.71 (d, 2H), 7.78 - 7.97 (m, 1H), 8.25 - 8.32 (m, 1H).
MS ES+: m/z 843.5 [M+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아세틸 클로라이드 (0.711 mL, 10 mmol)를 MeOH (2.5 mL, 61.79 mmol)의 빙조 냉각된 바이알에 적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tert-부틸 ((R)-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35 mg, 0.1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5 mL) 및 5% Na2CO3 (aq)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5x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2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9 mL/분의 유량으로 H2O/ACN/AcOH 95/5/0.2 완충제 중 5 - 45%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68 nm에서 검출하였다. 생성물을 동결-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S)-3-((4-((2-(헥실((2R,3S,4S)-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93 mg, 70.2%)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76 - 0.83 (m, 3H), 1.14 - 1.25 (m, 6H), 1.31 - 1.42 (m, 2H), 1.91 (s, 3H), 1.95 - 2.06 (m, 1H), 2.24 (s, 3H), 2.35 - 2.54 (m, 6H), 2.60 (dd, 4H), 3.14 - 3.5 (m, 11H), 3.56 (q, 1H), 3.66 (dd, 2H), 3.74 (d, 1H), 6.96 (s, 2H), 7.04 - 7.14 (m, 4H), 7.40 (d, 2H), 7.74 (d, 2H), 8.28 (t, 1H), 8.33 (t, 1H).
MS ES+: m/z 743.4 [M+H]+
실시예 16
3,5-디아미노-6-클로로-N-((R)-3-(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3-((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 카르바메이트 (중간체 D, 370 mg, 0.51 mmol) 및 (3R,4S,5S,6R)-6-(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3,4,5-테트라올 (138 mg, 0.77 mmol)을 MeOH (15 mL) 중에 용해시켜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NaCNBH3 (32.1 mg, 0.5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500 mg, 110%)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후속 단계에 직접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887 [M+H]+
단계 2
3,5-디아미노-6-클로로-N-((R)-3-(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tert-부틸 ((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500 mg, 0.56 mmol)를 HCl/MeOH (20 mL, 0.56 mmol) 중에 용해시켜 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조 물질을 정제용 HPLC (워터스 엑스브리지 정제용 C18 OBD 칼럼, 5μ 실리카, 50 mm 직경, 150 mm 길이)에 의해 용리액으로서 물 (0.1% NH4HCO3 함유) 및 MeCN의 감소하는 극성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증발 건조시켜 3,5-디아미노-6-클로로-N-((R)-3-((3-((2-(헥실((2S,3R,4R,5R)-2,3,4,5,6-펜타히드록시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87 mg, 20%)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88 [M+H]+
1H NMR (300 MHz, CD3OD, 25℃): δ 0.85 - 0.91 (m, 3H), 1.15 - 1.35 (m, 6H), 1.39 - 1.59 (m, 2H), 2.12 - 2.25 (m, 1H), 2.31 (s, 3H), 2.57 - 2.89(m, 13H, 3.29 - 3.33 (m, 2H), 3.38 - 3.64 (m, 3H), 3.66 - 3.84 (m, 6H), 7.09 - 7.16 (m, 4H),7.38 (d, 2H), 7.70 - 7.73 (m, 2H).
중간체의 합성
중간체 A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단계 1:
디메틸 2-(2-메틸벤질)말로네이트
반응기에 디메틸 말로네이트 (6.00 kg, 45.4 mol) 및 메탄올 (21.3 L)을 채웠다. 25% NaOMe/MeOH (10.37 L, 45.2 mol)를 10분에 걸쳐 첨가한 다음, 반응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2-메틸 벤질클로라이드 (4.26 kg, 30.3 mol)를 1.5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포화 NH4Cl (53.1 L)을 반응물에 첨가하여, pH 8.5를 생성시켰다. 생성물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3 x 25 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10% 염수 (10 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8.63 kg, 68 중량%, 83%)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그와 같이 하여 수득한 표제 화합물은 디알킬화 말로네이트를 함유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86%.
LC/MS: m/z 237 [M+H]+
1H NMR (DMSO-d6, 270 MHz) δ 7.17-7.05 (4H, m), 3.60 (6h, s), 3.82 (1H, t), 3.12 (2H, s), 2.21 (3H, s); 13C-NMR (DMSO-d6, 270 MHz) δ 169.5, 136.6, 136.3, 130.8, 129.5, 127.3, 126.4, 52.8, 52.0, 31.8, 19.4.
단계 2
2-(2-메틸벤질)말론아미드
반응기에 디메틸-2-(2-메틸벤질)말로네이트 (단계 1, 5.9 kg, 68 중량%, 17.0 mol) 및 메탄올 (14.8 L)을 채웠다. 34% 수산화암모늄 (24 L, 36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HPLC 분석에 의해 완결된 것으로 간주될 때까지 25℃에서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MTBE (15.3 L)를 첨가하였다. 30분 후, 고체를 여과하고, MTBE (2 x 15.3 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6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3.2 kg, 91%)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06.9 [M+H]+
1H NMR (DMSO-d6, 270 MHz) δ 7.32-7.21 (2H, br s), 7.15-7.00 (6H, m), 3.33 (1H, t), 2.96 (2H, d), 2.28 (3H, s); 13C-NMR (DMSO-d6, 270 MHz) δ 171.0, 137.5, 136.0, 129.9, 128.9, 126.1, 125.6, 53.2, 32.5, 19.1.
단계 3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
반응기에 2-(2-메틸벤질)말론아미드 (1.32 kg, 6.40 mol) 및 THF (5.4 L)를 채웠다. 점성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반응 온도를 2℃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1M 보란-THF (25.6 L, 25.6 mol)를 2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로 가온한 다음,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HPLC 분석이 8% 미만의 출발 물질이 남아있음을 나타냈을 때에,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을 4M KOH (8 L)에 넣어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수성 층을 MTBE (2 x 10 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MTBE 추출물을 농축된 유기 층에 첨가한 다음,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합한 유기 층을 6M HCl의 용액 (10 L)에 채웠다. 수성 상을 MTBE (10 L)로 세척한 다음, 6M KOH (12 L)로 염기성화시켰다. 수성 상을 THF (10 L에 이어서 5 L)로 2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톨루엔 (5 L)을 첨가한 다음, 임의의 잔류수가 제거되도록 공비 증류시켰다. 혼합물을 톨루엔 (5 L)으로 연화처리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톨루엔 (3 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13 kg, 70% 수율)을 유리 아민으로서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1%.
LC/MS: m/z 179.0 [M+H]+
1H NMR (CDCl3, 270 MHz) δ 7.12-7.00 (4H, m), 2.72-2.59 (4H, m), 2.52 (2H, d), 2.27 (3H, s), 1.64 (1H, m), 1.48-1.25 (4H, br s); 13C-NMR (CDCl3, 270 MHz) δ 139.0, 136.3, 130.5, 129.9, 126.2, 125.9, 44.7, 43.8, 34.3, 19.6.
단계 4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 L-타르트레이트
조 디아민 (단계 3) (1.62 kg, 9.1 mol로부터임)에 에탄올 (4 L)을 첨가하였다. 온도를 4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에탄올 (11 L) 중에 용해시킨 L-타르타르산 (1.62 kg, 10.8 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일 동안 교반한 다음, 고체를 여과하고, 에탄올 (2 x 2 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5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21 kg, 정량적 수율)을 그의 모노-L-타르트레이트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2.2%.
LC/MS: m/z 179.0 [M+H]+
1H NMR (D2O, 270 MHz) δ 7.30-7.15 (4H, m), 4.27 (2H, s), 3.20-3.07 (2H, dd), 3.04-2.94 (2H, dd), 2.79 (2H, d), 2.41 (1H, m), 2.27 (3H, s); 13C-NMR (D2O, 270 MHz) δ 178.4, 137.2, 135.7, 131.0, 130.0, 127.6, 126.7, 73.9, 40.5, 35.9, 32.8, 18.7.
