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54507A -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피드백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피드백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507A
KR20160054507A KR1020167007997A KR20167007997A KR20160054507A KR 20160054507 A KR20160054507 A KR 20160054507A KR 1020167007997 A KR1020167007997 A KR 1020167007997A KR 20167007997 A KR20167007997 A KR 20167007997A KR 20160054507 A KR20160054507 A KR 2016005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devices
trigger
feedba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873B1 (ko
Inventor
사미어 베르마니
빈 티안
라훌 탄드라
시몬 멀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5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방법은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리거 패킷은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트리거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피드백 프로토콜{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U-MIMO) FEEDBACK PROTOCOL}
[0001] 본 출원은 2013년 9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876,031 호 및 2014년 8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특허 출원 제 14/460,485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출원들의 내용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0002]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0003] 기술에서의 진보들은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초래해왔다. 예를 들어,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휴대용 무선 전화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PDA들) 및 작고 경량이며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운반되는 페이징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 구체적으로, 셀룰러 전화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전화들과 같은 휴대용 무선 전화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많은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그에 통합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전화는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인터넷에 액세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이로써, 이들 무선 전화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4] 무선 전화들 및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이용을 위해, 다양한 무선 프로토콜들 및 표준들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Wi-Fi"로 지칭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통신 프로토콜들의 표준화된 세트이다. 선택된 Wi-Fi 프로토콜들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MU-MIMO에서, 전송 디바이스는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데이터를 단일 패킷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피드백(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프리코딩을 통해) 빔포밍될 수 있다.
[0005]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전송 디바이스는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폴링(polling)하는 것을 수반하는 사운딩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는 공고(announcement)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측정을 수행한 후에, 제 1 식별된 수신 디바이스는 제 1 피드백 패킷을 전송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디바이스가 제 1 피드백 패킷을 수신한 후에, 전송 디바이스는 폴링 패킷을 제 2 수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고, 이것은 제 2 수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 2 피드백 패킷을 전송 디바이스로 전송하게 한다. 이러한 폴링 패킷-피드백 패킷 사이클은, 모든 식별된 수신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피드백 패킷들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까지, 각각의 부가적인 수신 디바이스에 대해 계속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획득 프로세스는 빈번하게(예를 들면, 10 또는 20 밀리초마다 한번) 반복될 수 있다.
[0006] HEW(High Efficiency Wi-Fi)는 임의의 사용 경우들에서 효율 및 동작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Wi-Fi 표준들에 대한 잠재적인 업데이트들 및 개정들을 탐구하기 위한 IEEE 802.11 연구 그룹(SG)이다. HEW는 MU-MIMO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Wi-Fi 표준들에서 사용되는 사운딩 프로토콜 ― 이것은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신 디바이스들을 폴링하는 것을 수반함 ― 은 HEW에 대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면, 비효율적일 수 있다).
[0007] 본 개시는 MU-MIMO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개선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디바이스들을 개별적으로 폴링하는 것 대신에,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제 2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모바일 스테이션들)로 전송되는 패킷에 트리거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빔포머"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들은 "빔포미들(beamformees)"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빔포머는,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가 패킷을 디코딩/프로세싱할 때, 수신 디바이스로 의도된 데이터가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다른 수신 디바이스들로 의도된 데이터가 제 1 전력 레벨보다 더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갖도록,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기 위해 빔포밍 기술들(예를 들면, 프리코딩)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이다. 빔포미는 빔포머로부터 수신되는 빔포밍된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수신 디바이스이다. 빔포머들과 빔포미들 사이의 구별이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 디바이스들은 빔포머들뿐만 아니라 빔포밍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MU-MIMO 패킷의 끝에 첨부되는 하나 이상의 비-프리코딩된(예를 들면, 비-빔포밍된) LTF들(long training fields)을 포함한다. 트리거 데이터가 프리코딩/빔포밍되지 않기 때문에, 트리거 데이터는, 패킷의 빔포밍된 MU-MIMO 데이터의 의도된 수신인들이 아닌 모바일 스테이션들을 비롯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모든 모바일 스테이션들로 하여금 채널 추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0008]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데이터를 가질 때 및/또는 채널 조건들이 이전의 피드백 보고와 비교하여 충분히 변경되었다고 모바일 스테이션이 결정할 때, 피드백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액세스 포인트는 개별적인 모바일 스테이션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스테이션들은, 채널 조건이 충분히 변경되었을 때, 피드백 정보를 데이터 또는 확인응답 패킷에 피기백킹(piggyback)할 수 있다.
[0009]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리거 패킷은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트리거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0]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트리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채널 측정은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피드백 보고는 채널 측정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0011]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킷은 패킷의 데이터 부분을 뒤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한다.
