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31468A -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468A
KR20140031468A KR1020120096712A KR20120096712A KR20140031468A KR 20140031468 A KR20140031468 A KR 20140031468A KR 1020120096712 A KR1020120096712 A KR 1020120096712A KR 20120096712 A KR20120096712 A KR 20120096712A KR 20140031468 A KR20140031468 A KR 2014003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link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구병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9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468A/ko
Priority to US14/013,998 priority patent/US20140065960A1/en
Publication of KR2014003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4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에서는 먼저 컨텐츠를 공유할 수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집한다. 계속해서, 수집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for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들 사이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휴대 단말의 종류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휴대 단말의 성능은 끊임없이 향상되고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휴대 단말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은 사용자들의 필수품이 되면서, 이를 이용한 컨텐츠의 이용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 사이의 휴대 단말의 보급 확산뿐만 아니라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개수도 증가하면서, 휴대 단말 사이의 컨텐츠 공유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근접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P2P(Peer To Peer) 근거리 통신 기술의 하나이다. 현재의 근접 통신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수십 cm 이내의 거리에서의 통신을 지원한다. P2P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NFC 외에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등도 포함된다. NFC는 다른 P2P 근거리 통신 기술에 비하여 전송 용량이 제한적이고 통신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반면에, 보안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현재 NFC는 서로의 NFC 태그를 접촉하면 NFC 링크가 설정되어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는 달리 휴대 단말간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정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
최근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탑재한 스마트 폰에는 NFC를 이용하기 위한 NFC 칩이 내장되기 시작하였으며, 다른 운영 체제(OS), 예컨대 아이오에스(iOS)를 탑재한 스마트 폰 등에도 조만간 NFC 칩이 내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NFC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들도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안드로이드 빔(android beam)'이라고 불리는 단말간 컨텐츠 공유를 위한 기능이다. 안드로이드 빔은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S)라는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OS)에 최초로 구비된 기능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임의의 단말(이하, '송신 단말'이라 한다)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다른 단말(이하, '수신 단말'이라 한다)에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NFC를 이용한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로서, 안드로이드 빔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자의 NFC 태그를 서로 접촉한다(S11). 이것은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각 상대방 단말을 인식하고 또한 NFC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activity), 즉 전경 액티비티(foreground activity)가 NFC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한다(S12). 확인 결과, 전경 액티비티가 NFC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데이터(이하, '공유 데이터'라 한다)의 전송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절차는 종료한다. 반면, 전경 액티비티가 NFC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의 공유 데이터의 전송 절차가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송신 단말의 터치 스크린에 '공유하기' 등과 같은 컨텐츠의 전송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S13). 그리고 이 메뉴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수신(터치가 감지)되면, 송신 단말은 NFC를 이용하여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S14). 단계 S14에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NFC 링크는 해제된다. 계속해서, 수신 단말은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의 전경 액티비티와 동일한 액티비티를 실행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15).
이러한 NFC를 이용한 종래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의하면, 송신 단말은 NFC 태그 접촉과 전송을 요청하는 단 1회의 터치 입력만으로도 수신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할 수가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단말들 사이에 공유할 수 있는 컨텐츠의 종류 및/또는 용량 등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송신 단말에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액티비티 또는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표시되는 액티비티를 구성하는 컨텐츠만이 수신 단말과 공유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우저(browser), 연락처, 유튜브 등과 같은 일부 유형의 컨텐츠만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뿐이고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에 대해서는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면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의 NFC 링크는 자동적으로 해제되므로, 복수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절차를 다시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전체에 현재 표시되고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 단말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NFC를 통해 전송이 불가능한 큰 용량의 컨텐츠나 데이터도 수신 단말과 공유가 가능한 휴대 단말간 컨텐츠 공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1회의 절차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공유가 가능한 휴대 단말간 컨텐츠 공유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은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수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에서 수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는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 및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c) 이전에 상기 단계 (b)에서 수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대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는 다중 선택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통신 링크는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며,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1 통신 링크가 유지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d) 상기 제1 통신 링크의 유지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a) 이후에, (e)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e)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 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이 텍스트와 접속 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이면,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이 상기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면,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 이전에,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휴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은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송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와 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a) 이후에, (d)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d)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각각의 유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d) 이전에,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송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 및 복수의 컨텐츠의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경(foreground)과 후경(background)에서 각각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컨텐츠를 공유할 수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면, 전경(foreground)과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집하는 검색부, 및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검색부가 수집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대하여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과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과 유형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휴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하나 이상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컨텐츠를 공유할 송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와 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형 데이터와 연동된 선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송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송신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과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서 전경(foreground)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는 물론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도 다른 휴대 단말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컴포넌트는 해당 프로그램의 최상측 컴포넌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한 번의 NFC 태깅 및 이를 통한 컨텐츠 전송 절차를 통해서 복수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공유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유형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멀티미디어 파일이나 문서 파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파일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프로그램 스택(application stack) 및 각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스택(component stack)의 일례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컴포넌트 리스트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컴포넌트 리스트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on-NFC 링크의 일례인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로서, 도 8a는 송신 단말에 관한 것이고 도 8b는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on-NFC 링크의 다른 예인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로서, 도 9a는 송신 단말에 관한 것이고 도 9b는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를 실행하고 있으며 이의 공유를 위하여 다른 휴대 단말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을 '송신 단말'이라 하고, 이 송신 단말로부터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실행하게 되는 휴대 단말은 '수신 단말'이라고 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은 피어투피어(Peer to Peer,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공유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의 피어 단말(peer device)이 되고,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피어 단말이 된다.
