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058U - Stone Panel - Google Patents
Stone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1058U KR20090001058U KR2020070012527U KR20070012527U KR20090001058U KR 20090001058 U KR20090001058 U KR 20090001058U KR 2020070012527 U KR2020070012527 U KR 2020070012527U KR 20070012527 U KR20070012527 U KR 20070012527U KR 20090001058 U KR20090001058 U KR 2009000105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stone panel
- protrusion
- stone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치가 간단하고, 다양한 건축 및 토목 시공 현장에의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terials for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type of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stone panel that is simple to install and applicable to various construction and civil construction sites.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요입홈과는 대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입홈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판넬이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formed in a flat shape; A recess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comprises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 groove, the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stone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recess groove.
토목 시공용 자재, 석재 판넬, 요입홈, 돌출부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stone panels, recessed grooves, protrusions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치가 간단하고, 다양한 토목 시공 현장에의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terials for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type of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stone panel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applied to various civil construction sites.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는 건축물, 토목 공사 현장, 절개지 혹은, 강둑 조성 등에 사용되는 자재를 의미하며, 주로 벽돌이나 경계석, 보드블록, 축대용 블록 등이 이에 해당된다.In general, materials for construction and civil construction means materials used in building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s, incisions, or river banks, and the like are mainly bricks, boundary stones, board blocks, and shaft blocks.
상기한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해당 공사 현장에 제공되고 있다.The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ir use and ar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site.
하지만, 통상적인 도로 등의 포장이나 절개지 혹은, 강둑 조성 등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채택하고 있을 뿐 블록화된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예컨대, 벽돌 등)로는 그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However, the pavement, cutting area, or river bank composition of ordinary roads, etc. adopts the paving method using asphalt or concrete, but the construction is not performed with blocked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for example, bricks). .
이는, 블록화된 건축 토목 시공용 자재의 경우 각 블록이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충분한 하중의 지지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어느 한 블록(혹은, 특정 부분에 대한 소수의 블록들)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부위에 대한 하중의 균형이 파괴되어 전체 구조물의 붕괴 위험이 야기되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locked building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since each block is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ufficient load support cannot be obtained. In other words, the breakage or damage of any one block (or a small number of blocks for a particular part) breaks the balance of the load on that part, resulting in the risk of collapse of the entire structure.
특히, 전술한 기존의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를 이루는 블록들은 수직 방향으로의 적층만 가능하였을 뿐 절개지나 강둑과 같은 경사 벽면에 대한 설치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blocks of the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can onl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ere not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inclined walls such as incisions or river banks.
뿐만 아니라, 기존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강도가 약함으로 인해 도로의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곳에의 활용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and civil construction materials consisting of the existing blocks could not be used for pavement of the road due to the weak strength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various places is low.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부분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 간의 연계를 통한 큰 하중의 지지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자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arts while having a strong strength, so that the support of a large load through the linkage between a plurality of It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materia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석재 판넬에 따르면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요입홈과는 대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요입홈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ton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flat plate; A recess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comprises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recess groove.
여기서, 상기 요입홈 및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단변측 혹은, 장변측 방향을 따라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다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ecess and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long the short side or long sid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경사 벽면에의 시공에 사용되는 몸체부의 경우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요입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used for construction on the inclined wa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groove and the projection is not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각 부위 중 상기 요입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상기 각 돌출부들 간의 열간 간격 및 행간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while forming the same interval as the gap between the gap between each of the protrusions and the interval between each of the protrusions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not formed. do.
이와 함게,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 상기 각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크레인 등의 와이어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groove which can catch a wire such as a crane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이때, 상기 각 관통공들이 상기 몸체부의 내측 부위에 복수 열을 이루면서 형성될 경우 상기 걸림홈은 상기 인접된 각 관통공을 서로 연통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 관통공들이 상기 몸체부의 외측 부위에 형성될 경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관통공 및 이 관통공에 인접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서로 연통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each of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inn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engag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through holes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are the ou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n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각 요입홈은 홀수 혹은, 짝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돌출부는 짝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cave grooves are formed to form an even or even row, and each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to form an even row.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다수의 강도 보강용 철근이 내설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for strength reinforcement.
