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226A - Cut slope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Cut slope reinforc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0226A KR20160050226A KR1020140147918A KR20140147918A KR20160050226A KR 20160050226 A KR20160050226 A KR 20160050226A KR 1020140147918 A KR1020140147918 A KR 1020140147918A KR 20140147918 A KR20140147918 A KR 20140147918A KR 20160050226 A KR20160050226 A KR 201600502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hollow
- cut
- hollow blocks
- fil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64877 Hippospongia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부에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으로 쌓아 절토부를 보강하되 상기 중공블록들의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생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의 정착부를 상기 중공블록의 내부로 돌출시키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빔을 만들거나, 또는 속이 채워진 육각형태의 대형블록들의 사이사이에 소형 중공블록들을 채워서 대형블록들을 보강하면서 식생할 수 있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절토부에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배열하되, 상기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되도록 평탄도를 유지시켜 상기 중공블록들의 접촉면들이 들뜨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블록들에는 흙을 채워 식재하며;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들의 정착부가 끼워지는 상기 어느 한 중공블록들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네일의 정착부들이 결합된 보강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절토부에 경사지게 배열된 중공블록들이 상기 보강구를 통하여 상기 네일에서 지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exagonal hollow blocks are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cut-out portion to reinforce the cut-out portion, wherein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with soil and vegetated so as to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a nail fixing portion A cut slope reinforcement method in which the hollow block is protruded into the hollow block and poured into concrete to form a reinforcing beam, or a small hollow block is filled between hexagonal large blocks filled with the hollow to reinforce the large blocks .
To this end, the hexagonal hollow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in the cut-away portion, and the flatness is maintai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d surface of the cut-off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hollow blocks are connected without lifting.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with soil and planted;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hollow blocks in which the fixing portions of the nails embedded at regular intervals are inserted into the cut-off portion, thereby forming a reinforcement combined with the fixing portions of the nail, Are supported by the nail through the reinforc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토 사면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부에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으로 배치하되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시켜 주변 시야가 트이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공블록들을 벌집모양으로 밀착시켜 인터록킹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중공블록의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생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되, 경사가 급한 절토부의 경우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의 정착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빔을 만들거나, 또는 속이 채워진 대형블록들을 상기 네일의 정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대형블록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중공블록들을 채워서 식생할 수 있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 slope reinforc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t slope reinforcement method in which a hexagonal hollow block is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cut- So that interlocking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hollow block is filled with soil and vegetated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case of the cut-out portion in which the slope is urgent, the nail settled in the c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 slope reinforcement method in which a reinforcing beam is poured by pouring concrete into a concrete block, or large blocks filled with hollows are fixed to a fixing portion of the nail and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between the large blocks.
일반적으로 암반을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는 경사면에 대하여 보강이 필요하다.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조경시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육각블록) 또는 자연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이 제시될 수 있다.Generally, the cut-off portion formed by incising the rock requires reinforcement on the inclined surface. Especially, it should be applied not only safety and economical but also landscape method considering exterior aesthetics. A retaining wall structure (hexagonal block) using concrete casting or a stone wall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 can be presented to reinforce the slope.
암반을 보강하는 공법으로 종래특허 제995815호, 특허 제594496호 및 특허공개 제2004-0021920호는 절토면에 숏크리트를 시행하여 경사면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이들 공법은 대부분 1차 숏크리트를 약 75mm 두께로 타설하고 그 위에 보강용 와이어 매쉬를 깔고 다시 2차 숏크리트를 약 75mm 두께로 타설하여 숏크리트층이 150mm두께가 되도록 하는 공법이 시행된다.As a method for reinforcing a rock, conventional patents No. 995815, No. 594496, and No. 2004-0021920 disclose a method for reinforcing a slope by performing shotcrete on the cut surface. In most of these methods, the first shotcrete is poured to a thickness of about 75mm, the reinforcement wire mesh is laid on the first shotcrete, and the second shotcrete is poured to a thickness of about 75mm to make the shotcrete layer have a thickness of 150mm.
그러나 숏크리트를 1,2차로 나누어 시공하다 보니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숏크리트를 한번에 원하는 두께로 시공하다 보면 숏크리트의 중간에 와이어 매쉬가 매설되도록 할 수 없기 때문에 숏크리트를 두번에 나누어 시공해야되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shotcrete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ections, it takes a lot of construction time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When the shotcrete is applied at a desired thickness at a time,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that the shotcrete sh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because the wire mesh can not be buried in the middle of the shotcrete.
