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581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1581A KR20160071581A KR1020140178704A KR20140178704A KR20160071581A KR 20160071581 A KR20160071581 A KR 20160071581A KR 1020140178704 A KR1020140178704 A KR 1020140178704A KR 20140178704 A KR20140178704 A KR 20140178704A KR 20160071581 A KR20160071581 A KR 201600715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hielding portion
- emitting region
- thickness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와, 적어도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부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정공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시키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 속도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전(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를 접힐 수 있는(foldable) 표시 장치 또는 말 수 있는(rollable)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편광 필름을 사용하나 약 100 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원편광 필름 때문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플렉서블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와, 적어도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부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을 약 0.2 % 이하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는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차광부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 및 상기 제2 차광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차광부에 함유된 상기 블랙 안료의 밀도는 상기 제2 차광부에 함유된 상기 블랙 안료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상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대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향 전극 상에,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와 적어도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부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의 광 투과율을 약 0.2 % 이하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광 투과율은 약 40 %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향 전극 상의 상기 비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차광 물질을 제1 두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발광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차광 물질을 현상(developing)하여 상기 발광 영역 상에 형성된 차광 물질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2 두께를 갖는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이며, 상기 제2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에 제5 두께로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차광부의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제4 두께로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이며, 상기 제4 두께와 상기 제5 두께의 합은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발광 영역에 제3 두께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상기 제1 차광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제3 두께로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광부보다 작은 밀도의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대향 전극 상에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외광 반사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파장에 따른 외광 반사율 및 중간층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파장에 따른 외광 반사율 및 중간층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된 기판(110), 기판(110)의 발광 영역(EA)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121a, 121b, 121c), 화소 전극(121a, 121b, 121c)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23a, 123b, 123c), 중간층(123a, 123b, 123c)을 덮도록 기판(110)의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125), 대향 전극(125) 상에 배치되며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141)와 적어도 발광 영역(E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차광부(141)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142)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베이스 기판(미도시)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등의 구동 소자들이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일 수 있으며, 베이스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기판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및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발광 영역(EA)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부화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EA)은 각각 적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은 반사층을 포함하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 상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은 ITO/Ag/ITO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의 양쪽 가장자리는 화소 정의막(122)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으며, 화소 정의막(122)은 발광 영역(EA)을 정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의 화소 정의막(122)에 의해 노출된 영역에는, 중간층(123a, 123b, 123c)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123a, 123b, 123c)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간층(123a, 123b, 123c)은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OLED)가 풀 컬러 유기 발광 소자(OLED)일 경우, 유기 발광층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에 따라 각각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층은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거나, 적색 발광 물질, 녹색 발광 물질 및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한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풀 컬러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125)은,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걸쳐 공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다.
대향 전극(125)은 가시광 영역에서 굴절률과 흡광 계수(extinction ratio)의 곱이 10 이하인 물질로, 흡수율이 작으면서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향 전극(125)은 은(Ag), 알루미늄(Al), 이터븀(Yb), 티타늄(Ti), 마그네슘(Mg), 니켈(Ni),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을 수 내지 수십 nm의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투과율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향 전극(125)을 반투과 전극으로 형성함으로써, 화소 전극(121a, 121b, 121c)과 대향 전극(125)은 미세 공진 구조(microcavity)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소 전극(121a, 121b, 121c)과 대향 전극(125)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123a, 123b, 123c)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는 화소 전극(121a, 121b, 121c)과 대향 전극(125) 사이를 왕복하며, 보강 간섭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파장의 광은 상기 왕복에 의해 증폭되어 대향 전극(125)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중간층(123a, 123b, 123c)은, 유기 발광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화소 전극(121a, 121b, 121c)과 대향 전극(12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진 거리 조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125)과 블랙 매트릭스(140)의 사이에는, 박막 봉지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 봉지층(130)의 전체 두께는 2 μm 내지 20 μm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의 전체 두께가 약 2 μm 미만인 경우, 박막 봉지층(130)이 효율적으로 밀봉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전체 두께가 약 20 μm 초과인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를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에 포함된 무기막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 등일 수 있다. 