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5539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539B1
KR101135539B1 KR1020100020100A KR20100020100A KR101135539B1 KR 101135539 B1 KR101135539 B1 KR 101135539B1 KR 1020100020100 A KR1020100020100 A KR 1020100020100A KR 20100020100 A KR20100020100 A KR 20100020100A KR 101135539 B1 KR101135539 B1 KR 10113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emi
insulating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984A (ko
Inventor
이재일
안치욱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539B1/ko
Priority to US12/836,386 priority patent/US8716931B2/en
Publication of KR2011010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파인 메탈 마스크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본체, 상기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어 상기 기판 본체에 합착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 기판과 공진을 형성하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인 메탈마스크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정공 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을 갖는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정공 주입 전극으로부터 공급받은 정공과 전자 주입 전극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형성된 여기자(exciton)가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을 발생한다.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미세 공진(microcavity)이 이용되고 있다. 미세 공진은 빛이 설정된 간격(광로 길이, optical path length)만큼 떨어져 있는 반사층(예를 들면, 하부 전극층)과 반투과층(예를 들면, 상부 전극층)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반사되고, 이러한 빛들 사이에 강한 간섭 효과가 일어남으로써 특정 파장의 빛이 증폭되고 이외 파장의 빛이 상쇄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면에서 색재현성 및 휘도가 개선된다.
그러나 공진을 일으키는 반투과층(상부 전극층)과 반사층(하부 전극층)은 유효 길이의 차이를 가진다. 이 유효 길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적색 화소에는 적색 발광층과 적색 보조층이 구비되고, 녹색 화소에는 녹색 발광층과 녹색 보조층이 구비된다. 따라서 각 화소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한 색상의 화소만을 증착하기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가 사용된다. 적색 보조층과 녹색 보조층에 의하여,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 회수가 증가한다. 파인 메탈 마스크는 얼룩 불량 및 암점 등을 유발하여 수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 회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인 메탈 마스크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키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본체, 상기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어 상기 기판 본체에 합착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 기판과 공진을 형성하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봉지 기판의 내표면과 외표면 중 일면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봉지 기판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와, 상기 봉지 기판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은,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은,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xNy) 및 산질화 규소(SiOxNy)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적어도 다른 한 층은,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xNy) 및 산질화 규소(SiOxNy)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 기판에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구비하여 봉지 기판과 공진을 형성하므로 휘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공진 형성을 위한 적색 화소에 적색 보조층 및 녹색 화소에 녹색 보조층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특정 화소에만 증착하기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 회수가 줄어든다. 따라서 파인 메탈 마스크에 의한 수율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 단면구조를 가지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 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치도이고, 도2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기판 본체(111), 구동 회로부(DC), 유기 발광 소자(70), 봉지 기판(210) 및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버퍼층(120) 및 화소 정의막(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 본체(111)는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 본체(111)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기판 본체(111) 상에 배치된다. 또한, 버퍼층(120)은 다양한 무기막들 및 유기막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이 구동 회로부(DC)나 유기 발광 소자(7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버퍼층(12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기판 본체(111)의 종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부(DC)는 버퍼층(120) 상에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DC)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10, 20)를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70)를 구동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70)는 구동 회로부(DC)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구동 회로부(DC)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70)는 정공을 주입하는 애노드(anode) 전극인 제1 전극(710)과, 전자를 주입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인 제2 전극(730), 및 제1 전극(710)과 제2 전극(730)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720)을 포함한다. 즉,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유기 발광 소자(70)를 형성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전극(710)이 캐소드 전극이되고, 제2 전극(730)이 애노드 전극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전극(710)은 반사막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730)은 반투과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720)에서 발생된 빛은 제2 전극(730)을 통과해 방출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전면 발광형 구조를 갖는다.
반사막 및 반투과막은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및 알루미늄(Al) 중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반사막과 반투과막은 두께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반투과막은 200n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반투과막은 두께가 얇아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빛의 투과율이 낮아진다.