단계 5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1-(R))
반응기에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 L-타르트레이트 염 (3.57 kg, 10.9 mol) 및 물 (17 L)을 채웠다. 반응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10M NaOH (17 L, 170 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25℃에서 3일 동안 교반한 다음, 2-MeTHF (14 L)를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2-MeTHF (14 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 (황산나트륨)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유리 디아민을 수득하였다. 반응기에 유리 디아민, 2-MeTHF (37.4 L) 및 디알릴 카르보네이트 (1.80 kg, 12.6 mol)를 채웠다. 고정화된 리파제 아마노 PS IM (5.61 kg, 3 중량 당량)을 30분에 걸쳐 조금씩 첨가하고, 온도를 30℃로 설정하였다. 4일 후, 1H NMR이 5% 미만의 출발 물질이 남아있음을 나타내고, 반응 혼합물은 투명했으며,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68 kg, 82% ee, 100% 수율)을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84.7%.
LC/MS: m/z 263.1 [M+H]+
1H NMR (CDCl3, 270 MHz) δ 7.15-7.05 (4H, m), 5.99-5.81 (1H, m), 5.80-5.60 (1H, br s), 5.35-5.15 (2H, m), 4.54 (2H, d), 3.40-3.14 (2H, m), 2.85-2.52 (4H, m), 2.29 (3H, s), 1.90-1.77 (1H, m), 1.50-1.10 (2H, br s); 13C-NMR (CDCl3, 270 MHz) δ 156.6, 138.1, 136.1, 133.0, 130.5, 129.7, 126.3, 125.9, 117.5, 65.4, 44.0, 43.4, 41.6, 34.2, 19.5.
단계 6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1-(R)) D-타르트레이트 염.
조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2.68 kg, 10.2 mol)를 EtOH (7.1 L)에 첨가하였다. 온도를 2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EtOH (8 L) 중 D-타르타르산 (1.53 kg, 10.2 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대략 1시간 후, 침전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혼합물을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MeCN (5 L)을 25℃에서 첨가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MeCN (2 x 5 L)으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4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94 kg ((R) D-타르트레이트 염, 100% 수율)을 화학량론적 비 염기 / 이산 = 2:1로 수득하였다. HPLC에 의한 순도: 91.6%.
LC/MS: m/z 263.1 [M+H]+
1H NMR (DMSO-d6, 270MHz) δ 7.50 (1H, t), 7.22-7.05 (4H, m), 5.98-5.85 (1H, m), 5.35-5.12 (2H, m), 4.48 (2H, d), 3.95 (2H, s), 3.13-2.99 (2H, m), 2.90-2.79 (1H, m), 2.75-2.58 (2H, m), 2.26 (3H, s), 2.08 (1H, m); 13C-NMR (DMSO-d6, 270 MHz) δ 174.6, 156.6, 137.4, 136.1, 133.7, 130.3, 129.7, 126.3, 125.8, 117.0, 71.8, 64.4, 65.5, 37.6, 32.7, 19.1, 18.9.
키랄 HPLC (방법 A): 88.3% ee; r.t. = 11.14분 (S), 14.57분 (R).
단계 7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질소 하에 50 L 용기에 물 (14.7 L) 및 MTBE (14.7 L)를 첨가하고, 이에 이어서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1-(R)) D-타르트레이트 염 (단계 6, 2940 g)을 첨가하였다. 10M NaOH (14.7 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온도를 3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유기부를 분리하고, 수층을 MTBE (14.7 L)로 재추출하였다. 유기부의 부분을 진공 하에 농축 (1 L)시켜 1779 g, 95%의 외삽 수율을 수득하였다.
LC/MS: m/z 263.1 [M+H]+
1H NMR (CDCl3, 270 MHz) δ 7.05-7.15 (4H, m), 5.80-5.99 (1H, m), 5.32-5.14 (m, 2H), 4.52 (d, 2H), 3.15-3.38 (m, 2H), 2.55-2.81 (m, 2H), 2.54 (d, 2H), 2.29 (s, 3H), 1.76-1.87 (m, 1H).
단계 8
(S)-알릴 tert-부틸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일)디카르바메이트
질소 하에 50 L 용기에 MTBE (29.4 L) 중에 용해시킨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 카르바메이트 (1740 g)를 첨가하였다. 이에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92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MTBE (3.48 L) 중에 용해시킨 BOC-무수물 (1600 mL, 1518 g)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2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은 1H NMR에 의해 완결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응물에 물 (8.7 L)을 채우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부를 분리하고, 5% 시트르산 (8.7 L) 및 염수 (8.7 L)로 세척한 후에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320 g, 94%)을 수득하였다. 1H NMR은 >90%의 순도를 나타내었다.
1H NMR (CDCl3, 270 MHz) δ 7.02-7.10 (m, 4H), 5.82-5.99 (m, 1H), 5.55 (t, 1H), 5.32-5.15 (m, 2H), 5.02 (t, 1H), 4.52 (d, 2H), 3.17-3.30 (m, 2H), 2.95-3.15 (m, 2H), 2.51 (d, 2H), 2.28 (s, 3H0, 1.87-1.95 (m, 1H), 1.43 (s, 9H).
단계 9
(S)-tert-부틸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질소 하에 50 L 용기에 DCM (12.9 L) 중에 용해시킨 (S)-알릴 tert-부틸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일)디카르바메이트 (2330 g) 및 MeOH (10.3 L)를 첨가하고, 이에 이어서 Pd(PPh3)4 (148.4 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NaBH4 (729 g)를 2시간의 기간에 걸쳐 조금씩 채웠다. 반응물을 2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46.6 L)에 넣어 조심스럽게 켄칭한 다음,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부를 분리하고, 수층을 DCM (23.6 L)로 재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679 g, 100% 수율 (1H NMR에 의한 ~80% 순도))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270 MHz) δ 7.02-7.15 (m, 4H), 5.22 (br s, 1H), 3.10-3.28 (m, 2H), 2.62-2.80 (m, 2H), 2.52 (d, 2H), 2.29 (s, 3H), 1.75-1.82 (m, 1H), 1.92 (s, 9H), 1.30 (br s, 2H).
단계 10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 카르바메이트
질소 하에 5 L 용기에 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실산 (100 g), HBTU (202.8 g), THF (1200 mL) 및 DIPEA (11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에 THF (1.49 L) 중에 용해시킨 (S)-tert-부틸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9, 148.6 g)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이 첨가 동안 10℃만큼 발열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으며, LCMS는 5%의 부가물이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혼합물을 35℃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LC/MS는 2%의 부가물이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반응물을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 L) 및 MTBE (1.5 L)에 녹이고, 포화 NaHCO3 (1 L), 5% 시트르산 (700 mL) 및 염수 (7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부를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TBE (1L)에 녹이고, 재농축시킨 후에 MTBE (500 mL) 및 디에틸 에테르 (500 mL)에 녹이고, 여과하여 DIPEA 염을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켰으며, 분석은 일부 DIPEA 염이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잔류물을 MTBE (750 mL) 및 디에틸 에테르 (750 mL)로 재연화처리하고, 다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25 g, 94% (용매 및 TMU 차지))을 수득하였다.
LC/MS: m/z 349.2 [M+H]+
1H NMR (CDCl3, 270 MHz) δ 7.46 (t, 1H), 7.13 (m, 4H), 5.52 (t, 1H), 5.22 (br s, 2H), 3.62-3.75 (m, 1H), 3.00-3.40 (m, 5H), 2.80 (s, 3H), 2.49-2.75 (m, 2H), 1.95-2.02 (m, 1H), 1.42 (s, 9H).
