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64838A -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 Google Patents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838A
KR20160064838A KR1020140169024A KR20140169024A KR20160064838A KR 20160064838 A KR20160064838 A KR 20160064838A KR 1020140169024 A KR1020140169024 A KR 1020140169024A KR 20140169024 A KR20140169024 A KR 20140169024A KR 20160064838 A KR20160064838 A KR 2016006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tubular
tubular ceramic
ceramic membrane
purific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858B1 (ko
Inventor
천승호
김명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칸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칸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칸세라
Priority to KR102014016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8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8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5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넓은 pH 범위, 고온 공정, 고농도 및 고점도의 축산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큰 단면적과 분리막을 설치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MATHOD FOR MANUFACTURING PLAT PLATE TYPE CERAMIC MEMBRANE TO PURIFY HIGHLY CONCENTRATED LIVESTOCK WASTE WATER AND PLAT PLATE TYPE CERAMIC MEMBRANE THEREFROM}
본 발명은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넓은 pH 범위, 고온 공정, 고농도 및 고점도의 축산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큰 단면적과 분리막을 설치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폐수는 생활하수가 가지고 있는 오염물질 보다 수백 배 내지 많게는 수만 배를 넘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축산폐수에 함유된 고형물, 유기물질 및 질소 농도는 수처리 공정의 효율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시설의 유지관리 및 보수에 많은 어려움을 준다.
축산폐수에 함유된 고형물은 전체 오염물질 부하의 약 80% 내지 85%를 차지하고 있어 축산폐수를 고형물과 액상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 공정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축산폐수 처리시스템은 고농도 폐수를 고형물과 액상물로 분리하기 위하여 이를 응집한 후 원심분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고액분리된 액상물 내 부유오염 물질이 수천 ppm에 이를 정도로 효율이 낮으며 분리된 고형물의 함수율도 약 80%로서 이를 퇴비의 원료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질의 경우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메탄으로 전환하는 혐기소화 공정이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부유 고형물이 많은 폐수의 경우, 혐기조의 유지관리 면에서 기계적 고장, 배관 및 펌프 막힘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또한 축산폐수는 일반적으로 수천 ppm의 높은 암모니아성 질소가 함유되어 있다. 이렇게 고농도로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높은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는 질소 제거 미생물의 활동 자체에 저해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폐수를 희석함으로써 농도를 낮추는 방법과 물리화학적 탈질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물을 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분리막 재질들은 PS, PES, PVDF 등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 고분자 분리막들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들은 일반적인 정수공정, 해수담수화 공정, 초순수 생산 공정, 하수처리공정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분리막 기술은 현재 위와 같은 공정과 같은 일반화된 공정 외에 정밀화학 공정, 축산폐수처리공정, 산업폐수 처리공정, 식품 정제공정, 제약 정제공정, 바이오가스발전 공정 등에 분리, 정제 및 농축 분야에 다양하게 막을 이용할 수 있는 농축 기술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농축 기술의 적용이 요구되는 분야, 특히 축산폐수에서는 넓은 pH 범위, 고온 공정, 고농도 및 고점도 시료 특성들에 의해 기존의 폴리머 재질의 경우 마모 문제, 내화학성, 내열성이 약하여 사용의 한계가 있어 그 적용에 한계점이 있고, 고농도 시료의 농축을 위한 소재의 다변화가 긴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분리막은 구조에 있어 평관형(도 5 참조), 튜브형(도 6 참조)이 대부분인데, 이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단면적이 적고 장치의 부피가 매우 큰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580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14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넓은 pH 범위, 고온 공정, 고농도 및 고점도의 축산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큰 단면적과 분리막을 설치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S10)와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코팅할 코팅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제1단계에서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에 제2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해 Dip 코팅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3단계(S30)와 제3단계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S40)와 제4단계에서 건조된 분리막을 소성시켜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세라믹 지지체를 구성하는 원료를 혼합하는 제1공정(S11)과 제1공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혼련하는 제2공정(S12)과, 제2공정에서 혼련된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평관형의 압출체를 제조하는 제3공정(S13)와 제3공정에서 압출된 압출체를 건조시키는 제4공정(S14)과 제4공정에서 건조된 압출체를 소성시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5공정(S1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공정(S11)의 원료는 Al2O3, SiO2, clay 및 M/C 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계(S20)의 상기 코팅액은, Al2O3, M/C binder, 증류수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막을 대기 분위기 상태인 소성로에서 1,250℃의 온도로 2시간 정도 소성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은 평관 형상이되, 평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긴 동공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마모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넓은 pH 범위, 고온 공정, 고농도 및 고점도의 축산폐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큰 단면적과 분리막을 설치하는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평관형 폴리머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튜브형 세라믹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공정도인 도 1을 참조하면,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S10)와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코팅할 코팅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제1단계에서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에 제2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해 Dip 코팅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3단계(S30)와 제3단계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S40)와 제4단계에서 건조된 분리막을 소성시켜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중 제1단계(S10)는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지지체를 제조하는 공정도인 도 2로부터 제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평관형"이라 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인 도 3과 도 3을 확대한 사진인 도 4를 참조하면, 편평한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먼저, 세라믹 지지체를 구성하는 원료를 혼합하는 제1공정(S11)과 제1공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혼련하는 제2공정(S12)과, 제2공정에서 혼련된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평관형의 압출체를 제조하는 제3공정(S13)와 제3공정에서 압출된 압출체를 건조시키는 제4공정(S14)과 제4공정에서 건조된 압출체를 소성시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5공정(S15)을 포함한다.