또한, 제1 전극(710)은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710)은 반사막과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710)의 투명 도전막은 반사막과 유기 발광층(7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전극(710)은 투명 도전막, 반사막, 그리고 투명 도전막이 차례로 적층된 3중막 구조(미도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투명 도전막은 상대적으로 높은 일함수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전극(710)이 투명 도전막을 갖게 되면, 제1 전극(710)을 통한 정공 주입이 원활해진다.
한편, 제2 전극(730)은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전극(730)이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경우, 제2 전극(730)은 정공을 주입하는 애노드 전극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710)은 반사막만으로 형성된 캐소드 전극이 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o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다중막(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이 다중막의 층들 중에 발광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720)이 다중막의 모든 층들을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제1 전극(710)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90)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91)를 갖는다.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1)는 제1 전극(710)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1) 내에서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이 차례로 적층된다. 여기서, 제2 전극(730)은 유기 발광층(720) 뿐만아니라 화소 정의막(190) 위에 더 형성된다. 한편, 유기 발광층(720) 중 발광층을 제외한 다른 층들은 화소 정의막(190)과 제2 전극(7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1) 내에 위치한 유기 발광층(720)에서 빛을 발생시킨다. 즉,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1)는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봉지 기판(2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절연성 기판이다. 봉지 기판(210)은 기판 본체(111)와 합착 밀봉되어 유기 발광 소자(70)를 덮는다. 이때, 봉지 기판(210)과 유기 발광 소자(70)는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봉지 기판(210)과 기판 본체(111) 사이의 공간은 실런트(미도시)를 통해 밀봉된다. 또한, 봉지 기판(210)과 유기 발광 소자(70)의 이격 공간에 공기층(300)이 설정된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봉지 기판(210)에 형성되어 봉지 기판(210)과 공진을 형성한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유기 발광 소자(70) 상에 배치되어 유기 발광층(720)에서 방출되는 빛의 추출 율을 높이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의 광효율을 향상시킨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유기 발광 소자(70)로 형성되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70R, 70G, 70B) 별로 구별하지 않고 봉지 기판(210)에 형성되어 공진을 형성한다. 따라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적색 화소(70R)와 녹색 화소(70G) 각각에 형성하던 종래의 적색 보조층과 녹색 보조층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즉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70R, 70G, 70B) 별 증착을 위한 파인 메탈 마스크의 사용 회수를 줄임으로써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봉지 기판(210)의 양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봉지 기판(210)에서 유기 발광 소자(70) 중 적색 화소(70R), 녹색 화소(70G) 및 청색 화소(70B)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화소들(70R, 70G, 70B)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자체 내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3은 도2 단면구조를 가지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은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들(70R, 70G, 70B) 각각에 대응하는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된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 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유기 발광층(70)에서 방출되는 빛 중, 일부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를 투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에 의하여 반사된다. 구체적으로, 빛은 공기층(300)과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의 계면 및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의 계면에서 반사된다.
실질적으로, 유기 발광층(70)에서 방출되는 빛은 제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30)에서 먼저 반사되어 공기층(300)으로 방출되고, 이어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에서 반사를 거듭하면서 증폭된다.
