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510A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7510A KR20160077510A KR1020140187261A KR20140187261A KR20160077510A KR 20160077510 A KR20160077510 A KR 20160077510A KR 1020140187261 A KR1020140187261 A KR 1020140187261A KR 20140187261 A KR20140187261 A KR 20140187261A KR 20160077510 A KR20160077510 A KR 201600775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coordinate
- image
- touch position
- coordinat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 표시 구동부 및 영상 보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상 보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보정부에 의한 영상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보정 방법에 의해 영상 보정이 수행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보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 보정부에 의한 터치 보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터치 보정 방법에 의해 터치 보정이 수행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10: 표시패널 120: 표시 구동부
130: 영상 보정부 210: 터치 센서
220: 터치 제어부 230: 터치 보정부
310: 이동량 결정부 320: X축 영역 정의부
330: Y축 영역 정의부 340: 좌표 생성부
350: X 좌표 보정부 360: Y 좌표 보정부
370: 영상 데이터 생성부 380: 메모리
410: 제1 계산부 420: 제2 계산부
430: 제3 계산부
Claims (19)
-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에 발생된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최초 터치 위치를 최종 터치 위치로 보정하는 터치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보정부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를 임시 터치 위치로 변환하는 제1 계산부;
상기 최초 터치 위치와 상기 임시 터치 위치 사이의 터치 이동량을 산출하는 제2 계산부; 및
상기 최초 터치 위치에서 상기 터치 이동량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최종 터치 위치를 산출하는 제3 계산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산부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로부터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로부터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계산부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와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 사이의 X축 터치 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와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 사이의 Y축 터치 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3 계산부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에서 상기 X축 터치 이동량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최종 터치 위치의 X 최종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에서 상기 Y축 터치 이동량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최종 터치 위치의 Y 최종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
제1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하고, 제2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영상을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표시 구동부; 및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값들의 X 영상 좌표와 Y 영상 좌표를 생성하는 좌표 생성부;
상기 제1 영상의 X축을 X축 확장 영역과 X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는 X축 영역 정의부; 및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수학식을 이용하여 X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수학식을 이용하여 X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X 좌표 보정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의 Y축을 Y축 확장 영역과 Y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는 Y축 영역 정의부; 및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Y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Y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Y 좌표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X 보정 좌표 및 상기 Y 보정 좌표로 이루어지는 보정 좌표에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의 값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영상의 X축 이동량, Y축 이동량, X축 스케일링 비 및 Y축 스케일링 비를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영역 정의부는, X축 이동량 및 X축 스케일링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의 X축을 X축 확장 영역과 X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Y축 영역 정의부는, Y축 이동량 및 Y축 스케일링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의 Y축을 Y축 확장 영역과 Y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X축 확장 영역은, 상기 X축 이동량과 상기 X축 스케일링 비의 곱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X축 축소 영역은, 상기 X축 확장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결정되며,
상기 Y축 확장 영역은, 상기 Y축 이동량과 상기 Y축 스케일링 비의 곱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Y축 축소 영역은 상기 Y축 확장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X 좌표 보정부는,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X 영상 좌표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X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X 영상 좌표보다 적은 개수의 상기 X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Y 좌표 보정부는,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Y 영상 좌표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Y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Y 영상 좌표보다 적은 개수의 상기 Y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산부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가 상기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가 상기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 제1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최초 터치 위치를 최종 터치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의 X축 이동량, Y축 이동량, X축 스케일링 비 및 Y축 스케일링 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X축 이동량 및 상기 X축 스케일링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의 X축을 X축 확장 영역과 X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단계;
