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306A -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1306A KR20160071306A KR1020150073563A KR20150073563A KR20160071306A KR 20160071306 A KR20160071306 A KR 20160071306A KR 1020150073563 A KR1020150073563 A KR 1020150073563A KR 20150073563 A KR20150073563 A KR 20150073563A KR 20160071306 A KR20160071306 A KR 201600713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me
- mdf
- medium density
- retardant
- plywo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0979 retar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114 Ammonium polyphosph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9826 ammonium poly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276 ammonium polyphosph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144992 flock Specie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57 flame retar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DXJRKWFNNFDSA-UHFFFAOYSA-N 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N(CC2=NNN=C21)CC(=O)N3CCN(CC3)C4=CN=C(N=C4)NCC5=CC(=CC=C5)OC(F)(F)F LDXJRKWFNNFD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PNSKYNPDTRPC-UHFFFAOYSA-N N-[2-oxo-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NIPNSKYNPDTR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8 bora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GBXLFKZBHKPEV-UHFFFAOYSA-N boric acid Chemical compound OB(O)O KGBXLFKZBHK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7 bo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28 sodium tetrabo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39 sodium tetrabo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방염성 접착제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일면에 무늬목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무늬목이 부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을 프레스의 열판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의 열판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무늬목을 접착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에 접착된 무늬목의 일면을 사포를 이용하여 다듬는 제4단계; 및 상기 다듬어진 무늬목의 일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제5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방염성능을 확보하고,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plywood to which a laminated wood is adhe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flame retarding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laminated board by firstly applying a flame resistant adhesive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 second step of attaching vignetting to one side of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to which the flame resistant adhesive is applied; Density medium fiberboard (MDF) or veneer sheet is placed between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the pressure and heat are applied to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and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 third step; A fourth step of sanding one side of the laminated wood bonded to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the plywood with sandpaper; And a fifth step of coating a paint on one side of the trimmed veneer to form a coated fil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 board or plywood to which a flock has been adhered, which has an effect of ensuring flame retardancy in the event of a fire and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oxic ga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마감재인 무늬목 사이에 방염처리를 함으로써, 방염성능의 향상 및 유독가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a plywood to which a laminated wood is adhe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Density fiber board (MDF) or a laminated board to which flame-retardant wood is adhered, which is capabl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oxic gases.
목재는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가옥 등의 건축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지만, 화재에 취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만약, 목재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목재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고열 및 유독가스 등에 의하여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Wood is a material that is widely used in buildings such as houses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but it has a fatal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fire. If a fire occurs in the wood, the wood may be damaged due to high temperature and toxic gas generated while burning the wood.
이러한 인명피해를 미리 예방하기 위하여 가급적 불에 잘 타지 않고 유독가스의 방출이 많지 않은 목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불이 닿더라도 쉽게 타지 않고, 설사 불이 붙어도 유독가스가 적게 발생하여, 연소가 확대되지 않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목재의 방염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personal injury, it is required to use wood which is not burned as much as possible and does not release toxic ga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satisfy such demands, it is not easy to burn even if it is exposed to fire, There has been developed a flame-retardant treatment technology for wood which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damage of human life without increasing combustion.
이러한 기술에는 멜라민수지 등을 포함하는 방염액을 목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기술이 있지만, 방염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This technique has a technique of applying a flame retardant containing melamine resin or the like to the surface of the wood, but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flame-proofing process, which results in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다른 방염처리 기술로서, 붕산 및 붕사 등을 포함하는 방염액을 목재에 함침시키는 기술이 있지만, 가압, 감압 및 함침 등의 공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전체 공정이 복잡하고, 방염처리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반복된 가압 및 감압 등으로 목재의 변형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As another flame retarding treatment technique, there is a technique of impregnating wood with a flame retardant containing boric acid, borax and the like, but the whole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the processes such as pressurization, decompression and impregnation are repeated, , There is a problem that deformation of the wood may be caused by repeated pressurization and decompression.