또한 숏크리트층의 표면에 블록을 설치하여 마감처리하는 과정에서 숏크리트층과 블록의 사이 틈새로 몰탈을 주입하여 틈새가 매워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몰탈 주입과정에서 아래쪽 블록으로 몰탈이 흘러내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의 설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mortar is injected into the gap between the shotcrete layer and the block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by installing the block on the surface of the shotcrete layer. However, since the mortar flows down to the lower block during the injection of the morta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workability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a blocking membrane to prevent this.
종래 특허등록 제1338897호는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사각블록을 종횡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플렉서블 연결재인 와이어로 결속하여 사각블록들이 휘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반원형 측구, 방음벽, (보강토)옹벽, 유수지와 같은 구조물을 블록구조물로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Conventional Patent Registration No. 1338897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square blocks using concrete pouring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which are flexible connecting members and rectangular blocks can be bent and installed, and structures such as semicircular countersunk, soundproof walls, retaining walls, So that it can be constructed as a block structure.
그러나 상기 사각블록들이 와이어를 통하여 결속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사각블록과 사각블록들의 적층시 접촉면들의 인터록킹이 약해 틈새가 벌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quare blocks are bound together through the wires, workability is lowered, interlocking of the contact surfaces when the rectangular blocks and the square blocks are stacked is weak,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gap is widened.
종래 PEM공법 또는 PRN공법으로 콘크리트 사각블록을 경사면에 수직으로 세워 보강하는 공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들 공법은 경사면에서 수직으로 사각블록들이 세워지므로 이들 사이 공간으로 흙이나 잡석등의 뒷채움재를 적층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높은 경사면의 경우 사각블록들의 수직벽이 높게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불안정해보이고, 시야가 가려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concrete square block is vertically erected on a slope by a conventional PEM method or a PRN method. These methods have the problem of stacking backfill materials such as soil or rubble because the rectangular blocks are vertically erected on the slope. In the case of the high slope, the vertical walls of the square blocks are formed to be visually unstable , And visibility is blocked.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 또는 암반의 절토부에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으로 쌓되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시켜 주변 시야가 트이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공블록들을 벌집모양으로 적층하여 인터록킹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상기 중공블록의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생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되, 경사가 급한 절토부의 경우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의 정착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빔을 만들거나, 또는 속이 채워진 대형블록들을 상기 네일의 정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대형블록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중공블록들을 채워서 식생할 수 있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low block having a hexagonal shape, which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ed on a sliced soil of soil or rock, In addition, the hollow blocks are stacked in a honeycomb shape so that interlocking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the hollow block is filled with soil and vegetated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the case of the cut- A reinforcing beam is poured into a fixing part of a nail embedded in the gap, or a large reinforced beam is fixed to the fusing part of the nail, and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between the large blocks, It is about the construction metho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절토부에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배열하되, 상기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되도록 평탄도를 유지시켜 상기 중공블록들의 접촉면들이 들뜨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블록들에는 흙을 채워 식재하며;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들의 정착부가 끼워지는 상기 어느 한 중공블록들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네일의 정착부와 상기 중공블록들이 결합된 보강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절토부에 경사지게 배열된 중공블록들이 상기 보강구를 통하여 상기 네일에서 지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To this end, the hexagonal hollow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in the cut-away portion, and the flatness is maintai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loped surface of the cut-off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hollow blocks are connected without lifting.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with soil and planted;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hollow blocks in which the fixing portions of the nails embedded at equal intervals are equally spaced, thereby forming a reinforcing hol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of the nail and the hollow blocks are coupled, And the arranged hollow blocks are supported by the nail through the reinforcing opening.
본 발명에 따르면 절토부에 숏크리트를 시행하지 않고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으로 배치하여 보강함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또한 중공블록의 내부로 흙을 채우고 식재하여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construction by arranging hexagon-shaped hollow blocks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without performing shotcrete in the cut-out portion, and also to provide advantages such as filling the inside of the hollow block and planting it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 .
경사가 완만한 절토부의 경우 중공블록들을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시켜 접촉면들이 밀착되도록 경사면에 벌집모양의 종횡으로 배열하여 전개한다. 이처럼 경사면을 따라 시공하면 경사면이 높게 형성된 곳이더라도 종래 방식의 수직으로 블록을 시공할 때보다 주변 시야를 가리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또한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들의 정착부가 어느 한 중공블록의 내부로 끼워져 콘크리트가 채워진 보강구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공블록들이 사방으로 힘을 받더라도 그 힘이 보강구를 통하여 네일에서 지탱되므로 중공블록들의 유동이 억제되고 처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gently sloped cut-out portion, the hollow block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loped surface of the cut-off por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he honeycombs are array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the slopes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lope is applied along the inclined plane, the visibility is visually stabilized even when the inclined plane is formed at a high height, since the peripheral view is not block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vertical block construction.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part of the nails embed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ut part is inserted into one of the hollow blocks and formed as a reinforced hole filled with concrete, the hollow blocks are supported by the nail through the reinforc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flow is suppressed and deflection is prevented.