상기 Y축 이동량 및 상기 Y축 스케일링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의 Y축을 Y축 확장 영역과 Y축 축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값들의 X 영상 좌표 및 Y 영상 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수학식을 이용하여 X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X 영상 좌표가 상기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수학식을 이용하여 X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Y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Y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X 보정 좌표 및 상기 Y 보정 좌표로 이루어지는 보정 좌표에 그에 대응되는 상기 제 1 영상 데이터의 값을 맵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터치 위치를 최종 터치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로부터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로부터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와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 사이의 X축 터치 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와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 사이의 Y축 터치 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에서 상기 X축 터치 이동량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최종 터치 위치의 X 최종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종 좌표에서 상기 Y축 터치 이동량을 차감함으로써 상기 최종 터치 위치의 Y 최종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와 Y 임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가 상기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X 최초 좌표가 상기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X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최초 터치 위치의 Y 최초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터치 위치의 Y 임시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X축 확장 영역은, 상기 X축 이동량과 상기 X축 스케일링 비의 곱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X축 축소 영역은, 상기 X축 확장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결정되며,
상기 Y축 확장 영역은, 상기 Y축 이동량과 상기 Y축 스케일링 비의 곱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Y축 축소 영역은 상기 Y축 확장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X 영상 좌표들로부터 산출된 X 보정 좌표들의 개수는 X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X 영상 좌표들 보다 많고,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X 영상 좌표들로부터 산출된 X 보정 좌표들의 개수는 X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X 영상 좌표들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Y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확장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Y 영상 좌표보다 많은 개수의 상기 Y 보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Y 영상 좌표가 상기 Y축 축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Y 영상 좌표보다 적은 개수의 상기 Y 보정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261A KR102308202B1 (ko) | 2014-12-23 | 2014-12-23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US14/741,309 US9710106B2 (en) | 2014-12-23 | 2015-06-16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EP15201698.6A EP3046011B1 (en) | 2014-12-23 | 2015-12-21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JP2015249865A JP6847576B2 (ja) | 2014-12-23 | 2015-12-22 | タッ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
CN201510970611.3A CN105718103B (zh) | 2014-12-23 | 2015-12-22 | 触摸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261A KR102308202B1 (ko) | 2014-12-23 | 2014-12-23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7510A true KR20160077510A (ko) | 2016-07-04 |
KR102308202B1 KR102308202B1 (ko) | 2021-10-06 |
Family
ID=5502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7261A Active KR102308202B1 (ko) | 2014-12-23 | 2014-12-23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710106B2 (ko) |
EP (1) | EP3046011B1 (ko) |
JP (1) | JP6847576B2 (ko) |
KR (1) | KR102308202B1 (ko) |
CN (1) | CN105718103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42496B2 (en) | 2015-09-07 | 2018-08-07 | Samsung Display Co., Ltd. |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0088953B2 (en) | 2015-10-22 | 2018-10-02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
US10402011B2 (en) | 2015-04-30 | 2019-09-03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207898A1 (ja) * | 2013-06-28 | 2014-12-31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制御方法 |
KR102350097B1 (ko) | 2015-04-30 | 2022-01-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
KR102320207B1 (ko) * | 2015-05-06 | 2021-11-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
KR102387390B1 (ko) | 2015-05-22 | 2022-04-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
KR101875181B1 (ko) * | 2016-09-12 | 2018-07-0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멀티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식 방법 |
KR102628247B1 (ko) * | 2016-09-20 | 2024-0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JP2018060404A (ja) * | 2016-10-06 | 2018-04-12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操作の補正方法 |
KR102612035B1 (ko) * | 2018-11-05 | 2023-12-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US20230393690A1 (en) | 2022-06-03 | 2023-12-07 | HiDeep, Inc. | Touch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9831A (ko) * | 2005-02-04 | 2006-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