이때, 상기 각 강도 보강용 철근은 상기 돌출부에도 내설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protrus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은 요입홈 및 돌출부가 동일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의 적층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시공 완료된 모든 석재 판넬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큰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stone pa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recessed grooves and the protrusions to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respectively, so that stacking and joining in various forms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achieve stable support of large loads.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은 다수가 적층된 상태로 결합될 경우 각각에 형성된 요입홈 및 돌출부 간의 결합으로 인해 모든 석재 판넬이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하중이나 수평 하중의 제공시 상기한 하중이 모든 석재 판넬로 분산되기 때문에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stone panel for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bined in a stacked state, all the stone panels are substantially integrated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recessed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in each of them. 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load or the horizontal load is provided, the above-mentioned load is distributed to all the stone panels, so that the damage can be minimized.
특히,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은 적층 결합을 통한 간단한 결합에 의해 원하는 구조물의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stone panel for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desired structure is made by a simple coupling through the laminated coupling to shorten the overall construction period,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석재 판넬은 인력으로는 운반하기 힘들 정도의 크기로 제공되어 크레인 등으로 운반하여야 할 경우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하중이 전 부위로 고르게 분산되어 응력 집중에 따른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such a size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by manpower, and when carried by a crane, the load carried by the crane is evenly distributed to all parts to prevent break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Can have the effect.
이하,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및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tone panel for building and civi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100)은 강둑이나 절개지 등과 같은 경사 벽면의 시공을 위한 평판형의 석재 판넬임을 그 예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우선,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100)은 크게 몸체부(110)와, 요입홈(120) 및 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특히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요입홈(120)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mponent as follows.
먼저, 상기 몸체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상기 몸체부(11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100)의 외형을 이루 는 부위로써 평판형의 콘크리트 판넬로 형성된다.The
특히, 상기한 몸체부(110)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단변측 및 장변측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물론, 상기한 몸체부(110)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다음으로, 상기 요입홈(12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상기 요입홈(120)은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요입홈(120)은 대략 상기 몸체부(110) 두께의 절반 정도에 해당되는 깊이만큼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단변측 방향 혹은, 장변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요입홈(120)이 상기 몸체부(110)의 두 장변측 간의 대향 방향을 따라 2개씩 2열로 형성됨을 예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요입홈(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측 부위에는 형성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이는, 각 몸체부(110)를 경사지게 적층할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측 부위(어느 한 장변측 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을 고려할 때 상기 요입홈(120)의 형상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이와 함께, 상기한 각 요입홈(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두 단변측 간의 대향 방향에 대한 거리를 4등분 하였을 경우 1/4 지점 및 3/4 지점에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Along with this, each of the
다음으로, 상기 돌출부(13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상기 돌출부(13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요입홈(120)과는 대응되게 형성된 일련의 구성이다.The
즉, 상기 돌출부(130)는 다수의 몸체부(110)를 서로 적층시켰을 때 어느 한 몸체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130)가 다른 한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홈(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돌출부(130)는 해당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요입홈(120)의 직하방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요입홈(120)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구성은 서로 다른 두 몸체부(110) 간의 적층이 원활하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make the stacking between the two
특히, 전술한 돌출부(130) 역시 요입홈(120)과 동일하게 상기 몸체부(110)의 단변측 방향 혹은, 장변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면서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돌출부(130)가 상기 몸체부(110)의 두 장변측 간의 대향 방향을 따라 2개씩 2열로 형성됨을 예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이때,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측 부위에는 형성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110)의 중앙측 부위에만 2열로 형성됨을 제시한다.At this time, the