여기서, '공유 데이터'는 컨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소정의 P2P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유 데이터는 공유의 대상인 컨텐츠의 내용과 관련된 '컨텐츠 데이터'와 이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 구체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종류 및/또는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자체(예컨대,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 문서 파일, 휴대 단말의 홈 화면 등)이거나 또는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예컨대, 웹 브라우저, 블로그, 미니홈피 등의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정보나 웹 스토리지 등에 대한 경로 정보 등)일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파일의 경우에 컨텐츠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파일 자체이거나 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리스트(예컨대, 재생 목록)일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의 홈 화면의 경우에 컨텐츠 데이터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위한 파일은 물론 홈 화면의 구성이나 배치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예컨대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는 "mimeType"과 같은 정보가 유형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들이 NFC 링크를 먼저 설정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NFC는 '근접 통신'의 일례인데, 본 명세서에서 '근접 통신'이란 휴대 단말들이 소정의 '물리적인 조건'을 충족하는 것만으로 휴대 단말들 사이에 통신 링크가 설정되어서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식 방식을 가리킨다. 여기서, '물리적인 조건'란 두 휴대 단말이 서로 접촉(NFC에서 NFC 태그의 접촉)되거나 또는 두 휴대 단말이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 등과 같은 조건을 포함한다. 이러한 근접 통신은 휴대 단말이 링크 설정을 위하여 다른 휴대 단말을 탐색하고 또한 링크 설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주고 받는 절차를 거치는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 과는 차이가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기능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100)은 이의 동작을 제어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지시,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모바일 운영 체제(mobile OS),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스(iOS), 윈도우 모바일(window mobile) 등이 탑재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의 OS가 안드로이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모바일 OS가 탑재된 휴대 단말에도 동일하게 또는 균등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러한 모바일 OS가 탑재된 휴대 단말(100)은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동시에 실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는 전경(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나머지 프로그램은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경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가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100)에서 소정의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AOT(Always On Top)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객체도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포함하며, 서비스 객체(service object)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단위는 '컴포넌트(component)'라고 하는데, 컴포넌트는 화면을 차지하는 형태의 경우에는 윈도우로 정의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OS의 유형에 따라서 그 명칭이 다소 상이한데, 예컨대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는 액티비티(activity)라고 하고, 아이오에스(iOS)의 경우에는 유아이 뷰(UI View)라고도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하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예컨대, 하나의 웹 페이지 전부나 이미지 전체 등)이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노래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파일의 전체가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웹 페이지의 일부나 이미지의 일부 등도 분할이 가능하다면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 즉 공유 대상이 되는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웹 페이지에서 특정 내용만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문서의 일부만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내용을 소정의 방법으로 특정(예컨대, 해당 부분만을 드래그하거나 블록 지정함)한 다음에 후술하는 NFC 태깅 등의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부분만을 복사하여 클립 보드에 저장한 다음에 후술하는 NFC 태깅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NFC 태그(tag) 및 NFC 칩(chip)이 구비되어서 다른 휴대 단말과의 사이에 NFC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NFC 태그 및 NFC 칩이 구비된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테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모바일 운영 체제(mobile OS)가 탑재되어 있고 또한 NFC 태그와 NFC 칩이 구비된 다른 모바일 기기, 예컨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나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ng device) 등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를 포함하는 제어부(110), NFC 모듈(122)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120), 입출력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도 2는 휴대 단말들 사이에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한 기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모듈들을 반드시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은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무선 통신부(120)는 NFC 모듈(122)을 제외한 다른 무선 통신 모듈(124)의 전부 또는 일부는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그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모듈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추가되는 모듈들은 휴대 단말(100)의 종류나 기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는 중력 센서, 근접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모듈, 진동 발생 모듈,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관리,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입출력부(130)의 입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나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 또는 제어부(110)에 의한 제반 실행 결과를 입출력부(130)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또한 데이터 송수신이나 통화 등과 같이 휴대 단말(100)이 서버나 다른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 제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116)는 무선 통신부(120)에 구비되어 있는 각 통신 모듈(예컨대, NFC 모듈(122),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이동통신(3G/4G)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부(116)의 구성은 무선 통신부(120)의 구성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20)는 적어도 NFC 모듈(122)을 포함하므로, 무선 통신 제어부(116)는 NFC 모듈(122)의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위한 NFC 제어부(116a)를 적어도 포함한다. 그리고 만일 무선 통신부(12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124)을 포함하면, 무선 통신 제어부(116)는 이들 각각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예컨대, 블루투스 제어부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게임, 멀티미디어 재생, 인터넷 접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100) 내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또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하나만 실행되거나 또는 복수 개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실행 및 관리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적어도 프로그램 관리부(program manager, 114a)와 프로그램 실행부(114b)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114a)는 휴대 단말(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및 이의 컴포넌트들(components)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부(114b)는 휴대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신 단말의 프로그램 실행부(114b)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에 포함된 유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신 단말에서도 송신 단말과 동일한 컴포넌트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프로그램 스택(program stack)과 각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스택(component stack)의 일례를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프로그램 스택은 휴대 단말(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의 실행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며, 컴포넌트 스택은 각 프로그램에서 실행되고 있는 컴포넌트들의 실행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 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스택에는 동시에 실행 중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실행 순서에 따라 적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스택에는 실행되었거나 또는 실행 중인 컴포넌트들이 역시 실행 순서에 따라 적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에서는 현재 4개의 프로그램(Prgm1, Prgm2, Prgm3, Prgm4)이 실행되고 있으며, 각 프로그램마다 1 ~ 3개의 컴포넌트들(A ~ H)이 실행되고 있거나 또는 실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빗금 친 컴포넌트들(A, C, D, F, H)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이며, 나머지 컴포넌트들(B, E, G)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는 각 컨텐츠와 연계된 컴포넌트로서, 구체적으로 대상 컨텐츠의 경로(접속 경로 또는 저장 경로) 및 컨텐츠 식별 정보(예컨대, 컨텐츠의 명칭)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그리고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인지 여부는, 예컨대 휴대 단말의 제조사 및/또는 프로그램 제공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함수가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즉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만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한다.