단계 11
3,5-디아미노-N-[(2R)-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질소 하에 20 L 플랜지 플라스크에 디옥산 (6 L) 중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 카르바메이트 (단계 10, 2215 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 용해될 때까지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물에 디옥산 중 4M HCl (10 L)을 첨가하였다. 반응은 상당량의 기체를 발생시켰으며, 온도가 35℃로 상승한 후에 냉각을 적용하였다. 점성 유성 침전물이 반응물에서 관찰되었다. 1시간 후 반응 혼합물의 LC/MS는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상청액을 가만히 따라내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유성 점성 고체를 물 (6 L) 중에 용해시키고, 물 (2 L) 중에 용해시킨 농축된 상청액과 합하였다. 수층을 MTBE (5 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수층을 10 M NaOH (2 L)로 염기성화시키고, 2-Me-THF (4 x 10 L)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MTBE (2 x 4 L)로부터 농축시켜 잔류 2-MeTHF를 제거하였다. 고체를 MTBE:헵탄 (9 L:1.8 L)으로 연화처리하고, 주말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오븐 중에서 4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657 g, 96%)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270 MHz) δ 7.60 (t, 1H), 7.08-7.15 (m, 4H), 5.75 (br s, 2H), 5.12 (b s, 2H), 3.38-3.45 (m, 2H), 2.52-2.82 (m, 4H), 2.30 (s, 3H), 1.80-1.98 (m, 2H), 1.20-1.28 (m, 2H).
단계 12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R,3S)-2-벤조일-3-(벤조일옥시)숙시네이트
질소 하에 5 L 용기에 3,5-디아미노-N-[(2R)-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27.4 g) 및 메탄올 (892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모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서서히 30℃로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메탄올 (458 mL) 중 (+)-디벤조일-D-타르타르산 (65.5 g)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교반되도록 하고, ~2시간 후, 고체가 침전되기 시작하였다. 반응물을 주말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1.5 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교반을 4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이어서, 침전물을 여과하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 x 1 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오븐 중에서 40℃에서 3일 동안 건조시켰다. 총 147.5 g (74%)을 화학량론적 비 염기 / 이산 = 2:1로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270 MHz): δ 7.60 (t, 1H), 7.08-7.15 (m, 4H), 5.75 (br s, 2H), 5.12 (b s, 2H), 3.38-3.45 (m, 2H), 2.52-2.82 (m, 4H), 2.30 (s, 3H), 1.80-1.98 (m, 2H), 1.20-1.28 (m, 2H).
키랄 HPLC (방법 A): 98.7% ee, Rt = 11.93분 (R), 14.24분 (S).
단계 13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R, 3S)-2-벤조일-3-(벤조일옥시)숙시네이트 (20 g, 38.46 mmol)를 2-메틸-THF (200 mL) 및 물 (200 mL) 중에 현탁시키고, 빙조로 냉각시켰다. 수산화나트륨, 1 M (42.3 mL, 42.31 mmol)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모든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4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2-메틸-THF (2x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수 (200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3.3 g, 99%)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49.3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50 (bs, 2H), 1.76 - 1.87 (m, 1H), 2.26 (s, 3H), 2.4 - 2.49 (m, 2H), 2.52 - 2.62 (m, 2H), 3.18 - 3.28 (m, 2H), 6.95 (bs, 2H), 7.04 - 7.17 (m, 4H), 8.14 (t, 1H).
키랄 HPLC (방법 B): 99.3% ee, Rt = 11.55분 (S), 13.28분 (R).
[α]D 20: +11.8 (c 1.0, MeCN).
중간체 B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R)-tert-부틸 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50-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4-포르밀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22 mg, 0.57 mmol, 1.00 당량) 및 3,5-디아미노-N-[(2R)-3-아미노-2-[(2-메틸페닐)메틸]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A, 200 mg, 0.57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넣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486 mg, 2.29 mmol, 4.00 당량)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물 3x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표제 화합물 250 mg (80%)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46 [M+H]+.
단계 2:
(S)-tert-부틸 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디옥산 (2.0 mL) 중 FMOC-클로라이드 (19 mg, 0.07 mmol, 1.00 당량)를 물/디옥산 (1:2, 3 mL) 중 (R)-tert-부틸 4-((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1, 40 mg, 0.07 mmol, 1.0 당량) 및 Na2CO3 (12 mg, 0.11 mmol, 1.5 당량)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한 후, 표제 화합물 42 mg (75%)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68 [M+H]+
단계 3:
(S)-(9H-플루오렌-9-일)메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25-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HCl/MeOH (4M, 3 mL) 중 (S)-tert-부틸 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2, 20 mg, 0.03 mmol, 1.0 당량)의 용액을 넣었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9H-플루오렌-9-일메틸 N-[(2S)-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포름아미도]-2-[(2-메틸페닐)메틸]프로필]-N-(피페리딘-4-일메틸)카르바메이트 15 mg (86%)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68 [M+H]+
중간체 C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1
tert-부틸 (2-(벤질(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N-벤질헥산-1-아민 (2.69 g, 14.1 mmol), tert-부틸 (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4.48 g, 28.1 mmol) 및 DIPEA (2.46 mL, 14.1 mmol)를 MeOH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77 g, 28.1 mmol) 및 아세트산 (0.806 mL, 14.1 mmol)을 첨가하고, 교반을 1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2x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개의 바이오타지(Biotage)®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12 CV에 걸쳐 헵탄 중 5 - 50%의 EtOAc로부터의 구배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tert-부틸 (2-(벤질(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3.19 g, 68%)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35.6 [M+H]+
1H NMR (500 MHz, CDCl3) δ 0.84 - 0.92 (m, 3H), 1.19 - 1.35 (m, 6H), 1.38 - 1.66 (m, 11H), 2.43 (t, 2H), 2.52 (t, 2H), 3.09 - 3.21 (m, 2H), 3.56 (s, 2H), 4.83 - 4.93 (m, 1H), 7.22 - 7.37 (m, 5H).
단계 2
tert-부틸 (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tert-부틸 (2-(벤질(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3.19 g, 9.54 mmol)를 MeOH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20% Pd(OH)2/C (0.201 g, 0.2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뷔히(Buchi) 수소화기 중에서 4 bar 및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반응을 멈추었다. 추가의 20% Pd(OH)2/C (200 mg, 0.28 mmol)를 첨가하고, 수소화를 6시간 동안 계속하고, 수소화를 멈추었다. 촉매를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20% Pd(OH)2/C (250 mg, 0.36 mmol)를 첨가하고, 수소화를 4 bar 및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반응물을 MeOH 중에 다시 한번 용해시키고, 20% Pd(OH)2/C (250 mg, 0.36)를 첨가하고, 수소화를 3일 동안 계속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tert-부틸 (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2.38 g, 102%)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9 (t, 3H), 1.22 - 1.36 (m, 6H), 1.41 - 1.53 (m, 11H), 2.61 (t, 2H), 2.75 (t, 2H), 3.19 - 3.28 (m, 2H), 4.97 (bs, 1H).
단계 3
(9H-플루오렌-9-일)메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DCM (40 mL) 중 tert-부틸 (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2.38 g, 9.74 mmol)의 빙조 냉각된 용액에 DIPEA (1.79 mL, 10.2 mmol) 및 (9H-플루오렌-9-일)메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2.65 g, 10.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분 동안 냉각시키면서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 mL)을 첨가하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DCM (2x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 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5 - 3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30% EtOAc를 사용하였다. 파장 264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분획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9H-플루오렌-9-일)메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3.70 g, 81%)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67.4 [M+H]+
1H NMR (500 MHz, CDCl3) δ 0.89 (t, 3H), 1.06 - 1.36 (m, 8H), 1.43 (s, 9H), 2.78 - 2.87 (m, 1H), 2.95 - 3.08 (m, 2H), 3.11 - 3.36 (m, 3H), 4.18 - 4.26 (m, 1H), 4.49 - 4.63 (m, 2H), 4.89 (bs, 1H), 7.3 - 7.36 (m, 2H), 7.41 (t, 2H), 7.59 (d, 2H), 7.77 (d, 2H).
