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429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8429A KR20160048429A KR1020140145035A KR20140145035A KR20160048429A KR 20160048429 A KR20160048429 A KR 20160048429A KR 1020140145035 A KR1020140145035 A KR 1020140145035A KR 20140145035 A KR20140145035 A KR 20140145035A KR 20160048429 A KR20160048429 A KR 20160048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 output
- watch
- typ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4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4—Interfacing with a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o provide access to telephonic functionalities, e.g. accepting a call, reading or composing a message
- H04M1/724095—Worn on the wrist, hand or a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제 2 디스플레이부의 형태에 따라, 도형 오브젝트의 형태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도형 오브젝트의 형상이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도형 오브젝트의 크기가 결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형 오브젝트의 크기가 증감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형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형 오브젝트 대신 도형 오브젝트를 대표하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이동 단말기의 실시간 출력 화면 중 도형 오브젝트가 지시하는 영역이 제 2 이동 단말기와 공유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형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 변경에 따른 제 2 이동 단말기에서의 출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2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도형 오브젝트의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의해 도형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1 이동 단말기의 실시간 출력 화면 중 도형 오브젝트가 지시하는 영역을 캡처한 캡처 이미지가 제 2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 1 이동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이 제 2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위치 정보가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2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데이터 파일이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 2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사용자가 도형 오브젝트의 내측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한 항목이 제 2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 1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단말기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 1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단말기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 1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단말기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 2 이동 단말기를 통해 메뉴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 1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 제 2 이동 단말기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 1 이동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의해 제 2 이동 단말기의 설정 값이 변경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 1 이동 단말기가 제 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제 2 이동 단말기에서 제 1 이동 단말기로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이미지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51 : 디스플레이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0)
-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와치 타입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정보가 지시하는 타입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도형이거나,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를 대표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형상과 동일한 궤적을 따르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궤적이 형성하는 도형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를 터치한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되,
상기 오브젝트의 일부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출력을 멈추고, 상기 오브젝트를 대표하는 인디케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면, 상기 오브젝트의 출력이 재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위,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가장 최근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윤곽을 따라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내측 영역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캡처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위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의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제 1 사진 및 상기 프리뷰 영상 중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제 2 사진이 촬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진 및 상기 제 2 사진이 촬영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제 2 사진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지도 위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형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대한 주소 정보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파일 목록 위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내측 영역에 포함된 데이터 파일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파일 목록 위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고, 상기 오브젝트의 내측 영역에 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의 스트리밍 재생을 위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파일 목록 위 상기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내측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 파일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을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오브젝트가 지시하는 속성의 데이터 파일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와치 타입 단말기와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는 단계; 및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공유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도형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로 상기 정보가 지시하는 타입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035A KR20160048429A (ko) | 2014-10-24 | 2014-10-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14/873,828 US9826078B2 (en) | 2014-10-24 | 2015-10-02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15188865.8A EP3013023B1 (en) | 2014-10-24 | 2015-10-08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201510684392.2A CN105549870A (zh) | 2014-10-24 | 2015-10-20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035A KR20160048429A (ko) | 2014-10-24 | 2014-10-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8429A true KR20160048429A (ko) | 2016-05-04 |
Family
ID=5433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5035A Ceased KR20160048429A (ko) | 2014-10-24 | 2014-10-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26078B2 (ko) |
EP (1) | EP3013023B1 (ko) |
KR (1) | KR20160048429A (ko) |
CN (1) | CN10554987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8575B1 (ko) * | 2022-10-27 | 2023-10-12 | 주식회사 엠투소프트 | 직원 단말이 고객 단말에서 고객 단말과 공유된 문서의 확대가 필요한 확대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42977B2 (en) * | 2014-09-02 | 2017-08-22 | Apple Inc. | Camera remote control |
KR20160133781A (ko) * | 2015-05-13 | 201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70042431A (ko) * | 2015-10-08 | 2017-04-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양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불균일하게 인코딩/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
KR102319234B1 (ko) * | 2015-10-12 | 2021-11-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US20170109118A1 (en) * | 2015-10-20 | 2017-04-20 | Motorola Mobility Llc | Content monitoring window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
CN106020708A (zh) * | 2016-06-03 | 2016-10-12 | 上海海漾软件技术有限公司 | 一种获取智能穿戴设备的界面显示信息的方法和装置 |
CN106161939B (zh) * | 2016-07-27 | 2021-08-24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一种照片拍摄方法及终端 |
TWI801872B (zh) | 2016-10-12 | 2023-05-11 | 米朗 艾哈迪瑞 | 可穿戴式裝置、用於其中之充電及通信之方法及用於可穿戴式裝置與充電裝置之間的充電及除錯通信之系統 |
WO2018124689A1 (en) * | 2016-12-29 | 2018-07-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