그리고 예시적이지만, 프로그램 스택에서는 상측에 위치한 프로그램이 보다 최근에 실행된 프로그램에 해당하며, 각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스택에서는 상측에 위치한 컴포넌트가 보다 최근에 실행된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프로그램 스택에서는 최상위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Prgm1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프로그램으로서 전경(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며, 나머지 프로그램들(Prgm2, Prgm2, Prgm3)은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Prgm1의 컴포넌트들(A, B) 중에서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컴포넌트 A가 보다 가장 최근에 실행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프로그램 스택에 의하면 현재 컴포넌트 A와 관련된 컨텐츠가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의 최전경에 표시되어 있다(예컨대, 휴대 단말(100)의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윈도우가 열릴 수 있는 경우)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100)이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로서 다른 휴대 단말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 및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의 구체적인 기능은 휴대 단말(100)이 송신 단말인지 또는 수신 단말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의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는 전경과 후경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검색하여 컴포넌트 리스트를 만들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또한 피공유 컴포넌트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데이터를 소정의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송신 단말의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의 기능은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과 NFC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의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과 동일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 즉 피공유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제어부(114)와 통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는 전술한 송신 단말로서의 기능과 수신 단말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구체적인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 처리부(122)는 검색부(112a) 및 관리부(11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검색부(112a)와 관리부(112b) 각각의 기능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며,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유닛(예컨대, 관리부(112b))의 일부 기능은 다른 유닛(예컨대, 검색부(112a))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별도의 유닛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공유 처리부(122)의 구성에 기초하여 그 기능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검색부(112a)는 휴대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컴포넌트들을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 검색부(112a)는 휴대 단말(100)의 전경(foreground)은 물론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각각의 컴포넌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모두의 컴포넌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을 선별적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검색된 컴포넌트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을 선별하는 것은 관리부(112b)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는 대상 컨텐츠의 경로와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로서, 휴대 단말의 제조사 및/또는 프로그램 제공자에 의하여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현재의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는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함수가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만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 즉 메니페스트(manifest)를 통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특정 컴포넌트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별도의 기준을 이용하여 검색부(112a) 또는 관리부(112b)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색부(112a)가 전경 및 후경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각각의 컴포넌트를 검색하는 구체적인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검색부(112a)는 프로그램 관리부(114a)로부터 전경과 후경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이들 각각의 컴포넌트 정보(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컴포넌트 스택과 프로그램 스택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각각의 모든 컴포넌트를 검색하거나 또는 그 일부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후자의 일례로,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각각에서 최상위 컴포넌트(즉, 도 3의 컴포넌트 스택에서 최상측에 위치한 컴포넌트, 즉 각 프로그램 단위로 최상측에 위치한 컴포넌트)만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들 전부를 검색하거나 또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최상위 컴포넌트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부(112a)의 기능은 휴대 단말(100)이 송신 단말이 되는 경우에 동작을 하게 되며, 휴대 단말(100)이 수신 단말이 되는 경우에는 특별히 동작할 필요가 없다.