단계 4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2.84 mL, 40.0 mmol)를 MeOH (10 mL, 247 mmol)의 빙조 냉각된 바이알에 적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9H-플루오렌-9-일)메틸 (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3.7 g, 7.93 mmol)에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켜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92 g, 9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67.3 [M+H]+
1H NMR (400 MHz, DMSO-d6) δ 0.82 - 0.97 (m, 4H), 0.99 - 1.51 (m, 7H), 2.68 - 2.88 (m, 3H), 3.23 - 3.39 (m, 3H), 4.23 - 4.4 (m, 2H), 4.52 (d, 1H), 7.29 - 7.37 (m, 2H), 7.37 - 7.46 (m, 2H), 7.64 (d, 2H), 7.83 - 8.09 (m, 5H).
중간체 D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메틸 4-(2-히드록시에틸)벤조에이트
4-(2-히드록시에틸)벤조산 (2.41 g, 14.5 mmol)을 MeOH (5 mL) 중에 용해시키고, H2SO4 (0.06 mL, 1.1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중에서 12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 (150 mL) 중에 용해시키고, 8% NaHCO3 (aq) (1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메틸 4-(2-히드록시에틸)벤조에이트 (2.41 g, 92%)를 연한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81.0 [M+H]+
1H NMR (500 MHz, CDCl3) δ 2.94 (t, 2H), 3.88 - 3.94 (m, 5H), 7.32 (d, 2H), 7.97 - 8.02 (m, 2H).
단계 2
메틸 4-(2-옥소에틸)벤조에이트
메틸 4-(2-히드록시에틸)벤조에이트 (2.41 g, 13.37 mmol)를 DCM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데스-마르틴(Dess-Martin) 퍼아이오디난 (6.24 g, 14.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5% Na2S2O3/NaHCO3 3:2 (aq) (50 mL)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30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 (2x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5 - 4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50% EtOAc를 사용하였다. 파장 245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메틸 4-(2-옥소에틸)벤조에이트 (0.880 g, 36.9%)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3.78 (d, 2H), 3.93 (s, 3H), 7.29 - 7.34 (m, 2H), 8.03 - 8.09 (m, 2H), 9.79 (t, 1H).
단계 3
(S)-메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A, 2.00 g, 5.56 mmol), 메틸 4-(2-옥소에틸)벤조에이트 (1.09 g, 6.12 mmol) 및 DIPEA (0.971 mL, 5.56 mmol)를 MeOH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1.05 g, 16.7 mmol) 및 아세트산 (0.318 mL, 5.56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반응물을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BOC2O (1.290 mL, 5.5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10 CV에 걸쳐 헵탄 중 1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를 사용하였다. 파장 270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 피크를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메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1.84 g, 54%)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611.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36 (d, 9H), 2.15 - 2.26 (m, 4H), 2.45 - 2.49 (m, 2H), 2.75 (t, 2H), 2.93 (dd, 1H), 3.01 - 3.4 (m, 5H), 3.84 (s, 3H), 6.97 (bs, 2H), 7.05 - 7.17 (m, 4H), 7.21 (d, 2H), 7.82 (d, 2H), 7.85 - 7.94 (m, 1H).
단계 4
(S)-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산
(S)-메틸 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1.84 g, 2.56 mmol)를 MeOH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 (3.37 mL, 12.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 (MeOH)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 (50 mL) 및 MeTHF (50 mL)를 첨가하고, pH를 3 M HCl (aq)을 사용하여 ~2로 조정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L-MeTHF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산 (1.53 g, 100%)을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97.4 [M+H]+
1H NMR (400 MHz, DMSO-d6) δ 1.33 (s, 9H), 2.21 (d, 4H), 2.38 - 2.49 (m, 2H), 2.73 (t, 2H), 2.83 - 3.43 (m, 6H), 6.84 - 7.26 (m, 8H), 7.78 - 7.98 (m, 3H), 12.80 (bs, 1H).
단계 5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S)-4-(2-((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에틸)벤조산 (1.24 g, 1.77 mmol), 2-(1H-벤조[d][1,2,3]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이소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0.623 g, 1.94 mmol) 및 DIPEA (1.54 mL, 8.83 mmol)를 DCM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C, 0.95 g, 2.1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 (15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DCM (1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구배 9 CV에 걸쳐 헵탄 중 2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80% EtOAc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1.56 g, 93%)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45.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2 (t, 3H), 0.87 - 0.97 (m, 2H), 1 - 1.27 (m, 5H), 1.33 (s, 9H), 1.38 - 1.47 (m, 1H), 2.15 - 2.27 (m, 4H), 2.45 (dd, 1H), 2.69 (s, 2H), 2.81 - 2.89 (m, 1H), 2.9 - 3 (m, 1H), 3.01 - 3.41 (m, 11H), 4.15 - 4.27 (m, 2H), 4.48 (d, 1H), 6.96 (bs, 2H), 7.05 - 7.18 (m, 6H), 7.30 (t, 2H), 7.39 (t, 2H), 7.55 - 7.65 (m, 2H), 7.71 (dd, 2H), 7.8 - 7.97 (m, 3H), 8.37 - 8.51 (m, 1H).
단계 6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1.59 g, 1.68 mmol)를 THF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1.67 mL, 16.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 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5 CV에 걸쳐 DCM 중 4 -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10 CV에 걸쳐 DCM 중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페네틸)카르바메이트 (1.03 g, 85%)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23.6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4 (t, 3H), 1.19 - 1.44 (m, 17H), 2.15 - 2.29 (m, 4H), 2.45 (dd, 1H), 2.54 (t, 2H), 2.65 - 2.75 (m, 4H), 2.94 (dd, 1H), 3.02 - 3.18 (m, 2H), 3.18 - 3.3 (m, 3H), 3.3 - 3.4 (m, 4H), 6.97 (bs, 2H), 7.05 - 7.2 (m, 7H), 7.73 (d, 2H), 7.79 - 7.97 (m, 1H), 8.32 (t, 1H).
중간체 E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단계 1
(S)-메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R)-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중간체 A, 2.17 g, 6.22 mmol), 메틸 4-포르밀벤조에이트 (1.12 g, 6.84 mmol) 및 DIPEA (1.09 mL, 6.22 mmol)를 MeOH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0.782 g, 12.4 mmol) 및 아세트산 (0.392 mL, 6.84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한 모니터링이 전환이 완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었을 때에, 메틸 4-포르밀벤조에이트 (200 mg, 1.22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이어서, 다시 메틸 4-포르밀벤조에이트 (200 mg, 1.22 mmol) 및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200 mg, 3.18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1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250 mL) 및 8% NaHCO3 (aq) 2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BOC2O (1.63 g, 7.4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킨 다음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12 CV에 걸쳐 헵탄 중 2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를 사용하였다. 파장 265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 피크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S)-메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2.85 g, 77%)를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97.5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36 (d, 9H), 2.21 (s, 3H), 2.24 - 2.38 (m, 1H), 2.45 - 2.57 (m, 2H), 2.95 - 3.3 (m, 4H), 3.83 (s, 3H), 4.33 - 4.51 (m, 2H), 6.97 (bs, 2H), 7.04 - 7.17 (m, 4H), 7.22 (d, 2H), 7.76 - 7.96 (m, 3H).