[0012]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ACK)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 확인응답(AK)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K 패킷은 제 2 디바이스로의 빔포밍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프리코딩하는데 사용 가능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0013] 개시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의 특정 이점은, 다른 디바이스들을 개별적으로 폴링하지 않고, 제 1 디바이스(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가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모바일 스테이션들)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섹션들, 즉, 도면의 간단한 설명,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전체 출원의 검토 이후 명백해질 것이다.
[0014] 도 1은 피드백 정보를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0015] 도 2는 패킷의 끝에서 비-프리코딩된 롱 트레이닝 필드들을 전송하는 예를 예시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0016] 도 3은 비-프리코딩된 롱 트레이닝 필드들을 전송하는 다른 예를 예시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0017] 도 4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방법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0018] 도 5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방법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0019] 도 6은,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지원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0020] 도 1을 참조하면, 피드백 정보를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시스템이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100)으로 지정된다.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모바일 스테이션들(STA들))(120, 130 및 140)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디바이스(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10)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150)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디바이스들(110, 120, 130 및 140))을 포함하고 및/또는 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빔포머일 수 있고,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은 빔포미들(beamformees)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빔포머는,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가 패킷을 디코딩/프로세싱할 때, 수신 디바이스로 의도된 데이터가 제 1 전력 레벨을 갖고, 다른 수신 디바이스로 의도된 데이터가 제 1 전력 레벨보다 더 낮은 제 2 전력 레벨을 갖도록, 패킷을 생성하여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기 위해 빔포밍 기술들(예를 들면, 프리코딩)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이다. 빔포미는 빔포머로부터 빔포밍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빔포밍된 패킷을 디코딩/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수신 디바이스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수의 빔포머들 및 빔포미들이 시스템(100)에 존재할 수 있다. 빔포멍들과 빔포밍들 간의 구별이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 디바이스들은 빔포머들(예를 들면, 빔포밍된 데이터를 전송)뿐만 아니라 빔포미들(예를 들면, 빔포밍된 데이터를 수신)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수 있다.
[0021]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5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150)는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50)는 802.11 HEW(high efficiency Wi-Fi) 네트워크이다. 무선 네트워크(150)는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방향들 둘 모두에서 MU-MIMO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UL 통신은 STA-AP 통신을 지칭하고, DL 통신은 AP-STA 통신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50)는 또한 UL 및 DL 다중 액세스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150)는 UL 및 DL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OFDMA)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0022]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111)(예를 들면,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네트워크 프로세싱 유닛(NPU) 등), 메모리(112)(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등) 및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한다. 메모리(112)는 제 1 디바이스(110)의 범위 내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정보(113)(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113)는, MU-MIMO 패킷을 스테이션들의 그룹으로 전송하기 전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도출하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MU-MIMO 패킷(또는 그의 부분들)을 프리코딩하기 위해 빔포밍 모듈(11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23]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뿐만 아니라 시스템(100) 내의 다른 모바일 스테이션들(145) 각각은 프로세서(예를 들면, 프로세서(121)), 메모리(예를 들면, 메모리(122)), 채널 측정 모듈(예를 들면, 채널 측정 모듈(124)) 및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측정 모듈(124)은 피드백 정보(123)(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22)에 저장될 수 있다.
[0024] 동작 동안에, MU-MIMO 통신은 제 1 디바이스(110)와 수신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은 특정 빔포밍 그룹의 부분일 수 있다. 다른 모바일 스테이션들(145)은 빔포밍 그룹 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로 전송할 수 있다. MU-MIMO 데이터 패킷(165)은 빔포밍 그룹의 각각의 디바이스(120, 130 및 140)에 대한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U-MIMO 데이터 패킷(165)의 디코딩/프로세싱 동안에,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2 디바이스(120)에 대해 프리코딩된 패킷(165)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더 강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20)는 빔포밍 그룹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프리코딩된 패킷(165)의 부분들에 대응하는 더 약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0025]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프리코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110)는 트리거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리거 패킷(160)을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데이터는 수신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프리코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옴니 롱 트레이닝 필드들(옴니-LTF들)을 포함한다. 옴니-LTF들이 프리코딩되지 않기 때문에, 옴니-LTF들은 다른 스테이션들(145)뿐만 아니라 수신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에 의해 디코딩/프로세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리거 패킷(16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MU-MIMO 패킷이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트리거 패킷(160)은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CTX(clear to transmit) 패킷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다른 타입들의 패킷들로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제 1 디바이스(110)에 의해 간헐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리거 데이터는, MU-MIMO 데이터가 수신 디바이스들의 그룹으로 전송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1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0026] 트리거 패킷(160)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 및 다른 스테이션들(145) 중 하나 이상은 채널 측정(예를 들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옴니-LTF(들)는 채널 측정 프로세스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스테이션은 피드백 정보를 피드백 보고(162)로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빔포밍 그룹의 부분인 그러한 스테이션들만이 피드백 보고(162)를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MU-MIMO 데이터를 전송할 그러한 스테이션들만이 피드백 보고(162)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트리거 패킷(160)은 빔포밍 그룹의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MU-MIMO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제 1 MU-MIMO 데이터 패킷은 또한, 부가적인 데이터(예를 들면, 후속 MU-MIMO 데이터 패킷(165)에 포함될 데이터)가 디바이스(140)가 아닌 디바이스들(120 및 130)에 대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들(120 및 130)은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140)는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0027] 특정 실시예에서, 스테이션은, 도 2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일 확인응답(ACK) 패킷의 부분으로서 피드백 보고를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드백 보고들을 단일 UL OFDMA 또는 UL MU-MIMO 데이터 또는 ACK 패킷으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피드백 보고들은 다른 타입들의 패킷들로 제공될 수 있다.