또 다른 방염처리 기술로서, 건축물의 실내 마감재료 중 두께가 6~12mm의 두꺼운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에 얇은 나무껍질인 무늬목 등을 접착제로 접착시키고, 상기 무늬목의 표면에 방염도료 등으로 여러 번 두껍게 도장하여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방염성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두껍게 도장된 방염도료 내의 유성도료 성분 및 접착제 등에서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인명피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As another flame retardant treatment technique, a thick medium-density fiberboard or plywood having a thickness of 6 to 12 mm among the indoor finishing materials of a building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wood with a flame-retardant paint or the like several times There is a technology for realizing flame-retardant performance by forming a coating film by coating.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oxic gas is generated in the oil-based paint component and the adhesive agent in the fire-retardant paint which is thickly painted when a fire occurs,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personal injury.
이에, 본 발명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화재 발생 시 방염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flame-retardant treatment method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to which flame retardant gypsum can be adhered, which can ensure flame retardancy at low cost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toxic ga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마감재인 무늬목 사이에 1차 방염처리를 하고, 표면마감 부분에 일반 도료를 도포하거나 2차 방염처리를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의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향상된 방염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ating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Density fiber board (MDF) or a laminated board to which flame-retardant glued laminate is applied, which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toxic gases and ensure an improved flame-retardant performance by performing flame retardant treat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일면에 무늬목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무늬목이 부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을 프레스의 열판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의 열판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무늬목을 접착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에 접착된 무늬목의 일면을 사포를 이용하여 다듬는 제4단계; 및 상기 다듬어진 무늬목의 일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제5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comprising the steps of: applying a flame resistant adhesive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 second step of attaching vignetting to one side of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Density medium fiberboard (MDF) or veneer sheet is placed between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the pressure and heat are applied to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and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 third step; A fourth step of sanding one side of the laminated wood bonded to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the plywood with sandpaper; And a fifth step of coating a paint on one side of the trimmed veneer to form a coated film;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방염성 접착제는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 약 70~85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 약 15~30중량%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늬목의 두께는 약 0.10~0.14mm이면, 상기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은 약 120~180g/㎡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ame-retardant adhesive preferably includes about 70 to about 85% by weight of the emulsion polyacrylic resin and about 15 to about 30% by weight of the ammonium polyphosphate.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is about 0.10 to 0.14 mm, The coating amount is preferably about 120 to 180 g / m 2.
또한, 상기 도료는 일반 투명 도료,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material is a general clear coating material, a UV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or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이때, 상기 일반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2~0.04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UV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2~0.04mm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general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about 0.02 to 0.04 mm,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UV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about 0.05 to 0.08 mm,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about 0.02 to 0.04 mm.
한편, 상기 무늬목의 두께는 약 0.15~0.60mm이면, 상기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은 약 240~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is about 0.15 to 0.60 mm,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flame-resistant adhesive is preferably about 240 to 300 g / m 2.