전술한 일련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20)은 홀수 혹은, 짝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지만, 상기한 돌출부(130)는 항상 짝수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configurations, the
예컨대, 요입홈(120)이 3열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돌출부(130)는 2열로만 형성하는 것이다.For example, even if the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10)의 각 부위 중 상기 요입홈(120) 및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상기 각 돌출부(130)들 간의 열간 간격 및 행간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140)이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interval between the
상기한 관통공(140)은 상기 돌출부(130)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 요입홈(120)과는 별개로 추가하여 형성되는 구성임과 더불어 토목 시공용 석재 판넬(100)이 대형이기 때문에 크레인 등으로 옮겨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 크레인의 고리에 걸리는 와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The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한 몸체부(110)의 내부에 강도 보강을 위한 다수의 강도 보강용 철근(150)이 내설됨을 추가로 제시한다.In additio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uggests that a plurality of
물론, 상기한 각 강도 보강용 철근(150)은 상기 돌출부(130)에도 내설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130)에 의한 각 몸체부(110) 간의 결합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중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각 돌출부(13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each of the strength reinforc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100)의 구성은 각 몸체부(110) 간이 서로 적층되도록 설치하였을 경우 모든 몸체부(110)가 각 돌출부(130) 및 요입홈(120) 간의 결합으로 인해 서로 단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즉, 각 몸체부(110) 간의 결합으로 인해 서로 일체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평 하중이나 수직 하중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각 몸체부(110) 전체로 상기 하중들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석재 판넬(100)들을 이용하여 경사진 상태의 제방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n inclined bank using a plurality of
먼저, 석재 판넬(100)의 기초를 설치하기 위한 노면을 평탄하게 정리한다.First, the road surface for installing the foundation of the
이후, 상기 노면에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100)을 각각 포장한다.Then, the
이때, 노면에 포장되는 석재 판넬(100)은 돌출부(130)가 형성되지 않고, 단순히 요입홈(120) 및 관통공(140) 만이 형성된 판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되더라도 상관은 없다. 이는, 상기 돌출부(130)가 노면에 요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각 몸체부(110)로 제공되는 수평 하중이 상기 지면으로도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최하층의 석재 판넬들(이하, “1층 판넬들”이라 함) 상면으로 또 다른 석재 판넬들(이하, “2층 판넬들”이라 함)을 각각 결합한다.Next, each of the other stone pan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wo-layer panels") are joined to the top of the lowermost stone pan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layer panel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2층 판넬들의 각 몸체부(이하, “제1몸체부”라 함)(111)는 상기 1층 판넬들을 이루는 두 몸체부(이하, “제2몸체부” 및 “제3몸체부”라 함)(112,113)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설치한다.At this time, each body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body portion") 111 of the two-layer panels are two body por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body portion" and "third body portion" forming the first layer panels. ”) 112, 113 to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즉, 첨부된 도 4와 같이 1층 판넬들을 이루는 제2몸체부(112)의 상면에 2층 판넬들을 이루는 제1몸체부(111)의 일부를 얹고, 상기 제2몸체부(112)의 측편에 설치되는 제3몸체부(113)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부(111)의 나머지 일부를 얹는 것이다.That is, a part of the
이의 경우 상기 2층 판넬들을 이루는 몸체부(111)의 각 돌출부(130)는 1층 판넬들을 이루는 두 몸체부(112,113)의 요입홈(120)에 각각 결합된다.In this case, each
이와 함께, 상기 2층 판넬들의 각 몸체부(111)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1층 판넬들의 각 몸체부(112,113)에 비해 각 열의 요입홈(120) 간의 간격만큼 후퇴되도록 설치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물론, 시공 대상지가 경사진 상태의 제방이 아니라 수직한 벽면일 경우에는 각 몸체부(111,112,113)들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도록 수직하게 적층하면 된다.Of course, when the construction site is a vertical wall instead of a bank in an inclined state, it may be stacked vertically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따라서, 각 석재 판넬(100)들은 실질적으로 모두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하중이 제공되더라도(예컨대, 태풍이나 홍수 등이 발생되더라도) 상기한 하중은 상기 각 석재 판넬(100)들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그 파손이 방지된다.Therefore, each
특히, 상기한 석재 판넬(100)은 몸체부(110) 내에 강도 보강용 철근(150)이 내설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더욱 큰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전술한 각 석재 판넬(100)들은 단순히 끼워 맞춤 형식으로 적층함으로써 그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200) 이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to Figure 8 is attached to the
상기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는 대형 도로 등의 포장에 적합한 구조의 석재 판넬(200)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이러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200)에 따르면 기본적인 구조는 제1실시예에서의 석재 판넬(100)의 구조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하되,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대형으로 제조된다.According to the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200)은 몸체부(210)의 외곽측 부위인 두 장변측 부위에 요입홈(220) 및 돌출부(230)가 각각 동일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각 요입홈(220)의 직하방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몸체부(210)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요입홈(220) 혹은, 돌출부(230)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2열로 배치된 관통공(240)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enter portion of the