관리부(112b)의 기능은 휴대 단말(100)이 송신 단말인 경우와 수신 단말인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송신 단말인 경우에, 관리부(112b)는 우선 검색부(112a)가 검색한 컴포넌트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생성하여 입출력부(130)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12b)에 의하여 생성되는 컴포넌트 리스트에는 검색부(112a)에 의하여 검색된 컴포넌트들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들만이 선별되어 포함되고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 컴포넌트는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검색된 컴포넌트들 모두를 포함하되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것과 지원하지 않는 것을 구분(예컨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 활성화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검색부(112a)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관리부(112b)에 의하여 생성되는 컴포넌트 리스트에는 검색부(112a)에 의하여 검색된 모든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은 공유의 대상이 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또는 이와 관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공유하려고 하는 컴포넌트(또는 컨텐츠)를 확인 및/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송신 단말에 표시하지 않고 수신 단말에 표시(다만, 이 경우에는 송신 단말이 컴포넌트 리스트를 수신 단말로 미리 전송하는 과정이 전제된다)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하면 공유의 대상이 되는 컴포넌트(컨텐츠)를 수신 단말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12b)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입출력부(130)의 입력 모듈을 통해 수신된 이후에, 선택된 컴포넌트, 즉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를 다른 휴대 단말, 즉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데 사용할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방법'이란 송신 단말이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사용할 무선 통신 표준의 종류(무선 통신 프로토콜)를 가리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부(112b)는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이 지원하는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다만,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서 전송 방법이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전송 방법에 의하여 공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관리부(112b)는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기능을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모두 NFC를 비롯한 복수의 P2P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관리부(112b)는 수신 단말로 전송할 공유 데이터의 용량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12b)는 공유 데이터(특히,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이 작은 경우, 즉 NFC 메시지로 전송 가능한 용량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송 방법을 NFC로 결정하지만 공유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전송 방법을 와이파이 다이렉트나 블루투스 등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공유 데이터의 용량은 NFC의 최대 전송 용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NFC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단말간 링크 설정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어서 절차가 간단하지만 최대 전송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술의 발달로 NFC의 최대 전송 용량이 증가하면,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기준(공유 데이터의 용량)도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 특히 컨텐츠 데이터가 텍스트(연락처 정보, 웹 페이지 접속 경로 등) 등과 같이 작은 용량인 경우에는, 관리부(112b)는 전송 방법을 NFC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컨텐츠 데이터가 송신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예컨대, 음악이나 동영상)이나 문서 파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갖는 경우에는, 관리부(112b)는 전송 방법을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부(112b)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저장 위치 및/또는 컨텐츠의 유형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 데이터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저장 경로를 알면 쉽게 접속이 가능한 컨텐츠(예컨대, 웹 페이지)나 송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만 텍스트와 같이 그 특성상 용량이 작은 컨텐츠(예컨대, 연락처) 등은 전송 방법을 NFC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컨텐츠 파일이 송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으며 파일 특성 상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컨텐츠(예컨대, 재생되고 있는 음악, 이미지, 동영상이나 문서 등)는 전송 방법을 와이파이 다이렉트나 블루투스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리부(112b)는 사용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이거나 및/또는 수신 단말의 사용자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112b)에는 사용자의 의사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 모듈)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전술한 전송 방법의 결정 기준에 대한 예들과는 상관없이, 관리부(112b)는 공유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지만 필수적인 데이터는 항상 NFC를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부(112b)는 공유 데이터 중에서 '유형 데이터'나 후술하는 '전송 방법 정보' 등은 항상 NFC를 통해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유형 데이터의 경우에는 대상 컨텐츠와 동일한 전송 방식으로 대상 컨텐츠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용량이 작은 공유 데이터도 NFC가 아닌 다른 P2P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부(112b)는 결정된 전송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이하, '전송 방법 정보')는 항상 NFC를 통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결정된 전송 방법에 따른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수신 단말도 결정된 전송 방법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관리부(112b)는, 전송 방법 정보 이외에, 결정된 전송 방법에 따라서 수신 단말과 링크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송신 단말의 정보(예컨대, 송신 단말의 맥 주소(MAC address) 등)도 NFC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NFC의 경우에는 태깅만으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에 링크가 설정되지만, 다른 P2P 전송 방식(예컨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맥 주소 등과 같은 식별/인식 정보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송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결정된 전송 방법에 따라서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제어부(116)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방법이 NFC로 결정되면, 송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무선 통신 제어부(116), 특히 NFC 제어부(116a)로 전송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NFC 제어부(116a)는 NFC(122)를 통해 공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전송 방법이 NFC가 아닌 다른 P2P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결정되면, 송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NFC 제어부(116a)를 포함한 무선 통신 제어부(116)로 전송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NFC 제어부(116a)는 NFC(122)를 통해 일부 공유 데이터(유형 데이터, 용량이 작은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 제어부(116)는 다른 무선 통신(124)를 통해 나머지 공유 데이터(예컨대, 용량이 큰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과 동일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프로그램 제어부(114),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그램 실행부(114b)와 통신하여 송신 단말과 동일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실행부(114b)는 공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유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컨텐츠가 되거나 또는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예컨대, 웹 페이지 등)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무선 통신부(120)은 전자파를 송수신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거나 및/또는 다른 휴대 단말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부(120)은 NFC(122)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WiFi, Bluetooth, 3G/4G, 12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무선 통신 모듈(124)의 종류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른 무선 통신 모듈(124)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과 같은 P2P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30)는 휴대 단말(100)로 데이터, 신호 등을 입력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100)에서 처리된 데이터, 신호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30)는 이미지/비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카메라, 음성이나 음향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 사용자가 데이터, 명령 등을 휴대 단말(100)로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 돔 스위치, 버튼, 조그 휠,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출력부(1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와 휴대 단말(100)과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위한 입출력 수단의 하나로서,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입력 수단인 터치 패드와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적층 구조를 갖거나 또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직접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터치함으로써 명령이나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등을 사용자를 위해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100)의 운영 및 