이때, 상기 도료는 방염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ating material is preferably a flame retardant UV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or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여기서, 상기 방염 UV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4~0.06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UV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0.04 to 0.06 mm, and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flame-retardant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0.05 to 0.08 mm.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마감재인 무늬목 사이에 1차 방염처리를 하고, 무늬목이 있는 표면마감 부분에 일반 도료를 도포하거나 2차 방염처리를 추가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방염성능을 확보하고,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ame retardant treatment is carried out between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a laminated board and a wood paneling as a finishing material, and a general paint is applied to a surface finish with vignetting, By adding the treatment,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in the event of fire, an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toxic ga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블록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방염처리된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to which a laminated wood is adh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laminated with flame retarded woo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 등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과 마감재인 무늬목 사이에 방염처리 단계 등을 포함하는 방염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including a flame retarding treatment step between a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or a laminated board and a laminate as a finishing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the flame retardancy of a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블록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방염처리된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의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a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or plywood to which a laminated wood is adhe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 등의 방염처리 방법은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과 마감재인 나무껍질 등의 무늬목(30) 사이에 방염성능이 함유된 방염성 접착제(20)를 이용하여 1차 방염처리 및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을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에 부착하고, 상기 무늬목(30)의 타면에 도막(40)을 형성하는 마감 부분에 일반적인 투명 도료 또는 UV 도료 등을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방염 투명 도료 등을 도포하여 2차 방염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the MDF or the plywood with the laminated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a laminat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 등의 방염처리 방법은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20)를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방염성 접착제(20)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무늬목(30)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무늬목(30)이 부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을 프레스의 열판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의 열판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과 무늬목(30)을 접착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에 접착된 무늬목(30)의 일면을 사포를 이용하여 다듬는 제4단계; 및 상기 다듬어진 무늬목의 일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40)을 형성하는 제5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the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such as the MDF or the plywood to which the laminated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step;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상기 제1단계에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도포되는 방염성능이 함유된 상기 방염성 접착제(20)는 전체 방염성 접착제(20) 중량에 대하여,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 약 70~85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 약 15~30중량%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는 약 75중량%이고, 상기 암모늄 폴리인산염은 약 2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step, the flame-
또한, 상기 방염성 접착제(20)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무늬목(30)의 두께는 비교적 얇은 약 0.10~0.14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과 무늬목(30) 사이에 롤라 또는 분무방식 등으로 도포되는 방염성 접착제(20)의 도포량은 약 120~18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늬목(30)의 두께가 약 0.10mm 미만일 경우, 무늬목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한편, 상기 제5단계에서 무늬목(30)의 일면에 도막(40)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도료는 일반 투명 도료,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일반 투명 도료는 약 1회 내지 2회 도포, 상기 UV 투명 도료는 약 2회 내지 3회 도포 및 상기 방염 투명 도료는 약 1회 내지 2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the fifth step, the paint applied to form the
특히,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일반 투명 도료일 경우, 상기 일반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2~0.04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UV 투명 도료일 경우, 상기 UV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방염 투명 도료일 경우,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2~0.0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when the paint applied to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방염성 접착제(20)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무늬목(30)의 두께는 비교적 두꺼운 약 0.15~0.60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과 무늬목(30) 사이에 롤라 또는 분무방식 등으로 약 2회 도포되는 방염성 접착제(20)의 도포량은 약 240~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이 경우, 상기 제5단계에서 무늬목(30)의 일면에 도막(40)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도료는 방염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 등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2회 내지 3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the fifth step,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form the
특히,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방염 UV 투명 도료일 경우, 상기 방염 UV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4~0.06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늬목(30)의 일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방염 투명 도료일 경우,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 두께는 약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when the coating applied to one side of the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방염처리 방법을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방염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방염시험을 하였다.
Flame-proofing tes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flame retardancy of the examples to which the flame-retarding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초)
기준: 5초
이내Brine Time
(second)
By: 5 seconds
Within
(초)
기준: 30초
이내Burst time
(second)
By: 30 seconds
Within
(㎝)
기준: 20㎝
이내Carbonization length
(Cm)
Standard: 20 cm
Within
(㎠)
기준: 50㎠
이내Carbonized area
(㎠)
Standard: 50㎠
Within
(DS)
기준: 400DS
이내Smoke density
(DS)
By: 400DS
Within
상기 표 1은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라 방염 처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길이, 탄화면적 및 연기밀도를 비교한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comparing the time of decay, the length of decay, the length of carbonization, the area of carbonization, and the smoke density of flame retardant treated and comparative flame retar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일반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More specifically, in Examples 1 to 3 of Table 1,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20 g / m 2, the laminated wood of about 0.12 mm thick was adhered and adhered, A general transparent paint was applied on one side of the vignette with a thickness of about 0.03 mm.