상기한 배치를 이루는 각 관통공(240)은 상기 몸체부(210)가 대형임을 고려할 때 크레인 등의 와이어가 두 관통공(240)씩 동시에 관통하여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에 의한 이송시 상기 몸체부(210)에 걸리게 되는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Each through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저면 중 상기 각 관통공(240)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크레인 등의 와이어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260)이 요입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걸림홈(260)은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위치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 부(21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거나 설치하는 도중 원치않는 곳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attached to each of the through
특히, 상기한 걸림홈(260)은 두 인접된 관통공(24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와이어의 안정적인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locking
이때, 첨부된 도 8의 미설명 부호 250은 몸체부(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210) 내에 내설되는 강도 보강용 철근이다.In this case,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로 인해 첨부된 도 8과 같이 각 석재 판넬(200) 간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결합될 경우 몸체부(210)의 전 부위로 고른 하중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그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여 대형 도로 등의 포장에 적합하다.Due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each
한편,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300)이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s 9 to 11 attached are shown a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300)은 요입홈(320) 및 돌출부(230)를 몸체부(310)의 중앙측 부위에 2열을 이루면서 복수로 각각 형성하여 각 석재 판넬(3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관통공(340)은 상기 몸체부(310)의 외곽측(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하여 크레인 등의 와이어가 설치될 경우 그 운반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몸체부(310)의 전 부위로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물론,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몸체부(310)의 저면 중 상기 관통공(340)에도 걸림홈(36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의 경우 상기 걸림홈(360)은 상기 관통 공(340) 및 이 관통공(340)에 인접한 상기 몸체부(310)의 둘레면을 서로 연통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as shown in Figure 10 attached to the through
이때, 첨부된 도 11에서 미설명 부호 350은 몸체부(3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10) 내에 내설되는 강도 보강용 철근이다.In this case,
한편, 첨부된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이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shown is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달리 돌출부(430)가 몸체부(410)와는 별개로 제조됨을 제시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즉, 몸체부(410)의 상면 뿐만 아니라 저면에도 요입홈(420)을 다수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각각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돌출부(430)는 상기 몸체부(410)와는 별개로 제조한 후 상기 각 요입홈(420)에 선택적으로 요입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not only the top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몸체부(4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입홈(420) 및 상기 몸체부(4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요입홈(420)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구성은, 석재 판넬의 운반시 돌출부(43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석재 판넬의 적재량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여 물류비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석재 판넬 간의 결합도 빠르고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Such a configuration allows the breakage of the
특히, 전술한 일련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석재 판넬의 적용 장소나 적용 부위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개수 및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number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otrusions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lace or application site of the stone panel.
즉, 석재 판넬의 적용 장소가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이 큰 곳에 적용될 경우나 수평 하중이 크게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될 경우 상기 하중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모든 요입홈(420)에 돌출부(430)를 각각 요입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수평 하중이 작게 발생되는 부위에 설치된다면 각 요입홈(420) 중 일부의 요입홈(420)에만 돌출부(430)를 삽입 결합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application site of the stone panel is applied to the place where the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arge or installed in the site where the horizontal load is largely generated, the
이때,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7은 각 요입홈(420) 중 일부의 요입홈(420)에만 돌출부(430)가 삽입 결합된 상태의 설치 예가 도시되고 있다.At this time, Figure 15 to 17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미설명 부호 401은 운반이나 적재를 위해 석재 판넬을 파지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걸림홈이고, 미설명 부호 450은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 보강용 철근이다.
