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47A -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1347A KR20160051347A KR1020140151200A KR20140151200A KR20160051347A KR 20160051347 A KR20160051347 A KR 20160051347A KR 1020140151200 A KR1020140151200 A KR 1020140151200A KR 20140151200 A KR20140151200 A KR 20140151200A KR 20160051347 A KR20160051347 A KR 201600513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nit cells
- electrode assembly
- separation film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상기 분리필름을 공급하는 분리필름 공급부;
상기 분리필름 상에 유닛셀들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시키는 유닛셀 배치부; 및
상기 유닛셀들이 배치된 분리필름을 폴딩 장치로 전달하는 유닛셀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셀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들의 위치를 인식하여 유닛셀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 후, 상기 간격 정보를 바탕으로 관통홀 천공 위치를 결정하여 취득한 신호를 하기 스티치 커팅부로 전송하는 위치 검사부; 및
상기 위치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유닛셀들 사이의 분리필름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천공하는 스티치(stitch) 커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3 및 도 4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유닛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바이셀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종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전해액이 함침되는 형상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에 전해액이 함침되는 형상의 모식도이다;
Claims (23)
-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유닛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연속 공정에서, 유닛셀들을 배열하여 폴딩 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분리필름을 공급하는 분리필름 공급부;
상기 분리필름 상에 유닛셀들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시키는 유닛셀 배치부; 및
상기 유닛셀들이 배치된 분리필름을 폴딩 장치로 전달하는 유닛셀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셀 이송부는,
상기 유닛셀들의 위치를 인식하여 유닛셀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한 후, 상기 간격 정보를 바탕으로 관통홀 천공 위치를 결정하여 취득한 신호를 하기 스티치 커팅부로 전송하는 위치 검사부; 및
상기 위치 검사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유닛셀들 사이의 분리필름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천공하는 스티치(stitch) 커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 이송부는, 분리필름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유닛셀들을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키는 유닛셀 라미네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 라미네이트부는 열을 가하는 히팅존 (heating zone) 및/또는 압력을 가하는 라미네이트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은 바이셀 또는 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은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이 적어도 하나의 유닛셀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어 있고, 제 2 유닛셀 이후의 유닛셀들은 권취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각각의 간격이 점증하는 배열 형태로 분리필름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 사이의 분리필름에 천공되는 관통홀의 위치는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 간격의 끝단 부위고, 제 2 유닛셀 이후의 유닛셀들은 인접하는 유닛셀들 사이 간격의 중앙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유닛셀이 바이셀인 경우, 양극이 유닛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제 1 바이셀과, 음극이 유닛셀의 양단에 위치하는 구조의 제 2 바이셀을 포함하는 것을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사부는, 유닛셀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닛셀들의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유닛셀들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 관통홀 천공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호 인접한 유닛셀들의 간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호 인접한 유닛셀들의 일측면 모서리를 포함한 촬영 영상을 취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커팅부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분리필름 상에 관통홀을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커팅부는 커팅 나이프(knife)를 사용하여 분리필름 상에 관통홀을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평면상으로 슬릿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유닛셀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유닛셀들의 적층방향을 기준으로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분리필름에는 외부로부터 내측의 유닛셀들에 전해액이 함침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들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셀들을 제조하는 과정;
(ii) 상기 유닛셀들을 긴 시트 상의 분리필름 상에 배치시키는 과정;
(iii) 상기 유닛셀들 사이의 분리필름에 관통홀을 천공하는 과정; 및
(iv) 상기 유닛셀들이 분리필름이 개재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회전시켜 권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는, 복수의 유닛셀들 중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을 분리필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유닛셀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거리에 배치하고, 제 2 유닛셀 이후의 유닛셀들은 권취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각각의 간격이 점증하는 배열 형태로 분리필름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i)에서 관통홀은,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의 경우,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 간격의 끝단 부위에 천공되고, 제 2 유닛셀 이후의 유닛셀들의 경우, 인접하는 유닛셀들 사이 간격의 중앙 부위에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iii)에서 관통홀은, 레이저 또는 커팅 나이프(knife)에 의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 13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9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20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1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200A KR101726785B1 (ko) | 2014-11-03 | 2014-11-03 |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200A KR101726785B1 (ko) | 2014-11-03 | 2014-11-03 |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347A true KR20160051347A (ko) | 2016-05-11 |
KR101726785B1 KR101726785B1 (ko) | 2017-04-13 |
Family
ID=5602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1200A Active KR101726785B1 (ko) | 2014-11-03 | 2014-11-03 |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6785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64A1 (ko) * | 2016-12-07 | 2018-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CN108232093A (zh) * | 2016-12-21 | 2018-06-29 | 江苏金阳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圆柱三极耳锂离子电池汇流片的冲切方法 |
WO2019146947A1 (ko) * | 2018-01-29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WO2019190054A1 (ko) * | 2018-03-27 | 2019-10-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90127283A (ko) * | 2018-05-04 | 2019-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
WO2021080101A1 (ko) * | 2019-10-25 | 2021-04-29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 셀 제조 장비에서 분리막의 접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220008632A (ko) * | 2020-07-14 | 2022-01-2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롤 연결 자동화 장치 |