또한,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Examples 4 to 6, a flame resist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20 g / m 2, and then a laminated wood of about 0.12 mm in thickness was adhered and adhered. Then, A transparent paint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실시예 7 내지 9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Examples 7 to 9,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20 g / m 2, a laminate of about 0.12 mm thick was adhered and adhered, A transparent paint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한편, 상기 비교예 1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일반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00 g / m 2, followed by adhering and adhering a veneer of about 0.12 mm in thickness.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또한, 상기 비교예 2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2, a flame resist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100 g / m 2, a laminated wood of about 0.12 mm in thickness was adhered and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비교예 3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1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3,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100 g / m 2, a laminated wood of about 0.12 mm thick was adhered and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또한, 상기 비교예 4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일반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4, a flame resist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00 g / m 2, and then a laminated wood of about 0.12 mm in thickness was adhered and adhered. Next,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또한, 상기 비교예 5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5,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00 g / m 2, followed by adhering and bonding a veneer of about 0.12 mm in thickness.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비교예 6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0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6,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00 g / m 2, and then a lamin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2 mm was adhered and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한편,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성능은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 제2항을 만족하여야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잔염시간 5초 이내, 잔신시간 30초 이내, 탄화길이 20㎝ 이내, 탄화면적 50㎠ 이내 및 연기밀도 400DS 이내를 만족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edium density fiber board or plywood should satisfy
여기서, 상기 잔염시간은 실시예를 버너의 불꽃에 2분간 노출시킨 후, 상기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시간으로부터 실시예의 연소가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상기 잔신시간은 실시예를 버너의 불꽃에 2분간 노출시킨 후, 상기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시간으로부터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이다. 상기 탄화길이는 잔염시간 및 잔신시간의 측정이 종료된 후, 실시예의 탄화된 길이이고, 상기 탄화면적은 실시예의 탄화된 면적이고, 상기 연기밀도는 실시예에서 발생된 연기의 광학적 밀도이다. Here, the above-mentioned flushing time is a time from the time when the flame is removed from the burner to the end of the burning of the embodiment after the embodiment is exposed to the flame of the burner for 2 minutes. The residence time is the time from when the flame is removed from the burner to the time when the smoke generated in the embodiment is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embodiment is exposed to the flame of the burner for 2 minutes. The carbonization length is the carbonized length of the example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residual salt time and the residual time, and the carbonation area is the carbonized area of the embodiment, and the smoke density is the optical density of the smoke generated in the embodiment.
시험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모두 잔염시간과 잔신시간은 0초이므로, 5초 이내여야 하는 잔염시간과 30초 이내여야 하는 잔신시간을 만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20cm 이내여야 하는 탄화길이, 50㎠ 이내여야 하는 탄화면적 및 400DS 이내여야 하는 연기밀도를 모두 만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n all of Examples 1 to 9, since the residual salt time and the decay time were 0 seconds, the residual decay time which should be within 5 seconds and the decay time which should be within 30 seconds were satisfied, And the smoke density should be within 400DS.
그러나,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은 무늬목의 두께이 비하여, 도포된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적어, 상기 방염성 접착제가 무늬목 내부에 충분히 침투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방염 성능의 미달로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탄화길이, 탄화면적 또는 연기밀도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applied amount of the flame-retardant adhesive was too small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and the flame-retardant adhesive did not sufficiently penetrate into the laminated w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ization length, carbonization area or smoke density did not satisfy the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비교예 4 내지 6의 경우, 지나치게 많아진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에 의해 상대적으로 방염제의 양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방염성 접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무늬목이 중밀도 섬유판(MDF)에서 분리되어, 방염성능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4 to 6, since the amount of the flame retardant agent was relatively increased due to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flame-retardant adhesive agent which was excessively increased, the adhesiveness of the overall flame-retardant adhesive agent was deteriorated and the lamellar wood was separated from the MDF ,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test could not be carried out.
