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016A -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1016A KR20160081016A KR1020140194054A KR20140194054A KR20160081016A KR 20160081016 A KR20160081016 A KR 20160081016A KR 1020140194054 A KR1020140194054 A KR 1020140194054A KR 20140194054 A KR20140194054 A KR 20140194054A KR 20160081016 A KR20160081016 A KR 20160081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pack
- bus bar
- eco
- battery
- battery cel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는,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 셀의 셀 리드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스바에서, 상기 부스바(21,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스바(22)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파단되면서 서로 인접한 두 배터리 셀(1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부스바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스바가 적용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에서 CID구조가 적용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서 부스바 커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가 부스바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부스바들이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가 부스바 커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를 도시한 평면도.
11 : 셀 리드 21, 22 : 부스바
22a : 접속부 22b : 온도감지부
22c : 퓨즈부 23 : 부스바 커버
24 : 외부커버 100 : 배터리 팩
110 : 배터리 셀 111 : 셀리드
121 : 부스바 123 : 부스바 커버
130 : CID
Claims (7)
-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 셀의 셀 리드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스바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파단되면서 서로 인접한 두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상기 셀 리드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접속부와,
서로 인접한 배터리 셀의 사이에 전단이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상기 부스바로 전달하고,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후단이 위치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상기 접속부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후단을 연결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면 파단되는 퓨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100 ℃를 초과하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전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친환경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의 부스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들의 측면에서 끼워지는 부스바 커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커버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054A KR102385996B1 (ko) | 2014-12-30 | 2014-12-30 |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버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4054A KR102385996B1 (ko) | 2014-12-30 | 2014-12-30 |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버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1016A true KR20160081016A (ko) | 2016-07-08 |
KR102385996B1 KR102385996B1 (ko) | 2022-04-14 |
Family
ID=5650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4054A Active KR102385996B1 (ko) | 2014-12-30 | 2014-12-30 |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버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599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1690A (ko) * | 2019-01-23 | 2020-07-31 |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열폭주 방지장치 |
KR20200093563A (ko) * | 2017-11-07 | 2020-08-05 | 라이온 스마트 게엠베하 | 배터리 스택용 접촉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배터리 스택용 접촉 플레이트 및 배터리 스택 |
US11063320B2 (en) | 2019-01-08 | 2021-07-13 | Lg Chem, Ltd. | Terminal busbar |
KR20220021548A (ko) | 2020-08-14 | 2022-02-22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전기차 배터리모듈용 버스바의 제조방법 |
WO2023004312A1 (en) * | 2021-07-20 | 2023-01-26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CN115693037A (zh) * | 2021-07-27 | 2023-02-03 | 矢崎总业株式会社 | 汇流条模块、电池模块以及再利用电池模块制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179B1 (ko) * | 2011-11-09 | 2013-08-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
KR20140012264A (ko) | 2012-07-19 | 2014-02-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id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KR20140125194A (ko) * | 2013-04-18 | 2014-10-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KR20140130357A (ko) * | 2013-04-30 | 2014-11-10 | 타이코에이엠피(유) | 이차전지 팩 |
-
2014
- 2014-12-30 KR KR1020140194054A patent/KR10238599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179B1 (ko) * | 2011-11-09 | 2013-08-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
KR20140012264A (ko) | 2012-07-19 | 2014-02-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id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KR20140125194A (ko) * | 2013-04-18 | 2014-10-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KR20140130357A (ko) * | 2013-04-30 | 2014-11-10 | 타이코에이엠피(유) | 이차전지 팩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3563A (ko) * | 2017-11-07 | 2020-08-05 | 라이온 스마트 게엠베하 | 배터리 스택용 접촉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배터리 스택용 접촉 플레이트 및 배터리 스택 |
US11063320B2 (en) | 2019-01-08 | 2021-07-13 | Lg Chem, Ltd. | Terminal busbar |
KR20200091690A (ko) * | 2019-01-23 | 2020-07-31 | 주식회사 와이제이테크놀로지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열폭주 방지장치 |
KR20220021548A (ko) | 2020-08-14 | 2022-02-22 |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 전기차 배터리모듈용 버스바의 제조방법 |
WO2023004312A1 (en) * | 2021-07-20 | 2023-01-26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Battery pack |
CN115693037A (zh) * | 2021-07-27 | 2023-02-03 | 矢崎总业株式会社 | 汇流条模块、电池模块以及再利用电池模块制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5996B1 (ko) | 2022-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81016A (ko) | 퓨즈기능을 갖는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부스바 및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의 배터리 팩 | |
KR200491964Y1 (ko) |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 | |
CN102428618B (zh) | 用于电动汽车电池的短路保护装置 | |
KR101853397B1 (ko) | 전지모듈 | |
US20150171413A1 (en) | Cell Connector for a Battery System or for a Battery Cell of an Electrical Energy Store, Battery and Motor Vehicle | |
KR101273114B1 (ko) |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셀 보호장치 | |
EP3748719B1 (en) | Method of interrupting inflow current in battery system, battery system,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battery system,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 |
US20140062418A1 (en) | Safety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of electric vehicle | |
EP2930771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10090508B2 (en) | Current breaking structure of battery system | |
JP2014512089A (ja) |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 |
JP2014528149A (ja) |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 |
US20160072108A1 (en) | Traction battery for an electric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electric motor vehicle | |
KR101690575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20150057732A (ko) |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 |
CN110271422A (zh) | 高压蓄能器 | |
JP6087675B2 (ja) | 電池モジュール | |
JP2019506837A (ja) | バッテリ保護デバイス | |
KR101441205B1 (ko) | 차량용 배터리의 셀 모듈 조립체 | |
CN213692207U (zh) |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 |
JP7371021B2 (ja) | 安全性が改善され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 |
CN113169381B (zh) | 用于非开关式高电压电源的配电系统 | |
JP6229668B2 (ja) | 蓄電システム | |
WO2022163478A1 (ja) | 電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668851B1 (ko) | 차량용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차단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