제1공정(S11)은 세라믹 지지체를 구성하는 원료를 혼합하는 공정으로서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점토(clay), M/C binder를 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공정이다. 이 때 혼합하는 공정은 건식 혼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정(S12)은 제1공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은 건식 혼합할 경우 분말로 되어 있어 이들 분말에 수분을 첨가하여 혼련기로 30분 동안 혼련하는 공정이다.
제3공정(S13)은 제2공정에서 혼련된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평관형의 압출체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제4공정(S14)은 제3공정에서 압출된 압출체를 건조시키는 공정으로서 압출된 평관형의 압출체를 상온에서 80℃까지 24시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공정(S15)은 제4공정에서 건조된 압출체를 소성시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건조된 압출체(건조체)를 대기 분위기 상태인 소성로에서 1,250℃의 온도로 2시간 정도 소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가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중 제2단계(S20)는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코팅할 코팅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로서, Al2O3, M/C binder, 증류수, 에탄올을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는데, 볼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습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중 제3단계(S30)는 제1단계에서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에 제2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는 단계로서, Dip 코팅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담지 방식으로 분리막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중 제4단계(S40)는 제3단계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건조시키는 단계(S40)로서 분리막을 약 60℃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중 제5단계(S50)는 제4단계에서 건조된 분리막을 소성시켜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건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대기 분위기 상태인 소성로에서 1,250℃의 온도로 2시간 정도 소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에 따르면 평관형(편평한 관형)이고 평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긴 동공을 다수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인 도 3과 도 3을 확대한 사진인 도 4를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분리막에 비해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단면적이 매우 크고 이를 적재할 장치의 부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평관형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S10)와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코팅할 코팅액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제1단계에서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에 제2단계에서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기 위해 Dip 코팅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3단계(S30)와 제3단계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S40)와 제4단계에서 건조된 분리막을 소성시켜 세라믹 분리막을 제조하는 제5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세라믹 지지체를 구성하는 원료를 혼합하는 제1공정(S11)과 제1공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혼련하는 제2공정(S12)과, 제2공정에서 혼련된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평관형의 압출체를 제조하는 제3공정(S13)와 제3공정에서 압출된 압출체를 건조시키는 제4공정(S14)과 제4공정에서 건조된 압출체를 소성시켜 평관형 세라믹 지지체를 제조하는 제5공정(S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S11)의 원료는 Al2O3, SiO2, clay 및 M/C bin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의 상기 코팅액은,
    Al2O3, M/C binder, 증류수 및 에탄올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S50)는,
    상기 분리막을 대기 분위기 상태인 소성로에서 1,250℃의 온도로 2시간 정도 소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평관 형상이되, 평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긴 동공을 다수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KR1020140169024A 2014-11-28 2014-11-28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Active KR101708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24A KR101708858B1 (ko) 2014-11-28 2014-11-28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24A KR101708858B1 (ko) 2014-11-28 2014-11-28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38A true KR20160064838A (ko) 2016-06-08
KR101708858B1 KR101708858B1 (ko) 2017-02-21

Family

ID=5619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24A Active KR101708858B1 (ko) 2014-11-28 2014-11-28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5078A (zh) * 2020-05-15 2020-08-18 洛阳中超新材料股份有限公司 平板陶瓷膜及其制备方法