KR20090095682A (ko) * | 2008-03-06 | 2009-09-10 | (주) 엘지텔레콤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077062A (ko) * | 2011-12-29 | 2013-07-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US20140176498A1 (en) * | 2012-12-21 | 2014-06-26 | Nlt Technologies, Ltd. | Touch sensor device, electronic apparatus, position calculation method, and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4635A (ja) * | 2001-02-20 | 2002-08-30 | Fujitsu General Ltd | 画像表示装置 |
KR100451745B1 (ko) | 2002-09-17 | 2004-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잔상 방지방법 |
KR100551052B1 (ko) | 2003-11-19 | 2006-02-0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플라즈마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플라즈마 표시 패널 |
WO2005109384A2 (en) | 2004-05-06 | 2005-11-17 | Thomson Licensing | Pixel shift display with minimal noise |
US7515766B2 (en) | 2004-09-22 | 2009-04-07 | Inte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edge handling in image processing |
KR20070010710A (ko) | 2005-07-19 | 2007-01-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동 픽셀이동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
JP5316901B2 (ja) | 2009-12-07 | 2013-10-16 | 山栄化学株式会社 |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1164202A (ja) | 2010-02-05 | 2011-08-25 | Sony Corp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
JP5589859B2 (ja) | 2011-01-14 | 2014-09-17 | ソニー株式会社 | 位置情報補正装置、タッチセンサ、位置情報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5707973B2 (ja) * | 2011-01-27 | 2015-04-3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回路、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KR101970542B1 (ko) * | 2011-08-11 | 2019-04-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JP2014052950A (ja) * | 2012-09-10 | 2014-03-20 | Sharp Corp | 情報端末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7261A patent/KR102308202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6-16 US US14/741,309 patent/US9710106B2/en active Active
- 2015-12-21 EP EP15201698.6A patent/EP3046011B1/en active Active
- 2015-12-22 CN CN201510970611.3A patent/CN105718103B/zh active Active
- 2015-12-22 JP JP2015249865A patent/JP6847576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9831A (ko) * | 2005-02-04 | 2006-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
KR20090095682A (ko) * | 2008-03-06 | 2009-09-10 | (주) 엘지텔레콤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30077062A (ko) * | 2011-12-29 | 2013-07-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US20140176498A1 (en) * | 2012-12-21 | 2014-06-26 | Nlt Technologies, Ltd. | Touch sensor device, electronic apparatus, position calculation method, and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02011B2 (en) | 2015-04-30 | 2019-09-03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10042496B2 (en) | 2015-09-07 | 2018-08-07 | Samsung Display Co., Ltd. |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0088953B2 (en) | 2015-10-22 | 2018-10-02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46011B1 (en) | 2022-09-14 |
EP3046011A2 (en) | 2016-07-20 |
JP6847576B2 (ja) | 2021-03-24 |
US9710106B2 (en) | 2017-07-18 |
KR102308202B1 (ko) | 2021-10-06 |
US20160179269A1 (en) | 2016-06-23 |
EP3046011A3 (en) | 2016-10-05 |
CN105718103B (zh) | 2020-07-21 |
CN105718103A (zh) | 2016-06-29 |
JP2016119102A (ja) | 2016-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8202B1 (ko)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
KR102355516B1 (ko) |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101395991B1 (ko) |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의 터치성능 향상방법 | |
US20160077617A1 (en) |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verting driving frequency of touch panel | |
CN108287675A (zh) | 多显示器系统及其驱动方法 | |
TWI497390B (zh) | 觸控顯示裝置及其電容値感測方法 | |
WO2019013222A1 (ja) | ペン座標とポインタの表示位置との間のズレを補正する方法 | |
US9134836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for decreasing pointer wobble | |
KR20160055651A (ko) | 영상왜곡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이를 포함하는 곡면형 표시장치 | |
JP2016119102A5 (ko) | ||
KR20140074561A (ko) | 터치 센싱 시스템의 에지부 좌표 보상 방법 | |
US11175874B2 (en) | Image display method | |
KR20190075656A (ko) | 터치방식 표시장치 | |
JP2015194983A (ja) | 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 |
KR20170029704A (ko) | 구동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0088953B2 (en) |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 |
US20130265255A1 (en) |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coordinates in a pen-based display device | |
KR102315890B1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
US20130265287A1 (en) |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coordinates in a penbased display device | |
KR20140124031A (ko) | 센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 |
KR102411703B1 (ko) | 영상 표시 시스템 | |
KR20110128485A (ko) | 포인팅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JP6505317B2 (ja) | 表示制御装置 | |
KR102020281B1 (ko) | 터치드라이버 및 그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
KR102380897B1 (ko) | 터치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