무기막은 외부의 수분 및/또는 산소 등이 중간층(123a, 123b, 123c)에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에 포함된 유기막은 고분자 유기 화합물일 수 있으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무기막의 내부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무기막의 결함을 보완하고 평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베이스 기판을 플렉서블 기판으로 구성하고, 봉지 수단으로 박막 봉지층(13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용이하게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13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140)는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141)와 발광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40)는 외광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광부(141)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0.2 % 이하일 수 있으며, 제2 차광부(142)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141)의 광 투과율이 약 0.2 %를 초과하는 경우, 외광 반사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즉, 제1 차광부(141)는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므로 광 투과율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부(142)의 광 투과율이 약 40 % 미만인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광 추출 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제2 차광부(142)는 발광 영역(EA)에 배치되므로, 중간층(123a, 123b, 123c)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2 차광부(142)를 지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광부(142)는 제1 차광부(141)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갖을 수 있으며, 상기 광 투과율은 약 40% 이상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차광부(142)의 광 투과율이 약 70%를 초과하는 경우, 발광 영역(EA)의 외광 반사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광부(141)와 상기 제2 차광부(14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물질, 예를 들면,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 투과율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 차광부(141)와 제2 차광부(142)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차광부(141)는 제1 두께(t1)를 갖으며, 제2 차광부(142)는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두께(t1)는 약 0.8 μm 이상이며, 제2 두께(t2)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일 수 있다.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차광부(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 0.2 %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두께(t2)는 갖는 제2 차광부(142)는 약 40 % 내지 약 70 %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차광부(141)와 제2 차광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차광부(141)와 제2 차광부(142) 사이에는 두께 차이로 인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141)와 제2 차광부(142)는 일 마스크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40) 상에는, 오버코트막(15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오버코트막(150) 상에는 윈도우(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일반적으로 외광 반사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편광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외광 반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된 기판(110)의 발광 영역(EA) 상에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의 양쪽 가장자리를 덮는 화소 정의막(12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은 반사층을 포함하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층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및 크롬(Cr)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층 상에는 인듐틴옥사이드(ITO: indium tin oxide), 인듐징크옥사이드(IZO: indium zinc oxide), 징크옥사이드(ZnO: zinc oxide), 인듐옥사이드(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옥사이드(IGO: indium galium oxide)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alumini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은 ITO/Ag/ITO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21a, 121b, 121c)은 각각의 부화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상기 화소 정의막(122)을 형성한 후, 화소 전극(121a, 121b, 121c) 상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123a, 123b, 123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123a, 123b, 123c)을 덮도록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 상에 대향 전극(125)을 형성하는 단계 및 대향 전극(125) 상에 박막 봉지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123a, 123b, 123c)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은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에 따라 각각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125)은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걸쳐 공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향 전극(125)은 은(Ag), 알루미늄(Al), 이터븀(Yb), 티타늄(Ti), 마그네슘(Mg), 니켈(Ni), 리튬(Li), 칼슘(Ca), 구리(Cu), LiF/Ca, LiF/Al, MgAg 및 CaAg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을 수 내지 수십 nm의 두께를 갖는 박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투과율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13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막은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은, 박막 봉지층(130) 상의 비발광 영역(NA) 및 발광 영역(EA)에 차광 물질(140')을 제1 두께(t1)로 형성하는 단계,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개구(H)를 포함하는 마스크(M)를 이용하여 비발광 영역(NA)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차광 물질(140')을 현상(developing)함으로써 발광 영역(EA) 상에 형성된 차광 물질(14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차광부(14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 상에 차광 물질(140')을 약 0.8 μm 이상의 제1 두께(t1)로 코팅한 후,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개구(H)를 포함하는 마스크(M)를 이용하여 비발광 영역(NA)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물질(140')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일 수 있으며, 광이 조사된 영역이 잘 용해되지 않는 물질로 경화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이 조사된 비발광 영역(NA)에 형성된 차광 물질(140')은 경화되어 현상(developing) 공정시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광이 조사되지 않은 발광 영역(EA)에 형성된 차광 물질(140')은 현상 공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현상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발광 영역(EA)에 약 0.1 μm 내지 0.5 μm의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차광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μm의 차광 물질(140')을 제거하는 데 걸리는 미리 알려진 현상 시간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차광 물질(140')의 두께에 대응되는 현상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해당 시간 동안만 현상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제2 차광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에 의해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차광부(1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광이 조사되어 현상이 되지 않은 영역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차광부(141)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141)와 제2 차광부(142)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140)를 형성한 후, 블랙 매트릭스(140) 상에 오버코트막(150, 도 1) 및 윈도우(160, 도 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는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된 기판(210), 기판(210)의 발광 영역(EA)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221a, 221b, 221c), 화소 전극(221a, 221b, 221c)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23a, 223b, 223c), 중간층(223a, 223b, 223c)을 덮도록 기판(210)의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225), 대향 전극(225) 상에 배치되며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241)와 적어도 발광 영역(E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차광부(241)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242)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240)를 포함한다.