동작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에는 제어부(110)에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여러 가지 종류의 컴퓨터 프로그램, 예컨대 운영 체제 프로그램, 다수의 기능 모듈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저장부(140)에는 메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문서, 음악, 전화번호, 전화통화기록,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나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의 유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램(Random Access Memory, RAM)을 포함하며, 내장 또는 외장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디스크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컨텐츠 공유 처리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유 데이터(유형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가 모두 NFC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로서, 다른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한 번에 하나의 컨텐츠만을 공유할 수 있는 경우(즉, 한 번에 하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공유 데이터만 전송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나, 복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다만, 이 경우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과정 및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여기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유 대상 컨텐츠의 종류가 제한적인데, 왜냐하면 공유 컨텐츠가 모두 NFC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NFC를 통해 전송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비효율적인 경우(예컨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파일)에는 본 실시예가 적용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두 단말, 즉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FC 태그를 접촉한다(S21). 본 단계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각의 피어 단말을 인식하여 NFC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의 일례에 해당한다. 따라서 NFC 태그의 접촉이 아닌 다른 절차를 통하여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FC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면, 본 단계(S21)는 이러한 과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NFC 태그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각 후술하는 과정(S22 내지 S25)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1 이전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각 소정의 프로그램(컨텐츠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사용자 메뉴를 먼저 실행하고 그 이후에 단계 S21이 수행된 경우에 후속되는 컨텐츠 공유 절차(S22 내지 S25)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21이 수행된 경우에는 어떠한 전제 조건의 충족 여부도 상관 없이 바로 후속되는 컨텐츠 공유 절차(S22 내지 S25)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신 단말과의 NFC 태그 접촉이 있으면, 즉 수신 단말과의 사이에 NFC 링크가 설정된 송신 단말은 전경(foreground)은 물론 후경(background)에서도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검색한다(S22).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2는 송신 단말의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의 검색부(112a)가 프로그램 관리부(114a)와 통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도 2 참조). 검색부(112a)는, 일례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들만을 선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컴포넌트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지 여부가 미리 정의되어 있고 검색부(112a)는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액티비티만을 검색할 수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컴포넌트들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단계 S22는 이러한 후자의 예에 해당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단계 S23에서 검색된 컴포넌트 중에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 컴포넌트도 포함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이든,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모든 컴포넌트를 대상으로 검색을 하거나 또는 최상위 컴포넌트(top component)만을 대상으로 검색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단계 S22에서 검색된 컴포넌트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지원하지 않는 컴포넌트가 구별되도록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23). 본 단계(S23)는 컨텐츠 공유 장치(112)의 관리부(112b)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단계 S22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을 검색한 경우라면, 관리부(112b)는 검색된 모든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리스트를 입출력부(130)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 리스트는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 23에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프로그램 실행 상태가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스택 및 컴포넌트 스택과 같은 경우에, 컴포넌트 리스트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컴포넌트 리스트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화면 이미지를 포함하도록 표로 구성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각 컴포넌트의 컨텐츠 내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컴포넌트, 즉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S24). 사용자는 단계 S23에서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4는 복수 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단계(S24)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컴포넌트인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컴포넌트 리스트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서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컴포넌트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12b)는 터치 스크린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 신호가 감지되면, 선택된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 제어부(116), 보다 구체적으로 NFC 제어부(116a)와 통신할 수 있다.
단계 S24에서 송신 단말이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과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소정의 모션(예컨대, 수신 단말을 향한 움직임)을 사용자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자이로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파일)을 선택(예컨대, 롱 클릭)한 경우에, 전송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면 공유 데이터가 수신 단말로 전송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단계에서 공유 데이터는 NFC(122)를 통해 전송되며, 공유 데이터의 전송에 다른 P2P 무선 통신(124)은 사용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데이터는 적어도 유형 데이터와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는 용량이 작은 텍스트나 접속 경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즉, 본 실시예에서 공유 대상이 되는 컨텐츠의 종류는 기존의 방법(예컨대, 안드로이드 OS에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빔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의 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한다(S25). 이를 위하여, 수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유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실행할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결정된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실행부(114b)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부(114b)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부(112b)에 의하여 결정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거나(전경에서 실행 중인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또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던(후경에서 실행 중인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컨텐츠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만일, 단계 S24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컴포넌트가 선택되어 복수의 컴포넌트와 각각 관련된 복수의 공유 데이터가 수신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에, 단계 S25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 특히 단계 S22에서는 전경은 물론 후경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즉, 컨텐츠)도 공유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과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컴포넌트를 반드시 전경 또는 전경의 화면 최전경에서 실행하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후경에서 실행 중이거나 전경의 화면 후면에서 실행되고 있는 컴포넌트의 컨텐츠도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이 전경에서는 인터넷 브라우져를 실행하면서 후경에서는 연락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의하면, 송신 단말의 전경에서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만이 수신 단말과의 컨텐츠 공유 대상이 될 수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단말의 전경에서 실행 중인 브라우져의 컨텐츠(웹 페이지)는 물론 후경에서 실행되고 있는 연락처 정보도 컨텐츠 공유 대상이 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 사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한 번에 하나 또는 다수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경우(즉, 한 번에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일부(이하, '제1 공유 데이터'라 한다)는 NFC를 통해 전송하지만 나머지(이하, '제2 공유 데이터'라 하다)는 다른 P2P 근거리 무선 통신(non-NFC)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 때, 제1 공유 데이터와 제2 공유 데이터의 구분은 각 데이터의 크기나 종류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공유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모두의 