한편,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이 도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8 to 20 attached is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즉,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은 돌출부(530) 및 요입홈(520)이 장변측 및 단변측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돌출부(530) 및 요입홈(520)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상기한 일련의 구성은 몸체부(5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상기 돌출부(530)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The series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configuration to more stably support the load provid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이러한 돌출부(530) 및 요입홈(520)의 형상은 기 전술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미설명 부호 550은 몸체부(5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우한 강도 보강용 철근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석재 판넬은 전술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와 같이 제방이나 절개지 혹은, 도로 포장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used only for embankment, cutout, or road pavement as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컨대, 건축물의 시공을 위한 벽돌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도 블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교각 등의 제조를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활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ric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may be formed as a sidewalk block, may be formed in a shape for the manufacture of piers, etc. can be us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중 저면에 대한 형상 및 요입홈과 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and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적층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을 이용한 제방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mbankment construction state using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을 이용한 제방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mbankment construction state using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중 저면에 대한 형상 및 요입홈과 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and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적층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of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중 저면에 대한 형상 및 요입홈과 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and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적층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of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중 저면에 대한 형상 및 요입홈과 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 and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도 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적층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of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결합 예를 나타낸 사시도15 to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example of the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외관 중 저면에 대한 형상 및 요입홈과 돌출부 간의 결합 관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stone pane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ssed groove and the protrusion
도 2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석재 판넬의 적층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installation state of a stone pane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2527U KR20090001058U (en) | 2007-07-26 | 2007-07-26 | Stone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2527U KR20090001058U (en) | 2007-07-26 | 2007-07-26 | Stone Pa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1058U true KR20090001058U (en) | 2009-02-02 |
Family
ID=4129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2527U Ceased KR20090001058U (en) | 2007-07-26 | 2007-07-26 | Stone Pa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1058U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365B1 (en) * | 2009-03-24 | 2010-03-22 | (주)대명에이.티.엠 | Reenforcement structure for architectural model made of artificial marble |
WO2015080394A1 (en) * | 2013-11-28 | 2015-06-04 | 주식회사 아웃쿡 | Portable pressure cooking vessel set |
WO2018105879A1 (en) * | 2016-12-06 | 2018-06-14 | 조창제 | Assemblable synthetic resin block |
US20220205187A1 (en) * | 2019-03-28 | 2022-06-30 | Obayashi Road Corporation | Multilayer precast paved road |
-
2007
- 2007-07-26 KR KR2020070012527U patent/KR20090001058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365B1 (en) * | 2009-03-24 | 2010-03-22 | (주)대명에이.티.엠 | Reenforcement structure for architectural model made of artificial marble |
WO2015080394A1 (en) * | 2013-11-28 | 2015-06-04 | 주식회사 아웃쿡 | Portable pressure cooking vessel set |
WO2018105879A1 (en) * | 2016-12-06 | 2018-06-14 | 조창제 | Assemblable synthetic resin block |
US20220205187A1 (en) * | 2019-03-28 | 2022-06-30 | Obayashi Road Corporation | Multilayer precast paved roa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2605B1 (en) | Water storage tank | |
US9951490B2 (en) |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 |
EP2694745B1 (en) |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 |
US20090188186A1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Structural Modules Thereof | |
US20130008125A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 |
JP5372289B1 (en) | Boundary wall structure | |
KR101140378B1 (en) | Reinforcement | |
KR20090001058U (en) | Stone Panel | |
JP2007254974A (en) | 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bridge of composite structure of steel/concrete using shape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bridge | |
KR101289155B1 (en) |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 |
KR101774952B1 (en) |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for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 |
JP2008175036A (en) | Concrete foundation beam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at foundation by connecting concrete foundation beam connecting members | |
KR10107228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US20120017520A1 (en) | Earthquake Proof Wall Panels | |
KR200370135Y1 (en) |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 |
KR102153322B1 (en) | Compoun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3969343B2 (en) |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 |
KR101322420B1 (en) | Precast block wall, Cantilevered slab bridge using precast block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7284617B2 (en) | foundation structure | |
CN203049893U (en) | Cast-in-situ preformed unit of sectional die | |
JP2012136932A (en) |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of existing builing | |
JP2011236722A (en) | Doub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90084568A (en) | Concrete block structures for civil wall construction | |
AU2018202413A1 (en) | Precast Column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JP4902377B2 (en) | Basic structure of concrete block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7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10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9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