그리고 중공블록의 내부에 흙을 채운 뒤 식재하면 주변 경관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중공블록은 공장에서 미리 식재하여 준비해 두거나 또는 현장에서 흙을 채우고 식재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inside of the hollow block is filled with soil and plant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landscape alignment. At this time, the hollow block can be planted in the plant in advance, or it can be filled with soil and planted in the field.
경사가 급한 절토부의 경우 네일을 등간격으로 박고 이들 네일들을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네일들의 정착부에 지압판을 대고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빔을 만들고, 이들 보강빔들의 사이사이로 중공블록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중공블록들이 안정적으로 받쳐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ut slope where the slope is urgent, the nail is equally spaced, and a pair of reinforcing beams is made by pouring concrete on the fixing part of the nails so that the two nails form a set, and the hollow blocks are arrang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The blocks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경사가 급한 경우 속이 채워진 육각형태의 대형블록들을 절토부에 네일을 이용하여 시공하되 중간 중간에 대형블록이 없는 빈공간으로 남겨두어 식재하거나 또는 빈공간에 상기 대형블록보다 작은 중공블록을 배치하여 식재하는 방법으로 시공함으로써,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시공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lso, when the slope is urgent, the hexagonal large blocks filled with hollows are constructed by using nails in the cut-out portion, but they are left as empty spaces without the large blocks in the middle, or hollow blocks smaller than the large blocks are arranged in the empty spaces By constructing by plant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diversify construction metho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강공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강공법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강공법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강공법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1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ement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ement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ement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front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강공법으로써, 경사면이 비교적 완만한 곳에 적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육각형태의 중공블록(20)이 절토부(10)에 종횡으로 적층 구비된다. 상기 중공블록(20)은 내부에 식재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며, 윗면 및 아랫면 또는 옆쪽의 경사면들은 중공블록(20)들이 벌집모양으로 접촉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앞쪽의 높이와 뒤쪽의 길이의 비는 2 : 1의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1 to 3,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ere the inclined surface is relatively gentle. The hexagonal-shaped
그리고 절토부(10)에는 종횡으로 다수의 네일(11)이 등 간격으로 박혀 구비되고, 상기 네일(11)의 정착부는 상기 어느 한 중공블록(20)들의 내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네일(11)의 정착부에 지압판(12)을 체결하고, 중공블록(2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면 중공블록(20)과 네일(11)의 정착부가 일체감 있게 결합된 보강구(30)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강공법은 절토부(10)에 숏크리트를 타설할 필요가 없으며 수직으로 블록을 쌓는 종래 PEM공법 및 PRN공법에 비하여 주변시야의 확보가 용이하고 안정감을 주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advantage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secure the peripheral view and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EM method and PRN method in which blocks are stacked vertically without the need to install shotcrete in the cut- The order of construction is as follows.