[0028] 특정 실시예에서, 피드백 보고들(162)은 완전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디퍼렌셜 피드백 보고들이다. 대신에,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디퍼렌셜 피드백 보고들은 이전에 전송된 피드백 보고에 관련하여 델타(예를 들면, 변화) 정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테이션은, 피드백 정보가 이전의 피드백 보고에 관련하여 충분히 변하지 않았다면(예를 들면, 델타 정보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임계치는 MSE(mean square error) 임계치일 수 있다.
[0029] 다수의 피드백 보고 조건들이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은, 부가적인 데이터가 스테이션에 대해 스테이션에 대해 다가오지 않고 피드백 델타 정보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옴니-LTF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피드백 보고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0030]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또한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스테이션을 폴링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110)는 폴 패킷(166)을 특정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폴 패킷(166)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스테이션은 피드백 보고(162)를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0031] 특정 실시예에서, 트리거 패킷(160)은, 제 1 디바이스(110)가 트리거 패킷(160)의 소스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자신의 소스의 식별자를 포함함으로써, 트리거 패킷(160)은 제 1 디바이스(110)와 연관되지 않은 스테이션들이 불필요한 채널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트리거 패킷(160)의 HEW-SIG(High-Efficiency Wi-Fi signal) 필드는 (예를 들면,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BSSID), 다른 식별자 등에 의해) 제 1 디바이스(110)를 식별한다.
[0032] 피드백 보고(들)(162)를 수신한 후에, 제 1 디바이스(110)는 피드백 정보(113)로서 피드백 보고(들)(162)에 포함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또한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생성하기 위해 프리코딩(예를 들면, 빔포밍) 매트릭스를 도출 및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110)는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에 의해 제공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10)는, 업데이트된 피드백 정보가 디바이스들(120, 130 또는 140) 중 임의의 것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동일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업데이트된 피드백 정보는 필요한 대로 기반하여 수신될 수 있다.
[0033] 따라서, 도 1의 시스템(100)은, 제 1 디바이스(110)와 개별적인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 간의 폴링 교환 없이, 피드백 정보의 획득을 예시한다. 또한, 트리거 패킷(160)에 포함된 트리거 데이터(예를 들면, 옴니-LTF들)는 또한 빔포밍 그룹의 멤버들이 아닌 스테이션들(예를 들면, 모바일 스테이션들(145))로 하여금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스테이션이 미래에 빔포밍 그룹에 합류하면, 스테이션은, 제 1 디바이스가 채널 측정을 수행하도록 스테이션에 요청하지 않고서도,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시스템(100)은 MU-MIMO 통신에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연관된 메시징 오버헤드 및 무선 매체 혼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34] 도 2는 패킷의 끝에서 옴니-LTF들을 전송하는 예를 예시하기 위한 타이밍도이고, 일반적으로 (200)으로 지정된다. 도 2에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축은 시간에 대응한다.