단계 2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산
(S)-메틸 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2.85 g, 4.77 mmol)를 MeOH (40 mL) 중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 3.8 M (6.28 mL, 2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 (MeOH)를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물 (75 mL) 및 MeTHF (75 mL)를 첨가하고, pH를 3 M HCl (aq)을 사용하여 ~2로 조정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MeTHF (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산 (2.75 g, 99%)을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583.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32 - 1.42 (m, 9H), 2.20 (s, 3H), 2.24 - 2.38 (m, 1H), 2.5 - 2.55 (m, 2H), 2.92 - 3.36 (m, 4H), 4.27 - 4.54 (m, 2H), 6.97 (bs, 2H), 7.03 - 7.17 (m, 4H), 7.19 (d, 2H), 7.78 - 8 (m, 3H), 12.85 (bs, 1H).
단계 3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S)-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조산 (1.61 g, 2.76 mmol), 2-(1H-벤조[d][1,2,3]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이소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0.975 g, 3.04 mmol) 및 DIPEA (2.41 mL, 13.8 mmol)를 DCM (1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C, 1.48 g, 3.3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DCM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12 CV에 걸쳐 헵탄 중 2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80% EtOAc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2.38 g, 93%)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931.5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2 (t, 3H), 0.86 - 0.96 (m, 1H), 0.99 - 1.27 (m, 6H), 1.27 - 1.48 (m, 10H), 2.19 (s, 3H), 2.23 - 2.35 (m, 1H), 2.45 - 2.54 (m, 2H), 2.8 - 2.9 (m, 1H), 2.9 - 3.05 (m, 1H), 3.05 - 3.38 (m, 8H), 4.16 - 4.32 (m, 3H), 4.39 - 4.56 (m, 2H), 6.97 (bs, 2H), 7.02 - 7.18 (m, 6H), 7.30 (t, 2H), 7.39 (t, 2H), 7.60 (t, 2H), 7.64 - 7.76 (m, 2H), 7.78 - 7.99 (m, 3H), 8.37 - 8.52 (m, 1H).
단계 4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S)-tert-부틸 4-((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2.38 g, 2.55 mmol)를 THF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2.53 mL, 25.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 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DCM 중 2.5 -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DCM 중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1.60 g, 88%)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709.5 [M+H]+
1H NMR (500 MHz, DMSO-d6) δ 0.84 (t, 3H), 1.17 - 1.31 (m, 6H), 1.31 - 1.45 (m, 11H), 2.20 (s, 3H), 2.24 - 2.37 (m, 1H), 2.51 - 2.57 (m, 3H), 2.68 (t, 2H), 2.91 - 3.06 (m, 1H), 3.06 - 3.4 (m, 6H), 4.23 - 4.36 (m, 1H), 4.4 - 4.53 (m, 1H), 6.97 (bs, 2H), 7.04 - 7.19 (m, 6H), 7.72 (d, 2H), 7.79 - 7.98 (m, 1H), 8.28 - 8.35 (m, 1H).
중간체 F
9H-플루오렌-9-일)메틸 (3-(4-포르밀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단계 1:
(9H-플루오렌-9-일)메틸 3-(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건조 DMF (5 mL) 중 피페리딘-4-일메탄올 (200 mg, 1.74 mmol), 3-(((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판산 (541 mg, 1.74 mmol) 및 HATU (660 mg, 1.74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910 mL, 5.21 mmol)를 첨가하였다. 황색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50 mL)로 희석하고, 15% 수성 NaCl 용액 (50 mL) 및 30% 수성 NaCl 용액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동결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DCM 중에 재용해시키고, 헵탄을 첨가하였다.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78 mg, 53%)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09 [M+H]+
1H NMR (500 MHz, DMSO) d 0.88 - 1.09 (m, 2H), 1.51 - 1.73 (m, 3H), 2.44 (t, 2H), 2.47 - 2.52 (m, 1H + DMSO 피크), 2.93 (t, 1H), 3.18 (dd, 2H), 3.23 (d, 2H), 3.80 (d, 1H), 4.20 (t, 1H), 4.29 (d, 2H), 4.37 (d, 1H), 7.21 (t, 1H), 7.33 (dt, 2H), 7.41 (t, 2H), 7.68 (d, 2H), 7.89 (d, 2H).
단계 2
(9H-플루오렌-9-일)메틸 (3-(4-포르밀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DCM (5 mL) 중 (9H-플루오렌-9-일)메틸 3-(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 (362 mg, 0.89 mmol)의 용액에 고체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413 mg, 0.9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0% Na2S2O3 (3 mL), 10% NaHCO3 (3 mL) 및 DCM (2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 동안 격렬히 교반하고, 침강되도록 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불용성 염을 함유하는 수상을 반복해서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조 생성물 (440 m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407 [M+H]+
중간체 G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단계 1
(R)-알릴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일)(1H-이미다졸-1-일)메타논 (858 mg, 3.59 mmol) 및 (R)-알릴 (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A, 단계 5) (990 mg, 3.77 mmol)를 NMP (15 mL) 중에 현탁시키고, 10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EtOAc (50 mL) 및 물 (50 mL)을 첨가하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x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0.1 M HCl (aq) (50 mL), 물 (2x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2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를 사용하였다. 파장 270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R)-알릴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714 mg, 45.9%)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9 - 2.02 (m, 1H), 2.23 (s, 3H), 2.41 - 2.55 (m, 2H), 2.91 - 3.09 (m, 2H), 3.12 - 3.23 (m, 2H), 4.48 (d, 2H), 5.17 (d, 1H), 5.24 - 5.32 (m, 1H), 5.85 - 5.96 (m, 1H), 6.97 (bs, 2H), 7.04 - 7.15 (m, 3H), 7.21 - 7.25 (m, 1H), 7.28 (t, 1H), 8.00 (t, 1H).
LC/MS: m/z 433.3 [M+H]+
단계 2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R)-알릴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694 mg, 1.60 mmol), 1,3-디메틸피리미딘-2,4,6(1H,3H,5H)-트리온 (688 mg, 4.41 mmol), 아세트산팔라듐(II) (14.4 mg, 0.06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50.5 mg, 0.19 mmol)을 DCM (7 mL) 중에 용해시키고, 35℃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DCM (50 mL) 및 5% Na2CO3 (aq) (5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크로마실 C8 칼럼 (10 μm 250x50 ID mm) 상에서 정제용 HPLC에 의해 20분에 걸쳐 100 mL/분의 유량으로 H2O/MeCN/AcOH 95/5/0.2 완충제 중 5 - 45% 아세토니트릴의 구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UV에 의해 270 nm에서 검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수집하고, 동결-건조시켜 아세트산 염 586 mg을 수득하였다. 염을 EtOAc (50 mL) 및 5% Na2CO3 (aq) for 15분 중에서 교반한 다음,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3x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411 mg, 73.5%)를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키랄 순도: 60% ee, 키랄 SFC 칼럼으로 결정됨: 키랄팩 IC (150x4.6 mm), 3μm 입자 크기, 이동상: CO2 중 20% MeOH/DEA 100:0.5, 120 bar, 유량 4 mL/분.
1H NMR (500 MHz, DMSO-d6) δ 1.73 (bs, 2H), 2.01 - 2.12 (m, 1H), 2.50 (s, 3H), 2.64 - 2.73 (m, 2H), 2.76 - 2.86 (m, 2H), 3.4 - 3.53 (m, 2H), 7.19 (bs, 2H), 7.28 - 7.41 (m, 4H), 8.39 (t, 1H).
LC/MS: m/z 349.2 [M+H]+
단계 3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1.19 g, 3.41 mmol), BOC2O (0.871 mL, 3.75 mmol) 및 DIPEA (0.596 mL, 3.41 mmol)를 DCM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1 M HCl (aq)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30 - 7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70% EtOAc를 사용하였다. 파장 268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1.150 g, 75%)을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거울상이성질체를 키랄 정제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칼럼: 키랄팩 AY (250x20 mm), 20μm 입자 크기, 이동상: 헵탄/EtOH/TEA 20/80:0.1, 유량 120 m/분). 제1 용리 화합물을 수집하여 866 mg을 수득하였다. 키랄 순도: 98.6% ee. 광회전 [α]D 20 = -6 (아세토니트릴, c=1).