(초)
기준: 5초
이내Brine Time
(second)
By: 5 seconds
Within
(초)
기준: 30초
이내Burst time
(second)
By: 30 seconds
Within
(㎝)
기준: 20㎝
이내Carbonization length
(Cm)
Standard: 20 cm
Within
(㎠)
기준: 50㎠
이내Carbonized area
(㎠)
Standard: 50㎠
Within
(DS)
기준: 400DS
이내Smoke density
(DS)
By: 400DS
Within
상기 표 2는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라 방염 처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길이, 탄화면적 및 연기밀도를 비교한 표이다. Table 2 is a table comparing flame retardancy, burning time, carbonization length, carbonization area and smoke density of flame retardant treated and comparative example, which includes a leafl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3 mm.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2의 실시예 10 내지 12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4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More specifically, in Examples 10 to 12 of Table 2,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40 g / m 2, the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thick was adhered, A one-sided flame-retardant UV clear coating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실시예 13 내지 15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4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Examples 13 to 15,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40 g / m 2, a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in thickness was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한편, 상기 비교예 7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7, a flame resist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20 g / m 2, a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in thickness was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비교예 8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2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8,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220 g / m 2, and then a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in thickness was adhered. 0.06 mm thick.
또한, 상기 비교예 9는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3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UV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9,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320 g / m 2, the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in thickness was adhered, To a thickness of about 0.06 mm.
또한, 상기 비교예 10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방염성 접착제를 약 3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3mm 두께의 무늬목을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6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10, a flame-retardant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ating amount of about 320 g / m 2, a laminated wood of about 0.3 mm in thickness was adhered, 0.06 mm thick.
시험 결과, 상기 실시예 10 내지 15 모두 잔염시간과 잔신시간은 0초이므로, 5초 이내여야 하는 잔염시간과 30초 이내여야 하는 잔신시간을 만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20cm 이내여야 하는 탄화길이, 50㎠ 이내여야 하는 탄화면적 및 400DS 이내여야 하는 연기밀도를 모두 만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since the decay time and the decay time were 0 seconds in all of Examples 10 to 15, the decay time required to be within 5 seconds and the decay time to be within 30 seconds were satisfied. And the smoke density should be within 400DS.
또한, 상기 비교예 7 및 8은 무늬목의 두께이 비하여, 도포된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이 지나치게 적어, 상기 방염성 접착제가 무늬목 내부에 충분히 침투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방염 성능의 미달로 상기 비교예 7 및 8의 탄화길이, 탄화면적 및 연기밀도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since the applied amount of the flame-retardant adhesive was too small as compared with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the flame-retardant adhesive did not penetrate sufficiently into the laminated woo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bonization length, carbonization area and smoke density did not satisfy the reference values.
또한, 상기 비교예 9 및 10의 경우, 지나치게 많아진 방염성 접착제의 도포량에 의해 상대적으로 방염제의 양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방염성 접착제의 접착성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무늬목이 중밀도 섬유판(MDF)에서 분리되어, 방염성능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9 and 10, since the amount of the flame retardant agent was relatively increased due to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flame-retardant adhesive agent, which was excessively increased, the adhesiveness of the overall flame-retardant adhesive agent was deteriorated and the lamellar wood was separated from the MDF ,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test could not be carried out.
(초)
기준: 5초
이내Brine Time
(second)
By: 5 seconds
Within
(초)
기준: 30초
이내Burst time
(second)
By: 30 seconds
Within
(㎝)
기준: 20㎝
이내Carbonization length
(Cm)
Standard: 20 cm
Within
(㎠)
기준: 50㎠
이내Carbonized area
(㎠)
Standard: 50㎠
Within
(DS)
기준: 400DS
이내Smoke density
(DS)
By: 400DS
Within
여부compatibility
Whether
상기 표 3은 본원발명에 따른 폴리아크릴 수지의 함량과 암모늄 폴리인산염의 함량이 적용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길이, 탄화면적 및 연기밀도를 비교한 표이다. Table 3 is a table comparing the residual salt time, residual time, carbonization length, carbonization area and smoke density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o which the contents of the polyacrylic resin and the ammonium polyphosph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applied.