상기 대향 전극(225)과 블랙 매트릭스(240)의 사이에는 박막 봉지층(2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221a, 221b, 221c)의 양쪽 가장자리는 화소 정의막(222)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23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2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240)는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241)와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 봉지층(230) 상의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제2 차광부(2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차광부(242) 상의 비발광 영역(NA)에 제1 차광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광부(241)와 상기 제2 차광부(24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물질, 예를 들면,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241)는 제4 두께(t4), 제2 차광부(242)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인 제5 두께(t5)를 갖을 수 있으며, 제4 두께(t4)와 제5 두께(t5)의 합은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즉, 박막 봉지층(230) 상의 비발광 영역(NA)에는 제2 차광부(242)와 제1 차광부(241)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영역(EA)에는 제2 차광부(242)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240)는 외광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차광부(241) 및 제2 차광부(242)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0.2 % 이하일 수 있으며, 제2 차광부(242)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의 제조 방법은, 박막 봉지층(230) 상에 블랙 매트릭스(2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블랙 매트릭스(240)를 형성하는 단계는,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제5 두께(t5)로 제2 차광부(24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차광부(242)의 비발광 영역(NA) 상에 제4 두께(t4)로 제1 차광부(24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두께(t5)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이며, 제4 두께(t4)와 상기 제5 두께(t5)의 합은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240) 상에는, 오버코트막(25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오버코트막(250) 상에는 윈도우(2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2)에 포함된 블랙 매트릭스(2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는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된 기판(310), 기판(310)의 발광 영역(EA)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321a, 321b, 321c), 화소 전극(321a, 321b, 321c)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23a, 323b, 323c), 중간층(323a, 323b, 323c)을 덮도록 기판(310)의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325), 대향 전극(325) 상에 배치되며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341)와 적어도 발광 영역(E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차광부(341)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342)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340)를 포함한다.
상기 대향 전극(325)과 블랙 매트릭스(340)의 사이에는 박막 봉지층(3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321a, 321b, 321c)의 양쪽 가장자리는 화소 정의막(322)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33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3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340)는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341)와 발광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341)와 제2 차광부(34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두께(t3)를 갖을 수 있으며, 상기 제3 두께(t3)는 약 0.8 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341)과 제2 차광부(342)는 각각 블랙 안료(340b)를 포함하는 수지(340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부(341)에 함유된 블랙 안료(340b)의 밀도는 제2 차광부(342)에 함유된 블랙 안료(340b)의 밀도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차광부(341)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을 약 0.2 % 이하이며, 제2 차광부(342)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즉, 수지(340a)에 포함된 블랙 안료(340b)의 밀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1 차광부(341)와 제2 차광부(342)의 투과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3)의 제조 방법은, 박막 봉지층(330) 상에 블랙 매트릭스(3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블랙 매트릭스(340)를 형성하는 단계는, 비발광 영역(NA)에 제3 두께(t3)로 제1 차광부(341)를 형성하는 단계 및 발광 영역(EA)에 제1 차광부(3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두께(t3)로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랙 안료(340b)의 밀도가 큰 물질로 제1 차광부(341)를 형성한 후, 제1 차광부(341)를 격벽으로 이용하여, 블랙 안료(340b)의 밀도가 작은 물질을 잉크젯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 제1 차광부(341)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채움으로써 제2 차광부(3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340) 상에는, 오버코트막(35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오버코트막(350) 상에는 윈도우(3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3)에 포함된 블랙 매트릭스(3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는 발광 영역(EA)과 비발광 영역(NA)으로 구획된 기판(410), 기판(410)의 발광 영역(EA)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421a, 421b, 421c), 화소 전극(421a, 421b, 421c)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423a, 423b, 423c), 중간층(423a, 423b, 423c)을 덮도록 기판(410)의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425), 대향 전극(425) 상에 배치되며 비발광 영역(N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441)와 적어도 발광 영역(E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차광부(441)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442)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440)를 포함한다. 상기 대향 전극(425)과 블랙 매트릭스(440)의 사이에는 박막 봉지층(4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421a, 421b, 421c)의 양쪽 가장자리는 화소 정의막(422)에 의해 덮여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는 기판(410)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4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440)는 밀봉 기판(470)의 기판(410)에 대향하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440)는 비발광 영역(NA)에 위치하는 제1 차광부(441)와 발광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차광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440)는 외광 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4)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광부(441)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0.2% 이하일 수 있으며, 제2 차광부(442)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광부(441)와 상기 제2 차광부(44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물질, 예를 들면,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 투과율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차광부(441)는 제1 두께(t1)를 갖으며, 제2 차광부(442)는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두께(t1)는 약 0.8 μm 이상이며, 제2 두께(t2)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일 수 있다.