1H NMR (500 MHz, DMSO-d6) δ 1.38 (d, 9H), 1.88 - 2 (m, 1H), 2.23 (s, 3H), 2.39 - 2.49 (m, 2H), 2.83 - 2.93 (m, 1H), 2.93 - 3.03 (m, 1H), 3.09 - 3.23 (m, 2H), 6.89 (t, 1H), 6.97 (bs, 2H), 7.04 - 7.15 (m, 3H), 7.22 (d, 1H), 8.01 (t, 1H).
LC/MS: m/z 449.2 [M+H]+
단계 4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틸 클로라이드 (1.422 mL, 20 mmol)를 MeOH (5 mL, 123.59 mmol)의 빙조 냉각된 플라스크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카르바메이트 (866 mg, 1.93 mmol)의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 (125 mL) 및 8% NaHCO3 (aq) (125 mL) 중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EtOAc (3x1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459 mg, 68.2%)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키랄 순도: 99% ee, 키랄 SFC 칼럼으로 결정됨: 룩스(Lux) C4 (150x4.6 mm), 3μm 입자 크기, 이동상: CO2 중 35% EtOH/NH3 100:0.5, 120 bar, 유량 4 mL/분. 광회전 [α]D 20 = -45.9 (CHCl3, c=1).
1H NMR (500 MHz, DMSO-d6) δ 1.57 (bs, 2H), 1.78 - 1.88 (m, 1H), 2.26 (s, 3H), 2.39 - 2.48 (m, 2H), 2.52 - 2.62 (m, 2H), 3.18 - 3.28 (m, 2H), 6.95 (bs, 2H), 7.04 - 7.17 (m, 4H), 8.14 (t, 1H).
LC/MS: m/z 349.2 [M+H]+
단계 5
(R)-(9H-플루오렌-9-일)메틸 (2-(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S)-3,5-디아미노-N-(3-아미노-2-(2-메틸벤질)프로필)-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 (215 mg, 0.62 mmol), (9H-플루오렌-9-일)메틸 (2-(4-포르밀벤즈아미도)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중간체 H) (293 mg, 0.59 mmol) 및 DIPEA (0.103 mL, 0.59 mmol)를 MeOH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38.8 mg, 0.62 mmol) 및 아세트산 (0.101 mL, 1.76 mmol)을 첨가하고, 교반을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8% NaHCO3 (aq)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DCM (25 mL) 및 8% NaHCO3 (aq) (25 mL)을 첨가하고, 진탕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DCM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상 분리기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 및 BOC2O (0.150 mL, 0.65 mmol)를 DCM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바이오타지® KP-SIL 5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50 - 100%의 EtOAc로부터의 구배를 사용하였다. 파장 265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R)-(9H-플루오렌-9-일)메틸 (2-(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511 mg, 93%)를 무색 필름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82 (t, 3H), 0.87 - 0.96 (m, 1H), 0.99 - 1.26 (m, 6H), 1.27 - 1.5 (m, 10H), 2.19 (s, 3H), 2.23 - 2.35 (m, 1H), 2.8 - 2.9 (m, 1H), 2.9 - 3.04 (m, 1H), 3.05 - 3.39 (m, 10H), 4.16 - 4.32 (m, 3H), 4.39 - 4.57 (m, 2H), 6.88 - 7.18 (m, 8H), 7.30 (t, 2H), 7.39 (t, 2H), 7.55 - 7.76 (m, 4H), 7.77 - 7.99 (m, 3H), 8.37 - 8.52 (m, 1H).
LC/MS: m/z 931.4 [M+H]+
단계 6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R)-(9H-플루오렌-9-일)메틸 (2-(4-(((tert-부톡시카르보닐)(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아미노)메틸)벤즈아미도)에틸) (헥실)카르바메이트 (511 mg, 0.55 mmol)를 THF (5 mL) 중에 용해시키고, 피페리딘 (0.543 mL, 5.4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50 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DCM 중 2.5 -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DCM 중 8%의 (MeOH 중 2 M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켜 (R)-tert-부틸 (3-(3,5-디아미노-6-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도)-2-(2-메틸벤질)프로필)(4-((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모일)벤질)카르바메이트 (326 mg, 84%)를 연한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0.84 (t, 3H), 1.12 - 1.45 (m, 17H), 2.20 (s, 3H), 2.24 - 2.36 (m, 1H), 2.51 - 2.58 (m, 2H), 2.69 (t, 2H), 2.92 - 3.05 (m, 1H), 3.05 - 3.4 (m, 7H), 4.22 - 4.37 (m, 1H), 4.38 - 4.54 (m, 1H), 6.97 (bs, 2H), 7.03 - 7.18 (m, 6H), 7.72 (d, 2H), 7.79 - 7.98 (m, 1H), 8.28 - 8.35 (m, 1H).
LC/MS: m/z 709.4 [M+H]+
중간체 H
(9H-플루오렌-9-일)메틸 (2-(4-포르밀벤즈아미도)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4-포르밀벤조산 (0.81 g, 5.40 mmol) 및 4-메틸모르폴린 (1.424 mL, 12.95 mmol)을 THF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조로 냉각시켰다. 이소부틸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0.700 mL, 5.40 mmo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9H-플루오렌-9-일)메틸 (2-아미노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중간체 C) (1.739 g, 4.3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EtOAc (50 mL) 및 물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5% 시트르산 (2x50 mL), 10% Na2CO3 (aq) (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s)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100g 칼럼 상에서 자동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동상으로서, 9 CV에 걸쳐 헵탄 중 20 - 80%의 EtOAc로부터의 구배에 이어서 3 CV에 걸쳐 헵탄 중 80% EtOAc를 사용하였다. 파장 260 nm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수집하였다. 생성물 피크를 진공 하에 증발시켜 (9H-플루오렌-9-일)메틸 (2-(4-포르밀벤즈아미도)에틸)(헥실)카르바메이트 (1.690 g, 79%)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2 - 0.95 (m, 3H), 1.08 - 1.46 (m, 8H), 3.02 - 3.21 (m, 3H), 3.48 - 3.64 (m, 3H), 4.16 - 4.25 (m, 1H), 4.51 - 4.74 (m, 2H), 7.2 - 7.42 (m, 5H), 7.5 - 7.67 (m, 3H), 7.75 (d, 2H), 7.93 (q, 3H), 10.06 (s, 1H).
LC/MS: m/z 499.5 [M+H]+
중간체 I
4-포르밀-N-(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벤즈아미드
단계 1
tert-부틸 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10 L 플랜지 플라스크에, 헥실아민 (1020 mL, 7.76 mol), Na2CO3 (206 g, 1.94 mol) 및 MeCN (2560 mL)을 채웠다. 혼합물을 70℃로 1시간에 걸쳐 가열하였다. 혼합물에 MeCN (740 ml) 중 tert-부틸 2-브로모에틸카르바메이트 (371.3 g, 289.6 g 활성, 1.29 mol)의 용액을 1 ½시간에 걸쳐 천천히 채웠다. 반응물을 7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50℃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교반한 잔류물에 물 (2100 mL) 및 EtOAc (4200 ml)를 채웠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물 (3 x 2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 (3 x 870 ml) 및 EtOH (3 x 870 ml)와 순차적으로 공비시켜 368.6 g (315.8 g 활성, 정량적 수율)의 스테이지 1을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270 MHz, CDCl3) δ 4.95 (1H, br s), 3.29 - 3.19 (m, 2H), 2.71 (t, 2H), 2.58 (t, 2H), 1.50 - 1.40 (br. m, 11H), 1.35 - 1.23 (m, 6H), 0.89 (t, 3H).