상기 실시예 16 내지 18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 약 75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 약 25중량%를 포함하는 방염성 접착제를 약 1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In Examples 16 to 18, a flame-retardant adhesive containing about 75% by weight of emulsion polyacrylic resin and about 25% by weight of ammonium polyphosphat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20 g / mm thick veneer was adhered and adhered, and then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veneer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한편, 상기 비교예 11 내지 13은 중밀도 섬유판(MDF)의 일면에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 약 87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 약 13중량%를 포함하는 방염성 접착제를 약 120g/㎡의 도포량으로 도포 후, 약 0.12mm 두께의 무늬목을 부착 및 접착한 다음, 상기 무늬목의 일면에 방염 투명 도료를 약 0.03mm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1 to 13, a flame-retardant adhesive containing about 87% by weight of emulsion polyacrylic resin and about 13% by weight of ammonium polyphosphate was coated on one sid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t a coverage of about 120 g / A vene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12 mm was adhered and adhered, and then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was applied on one side of the veneer to a thickness of about 0.03 mm.
시험결과 상기 실시예 16 내지 18 모두 잔염시간과 잔신시간은 0초이므로, 5초 이내여야 하는 잔염시간과 30초 이내여야 하는 잔신시간을 만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20cm 이내여야 하는 탄화길이, 50㎠ 이내여야 하는 탄화면적 및 400DS 이내여야 하는 연기밀도를 모두 만족하였으므로, 상기 실시예 16 내지 18은 모두 방염성능에 있어서 적합 판정을 받았다. As a result of the test, all of the decontamination time and the decontamination time were 0 seconds, so that the decontamination time within 5 seconds and the decontamination time within 30 seconds were satisfied, and the carbonization length within 20 cm, within 50 cm 2 And the smoke density that should be within 400 DS, all of Examples 16 to 18 were judged to be flammable.
그러나 상기 비교예 11 내지 13은 50㎠ 이내여야 하는 탄화면적의 기준을 초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비교예 12 및 13은 400DS 이내여야 하는 연기밀도의 기준도 초과하여, 상기 비교예 11 내지 13은 모두 방염성능에 있어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However, the Comparative Examples 11 to 13 exceeded the criterion of the carbonization area that should be within 50 cm 2,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12 and 13 exceeded the smoke density criterion which should be within 400 DS, It was judged that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was inappropriate.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 :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
20 : 방염성 접착제
30 : 무늬목
40 : 도막10: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20: Flame retardant adhesive
30: Wood veneer
40:
Claims (14)
상기 방염성 접착제(20)가 도포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의 일면에 무늬목(30)을 부착하는 제2단계;
상기 무늬목(30)이 부착된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을 프레스의 열판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의 열판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과 무늬목(30)을 접착하고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중밀도 섬유판(MDF) 또는 합판(10)에 접착된 무늬목(30)의 일면을 사포를 이용하여 다듬는 제4단계; 및
상기 다듬어진 무늬목(30)의 일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40)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A first step of applying a flame resistant adhesive 20 to one surface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10;
A second step of attaching the vignetting 30 to one side of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the plywood 10 to which the flame resistant adhesive 20 is applied;
Density medium fiberboard (MDF) or plywood (10) is placed between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and the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heat plates of the press, 10 and the vignetting 30 and drying the same;
A fourth step of sanding one side of the laminated wood 30 adhered to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or plywood 10 using sandpaper; And
And a fifth step of applying a paint to one side of the trimmed veneer 30 to form a coated film 40. The flame retarding treatment method of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plywood bonded with a veneer.
상기 방염성 접착제(20)는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 70~85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 15~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me retardant adhesive (20) comprises 70 to 85% by weight of an emulsion polyacrylic resin and 15 to 30% by weight of an ammonium polyphosphate.
상기 에멀젼 폴리아크릴 수지는 75중량% 및 암모늄 폴리인산염은 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mulsion polyacrylic resin is 75% by weight and the ammonium polyphosphate is 25% by weight.
상기 무늬목(30)의 두께는 0.10~0.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30) is 0.10 to 0.14 mm.
상기 방염성 접착제(20)의 도포량은 120~18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lame-retardant adhesive (20) is applied in an amount of 120 to 180 g / m 2.