[003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예를 들면, 도 1의 제 1 디바이스(110))는 패킷을 복수의 모바일 스테이션들(예를 들면, "STA1", "STA2" 및 "STA3"으로 지정된 모바일 스테이션들)로 전송할 수 있다. 패킷은 HEW 프리앰블(202), MU-MIMO 데이터(204) 및 MU-MIMO 데이터 다음의 하나 이상의 옴니-LTF들을 포함하는 HEW 패킷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HEW 프리앰블(202)은 프리코딩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레거시 필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HEW 프리앰블(202)은 레거시 쇼트 트레이닝 필드(L-STF), 레거시 롱 트레이닝 필드(L-LTF) 및 레거시 신호(L-SI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L-STF, L-LTF 및 L-SIG 필드들은 총괄적으로 레거시 프리앰블로 지칭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레거시 프리앰블은,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레거시 프리앰블을 뒤따르는 패킷의 부분들을 프로세싱할 수 없을지라도, 레거시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비-HEW 디바이스들)이 패킷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레거시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IEEE 802.11 a/b/g/n/ac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레거시 프리앰블을 뒤따르는 패킷의 부분들을 프로세싱할 수 없을지라도, 레거시 프리앰블은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패킷의 듀레이션 동안에 무선 매체를 혼잡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거시 프리앰블은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레거시 디바이스들은 듀레이션 필드에 의해 표시된 듀레이션 동안에 매체를 혼잡하게 하는 것을 삼갈(refrain) 수 있다.
[0036] HEW 프리앰블(202)은 또한 STA1, STA2 또는 STA3에 대해 프리코딩되는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EW 프리앰블(202)은, 프리코딩된 MU-MIMO 데이터(204)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디코딩하기 위해 STA1, STA2 및 STA3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프리코딩된 LTF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37] 특정 실시예에서, HEW 프리앰블(202)은, 옴니-LTF들(206)이 MU-MIMO 데이터(204)를 뒤따른다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HEW 프리앰블(202)은 얼마나 많은 옴니-LTF들(206)이 MU-MIMO 데이터(204)를 뒤따르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표준 또는 프로토콜(예를 들면, IEEE 802.11 표준 또는 프로토콜)은, 옴니-LTF(들)가 특정 타입들의 패킷들에서 MU-MIMO 데이터를 뒤따르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HEW 프리앰블(202)은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패킷의 소스를 식별하고(예를 들면, AP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패킷의 의도된 수신인들(예를 들면, STA1, STA2 및 STA3)을 식별할 수 있다.
[0038] 옴니-LTF들(206)을 수신할 때, 수신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은 채널 측정을 수행하고 및/또는 피드백 정보를 AP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스테이션들 각각은 ACK 패킷(208, 210 및 212)에 피드백 정보를 각각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피드백 정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퍼렌셜 피드백 정보이다. 모든 3 개의 스테이션들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도 2가 예시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라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만족되면(예를 들면, 부가적인 데이터가 스테이션에 대해 다가오는 것을 HEW 프리앰블(202)이 표시하고, 이전의 피드백 보고 이래로 채널 상태 정보가 충분히 변하였을 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은 충돌 회피 메커니즘(예를 들면, 전송 요청/전송 준비 완료 메커니즘 또는 몇몇의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ACK 패킷들(208, 210, 212)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충돌을 회피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MU-MIMO 그룹의 스테이션들이 피드백 보고들을 제공하는 순서는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SIG 필드(예를 들면, HEW 프리앰블(202)에 포함됨)는 그룹 식별자(GID)(예를 들면, 6의 GID)를 포함할 수 있다. MU-MIMO 그룹 내의 스테이션들(예를 들면, STA1, STA2 및 STA3)은, GID에 기초하여 스테이션들이 피드백 보고들을 제공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하기 위해, 6과 동일한 GID에 기초하여, 스테이션들은, 피드백의 순서(예를 들면, MU-MIMO 그룹 내의 그들의 상대적인 순서)가 STA1, 이후 STA2 및 이후 STA3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0039]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STF들은, MU-MIMO 데이터(204) 후에 그리고 옴니-LTF들(206) 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TF(들)는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에서 증가 수신기 게인을 제공할 수 있다. 옴니-LTF들(206)이 패킷의 끝에 첨부되는 것을 도 2가 예시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옴니-LTF들이 패킷의 다른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0040] 도 3은 옴니-LTF들을 전송하는 다른 예를 예시하기 위한 타이밍도이고, 일반적으로 (300)으로 지정된다. 도 3에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축은 시간에 대응한다.
[004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는 CTX(clear to transmit) 패킷(302)을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로 전송할 수 있다. CTX 패킷(302)은 하나 이상의 옴니-LTF들을 포함할 수 있다. CTX 패킷(302)은, 무선 매체가 업링크(UL)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에 표시하기 위해 AP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0042] CTX 패킷(302)에 대한 응답으로, 스테이션들(STA1, STA2 및 STA3)은 UL 데이터(304)를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UL 데이터(3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L 데이터(304)는 OFDMA 패킷(들) 및/또는 UL MU-MIMO 패킷(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UL 데이터(304)는 또한 스테이션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피드백 보고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3] UL 데이터(304)를 수신할 때, AP는 다운링크(DL) ACK들(306)을 스테이션들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DL ACK들은 DL MU-MIMO 패킷(들)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AP는 또한 DL 데이터(308)를 스테이션들로 전송할 수 있고, 여기서 DL 데이터는 UL 데이터(304)에 포함된 피드백 보고(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스테이션에 대해 프리코딩된다. 예를 들면, DL 데이터(308)는, 도 2의 옴니-LTF들(206)과 같은 옴니-LTF들을 포함하는 DL MU-MIMO 패킷(들)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0044] DL 데이터(308)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스테이션들은 UL ACK들(310)을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UL ACK들은 OFDMA 및/또는 UL MU-MIMO 패킷(들)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DL 데이터(308)에 포함된 옴니-LTF들에 기초하여 피드백 보고들을 포함한다.