LC/MS: m/z 245 [M+H]+
단계 2
tert-부틸 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10 L 플랜지 플라스크에, D-크실로스 (124.3 g, 0.83 mol), tert-부틸 2-(헥실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단계 1, 181.8 g, 155.8 g 활성, 0.49 mol), EtOH (5000 ml) 및 DIPEA (110.8 ml, 0.64 mol)를 채웠다. 혼합물을 용해될 때까지 35℃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에 AcOH (36.5 mL, 0.64 mol)를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35℃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NaCNBH3 (56.1 g, 0.89 mol)을 35℃에서 5분에 걸쳐 조금씩 채웠다. 발열 또는 기체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응물을 3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여기에 NaCNBH3 (8.0 g, 0.13 mol)을 채우고, 3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에 포화 수성 NaHCO3 (1600 mL)을 10분에 걸쳐 채웠으며, 약간의 발열 반응이 관찰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 동안 교반하였다. EtOH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후처리를 위해 동일한 규모의 제2 배치 (181.8 g 스테이지 1)와 합하였다. 혼합물에 NaCl (311 g)을 채웠다. 유기 상을 10% MeOH/DCM (3 x 300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크로마토그래피 (SiO2, 7 kg)를 통해 5% MeOH/DCM + MeOH 중 0.2% 7 N NH3 (35 L), 50% MeOH/DCM + MeOH 중 0.2% 7 N NH3 (75 L)로 패킹, 로딩 및 용리시키고, 65% MeOH/DCM + MeOH 중 0.2% 7 N NH3 (20 L)로 플러싱하여 정제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합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MeOH (2 x 500 mL)와 공비시켜 부표제 화합물 387 g (366 g 활성, 76%)을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270 MHz, DMSO-d6) δ 6.80 (br.s, 1H), 4.80 - 4.30 (br. m, 3H), 4.22 - 4.05 (br. m, 1H), 3.74 - 3.60 (br. m, 1H), 3.59 - 3.48 (m, 1H), 3.47 - 3.20 (m, 6H), 3.08 - 2.87 (br. m, 2H), 2.70 - 2.45 (br. m, 3H), 1.51 - 1.35 (m, 10H), 1.32 - 1.16 (m, 7H), 0.85 (t, 3H).
LC/MS: m/z 401 [M+H]+
단계 3
(2R,3R,4S)-5-((2-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펜탄-1,2,3,4-테트라올
실온에서 MeOH (520 ml) 중 tert-부틸 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단계 2, 365 g, 345 g 활성, 0.91 mol)의 용액에, 온도를 < 31℃로 유지하면서 디옥산 중 4 M HCl (1710 ml, 6.84 mol)을 30분에 걸쳐 채웠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부표제 화합물 485.1 g (306 g 활성, 95%)을 흑자주색 타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270 MHz, DMSO-d6) δ 8.41 (br. s, 3H), 4.20 - 3.00 (br. m, 16H), 1.77 - 1.62 (br. m, 2H), 1.37 - 1.17 (br. m, 6H), 0.87 (br. t, 3H).
MS ES: m/z 279 [M+H]+
단계 4
4-포르밀-N-(2-(헥실((2S,3R,4R)-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아미노)에틸)벤즈아미드
5 L 플랜지 플라스크에, 실온에서 4-포르밀벤조산 (107.6 g, 0.72 mol) 및 DMF (1400 ml)을 채웠다. 여기에 4-메틸모르폴린 (255.5 ml, 2.3 mol)을 채웠다. 혼합물을 5분에 걸쳐 -15℃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반응 온도를 < -10℃로 유지하면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93.4 ml, 0.71 mol)를 15분에 걸쳐 채웠다. 반응물을 -10℃ 내지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형 플라스크에서, (2R,3R,4S)-5-((2-아미노에틸)(헥실)아미노)펜탄-1,2,3,4-테트라올 (단계 3, 383.9 g, 245.7 g 활성, 0.71 mol)을 DMF (1400 ml) 및 4-메틸모르폴린 (123 ml, 1.1 mol) 중에 45℃에서 1시간에 걸쳐 용해시켰다. 혼합된 무수물 혼합물에, 반응 온도를 < -5℃로 유지하면서 단계 3 함유 혼합물을 15분에 걸쳐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수성 NaHCO3 (2500 ml)을 30분에 걸쳐 천천히 채웠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에 포화 수성 NaHCO3 (1200 ml)을 채우고, DCM (4900 ml)과 함께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13% MeOH/DCM (287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수성 NaHCO3 (120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95.3 g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합하고, 10 g 조 물질을 중간 규모 반응으로부터 회수하고,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였다 [SiO2, 3 kg; 5% MeOH/DCM으로 로딩 및 패킹; 5% MeOH/DCM (30 L), 10% MeOH/DCM (20 L), 20% MeOH/DCM (10 L), 30% MeOH/DCM (30 L), 40% MeOH/DCM (20 L) 및 100% MeOH (80 L)로 용리]. 생성물 분획을 부표제 화합물의 합하고 (100 L), 진공 하에 농축시켜 138.4 g (112 g 활성, 39% 수율)을 수득하였다. 1H NMR은 81.4 w/w% 활성과, 대략 5.5%의 남아있는 포르밀벤즈아미드 불순물을 나타내었다. HPLC-MS 분석은 97.4% 순도를 나타내었다. 혼합된 분획 (20 L)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HPLC에 의해 74.5%의 순도를 갖는 물질 46 g을 수득하였다. 이를 크로마토그래피 (SiO2, 600 g)를 통해 10%-30% MeOH/DCM (18 L)로 용리시키면서 재정제하였다. 생성물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부표제 화합물 추가 21.0 g (20.3 g 활성, 44%)을 수득하였다.
1H NMR (270 MHz, DMSO-d6): δ 10.08 (s, 1H), 8.60 (t, 1H), 8.02 (d, 2H), 7.97 (d, 2H), 4.70 - 4.20 (br. m, 4H), 3.66 - 3.52 (m, 2H), 3.46 - 3.34 (m, 8H), 2.65 - 2.58 (m, 2H), 2.51 - 2.44 (m, 2H), 1.40 - 1.28 (br. m, 2H), 1.19 - 1.08 (m, 6H), 0.79 (t, 3H).
LC/MS: m/z 411 [M+H]+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의 효소적 탈대칭화.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의 효소적 탈대칭화를 디알릴카르보네이트 및 소정 범위의 고정화된 리파제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고정화된 리파제 스크린: 1,4-디옥산 (30 mL) 중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 (0.60 g, 3.37 mmol)의 용액에 디알릴카르보네이트 (0.507 mL, 3.53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의 1.0 mL 분취물을 표 1에 기재된 효소 (0.02 g)를 함유하는 10 mL 스크류 마개 시험관에 첨가하였다. 시험관을 500 rpm/30℃에서 3일 동안 진탕하였다. 각각의 시험관을 샘플링하고, 역상 HPLC (4.6 x 50 mm 써모퀘스트 하이퍼카르브(Thermoquest Hypercarb), 260 nm에서 UV 검출) 및 키랄 HPLC (4.6 x 250 mm 키랄팩 IC3, 260 nm에서 UV 검출)에 의해 분석하였다.
6종의 스크리닝된 리파제는 3일 후 20% 초과의 전환을 나타내었다 (표 1).
<표 1>
1모노-알릴 카르바메이트로의 전환은 HPLC로부터의 % 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2R/S 비는 키랄 HPLC로부터의 % 면적 S 거울상이성질체로 나눈 % 면적 R 거울상이성질체로 제시되어 있다.