JP2019105678A (ja) * | 2017-12-11 | 2019-06-2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
KR102656447B1 (ko) * | 2018-02-27 | 2024-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트롤러와 접촉된 신체 부위에 따라 그래픽 객체를 다르게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CN109358486A (zh) * | 2018-10-25 | 2019-02-19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一种电话手表的表盘控制方法及电话手表 |
CN113157230A (zh) * | 2019-09-18 | 2021-07-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相关设备 |
CN114115629B (zh) | 2020-08-26 | 2025-01-1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界面显示方法及设备 |
CN114764298B (zh) | 2020-07-29 | 2023-03-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
CN114077411A (zh) * | 2020-08-11 | 2022-02-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据传输方法和设备 |
CN116171568B (zh) * | 2020-08-13 | 2024-12-27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调用其他设备能力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
EP3961368A1 (en) * | 2020-08-23 | 2022-03-02 | TeamViewer Germany GmbH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piloting a remote device with a local device |
CN113015091A (zh) * | 2021-03-16 | 2021-06-22 | 北京时代凌宇信息技术有限公司 | 运动轨迹跟踪显示系统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30153B1 (fr) | 2001-09-21 | 2004-07-02 | France Telecom | Ensemble de transmission d'images numeriques, procedes mis en oeuvre dans un tel ensemble, dispositif d'emission d'images numeriques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numeriques |
US8631451B2 (en) * | 2002-12-11 | 2014-01-14 | Broadcom Corporation | Server architecture supporting adaptive delivery to a variety of media players |
US7343177B2 (en) * | 2005-05-03 | 2008-03-11 | Broadcom Corporation | Modular ear-piece/microphone (headset) operable to service voice activated commands |
US7636794B2 (en) * | 2005-10-31 | 2009-12-22 | Microsoft Corporation |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
US8332144B2 (en) * | 2005-12-31 | 2012-12-11 | Alpine Electronics, Inc | Imag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with portable navigation unit |
ATE543691T1 (de) * | 2006-12-20 | 2012-02-15 | Johnson Controls Tech Co | Fernanzeige-wiedergabesystem und -verfahren |
US8498451B1 (en) * | 2007-11-12 | 2013-07-30 | Google Inc. | Contact cropping from images |
US20100115458A1 (en) * | 2008-10-26 | 2010-05-06 | Adam Marano | Panning a native display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to a window, interpreting a gesture-based instruction to scroll contents of the window, and wrapping text on the window |
US8914462B2 (en) | 2009-04-14 | 2014-12-16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20110163944A1 (en) * | 2010-01-05 | 2011-07-07 | Apple Inc. | Intuitive, gesture-based communications with physics metaphors |
US8335643B2 (en) * | 2010-08-10 | 2012-12-1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Point of interest search, identification, and navigation |
KR101719653B1 (ko) * | 2010-09-16 | 2017-03-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전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CN102065175A (zh) * | 2010-11-11 | 2011-05-18 | 喜讯无限(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 基于触控屏的移动设备远程手势识别与传输系统和实现方法 |
US20120131519A1 (en) * | 2010-11-18 | 2012-05-24 | Google Inc. | Surfacing Off-Screen Visible Objects |
US20130141471A1 (en) | 2011-06-05 | 2013-06-06 | Apple Inc. | Obscuring graphical output on remote displays |
CN103688287B (zh) * | 2011-07-12 | 2017-03-01 | 杜比实验室特许公司 | 使源图像内容适应于目标显示器的方法 |
KR101790017B1 (ko) * | 2011-09-30 | 2017-10-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제스처 기반의 통신 채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시스템 |
US9967388B2 (en) | 2012-02-21 | 2018-05-08 | Qualcomm Incorporated | Mirrored interface navigation of multiple user interfaces |
BR112015003849B1 (pt) * | 2012-08-23 | 2021-10-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ão realizado por um dispositivo, dispositivo,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ão realizado por um dispositivo de entrada, e dispositivo de entrada |
KR20140031468A (ko) * | 2012-08-31 | 2014-03-13 | 주식회사 팬택 |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
US9917881B2 (en) * | 2012-10-22 | 2018-03-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across mobile terminals paire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S9363010B2 (en) * | 2012-12-03 | 2016-06-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N103024353A (zh) * | 2012-12-07 | 2013-04-03 | 安科智慧城市技术(中国)有限公司 | 一种多画面压缩图像播放方法和装置 |
CN103984494A (zh) | 2013-02-07 | 2014-08-13 | 上海帛茂信息科技有限公司 | 用于多种设备间的直觉式用户互动系统及方法 |
TWI497311B (zh) * | 2013-03-28 | 2015-08-21 | Quanta Comp Inc | 跨裝置通訊傳輸系統及其方法 |
CN105453110B (zh) * | 2013-06-18 | 2020-07-17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设备读取器和生成针对其的图像的模块 |
JP5811415B2 (ja) * | 2013-06-27 | 2015-11-1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携帯機器、及びその情報利用方法、プログラム、情報利用システム |
US9100775B2 (en) * | 2013-09-18 | 2015-08-04 | Plantronics, Inc. | Audio delivery system for headsets |
JP5929933B2 (ja) * | 2014-01-16 | 2016-06-0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表示システム、表示端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3873578A (zh) * | 2014-03-21 | 2014-06-18 | 深圳市东方拓宇科技有限公司 | 一种终端之间发送和共享内容的方法及对应终端 |
KR20160034065A (ko) * | 2014-09-19 | 2016-03-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2014
- 2014-10-24 KR KR1020140145035A patent/KR20160048429A/ko not_active Ceased
-
2015
- 2015-10-02 US US14/873,828 patent/US9826078B2/en active Active
- 2015-10-08 EP EP15188865.8A patent/EP3013023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10-20 CN CN201510684392.2A patent/CN105549870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8575B1 (ko) * | 2022-10-27 | 2023-10-12 | 주식회사 엠투소프트 | 직원 단말이 고객 단말에서 고객 단말과 공유된 문서의 확대가 필요한 확대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119464A1 (en) | 2016-04-28 |
EP3013023B1 (en) | 2019-02-27 |
US9826078B2 (en) | 2017-11-21 |
EP3013023A1 (en) | 2016-04-27 |
CN105549870A (zh) | 2016-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4842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1624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05988666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102251541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8009533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13110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13172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11249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06053A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60048532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23728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8561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6928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3406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2983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1872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74334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3853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067855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1618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4383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13743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3999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713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8420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0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061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