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차광부(4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 0.2 % 이하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두께(t2)는 갖는 제2 차광부(442)는 약 40 % 내지 약 70 %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의 제조 방법은, 기판(410)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470)을 배치한 후, 밀봉 기판(470)의 기판(410)에 대향하는 면 상에 블랙 매트릭스(440)를 형성하는 단계 및 기판(410)과 밀봉 기판(470)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440)는, 도 2c 및 도 2d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4)에 포함된 밀봉 기판(470) 및 블랙 매트릭스(4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파장에 따른 외광 반사율 및 중간층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파장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의 외광 반사율의 평균은 약 3.56 %이고, 중간층(123a, 123b, 123c)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투과율의 평균은 약 49.9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는 편광자 없이, 효율적으로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 투과율이 약 40 % 내지 약 50 %인 편광자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거나 높은 광 추출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 2, 3, 4)는,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고 발광 영역(EA) 및 비발광 영역(NA)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140, 240, 340, 440)을 구비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외광 반사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210, 310, 410: 기판
121, 221, 321, 421: 화소 전극 123, 223, 323, 423: 중간층
125, 225, 325, 425: 대향 전극 130, 230, 330, 430: 박막 봉지층
140, 240, 340, 440: 블랙 매트릭스 141, 241, 341, 441: 제1 차광부
142, 242, 342, 442: 제2 차광부 150, 250, 350: 오버코트막
160, 260, 360: 윈도우 470: 밀봉 기판
121, 221, 321, 421: 화소 전극 123, 223, 323, 423: 중간층
125, 225, 325, 425: 대향 전극 130, 230, 330, 430: 박막 봉지층
140, 240, 340, 440: 블랙 매트릭스 141, 241, 341, 441: 제1 차광부
142, 242, 342, 442: 제2 차광부 150, 250, 350: 오버코트막
160, 260, 360: 윈도우 470: 밀봉 기판
Claims (20)
-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상기 중간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 및
상기 대향 전극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와, 적어도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부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을 약 0.2 % 이하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약 40 % 내지 약 70 %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는 제1 두께를 갖고, 상기 제2 차광부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 및 상기 제2 차광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와 상기 제2 차광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두께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차광부에 함유된 상기 블랙 안료의 밀도는 상기 제2 차광부에 함유된 상기 블랙 안료의 밀도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발광 영역과 비발광 영역으로 구획된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상에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상에,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대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향 전극 상에,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차광부와 적어도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광부보다 큰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차광부를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의 광 투과율을 약 0.2 % 이하이며, 상기 제2 차광부의 광 투과율은 약 40 % 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향 전극 상의 상기 비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차광 물질을 제1 두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비발광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차광 물질을 현상(developing)하여 상기 발광 영역 상에 형성된 차광 물질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제2 두께를 갖는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이며, 상기 제2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비발광 영역에 제5 두께로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차광부의 상기 비발광 영역 상에 제4 두께로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두께는 약 0.1 μm 내지 약 0.5 μm이며, 상기 제4 두께와 상기 제5 두께의 합은 약 0.8 μm 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발광 영역에 제3 두께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영역에 상기 제1 차광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제3 두께로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상기 제1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광부보다 작은 밀도의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로 상기 제2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두께는 약 0.8 μm 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과 상기 밀봉 기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대향 전극 상에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704A KR20160071581A (ko) | 2014-12-11 | 2014-12-1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US14/691,343 US9502485B2 (en) | 2014-12-11 | 2015-04-20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light-blocking portions of black matrix with differing light transmittances |
US15/345,918 US9837638B2 (en) | 2014-12-11 | 2016-11-08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light-blocking portions of black matrix with differing light transmittan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704A KR20160071581A (ko) | 2014-12-11 | 2014-12-1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581A true KR20160071581A (ko) | 2016-06-22 |
Family
ID=5611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8704A Withdrawn KR20160071581A (ko) | 2014-12-11 | 2014-12-1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9502485B2 (ko) |
KR (1) | KR2016007158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80052B2 (en) | 2017-12-20 | 2020-06-0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005078B2 (en) | 2017-11-30 | 2021-05-1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1119592B2 (en) | 2018-02-05 | 2021-09-1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matrix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04676A (zh) * | 2015-09-22 | 2016-02-03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柔性有机电致发光器件的封装结构、柔性显示装置 |
EP3389004A4 (en) * | 2015-12-08 | 2018-12-26 | Konica Minolta, Inc. | Optical fingerprint authentication device |