먼저 절토부(10)의 바닥 기초면에 일렬로 중공블록(20)을 나열하고 그 위쪽으로 다른 중공블록(20)들을 벌집모양으로 조립한다. 이때 바닥 기초면에는 반장 짜리 중공블록과 온전한 중공블록(20)들이 교대로 번갈아 설치되어 평탄도를 맞춘다. 그리고 절토부(10)의 경사면에 요철이 심할 경우 뒷채움재로 흙이나 몰탈을 뿌려 경사면과 나란하게 평탄도를 맞추면서 중공블록(20)들을 벌집모양으로 배열하여 접촉면들이 들뜨지 않고 인터록킹되도록 한다.First, the
상기 중공블록(20)들을 벌집모양으로 절토부(10)에 종횡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절토부(10)에 박힌 네일(11)의 정착부가 어느 한 중공블록(20)의 내부로 돌출된다. 시공과정에서 네일(11)의 정착부에 지압판(12)을 설치하고 중공블록(2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면 네일(11)의 정착부와 중공블록(20)의 내부가 일체감 있게 결합된 보강구(30)가 만들어진다.The
도 3에서와 같이 중공블록(20)이 절토부(10)에 시공되고 나면 네일(11)이 박혀 보강구(30)로 형성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중공블록(20)은 흙을 채우고 식재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상기 중공블록(20)들은 벌집모양으로 여섯 방향의 측면들이 접촉되어 사방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어느 한 중공블록(20)이 국부적인 힘을 받더라도 그 힘이 이웃한 다른 중공블록(20)으로 전달되어 분산되므로 안정적인 인터록킹이 유지된다. 또한 네일(10)의 정착부에 고정된 보강구(30)가 중간중간에 구비되므로 중공블록(20)들이 보강구(30)를 통하여 네일(11)에서 지탱되어 전체적으로 쏠림현상이나 흐트러짐 없이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된다.3, after the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절토부(10)의 경사면이 급한 경우 시공되는 방식으로써, 절토부(10)에 다수의 네일(11)을 박고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중공블록(20)의 높이 만큼 콘크리트를 채워 보강빔(31)을 만든다. 그리고 보강빔(31)의 사이사이로 중공블록(20)들을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결합하여 인터록킹 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강공법은 경사가 급한 절토부에 시공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네일(11)을 절토부(10)에 박아 고정시키고 이들 네일(11)들의 정착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보강빔(31)을 양생한 것이다. 보강빔(30)은 중공블록(20)의 육각형태의 외형에 맞게 양단이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중공블록(20)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이들 보강빔(31)의 사이사이로 중공블록(20)들이 꼭 맞게 끼워져 벌집모양으로 결속된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truncated portion where a slope is urgent. A plurality of
따라서 경사가 급한 절토부(10)에 중공블록(20)들을 경사면과 나란하게 시공하더라도 보강빔(31)들에 의해 중공블록(20)들의 처짐이 억제된다. 또한 중공블록(20)들과 보강빔(31)은 벌집모양으로 접촉면들이 연결되어 어느 한쪽으로 국부적인 힘을 받지 않고 쏠림현상이 억제된다. 그리고 보강빔(31)들이 중간중간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중공블록(20)들을 받쳐주고 있으므로 경사가 급한 절토부(10)라도 중공블록(20)들이 경사면과 나란하게 사선으로 시공되어 주변시야를 가리지 않는다.Therefore, even if the
도 5는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로써, 경사가 급한 절토부에 시공된다. 이는 속이 채워진 대형블록(20a)들을 절토부(10)에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배치하되 중간중간에 대형블록(20a)이 빠진 공간부를 만들고 이 공간부에 소형블록(20b)을 벌집모양으로 다수개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대형블록(20a)들은 절토부(10)에 박힌 네일(11)의 정착부에 체결한 것이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lope is cut in a slope. This is because the
이처럼 구성하면 대형블록(20a)과 소형블록(20b)이 조화를 이뤄 안정감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써,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절토부(10)에 속이 채워진 대형블록(20a)들을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배치하고, 중간중간은 대형블록(20a)이 빠진 공간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공간부에 흙을 채우고 식재하여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10 : 절토부 11 : 네일
20 : 중공블록 20a : 대형블록
20b : 소형블록 30 : 보강구
31 : 보강빔10: Cutting section 11: Nail
20:
20b: Small block 30: Reinforcement hole
31: Reinforcing beam
Claims (3)
상기 중공블록들에는 흙을 채워 식재하며;
상기 절토부에 등간격으로 박힌 네일들의 정착부가 끼워지는 상기 어느 한 중공블록들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네일의 정착부와 상기 중공블록들이 결합된 보강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절토부에 경사지게 배열된 중공블록들이 상기 보강구를 통하여 상기 네일에서 지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The hexagonal hollow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side of the cut block so that the flat surfaces of the hollow blocks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cuts so as to allow the contact surfaces of the hollow blocks to be connected unexpectedly;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with soil and planted;
The concrete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hollow blocks in which the fixing portions of the nails embedded at equal intervals are equally spaced, thereby forming a reinforcing hol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of the nail and the hollow blocks are coupled, And the arranged hollow blocks are supported by the nail through the reinforcing hole.
상기 절토부에 상기 육각형태의 중공블록을 종횡의 벌집모양으로 배열하되, 상기 절토부의 경사면과 나란하게 최대한 밀착되도록 평탄도를 유지시켜 상기 중공블록들의 접촉면들이 들뜨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빔들의 사이사이로 상기 중공블록들이 밀착되어서 상기 보강빔을 통하여 상기 네일에서 지탱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블록들에는 흙을 채워 식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The fixing part of the nails is cured by concrete so as to form a pair of nails among the nails embed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ut part, and the reinforcing beam has a shape in which the hexagonal hollow block is elongated sideways;
Wherein the hexagonal hollow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lat surfaces of the hexagonal hollow blocks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 sloped surfaces of the cut- Said hollow blocks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supported on said nail via said reinforcing beam;
Wherein the hollow blocks are filled with soil to plant the hollow blocks.