또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므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 내부에서도 반사를 거듭하면서 증폭될 수 있다. 즉 공기층(300)과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의 계면,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의 계면, 및 반투과 절연막 필터(50) 내의 층들 계면에서 반사를 거듭한다. 이러한 공진 효과를 통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빛을 효과적으로 증폭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이들의 계면에서 빛이 반사되므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은 서로 적절한 굴절률 차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맞닿는 공기층(300)은 저굴절 물질로 간주될 수 있다. 공기층(300)은 약 1의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 각각의 굴절률은 공기층(300)의 굴절률과 이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절연 물질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4,4'-비스[N-(3-메틸페닐)-N-페닐 아미노]비페닐(TPD),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 아미노]트리페닐아민(m-MTDATA), 1,3,5-트리스[N,N-비스(2-메틸페닐)-아미노]-벤젠(o-MTDAB), 1,3,5-트리스[N,N-비스(3-메틸페닐)-아미노]-벤젠(m-MTDAB), 1,3,5-트리스[N,N-비스(4-메틸페닐)-아미노]-벤젠(p-MTDAB), 4,4'-비스[N,N-비스(3-메틸페닐)-아미노]-디페닐메탄(BPPM), 4,4'-디카르바졸릴-1,1'-비페닐(CBP), 4,4',4''-트리스(N-카르바졸)트리페닐아민(TCTA), 2,2',2''-(1,3,5-벤젠톨릴)트리스-[1-페닐-1H-벤조이미다졸](TPBI), 및 3-(4-비페닐)-4-페닐-5-t-부틸페닐-1,2,4-트리아졸(TAZ)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xNy) 및 산질화 규소(SiOxNy)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50)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반투과 절연막 필터(50)가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적어도 다른 한 층이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xNy) 및 산질화 규소(SiOxNy)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구동 회로부(DC) 및 유기 발광 소자(7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하나의 화소마다 각각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및 축전 소자(80)가 구동 회로부(DC)를 형성한다. 그리고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이 형성된다.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70)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에서 유기 발광 소자(7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축전판(158)에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다른 한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에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의 제1 전극(7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7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70)가 발광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에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0)는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에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에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1)는 봉지 기판(210)의 외표면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1)에서, 제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30)에서 반사되어 공기층(300)으로 방출되는 빛은, 공기층(300)과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의 계면 및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와 봉지 기판(210)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공진 과정을 거치면서 증폭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2)에서, 제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30)에서 반사되어 공기층(300)으로 방출되고 빛은, 공기층(300)과 봉지 기판(210)의 계면, 봉지 기판(210)과 반투과 절연막 필터(51)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공진 과정을 거치면서 증폭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에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2)는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와, 봉지 기판(21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를 포함한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봉지 기판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는 유기 발광 소자(70)의 적색, 녹색, 청색 화소(70R, 70G, 70B)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는 적색, 녹색, 청색 화소(70R, 70G, 70B)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는 패턴을 가지는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에 비하여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반투과 절연막 필터(52)는 제1 실시예의 반투과 절연막 필터(50)에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의 구성을 더 추가하여 형성된다.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에서, 제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30)에서 반사되어 공기층(300)으로 방출되는 빛은, 공기층(300)과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의 계면,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와 봉지 기판(210)의 계면, 및 봉지 기판(210)과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공진 과정을 거치면서 증폭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적색, 녹색, 청색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3)에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2)는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에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21)를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하고, 외표면에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22)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4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4)에서 반투과 절연막 필터(53)는 봉지 기판(210)의 내표면에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외표면에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32)를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한다.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봉지 기판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제4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4)에서, 제1 전극(710) 또는 제2 전극(730)에서 반사되어 공기층(300)으로 방출되는 빛은, 공기층(300)과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531)의 계면, 반투과 절연막 필터(531)와 봉지 기판(210)의 계면, 및 봉지 기판(210)과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532)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공진 과정을 거치면서 증폭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1, 102, 103, 10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0, 51, 52, 53 : 반투과 절연막 필터
521, 531 :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
522, 532 :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
70 : 유기 발광 소자 70R, 70G, 70B : 적색, 녹색, 청색 화소
111 : 기판 본체 120 : 버퍼층
190 : 화소 정의막 191 : 개구부
210 : 봉지 기판 300 : 공기층
710, 730 : 제1, 제2 전극 720 : 유기 발광층
DC : 구동 회로부

Claims (12)

  1. 기판 본체;
    상기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어 상기 기판 본체에 합착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의 내표면과 외표면 중 일면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 기판과 공진을 형성하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기판 본체;
    상기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어 상기 기판 본체에 합착되는 봉지 기판; 및