KR102654038B1 (ko) * 2023-12-28 2024-04-04 주식회사 앱스필 수처리용 세라믹 분리막 및 이를 위한 표면개질층 형성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385A (ja) * 2000-03-03 2001-09-11 Noritake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9418B1 (ko) * 2007-10-25 2008-04-04 (주)엠코텍 금속 및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분리막
KR20090051450A (ko) 2007-11-19 2009-05-22 강우식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및 축산폐수와 같은 초 고농도유기폐수의 정화방법
KR20100055808A (ko) 2008-11-18 2010-05-27 현대건설주식회사 축산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암모니아와 유기물질을 액체비료와 메탄가스로 각각 변환 시키는 축산폐수 정화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2066963A (ja) * 2010-09-22 2012-04-05 Noritake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ス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多段フィルタ
KR20120076073A (ko) * 2010-12-29 2012-07-09 이근호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385A (ja) * 2000-03-03 2001-09-11 Noritake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9418B1 (ko) * 2007-10-25 2008-04-04 (주)엠코텍 금속 및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분리막
KR20090051450A (ko) 2007-11-19 2009-05-22 강우식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및 축산폐수와 같은 초 고농도유기폐수의 정화방법
KR20100055808A (ko) 2008-11-18 2010-05-27 현대건설주식회사 축산폐수에 포함된 고농도 암모니아와 유기물질을 액체비료와 메탄가스로 각각 변환 시키는 축산폐수 정화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2066963A (ja) * 2010-09-22 2012-04-05 Noritake Co Ltd 多孔質セラミックス基材の製造方法および多段フィルタ
KR20120076073A (ko) * 2010-12-29 2012-07-09 이근호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5078A (zh) * 2020-05-15 2020-08-18 洛阳中超新材料股份有限公司 平板陶瓷膜及其制备方法
KR102654038B1 (ko) * 2023-12-28 2024-04-04 주식회사 앱스필 수처리용 세라믹 분리막 및 이를 위한 표면개질층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858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ng et al.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tubular ceramic membrane supports prepared by extrusion
Lee et al. Surface grafting techniques on the improvement of membrane bioreactor: State-of-the-art advances
Iorhemen et al. Membrane bioreactor (MBR) technology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clamation: membrane fouling
Gao et al. Continuous removal of tetracycline in a photocatalytic membrane reactor (PMR) with ZnIn2S4 as adsorption and photocatalytic coating layer on PVDF membrane
CN103394297B (zh) 一种亲水性聚四氟乙烯中空纤维膜的制备方法
Kunz et al. Hydrophobic membrane technology for ammonia extraction from wastewaters
CN111672335B (zh) 一种CuO@CuS/PVDF水处理复合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129926B (zh) 一种用于处理吡啶废水的抗板结微电解颗粒填料及制备方法
Zhang et al. Preparation of ceramic 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 in wastewater and water treatment
CN108264354A (zh) 多通道碳化硅陶瓷膜支撑体及其制备方法
KR101708858B1 (ko) 고농도의 축산폐수 정화용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평관형 세라믹 분리막
CN108341671A (zh) 多通道碳化硅陶瓷膜元件及其制备方法
CN101293768A (zh) 一种生物滤料及其制备方法
CN108854565A (zh) 一种氧化石墨烯定向分离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Wang et al. Application of flat-sheet membrane to thickening and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WAS)
KR102159552B1 (ko) 세라믹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Amin et al. Comparative anaerobic decolorization of azo dyes by carbon-based membrane bioreactor
Ouma et al. Characterization of ultrafiltration of undiluted and diluted stored urine
CN108083840A (zh) 一种水处理用蜂窝陶瓷及其制备方法
Yun et al. Fabrication of tubular-type MF ceramic membrane with enhanced permeability by addition of PMMA in the support and evalu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wastewater treatment
Bhattacharya et al. Effectiveness of biosorption-assisted microfiltration process for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Łobos-Moysa et al. Application of hybrid biological techniques to the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containing oils and fats
KR101841843B1 (ko) 납석함유 세리막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
Kızılet The use of membrane processes to promote sustainable environmental protection practices
CN207941401U (zh) 一种板式过滤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