[0045] 따라서, 도 2 및 도 3은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스테이션들을 폴링해야 하지 않고서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피드백 정보는 ACK 패킷들 및 데이터 패킷들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패킷들에 "피기백킹"(예를 들면, 포함)될 수 있다. 옴니-LTF들은 패킷의 끝에 또는 패킷의 다른 부분(예를 들면, 레거시 필드들과 같은 다른 비-프리코딩된 필드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의 "옴니"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동일한 그룹의 스테이션들에 관련하여 반복되는 MU-MIMO 전송들은, 10-20 밀리초마다 피드백 정보에 대한 폴링 사이클을 수행하지 않고서 수행될 수 있다.
[0046]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본 개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는 옴니-LTF들(또는 다른 트리거 데이터)을 비콘 프레임들에 주기적으로 놓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테이션들은 PS(power-save) 폴 프레임들에 피드백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빔포밍 그룹(예를 들면, 스테이션들의 그룹)의 구성이 변하거나 새로운 빔포밍 그룹이 형성될 때, 디바이스는 초기 전송 동안에 사용할 보수적인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기존의 피드백 정보가 충분히 새로울 때(예를 들면, 임계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었을 때), 변화된/새로운 빔포밍 그룹 내의 스테이션들로부터의 기존의(예를 들면, 이전에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0047] 도 4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방법(400)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도 1의 제 1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8] 방법(400)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402)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트리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패킷은,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데이터(예를 들면, 옴니-LTF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트리거 패킷(160)을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로 전송할 수 있다.
[0049] 방법(400)은 또한 (404)에서, 트리거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제 2 디바이스들을 폴링하지 않고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로부터 피드백 보고들(162)을 수신할 수 있다.
[0050] 방법(400)은, (406)에서, 적어도 하나의 MU-MIMO 패킷을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MU-MIMO 패킷은 특정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특정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는 특정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딩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1 디바이스(110)는 MU-MIMO 데이터 패킷(165)을 디바이스들(120, 130 및 140)로 전송할 수 있다.
[0051] 도 5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방법(500)의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법(500)의 도 1의 제 2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52] 방법(500)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502)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2 디바이스(120)는 제 1 디바이스(110)로부터 트리거 패킷(160)을 수신할 수 있다.
[0053] 방법(500)은 또한 (504)에서, 트리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측정은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데이터(예를 들면, 옴니-LTF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2 디바이스(120)는 트리거 패킷(160)에 포함된 옴니-LTF들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0054] 방법(500)은, (506)에서,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적인 데이터가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다가오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데이터가 다가오면, 방법(500)은, (508)에서, 피드백 델타(예를 들면, 이전의 피드백 보고 이래로 채널 상태의 변화)가 임계치보다 더 큰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데이터가 다가오지 않는다면 또는 피드백 델타가 임계치보다 더 크지 않다면, 방법(500)은, (510)에서,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삼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55] 부가적인 데이터가 다가오면 그리고 피드백 델타가 임계치보다 더 크다면, 방법은, (512)에서,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보고는 피드백 델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제 2 디바이스(120)는 피드백 보고(162)를 제 1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0056]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단계들의 순서가 단지 예시 목적이며, 제한적인 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특정 단계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동시에(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0057]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가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600)으로 지정된다. 디바이스(600)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메모리(632)에 커플링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600)는 도 1의 제 1 디바이스(110), 도 1의 디바이스들(120, 130 또는 140) 중 하나, 또는 도 1의 모바일 스테이션들(145) 중 하나일 수 있다.
[0058]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660)(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본원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인터페이스(640)의 메모리(67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들 또는 방법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9] 무선 인터페이스(640)는, 안테나(642) 및 무선 인터페이스(640)를 통해 수신된 무선 데이터가 프로세서(610)에 제공될 수 있도록 프로세서(610) 및 안테나(64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640)는 도 1의 무선 인터페이스(115) 또는 도 1의 무선 인터페이스(125)를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640)는 메모리(674) 및 제어기(672)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74)는 피드백 정보(680)(예를 들면, 도 1의 피드백 정보(113 또는 123))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인터페이스(640)는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 각각에 대한 변조기(686) 및 복조기(688)를 포함할 수 있다.