    상기 봉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 기판과 공진을 형성하는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봉지 기판의 내표면에 형성되는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와
    상기 봉지 기판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은,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전체에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각각 대응하여 독립적인 패턴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투과 절연막은,
    내부에서 서로 공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 절연막 필터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며,
    적어도 다른 한 층은, 산화 규소(SiO2), 질화 규소(SixNy) 및 산질화 규소(SiOxNy) 중 하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00020100A 2010-03-05 2010-03-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3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00A KR101135539B1 (ko) 2010-03-05 2010-03-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2/836,386 US8716931B2 (en) 2010-03-05 2010-07-1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00A KR101135539B1 (ko) 2010-03-05 2010-03-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84A KR20110100984A (ko) 2011-09-15
KR101135539B1 true KR101135539B1 (ko) 2012-04-13

Family

ID=4453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00A KR101135539B1 (ko) 2010-03-05 2010-03-05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6931B2 (ko)
KR (1) KR101135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43B1 (ko) * 2009-12-14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263B1 (ko) * 2009-12-14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15332B1 (ko) 2012-03-06 2016-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US10832616B2 (en) 2012-03-06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W201340773A (zh) * 2012-03-16 2013-10-01 Au Optronics Corp 鏡面可切換有機發光顯示器及鏡面可切換顯示器
TW201436178A (zh) * 2013-02-13 2014-09-16 Sony Corp 受光發光裝置
CN104240608A (zh) * 2014-09-29 2014-12-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314467B1 (ko) * 2014-10-13 2021-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2276997B1 (ko) * 2014-10-13 2021-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204497234U (zh) * 2015-04-30 2015-07-22 北京京东方茶谷电子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采用该oled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11895855B2 (en) * 2019-08-29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0072A (ja) * 2000-02-18 2001-08-24 Denso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5174743A (ja) 2003-12-11 2005-06-30 Canon Inc 有機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20080018799A (ko) * 2006-08-24 2008-02-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KR100829750B1 (ko) 2006-12-06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453B (en) * 1999-09-17 2003-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US6911772B2 (en) * 2002-06-12 2005-06-2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having color filters for improving contrast
KR100691168B1 (ko) * 2003-02-27 2007-03-09 섬모픽스, 인코포레이티드 유전 장벽층 필름
KR101061853B1 (ko) 2003-08-29 201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표시판
JP4428979B2 (ja) * 2003-09-30 2010-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4475942B2 (ja) 2003-12-26 2010-06-09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39260B2 (ja) 2003-12-26 2010-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5197009A (ja) 2003-12-26 2005-07-21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005164B2 (ja) * 2004-03-03 2012-08-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発光素子,発光型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4695345B2 (ja) * 2004-05-18 2011-06-0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635575B1 (ko) 2004-11-17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 칼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9327A (ko) * 2004-11-27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광소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광소자 및 이를 적용한 화상 입력 및/또는 출력장치
JP4507964B2 (ja) 2005-04-15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7115626A (ja) 2005-10-24 2007-05-10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
US7508130B2 (en) * 2005-11-18 2009-03-24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US7417370B2 (en) * 2006-03-23 2008-08-26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JP2008027722A (ja) * 2006-07-21 2008-02-0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0072A (ja) * 2000-02-18 2001-08-24 Denso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5174743A (ja) 2003-12-11 2005-06-30 Canon Inc 有機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20080018799A (ko) * 2006-08-24 2008-02-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발광 디바이스
KR100829750B1 (ko) 2006-12-06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84A (ko) 2011-09-15
US20110215302A1 (en) 2011-09-08
US8716931B2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1287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7197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6813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0942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9429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353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6381878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8268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91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2239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8946686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with a multi-layered, resin-based planarization film
KR201100581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24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715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53284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10842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1681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4194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652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42435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9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756323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717969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