WO2023013922A1 (ko) * | 2021-08-03 | 2023-02-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단위 셀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
WO2023113485A1 (ko) * | 2021-12-15 | 2023-06-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
SE2151603A1 (en) * | 2021-12-22 | 2023-06-23 | Northvolt Ab | Assembling device for a secondary cell |
WO2023204412A1 (ko) * | 2022-04-21 | 2023-10-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단위 셀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7083B1 (ko) * | 2020-12-14 | 2021-05-27 |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4412A (ko) * | 2006-05-29 | 2007-12-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구조적 안정성과 전해액의 젖음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JP2010257861A (ja) * | 2009-04-28 | 2010-11-11 | Ckd Corp | 積層電池の製造過程に用いられる検査装置 |
KR20120060704A (ko) * | 2010-12-02 | 2012-06-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전극시트 커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
KR20120065478A (ko) * | 2010-12-13 | 2012-06-21 | (주)열린기술 | 포켓팅 전극체 제조장치 |
KR20130008883A (ko) * | 2011-07-13 | 2013-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30015398A (ko) * | 2011-08-03 | 2013-0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판 형성 장치 |
-
2014
- 2014-11-03 KR KR1020140151200A patent/KR10172678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4412A (ko) * | 2006-05-29 | 2007-12-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구조적 안정성과 전해액의 젖음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JP2010257861A (ja) * | 2009-04-28 | 2010-11-11 | Ckd Corp | 積層電池の製造過程に用いられる検査装置 |
KR20120060704A (ko) * | 2010-12-02 | 2012-06-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전극시트 커팅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
KR20120065478A (ko) * | 2010-12-13 | 2012-06-21 | (주)열린기술 | 포켓팅 전극체 제조장치 |
KR20130008883A (ko) * | 2011-07-13 | 2013-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30015398A (ko) * | 2011-08-03 | 2013-0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판 형성 장치 |
Cited B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64A1 (ko) * | 2016-12-07 | 2018-06-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US10497983B2 (en) | 2016-12-07 | 2019-12-03 | Lg Chem, Ltd. | Fo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
CN108232093A (zh) * | 2016-12-21 | 2018-06-29 | 江苏金阳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圆柱三极耳锂离子电池汇流片的冲切方法 |
CN111566862A (zh) * | 2018-01-29 | 2020-08-21 | 株式会社Lg化学 | 制造电极组件的方法以及制造二次电池的方法 |
WO2019146947A1 (ko) * | 2018-01-29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KR20190091745A (ko) * | 2018-01-29 | 2019-08-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CN111566862B (zh) * | 2018-01-29 | 2023-10-17 | 株式会社Lg新能源 | 制造电极组件的方法以及制造二次电池的方法 |
US11749841B2 (en) | 2018-01-29 | 2023-09-05 | Lg Energy Solution,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KR20190113022A (ko) * | 2018-03-27 | 2019-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CN110692157A (zh) * | 2018-03-27 | 2020-01-14 | 株式会社Lg化学 | 用于制造二次电池的装置和方法 |
EP3621140A4 (en) * | 2018-03-27 | 2020-08-05 | Lg Chem, Ltd. |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
CN110692157B (zh) * | 2018-03-27 | 2022-09-06 | 株式会社Lg新能源 | 用于制造二次电池的装置和方法 |
US11978861B2 (en) | 2018-03-27 | 2024-05-07 | Lg Energy Solution,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WO2019190054A1 (ko) * | 2018-03-27 | 2019-10-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20190127283A (ko) * | 2018-05-04 | 2019-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
WO2021080101A1 (ko) * | 2019-10-25 | 2021-04-29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각형 이차전지 셀 제조 장비에서 분리막의 접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220008632A (ko) * | 2020-07-14 | 2022-01-2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롤 연결 자동화 장치 |
WO2023013922A1 (ko) * | 2021-08-03 | 2023-02-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단위 셀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
WO2023113485A1 (ko) * | 2021-12-15 | 2023-06-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
SE2151603A1 (en) * | 2021-12-22 | 2023-06-23 | Northvolt Ab | Assembling device for a secondary cell |
SE546300C2 (en) * | 2021-12-22 | 2024-09-24 | Northvolt Ab | Assembling device for a secondary cell |
WO2023204412A1 (ko) * | 2022-04-21 | 2023-10-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단위 셀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6785B1 (ko)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6785B1 (ko) | 스티치 커팅부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 |
KR101968980B1 (ko) | 절연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643593B1 (ko) |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90845B1 (ko) | 전극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 |
KR101686600B1 (ko) | 전해액 함침용 홀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 |
KR10145516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1507015B1 (ko) | 바이셀의 제조방법 | |
KR20180065231A (ko) |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폴딩 장치 및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
CN103765653B (zh) | 具有优异生产率和安全性的二次电池 | |
KR20180028369A (ko) |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전극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 |
KR101995292B1 (ko) | 중심에 노칭부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 | |
KR20180097243A (ko) | 전극판들의 정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
KR101519372B1 (ko) | 전지셀 제조 장치 | |
KR101650053B1 (ko) | 무기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220017760A (ko) | 적층체의 멀티 zzs 적층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적층체 | |
KR20180113693A (ko) | 용접성이 향상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70022589A (ko) | 전지 소자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KR102070907B1 (ko) | 충방전 시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잉여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70052962A (ko) | 단위셀 정렬 수단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 |
KR101894126B1 (ko) | 전해액 주액 및 가스 배출이 용이한 전지셀 | |
KR101684393B1 (ko) | 안전 분리막을 가진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180081228A (ko) | 단위셀의 위치에 따라 기공률이 상이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CN103918119B (zh) | 具有优异的生产率和安全性的二次电池 | |
KR20170094916A (ko) |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 | |
KR101868205B1 (ko) | 단위셀을 2회 이상 감싸는 분리필름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