상기 도료는 일반 투명 도료,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int is a general clear paint, a UV transparent paint or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상기 일반 투명 도료의 도막(40) 두께는 0.02~0.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40) of the general transparent paint is 0.02 to 0.04 mm.
상기 UV 투명 도료의 도막(40) 두께는 0.05~0.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40) of the UV transparent paint is 0.05 to 0.08 mm.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40) 두께는 0.02~0.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40) of the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is 0.02 to 0.04 mm.
상기 무늬목(30)의 두께는 0.15~0.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wood (30) is 0.15 to 0.60 mm.
상기 방염성 접착제(20)의 도포량은 240~3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flame retardant adhesive (20) is applied in an amount of 240 to 300 g / m < 2 >.
상기 도료는 방염 UV 투명 도료 또는 방염 투명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aint is a flame retardant UV transparent paint or a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상기 방염 UV 투명 도료의 도막(40) 두께는 0.04~0.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40) of the flame retardant UV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s 0.04 to 0.06 mm.
상기 방염 투명 도료의 도막(40) 두께는 0.05~0.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목이 접착된 중밀도 섬유판 또는 합판의 방염처리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40) of the flame-retardant transparent paint is 0.05 to 0.08 m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563A KR20160071306A (en) | 2015-05-27 | 2015-05-27 |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563A KR20160071306A (en) | 2015-05-27 | 2015-05-27 |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306A true KR20160071306A (en) | 2016-06-21 |
Family
ID=5635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3563A Ceased KR20160071306A (en) | 2015-05-27 | 2015-05-27 |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71306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801Y1 (en) | 2005-07-18 | 2005-10-18 |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 Incombustible plywood |
KR101337594B1 (en) | 2011-05-19 | 2013-12-10 | 정재항 | The Loess board with dual layers coat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5
- 2015-05-27 KR KR1020150073563A patent/KR20160071306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801Y1 (en) | 2005-07-18 | 2005-10-18 |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 Incombustible plywood |
KR101337594B1 (en) | 2011-05-19 | 2013-12-10 | 정재항 | The Loess board with dual layers coat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2453B1 (en) | Flame retardant composition soluble in water | |
JP3965635B1 (en) | Makeup incombustible material | |
KR101751326B1 (en) | The effectiv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board | |
EP3950326A1 (en) | Transparent resin film,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material | |
KR20170000677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flammable board printed interior pattern and nonflammable board manufactured therefrom | |
KR101706226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ire prevention panel | |
JP3840615B1 (en) | Makeup incombustible material | |
KR101723600B1 (en) | Flame retardant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1873089A (en) | Novel flame-retardant antibacterial high-strength environment-friendly composite board and preparation process and application thereof | |
AT515811B1 (en) | Composite element with a top layer of veneer | |
KR20160071306A (en) | The method of flameproof process for a medium density fiberboard or a plywood with sliced veneer | |
CN203726945U (en) | Sheet material | |
KR20190084214A (en) | Flammable thin film construction metal material with built-in material attached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it | |
US10220934B2 (en) | Fire-resistant aviation laminate | |
JP6794278B2 (en) | Coating bas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20190061321A1 (en) | Fire Resistant Coatings for Wood Veneer Panels | |
KR20170068887A (en) | Fir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for wood blind and wood blind coated it | |
KR102269680B1 (en) | Honeycomb board manufactured by using the a coating composition for improving strength of the honeycomb boar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pannel with the same | |
KR100599842B1 (en) | Fire Retardant Sheet Paper Manufacturing Method | |
KR101337594B1 (en) | The Loess board with dual layers coate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70006094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ire prevention panel | |
JP4446071B2 (en) | Production method of noncombustible wood | |
JP6759559B2 (en) | Non-combustible decorative board | |
KR2022003670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urnitur panel with flame retardancy function and funiture panel with flame retardancy function | |
KR20210002614U (en) | Interior finishing material with aridity and humidity and flame-retardanc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6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