CN205645818U (zh) * | 2016-05-18 | 2016-10-12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oled显示面板 |
CN106098735B (zh) * | 2016-06-20 | 2020-10-09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屏 |
CN106206970A (zh) * | 2016-08-31 | 2016-12-07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发光面板及其制备方法 |
KR102599536B1 (ko) | 2017-01-26 | 2023-11-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생체 센서를 갖는 전자 장치 |
KR102480091B1 (ko) | 2018-01-30 | 2022-12-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8336115A (zh) * | 2018-01-31 | 2018-07-27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一种显示器件以及显示装置 |
JP2019160632A (ja) * | 2018-03-14 | 2019-09-19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
CN108630732B (zh) * | 2018-04-25 | 2020-07-28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CN109192763A (zh) * | 2018-09-11 | 2019-01-11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装置 |
CN110071151B (zh) * | 2019-04-18 | 2022-01-25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装置 |
CN110289368B (zh) * | 2019-06-27 | 2021-10-22 |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显示设备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
JP7404878B2 (ja) * | 2020-01-09 | 2023-12-26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CN111769143B (zh) * | 2020-06-23 | 2022-09-09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
CN112635694A (zh) * | 2021-01-18 | 2021-04-09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显示面板 |
CN113036056B (zh) * | 2021-03-04 | 2023-08-2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显示装置和制作方法 |
CN113555518B (zh) * | 2021-07-26 | 2023-08-0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光学薄膜及显示器件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1915A (ja) * | 1998-10-14 | 2000-11-07 | Texas Instr Inc <Ti> | 半導体デバイス及びボンディング方法 |
US6586676B2 (en) * | 2000-05-15 | 2003-07-01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Plastic chip-scale package having integrated passive components |
US7075161B2 (en) * | 2003-10-23 | 2006-07-11 | Agilent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low capacitance artificial nanopore |
KR101061844B1 (ko) * | 2004-06-29 | 2011-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박막 표시판의 제조 방법 |
US7812523B2 (en) * | 2005-11-15 | 2010-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for improved common volt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KR100810635B1 (ko) | 2006-05-23 | 2008-03-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380435B1 (ko) | 2007-03-07 | 2014-04-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090008609A (ko) | 2007-07-18 | 2009-01-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외광 반사 저감을 위한 격벽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US7855153B2 (en) * | 2008-02-08 | 2010-12-21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JP2009198904A (ja) | 2008-02-22 | 2009-09-03 | Mitsubishi Chemicals Corp | 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
US8242687B2 (en) * | 2009-05-08 | 2012-08-14 | Panasonic Corporation | Organic EL display with a color filter having a black matri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EP2786427A4 (en) * | 2011-12-01 | 2016-08-17 | Quarkstar Llc | SOLID BODY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US9214501B2 (en) * | 2012-03-13 | 2015-12-15 | Mei, Inc. | In-cell OLED touch display panel structure |
JP5991490B2 (ja) * | 2013-03-22 | 2016-09-1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
KR102084715B1 (ko) * | 2013-06-18 | 2020-03-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184750B1 (ko) * | 2014-01-02 | 2020-12-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2014
- 2014-12-11 KR KR1020140178704A patent/KR2016007158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04-20 US US14/691,343 patent/US9502485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11-08 US US15/345,918 patent/US9837638B2/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05078B2 (en) | 2017-11-30 | 2021-05-1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0680052B2 (en) | 2017-12-20 | 2020-06-0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119592B2 (en) | 2018-02-05 | 2021-09-1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matrix |
US11747926B2 (en) | 2018-02-05 | 2023-09-0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with black matri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72426A1 (en) | 2016-06-16 |
US9502485B2 (en) | 2016-11-22 |
US9837638B2 (en) | 2017-12-05 |
US20170054108A1 (en) | 2017-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71581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11251404B2 (en) |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non-through-hole structure | |
KR102250043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719753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JP6035042B2 (ja) | 有機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596748B (zh) | 顯示裝置 | |
US8748875B2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
KR20140106868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CN105448954A (zh) | 包括灰色滤色器的显示装置 | |
US7119409B2 (en) | Organic el display | |
US9368747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35539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120139388A (ko) | 블랙 매트릭스 함유 nd 필름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150145834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16012038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3009318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84238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070121091A (ko) |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724870B1 (ko) |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20160039745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11832469B2 (en) | Displ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 |
KR102294952B1 (ko)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 |
CN115696961A (zh) | 显示装置 | |
JP2010044916A (ja) |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 |
US20240172532A1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