[0060] 제어기(672)는 메모리(67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61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672)는 또한 변조기(686) 및/또는 복조기(688)를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61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기(672)는 메모리(674)에 저장된 명령들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640) 및/또는 프로세서(610)는 또한 고속 푸리에 변환(FFT) 및 역 FFT(IFFT) 동작들, 빔포밍, 채널 측정 등과 같은 인코딩 및 디코딩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1]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 디스플레이 제어기(626), 메모리(632), 코덱(634) 및 무선 인터페이스(640)는 시스템-인-패키지 또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에 포함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630) 및 전력 공급기(6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에 커플링된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8), 입력 디바이스(630), 스피커(636), 마이크로폰(638), 안테나(642), 및 전력 공급기(6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 외부에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8), 입력 디바이스(630), 스피커(636), 마이크로폰(638), 안테나(642), 및 전력 공급기(644)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 또는 제어기들과 같은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62]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통신 디바이스, 고정된 로케이션 데이터 유닛, 모바일 로케이션 데이터 유닛, 모바일 폰, 셀룰러 폰, 위성 폰, 컴퓨터,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디바이스(600)와 같은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600)는 셋 톱 박스, 엔터테인먼트 유닛,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개인용 디지털 보조 단말(PDA),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튜너, 라디오, 위성 라디오,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리트리브(retrieve)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예로서, 시스템 또는 장치는 모바일 폰들과 같은 원격 유닛들, 핸드-헬드 개인 통신 시스템(PCS) 유닛들, 개인용 데이터 보조 단말들과 같은 휴대용 데이터 유닛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인에이블 디바이스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들, 미터 판독 장비와 같은 고정된 로케이션 데이터 유닛들, 또는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리트리브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3] 도 1-6 중 하나 이상이 본 발명의 교시들에 따른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방법들을 예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된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방법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온-칩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64] 설명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장치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ACK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ACK 패킷은 제 2 디바이스로의 빔포밍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프리코딩하는데 사용 가능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121), 채널 측정 모듈(124), 무선 인터페이스(125), 프로세서(610),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로 ACK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125),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안테나(642),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5] 다른 장치는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의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다. 트리거 패킷은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트리거 패킷은 패킷의 데이터 부분을 뒤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LTF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115),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안테나(642),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트리거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115),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안테나(642),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6] 다른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125),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안테나(642),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트리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채널 측정은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면, 채널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121), 채널 측정 모듈(124), 무선 인터페이스(125), 프로세서(610),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채널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피드백 보고를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피드백 보고는 채널 측정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인터페이스(125), 무선 인터페이스(640)(또는 이들의 컴포넌트), 안테나(642),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7]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 모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앞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들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0068]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순시적(예를 들어,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이산적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69]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이 분야의 당업자가 개시된 실시예들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가능한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30)

  1. 방법으로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리거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트리거 패킷은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리거 데이터를 포함함 ― , 및
    상기 트리거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빔포밍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빔포밍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제 2 디바이스들을 폴링(polling)하지 않고서,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비-프리코딩된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프리코딩된 LTF는 상기 트리거 패킷의 끝에 첨부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프리코딩된 LTF는 상기 패킷의 데이터 부분을 뒤따르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패킷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은 HEW(high efficiency wi-fi) MU-MIMO 패킷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은 CTX(clear to transmit) 패킷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은 비콘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의 프리앰블은, 상기 트리거 데이터가 상기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바이스를 식별하거나, 상기 트리거 패킷의 소스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식별하거나, 이 둘 모두를 식별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패킷을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MU-MIMO 패킷은 특정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특정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코딩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HEW(high efficiency wi-fi)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
  17. 명령들을 저장한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동작들은,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트리거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동작 ―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 ,
    상기 트리거 패킷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 ― 상기 채널 측정은 상기 트리거 패킷에 포함된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됨 ― , 및
    피드백 보고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 ― 상기 피드백 보고는 상기 채널 측정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고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빔포밍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프리코딩하는데 사용 가능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상기 트리거 패킷이 표시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 보고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이전의 피드백 보고에 포함된 이전의 피드백 정보에 관련하여 적어도 임계량만큼 변경되었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피드백 보고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이전의 피드백 보고에 포함된 이전의 피드백 정보에 관련하여 델타(delta)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고는 확인응답(ACK) 패킷에 포함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디바이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드백 보고를 포함하는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패킷에 포함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고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드백 보고를 포함하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OFDMA) 패킷에 포함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보고는 PS(power-save) 폴 프레임에 포함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HEW(high efficiency wi-fi)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27.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동작들은,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패킷의 데이터 부분을 뒤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LTF(long training field)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피드백 정보에 대해 개별적인 제 2 디바이스들을 폴링하지 않고서,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장치.