아마노 리파제 PS-IM으로의 용매 스크린: 아마노 리파제 PS-IM으로의 용매 스크린은 20 상대 부피의 용매 중에서 디알릴카르보네이트 1.1 당량, 아마노 PS-IM 1 질량 당량 및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 0.1 g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30℃에서 6일 후, 실험을 리파제 스크린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샘플링하였다 (표 2). 2-(2-메틸벤질)프로판-1,3-디아민은 비-극성 용매, 예컨대 메틸 t-부틸 에테르, 헵탄 및 시클로헥산에 매우 가용성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각각의 용매에 대한 THF의 첨가는 디아민이 용해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1:1 용매 혼합물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2-MeTHF가 일부 배경 반응에도 불구하고 가장 우수한 거울상선택성을 제공함을 시사하였다. 2-MeTHF의 배경 카르복실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램 규모 실험을 30℃에서 과량의 아마노 리파제 PS-IM (고정화된 리파제 3 질량 당량, 디알릴카르보네이트 1.2 당량, 2-MeTHF 20 부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을 진행시켜 3일 이내에 완결시키고, 후처리 후, 조 (R)-모노알릴카르바메이트 1-(R)을 85% ee로 단리하였다. 조 생성물을 에탄올 중에서 상응하는 D-타르트레이트 염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91.0% (디아민으로부터의 58% 총 수율)로 증가시켰다.
<표 2>
1모노-알릴 카르바메이트로의 전환은 HPLC로부터의 % 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2R/S 비는 키랄 HPLC로부터의 % 면적 S 거울상이성질체로 나눈 % 면적 R 거울상이성질체로 제시되어 있다.
나트륨 채널 ENaC 유싱 챔버 시험
스냅웰 투과성 지지체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의 매트텍 코포레이션(MatTek Corporation), cat 번호 AIR-100-SNP) 상에서 공기-액체 계면 (ALI)에서 분화된 인간 1차 기관지 상피 세포를 가습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및 5% CO2에서 ALI 배양물로 유지하였다. 기저측 배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의 매트텍 코포레이션, cat 번호 AIR-100-MM-ASY)를 2일마다 바꾸었다. 정단 측면에서 형성된 점액 또는 액체를 2일마다 서서히 흡인하여 세포의 생존율 및 성능을 유지하였다.
관강내/정단과 기저측 막 사이의 경상피 전압을 수직 사내 제조 유싱 챔버, DVC-1000 V/C 클램프와 전치증폭기 (월드 프리시전 인스트루먼츠(World Precision Instruments)), 전극 키트 (EK1, 월드 프리시전 인스트루먼츠), 파워 랩(Power Lab)과 차트5(Chart5) 소프트웨어, 외부 순환을 갖는 수조 및 카보젠 기체 분배 및 조절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유싱 챔버에서 측정하였다. 설정에 사용된 전극을 제조업체 권장에 따라 0.9% 멸균 NaCl 중 4% 아가로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캐스팅하였다.
유싱 챔버를 비어있는 스냅웰 막 (코스타(Costar) 3407)과 조립하고, 전극을 95% 산소 및 5% 이산화탄소의 존재 하에 크렙스 완충제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cat 번호 K3753) 중에 37℃에서 1시간 동안 함유시켰다. 이러한 평형 단계 후, 시스템은 유체 저항 및 입력 오프셋에 대해 보상되었다.
실험 전에, ALI 배양물을 엔드옴(EndOhm) 디바이스 (월드 프리시전 인스트루먼츠)를 사용하여 경상피 전기 저항 (TEER)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400-600 옴의 저항을 나타내는 세포를 사용하였다.
평형화된 챔버를 ALI 세포를 함유하는 스냅웰과 재조립하고, 20분 안정화 후, 누적 용량의 화합물을 막의 정단 측면에 첨가하였다. 최종 용량 후, 10 μM 벤자밀을 최대치에 도달하도록 첨가하였다.
참조 화합물을 포함한 모든 시험 화합물을 100% DMSO 중 10mM 원액으로부터 희석하고, 불투명한 96-웰 플레이트 (그라이너(Greiner), Cat 번호 651201)에 첨가하였다. 12종의 용량의 일련의 희석물을 DMSO 중에서 3μM로부터의 출발에 이어서 10배의 희석 단계로 제조하였다.
윈도우 소프트웨어용 차트5를 각각의 화합물 첨가 후 단락 전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데이터를 엑셀(Excel)로 옮기고, IDBS 엑스엘핏(XLfit)® 5.2 (아이디 비지니스 솔루션즈 리미티드(ID Business Solutions Lt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하기 형태의 4-파라미터 로지스틱 함수에 피팅함으로써 50% 억제를 생성시키는 시험 또는 참조 화합물의 몰 농도 (곡선 IC50)를 유도하였다.
A는 곡선의 하단 플래토, 즉 최종 최소 y 값이다.
B는 곡선의 플래토의 상단, 최종 최대 y 값이다.
C는 50%의 y 값에서의 log10x 값이다.
D는 힐(Hill) 기울기 인자이다.
x는 기지의 x 값이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14에 대한 pIC50 값을 제시하고 있다.
<표 1>
Caco-2 세포 단층을 사용한 추정 장 점막 투과
Caco-2 세포를 96-웰 트랜스웰 폴리카르보네이트 막 삽입물 상에서 둘베코(Dulbecco) 변형 이글 배지 (DMEM) 중에서 전면생장률 및 분화에 도달할 때까지 15일 동안 성장시켰다. 단층을 가로지르는 전기 저항의 측정에 의한 완전성 평가 후, 세포를 HBSS (25 mM HEPES, pH 7.4)로 2회 세척하고,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DMSO 중 시험 화합물의 원액을 HBSS (100 μM 루시퍼 옐로우(Lucifer Yellow) 함유)로 10 μM의 최종 농도에 도달하도록 희석하였으며; 모든 인큐베이션을 중복 수행하였다. 정단에서 기저측 방향 (A에서 B)으로의 약물 수송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시험 화합물 용액 100 μL를 트랜스웰 삽입물의 정단 구획에 첨가하였다. 기저측 구획을 HBSS 300 μL로 채웠다.
기저측에서 정단 (B에서 A)으로의 수송을 결정하기 위해, 기저측 구획을 시험 화합물 용액 300 μL로 채우고, HBSS 100 μL를 정단 구획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각각의 구획으로부터 50 μL를 제거하고, 96 웰 플레이트로 옮겨 적합한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485 nm 여기 및 530 nm 방출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단층 완전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시험 화합물 투과성 분석을 위해, 3 부피의 차가운 메탄올을 각각의 완충제 샘플에 첨가하고, 샘플을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의 분취물 5 μL를 LC/MS/MS 분석에 사용하였다.
겉보기 투과성 (Papp, cm/s 단위)은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A는 수용자 웰에서의 부피 (mL) (정단에서 기저측에 대해 0.3 mL)이고, 면적은 막의 표면적 (HTS 트랜스웰-96 웰 투과성 지지체에 대해 0.143 cm2)이고, 시간은 초 단위의 총 수송 시간이다.
정단에서 기저측 방향으로의 겉보기 투과성 (중앙 A에서 B로의 Papp, 1E-6.cm/초)을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16에 대해 측정하였다. 어떠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정단에서 기저측 방향으로의 겉보기 투과성은 검출할 수 없었다. 낮은 투과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흡입 투여를 통한 ENaC 억제제의 전달에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양태의 상기 설명은 단지 관련 기술분야의 다른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특정한 사용의 요건에 가장 적합할 수 있는 그의 다수의 형태로 용이하게 적합화 및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분야의 다른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인의 발명, 그의 원리 및 그의 실제 적용을 숙지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설명 및 그의 구체적 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제시하면서,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양태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추가로, 명료성 이유로, 별개의 실시양태의 문맥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색은 또한 단일 실시양태를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되어야 한다. 반대로, 간결성 이유로, 단일 실시양태의 문맥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색은 또한 그의 하위-조합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