유형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2 공유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모두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공유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모두의 유형 데이터 및/또는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컨텐츠 데이터(예컨대, 텍스트나 접속 경로 정보 등)를 포함하고, 제2 공유 데이터는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컨텐츠 데이터(예컨대, 이미지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휴대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의 파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공유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컨텐츠 데이터를 갖는 공유 데이터(즉, 유형 데이터와 컨텐츠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를 포함하고, 제2 공유 데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와 관련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컨텐츠 데이터를 갖는 공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데이터)를 NFC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 또는 NFC가 아닌 다른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이하, 'non-NFC'라 한다)을 통하여 전송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전송 방법 정보는 NFC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전송 방법 정보는 공유 데이터와는 별도로 전송되지 않고 공유 데이터의 일부로서 전송되거나 또는 공유 데이터 중에서 유형 데이터가 전송 방법 정보로도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일례로, 컨텐츠 유형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를 NFC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 또는 non-NFC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형 데이터가 전송 방법 정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송 방법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두 단말, 즉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FC 태그를 접촉한다(S31). 이것은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각각 상대방 단말을 인식하고 또한 NFC 통신을 위한 NFC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NFC 태그 접촉이 아닌 다른 과정을 통해 NFC 링크의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면, 본 단계는 이러한 다른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과의 NFC 태그 접촉이 있으면, 송신 단말은 전경은 물론 후경에서도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검색한다(S32).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32는 송신 단말의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의 검색부(112a)가 프로그램 관리부(114a)와 통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도 2 참조). 검색부(112a)는 실행 중인 컴포넌트들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모든 컴포넌트를 대상으로 검색을 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 예컨대 최상위 컴포넌트만을 대상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2에서 검색된 컴포넌트 중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와 지원하지 않는 컴포넌트가 구별되도록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3). 본 단계(S33)는 컨텐츠 공유 처리부(112)의 관리부(112b)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단계 S32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만을 검색한 경우라면, 관리부(112b)는 검색된 모든 컴포넌트가 포함된 컴포넌트 리스트를 입출력부(130)의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단계 33에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도 4의 단계 S23에서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컴포넌트 리스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유 대상 컨텐츠가 복수 개가 될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컴포넌트 리스트,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는 이를 위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컴포넌트 리스트를 구성하는 항목인 컴포넌트 각각에는 이의 선택을 위한 선택 상자(예컨대, 해당 선택 터치를 1회하면 선택이 되고, 다시 한번 더 터치하면 선택이 해제되는 기호)가 컴포넌트 명칭과 함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도 있다(도 5에서 각 컴포너트 명칭의 옆에 선택 상자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포넌트 리스트를 구성하거나 또는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 항목들 각각은 다중 선택(복수의 컴포넌트에 대한 선택)이 허용되도록 UI가 구현될 수도 있다(다만, 이 경우에는 선택 완료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가 별도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단계 S33의 결과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컴포넌트 리스트의 다른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33의 결과로 총 4개의 프로그램(브라우져(Browser), 연락처(Contact), 갤러리(Gallery), 음악 플레이어(Music Player))에서 각각 3개의 컴포넌트 또는 파일(총 12개의 파일)이 컨텐츠 공유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파일들이 카테고리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므로, 송신 단말의 사용자는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총 12개의 파일 중에서 밑줄이 그어져 있는 4개의 파일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파일을 나타낸다. 즉,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 리스트는 다중 선택이 허용되는 UI로 구성된 경우에 해당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컴포넌트, 즉 피공유 컴포넌트의 공유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S34). 사용자는 단계 S33에서 표시된 컴포넌트 리스트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단계(S34)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피공유 컴포넌트들 각각의 공유 데이터(특히,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때 사용할 전송 방법(P2P 근거리 무선 통신의 종류)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공유 데이터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의 용량에 기초하여 NFC를 통해 전송할 것이지 또는 non-NFC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단계(S34)의 결과로, 공유 데이터는 NFC를 통해 전송되는 제1 공유 데이터와 non-NFC를 통해 전송되는 제2 공유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서 전송 방법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본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공유 데이터는 컨테츠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NFC를 통해 전송되는 제1 공유 데이터와 non-NFC를 통해 전송되는 제2 공유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전송 방법 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전송 방법에 따라서, 송신 단말은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S35 내지 S37).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은 제1 공유 데이터를 NFC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35). 이 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공유 데이터와 함께 제2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방법 정보도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제2 공유 데이터를 non-NFC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데(S37), 이를 위하여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에는 non-NFC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절차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S36). 여기서, 단계 S35, 단계 S36, 및 단계 S37는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예컨대, 전송 방법 정보의 전송이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35가 단계 S37의 이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단계 S35와 단계 S36 및 S37은 동시에 실행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36에서 두 휴대 단말 사이에 P2P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non-NFC 링크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해당 P2P 근거리 무선 통신에 규정되어 있는 절차에 따라서 링크 설정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non-NFC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예컨대, 송신 단말의 맥(MAC) 주소 등)는 단계 S35에서 NFC를 통해 수신 단말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의 맥 주소 등을 이용하여 주도적으로 또는 보다 용이하게 송신 단말과 non-NFC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on-NFC 링크의 일례인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로서, 도 8a는 송신 단말에 관한 것이고 도 8b는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한 이후에 검색하여 소켓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블루투스 링크의 설정 과정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한 이후에 검색하여 소켓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NFC 태그의 접촉 단계(S41 및 S51) 이전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미리 블루투스 링크를 설정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그 절차는 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과 NFC 태그를 접촉한다(S41).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자신의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다(S42). 만일,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 단말의 블루투스 기능이 켜지도록 한다(S43). 계속해서 블루투스 기능이 켜진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맥 주소를 획득한 다음(S44), 수신 단말로 자신의 맥 주소를 전달한다(S45). 만일, 도 6의 단계 S35에서 송신 단말이 제1 공유 데이터의 하나로 맥 주소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라면, 본 단계(S45)는 생략되고 단계 S35의 일부로서 대체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계 S45는 단계 S35와는 상관없이 통상적인 블루투스 링크 설정 절차의 일 과정으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수신 단말로 맥 주소를 전달한 송신 단말은 소켓 연결을 기다리며(S46), 수신 단말이 소켓 연결을 시도하면(도 8b의 단계 S56 참조) 수신 단말과의 소켓 연결을 완료한다(S47).