상기 대형블록들은 절토부에 박힌 네일들의 정착부와 체결되며;
상기 대형블록들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대형블록이 빠진 공간부를 만들고, 이 공간부에 상기 대형블록보다 작은 소형블록을 채우거나 또는 상기 공간부에 흙을 채우고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 사면 보강공법.The hexagonal large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hape in the cut-away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urfaces of the large blocks are connected without hunch while maintaining the flatness so as to be closely adhered in parallel with the sloped surfaces of the cut-
The large blocks are fastened to the fixing portion of the nails embedded in the cut-out portion;
Wherein a space portion missing the large block is formed between the large blocks, and a small block smaller than the large block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or soil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and plan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918A KR20160050226A (en) | 2014-10-29 | 2014-10-29 | Cut slope reinforc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918A KR20160050226A (en) | 2014-10-29 | 2014-10-29 | Cut slope reinforc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226A true KR20160050226A (en) | 2016-05-11 |
Family
ID=5602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7918A Ceased KR20160050226A (en) | 2014-10-29 | 2014-10-29 | Cut slope reinforc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50226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98954A (en) * | 2016-11-23 | 2017-03-15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High steep soil deformation slope retaining structure |
CN108842803A (en) * | 2018-07-04 | 2018-11-20 | 重庆交通大学 | A kind of association type landslide fender pile |
CN109972638A (en) * | 2019-04-26 | 2019-07-05 | 杭州昂创科技有限公司 |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assembled thin-wall mould-shell lattice girder ecological slope protection |
CN110468837A (en) * | 2019-07-25 | 2019-11-19 |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 kind of sandy gravel stratum basis upper lock guide wall pile foundation empties defect-restoration method therefor and device under water |
CN112832269A (en) * | 2021-01-14 | 2021-05-25 | 佛山市南海市政工程有限公司 | Road slope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2014
- 2014-10-29 KR KR1020140147918A patent/KR2016005022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98954A (en) * | 2016-11-23 | 2017-03-15 |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High steep soil deformation slope retaining structure |
CN108842803A (en) * | 2018-07-04 | 2018-11-20 | 重庆交通大学 | A kind of association type landslide fender pile |
CN109972638A (en) * | 2019-04-26 | 2019-07-05 | 杭州昂创科技有限公司 | The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assembled thin-wall mould-shell lattice girder ecological slope protection |
CN110468837A (en) * | 2019-07-25 | 2019-11-19 |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A kind of sandy gravel stratum basis upper lock guide wall pile foundation empties defect-restoration method therefor and device under water |
CN112832269A (en) * | 2021-01-14 | 2021-05-25 | 佛山市南海市政工程有限公司 | Road slope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2832269B (en) * | 2021-01-14 | 2021-11-16 | 佛山市南海市政工程有限公司 | Road slope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4010B1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101707523B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scade retaining wall for slope prote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20160050226A (en) | Cut slope reinforcement | |
KR10110314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638093B1 (en) | Rahmen using hinge type pc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JP2017096063A (en) | Earth retaining excavation method and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 |
KR101287739B1 (en) | Sheet pile combined modular bridge abu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649874B1 (en) | Retaning wall using formative block | |
KR20120055315A (en) |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 |
KR101609249B1 (en) |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 |
KR101278326B1 (en) | Sculpture Stone and Sculpting Wall | |
KR100970303B1 (en) | Revetment-block | |
JP6196088B2 (en) | Integrated foundation formwork and foundation formwork connection structure | |
KR101088477B1 (en) | Multi retaining wall block to which various reinforcements can be applied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06919B1 (en) | Panel retaining walls with displacement forecast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80106715A (en) | Retaining Wall Block System | |
JP2017223047A (en) | Calvert wall structure and culvert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001058U (en) | Stone Panel | |
US9267282B2 (en) |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 |
KR200461055Y1 (en)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 |
KR200461591Y1 (en)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 |
US20090110491A1 (en) |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 |
KR102177744B1 (en) | Underground parking lot structure with PC wall | |
KR101168859B1 (en) | 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using the same | |
JP5826699B2 (en) | Building block,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wal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