  29. 장치로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디바이스에서 확인응답(AK)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ACK 패킷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의 빔포밍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프리코딩하는데 사용 가능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ACK 패킷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채널 측정에 기초하는,
    장치.
KR1020167007997A 2013-09-10 2014-08-18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피드백 프로토콜 Active KR102050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76031P 2013-09-10 2013-09-10
US61/876,031 2013-09-10
US14/460,485 US9991940B2 (en) 2013-09-10 2014-08-15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US14/460,485 2014-08-15
PCT/US2014/051466 WO2015038285A1 (en) 2013-09-10 2014-08-18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507A true KR20160054507A (ko) 2016-05-16
KR102050873B1 KR102050873B1 (ko) 2019-12-02

Family

ID=5262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997A Active KR102050873B1 (ko) 2013-09-10 2014-08-18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 피드백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991940B2 (ko)
EP (1) EP3044893A1 (ko)
JP (1) JP6599333B2 (ko)
KR (1) KR102050873B1 (ko)
CN (1) CN105519027B (ko)
AU (1) AU2014318268B2 (ko)
CA (1) CA2921017C (ko)
CL (1) CL2016000558A1 (ko)
HK (1) HK1222052A1 (ko)
IL (1) IL243891B (ko)
MX (1) MX360226B (ko)
MY (1) MY172342A (ko)
PH (1) PH12016500269B1 (ko)
RU (1) RU2672182C2 (ko)
SA (1) SA516370688B1 (ko)
SG (1) SG11201600784SA (ko)
WO (1) WO2015038285A1 (ko)
ZA (1) ZA201601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940B2 (en) 2013-09-1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US9584402B2 (en) 2014-01-27 2017-02-28 Fasett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EP3691169B1 (en) * 2014-01-28 2022-03-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indication method, access point and terminal
CN106576110A (zh) * 2014-04-04 2017-04-19 Vid拓展公司 基于网络的早期分组丢失检测
US10225810B2 (en)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9871644B2 (en) 2014-08-19 2018-01-16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efficiency signal fields
EP3198956B1 (en) 2014-09-25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KR102304089B1 (ko) 2014-09-25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의 harq 처리 방법 및 장치
EP3512109B1 (en) * 2014-09-25 2021-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US9930684B2 (en) * 2014-09-25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HARQ process management
US10437288B2 (en) 2014-10-06 2019-10-08 Fasetto,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KR102455532B1 (ko) * 2014-10-06 2022-10-25 파세토, 인크. 휴대용 저장 디바이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080191B2 (en) 2015-03-26 2018-09-18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con frames on different sub-channels
EP3286940A4 (en) * 2015-04-24 2018-12-26 Newracom, Inc. Multi-user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289820B1 (en) 2015-04-29 2021-12-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ub-channelized transmission schemes in wlans
US10123330B2 (en) * 2015-07-01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to enable efficient wideband operations in local area networks using OFDMA
DE102015009779B4 (de) * 2015-07-27 2021-08-12 Apple Inc. Leistungsoptimierung für Kanalzustandsmeldungen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netz
CN106712909B (zh) * 2015-11-18 2019-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信道检测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123331B2 (en) * 2015-12-15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eedback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6726749B2 (ja) * 2016-01-14 2020-07-2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御および動作
US10411868B2 (en) * 2016-02-24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US10375683B2 (en) * 2016-05-06 2019-08-06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9155660B (zh) 2016-05-12 2022-08-3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在毫米波无线局域网络中波束成形反馈的系统和方法
CN107786251B (zh) * 2016-08-24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赋形训练的方法、发起设备和应答设备
US10656256B2 (en) * 2017-04-07 2020-05-19 Marvell Asia Pte, Ltd. Ranging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7154078B2 (ja) * 2017-10-20 2022-10-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イニシエータ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224995B1 (en) * 2018-03-29 2019-03-05 Fortinet, Inc. Network-controlled beamforming using centrally-monitored locationing for beamforming Wi-Fi transmissions to wireless stations from access points independent of beamforming capability of stations
US11108442B1 (en) * 2018-07-20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Calibration and implicit sounding using 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s
WO2020017043A1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US11265049B2 (en) * 2018-10-31 2022-03-01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for transmitting pre-coded stream outputs that are generated from applying pre-coding to stream inputs with different packet formats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0224728A (zh) * 2019-04-30 2019-09-10 中国空间技术研究院 基于中断概率约束的多波束卫星通信系统鲁棒预编码方法