그리고 도 8b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NFC 태그를 접촉한다(S51).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일 수 있으며, 도 8a의 단계 S41에 대응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의 맥 주소를 수신한다(S52).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5에서 송신 단말이 제1 공유 데이터의 하나로 전송하는 맥 주소를 수신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로서, 도 8a의 단계 S45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자신의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다(S53). 만일, 블루투스 기능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의 블루투스 기능이 켜지도록 한다(S54). 계속해서 블루투스 기능이 켜진 수신 단말은 자동으로 실행되는 활성화된 타 단말에 대한 검색 절차를 종료시킨다(S55). 이것은 후속되는 단계 S56에서 연결 절차를 시도하기 위해서이다. 만일, 수신 단말의 블루투스 기능이 켜지더라도 검색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거나 또는 블루투스 기능에 의하여 검색 절차 도중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경우라면, 단계 S55는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계속해서,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소켓 연결을 시도하여(S56), 송신 단말과의 소켓 연결을 완료한다(S57).
도 9a 및 도 9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non-NFC 링크의 다른 예인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로서, 도 9a는 송신 단말에 관한 것이고 도 9b는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도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한 이후에 검색하여 링크 설정을 시도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 과정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한 이후에 검색하여 링크 설정을 시도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NFC 태그의 접촉 단계(S61 및 S71) 이전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미리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 있을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는 논외로 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먼저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과 NFC 태그를 접촉한다(S61).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송신 단말은 자신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다(S62). 만일,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송신 단말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지도록 한다(S63). 계속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진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맥 주소를 획득한 다음(S64), 수신 단말로 자신의 맥 주소를 전달한다(S65). 만일, 도 6의 단계 S35에서 송신 단말이 제1 공유 데이터의 하나로 맥 주소를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라면, 본 단계(S65)는 생략되고 단계 S35의 일부로서 대체되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수신 단말로 맥 주소를 전달한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요청을 기다려서 응답을 함으로써 수신 단말과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완료한다(S66).
그리고 도 9b를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 NFC 태그를 접촉한다(S71).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일 수 있으며, 도 9a의 단계 S61에 대응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의 맥 주소를 수신한다(S72). 본 단계는 도 6의 단계 S35에서 송신 단말이 제1 공유 데이터의 하나로 전송하는 맥 주소를 수신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로서, 도 9a의 단계 S65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자신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한다(S73). 만일,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지도록 한다(S74). 계속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이 켜진 수신 단말은 활성화된 타 단말에 대한 검색 절차를 개시한다(S75). 본 단계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이 완료되거나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이 형성되기 전까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단말은 단계 S75에서 검색된 타 단말들(예컨대, 검색 리스트) 중에 송신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6). 본 단계는 단계 S72에서 수신된 송신 단말의 맥 주소를 검색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들의 맥 주소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6에서의 판단 결과, 검색 리스트에 송신 단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75의 검색 절차가 반복된다. 반대로, 단계 S76에서의 판단 결과 검색 리스트에 송신 단말이 포함되어 있으면, 송신 단말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을 완료한다(S77).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은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의 연결 시도에 대하여 연결 확인을 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도 6의 단계 S35에서는 NFC를 통해 복수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단계 S31 이후의 NFC 링크의 설정 상태는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공유 데이터의 전송 여부와는 상관없이 NFC 링크의 설정 상태의 지속 여부가 설정된 시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예컨대, 안드로이드 OS에서의 안드로이드 빔 기능)이 NFC를 통한 1회의 전송 이후에 설정된 NFC 링크가 해제되는 것과는 상이하다. 이 경우에, 복수의 공유 데이터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전송될 필요는 없으며, 설정된 시간 이내라면 언제든지 전송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이내라면 추가로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나 메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1 이후의 NFC 링크의 설정 상태의 지속 시간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시간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NFC 링크의 설정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예컨대, NFC 링크가 설정된 상태의 남은 시간 및/또는 추가로 전송할 컨텐츠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나 정보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OT(Always On Top) 기능을 이용하여 남은 시간 등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거나 또는 팝업 화면이나 경고 소리, 위젯 등과 같은 알림 메시지(소리 및/또는 화면)를 이용하여 남은 시간 등을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설정된 NFC 링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NFC를 통한 전송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예컨대, 터치 스크린에 대한 소정의 모션 입력이나 터치 입력) 추가로 전송할 컨텐츠가 있다는 사실을 단말에게 알려주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이 쿼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NFC를 통해 복수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도 6의 단계 S37에서 non-NFC를 통해서 복수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Non-NFC 링크가 설정된 이후부터 링크가 해제되기 전까지, 송신 단말은 복수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Non-NFC 링크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설정된 링크에 관한 정보(예컨대, 링크 지속 시간 등) 및/또는 추가로 전송할 공유 데이터가 있는지를 질의하는 쿼리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은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의 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한다(S38). 이를 위하여, 수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유형 데이터를 참조하여 실행할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프로그램 실행부(114b)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실행부(114b)는 수신된 공유 데이터 중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부(112b)에 의하여 결정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거나(전경에서 실행 중인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또는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었던(후경에서 실행 중인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를 공유하는 경우) 화면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 단말에 수신된 컴포넌트를 실행할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의 관리부(112b)는 무선 통신 제어부(116a),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파이 통신 제어부나 이동통신 제어부와 통신하여 수신된 컴포넌트의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제공 서버(예컨대,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나 애플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부(112b)는 수신된 정보 중에서 유형 데이터(예컨대, 안드로이드 OS의 경우에는 application mimeType)를 이용하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면 수신 단말은 프로그램 제공 서버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신 단말이 