CN114501315A (zh) * 2022-03-30 2022-05-13 中国农业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WiFi的室内定位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204A2 (en) * 2009-09-18 2011-03-24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020243A1 (en) * 2010-07-23 2012-01-26 Gong Xiaohong X Access point configured for station group management and method for managing station-management groups
US20130148644A1 (en) * 2011-12-07 2013-06-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5506A1 (en) * 2003-11-25 2005-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te adapt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US7882412B2 (en) * 2004-10-05 2011-02-01 Sanjiv Nanda Enhanced block acknowledgement
JP5026005B2 (ja) * 2005-09-19 2012-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US8428156B2 (en) 2006-03-20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Rate control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WO2009027931A2 (en) * 2007-08-31 2009-03-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nhanced multi-user transmission
CN103973353B (zh) * 2009-03-31 2017-09-2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探测和引导协议
KR101341269B1 (ko) * 2009-12-10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훈련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5632456B2 (ja) * 2010-03-26 2014-11-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方法
TWI586202B (zh) * 2010-04-13 2017-06-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執行多用戶(mu)多輸入多輸出(mimo)頻道探測的存取點(ap)及其方法
US10033485B2 (en) * 2010-08-25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cknowledgement messages from multiple destinations for multi user MIMO transmissions
KR101752824B1 (ko) * 2010-09-29 2017-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9350428B2 (en) * 2010-12-01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link adapt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830815B2 (en) 2011-05-19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design for television white space transmissions
WO2012169745A2 (ko) 2011-06-07 2012-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JP5961691B2 (ja) * 2011-08-07 2016-08-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周波数選択伝送に基づく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CN103001744B (zh) * 2011-09-14 2017-06-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测量信息反馈方法及sta
US9178590B2 (en) * 2011-12-27 2015-11-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9473179B2 (en) * 2013-01-14 2016-10-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TE sign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by a Wi-Fi receiver
EP2974067B1 (en) * 2013-03-15 2019-1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tation and access point for non-linear precoding based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JP6201037B2 (ja) * 2013-05-07 2017-09-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ータユニット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9991940B2 (en) 2013-09-1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5204A2 (en) * 2009-09-18 2011-03-24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235533A1 (en) * 2009-09-18 2011-09-29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to support adaptive station-depend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020243A1 (en) * 2010-07-23 2012-01-26 Gong Xiaohong X Access point configured for station group management and method for managing station-management groups
US20130148644A1 (en) * 2011-12-07 2013-06-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18268A1 (en) 2016-03-10
HK1222052A1 (zh) 2017-06-16
MY172342A (en) 2019-11-21
SA516370688B1 (ar) 2020-11-17
SG11201600784SA (en) 2016-03-30
MX2016002985A (es) 2016-06-02
PH12016500269A1 (en) 2016-05-16
US20180269940A1 (en) 2018-09-20
CA2921017A1 (en) 2015-03-19
IL243891A0 (en) 2016-04-21
KR102050873B1 (ko) 2019-12-02
RU2016107846A (ru) 2017-10-16
EP3044893A1 (en) 2016-07-20
CN105519027B (zh) 2021-04-23
JP2016537913A (ja) 2016-12-01
CN105519027A (zh) 2016-04-20
AU2014318268B2 (en) 2018-11-15
IL243891B (en) 2019-10-31
WO2015038285A1 (en) 2015-03-19
JP6599333B2 (ja) 2019-10-30
RU2016107846A3 (ko) 2018-05-25
RU2672182C2 (ru) 2018-11-12
PH12016500269B1 (en) 2024-06-05
US9991940B2 (en) 2018-06-05
US10498411B2 (en) 2019-12-03
MX360226B (es) 2018-10-05
US20150071272A1 (en) 2015-03-12
CA2921017C (en) 2021-12-14
NZ717273A (en) 2021-02-26
CL2016000558A1 (es) 2016-11-11
ZA201601999B (en)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411B2 (e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US10171265B2 (en) Uplink channel information
KR101407201B1 (ko) 미디어 액세스 제어 보호 및 채널 사운딩을 위한 스케쥴링 메커니즘
US10707934B2 (en) Multi-resolution beam training in MMW WLAN systems
KR101464091B1 (ko)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멀티 사용자 mimo 사운딩을 위한 기법들
US20170195026A1 (en) Single use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US10462753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807896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信号送信制御方法
JP7433770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81903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7081906A1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NZ717273B2 (en)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feedback protocol
CN116707591A (zh) 一种天线模式切换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