수신된 컴포넌트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 단말로 다른 데이터(예컨대, 유형 데이터나 공유 데이터)와 함께 또는 별도로 제공하고, 수신 단말을 이를 활용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서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35 내지 S37에서 복수의 공유 데이터가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에, 단계 S38에서 수신 단말이 수신된 복수의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경에서 어떤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할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은 수신된 복수의 공유 데이터 중에서 최초에 또는 마지막에 수신된 공유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단말은 수신된 복수의 공유 데이터와 관련된 컴포넌트들(및/또는 프로그램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컴포넌트(및/또는 프로그램)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는, 단계 S34에서 송신 단말의 사용자가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 순서(예컨대, 제일 처음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컴포넌트를 실행하거나 또는 제일 마지막에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컴포넌트를 실행)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전경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실행 우선 순위를 지시하는 정보가 공유 데이터(예컨대, 유형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신 단말은 이 실행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를 전경에서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실행 우선 순위는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서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송신 단말의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컨텐츠의 유형 데이터만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되고, 나머지 컨텐츠의 유형 데이터는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단말이 동일한 컨텐츠를 복수의 수신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6의 각 단계들 중에서 일부는 하나의 수신 단말과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다른 일부는 복수의 수신 단말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송신 단말이 복수의 수신 단말에게 공유 데이터(예컨대, 제2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복수의 수신 단말과 동시에 진행되지만, 그 이외의 나머지 과정은 복수의 수신 단말과 개별적으로 진행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과 순차적으로 NFC 태그 접촉을 하여 와이파이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예컨대, 맥 주소 등)을 주고 받으며, 이후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과 같은 일대다 통신을 위한 그룹을 형성하여 송신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로 공유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의 오리엔테이션 또는 휴대 단말들 사이의 오리엔테이션 관계를 이용하여 다른 알고리즘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예컨대, 기존의 안드로이드 빔 기능)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NFC 태그 접촉 시에 송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이 수직 상태(또는 수평 상태)인 경우에는 기존의 안드로이드 빔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공유 절차를 실행하지만, 송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이 수평 상태(또는 수직 상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츠 공유 절차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FC 태그 접촉 시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오리엔테이션이 동일한 경우(예컨대, 모두 수직 상태이거나 또는 수평 상태인 경우)에는 기존의 안드로이드 빔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공유 절차를 실행하지만,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오리엔테이션이 다른 경우(예컨대, 송신 단말은 수직 상태인데 수신 단말이 수평 상태인 경우나 또는 반대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츠 공유 절차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NFC 링크 설정 시에나 또는 후속되는 절차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링크(예컨대, 블루투스 링크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 등)를 설정할 때, 오리엔테이션 값이나 오리엔테이션 상태 정보(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 정보) 등을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대방 단말에게만 전송하도록 하거나 또는 두 단말이 모두 각각 상대방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에서는 전경은 물론 후경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컴포넌트도 공유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과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공유 대상 컨텐츠의 개수도 복수 개가 될 수 있고 또한 그 용량도 작은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큰 컨텐츠도 공유 대상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개수와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컴포넌트는 전경은 물론 후경에서 실행하고 있는 컴포넌트와 관련된 컨텐츠도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이 전경에서는 인터넷 브라우져를 실행하면서 후경에서는 연락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또한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기존의 컨텐츠 공유 방법에 의하면, 송신 단말의 전경에서 실행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웹 페이지만이 수신 단말과의 컨텐츠 공유 대상이 될 수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단말의 전경에서 실행 중인 브라우져와 관련된 컨텐츠(웹 페이지)는 물론 후경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컨텐츠, 즉 연락처 정보와 음악 파일도 모두 컨텐츠 공유 대상이 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 휴대 단말
110 : 제어부
112 : 컨텐츠 공유 처리부
114 : 프로그램 제어부
116 : 무선 통신 제어부
120 : 무선 통신부
130 : 입출력부
140 : 저장부

Claims (37)

  1.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수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수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컴포넌트는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 정보 및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전에 상기 단계 (b)에서 수집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대한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리스트는 다중 선택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링크는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되며,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1 통신 링크가 유지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d) 상기 제1 통신 링크의 유지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에,
    (e)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 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이 텍스트와 접속 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이면,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유형이 상기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면,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이전에,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휴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6. 휴대 단말이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송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와 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에,
    (d)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각각의 유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링크 및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전에,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송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2.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 및 복수의 컨텐츠의 리스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3.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에서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4.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5.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경(foreground)과 후경(background)에서 각각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6. 컨텐츠를 공유할 수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면, 전경(foreground)과 후경(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집하는 검색부; 및
    상기 수집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검색부가 수집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대하여 컴포넌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과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의 용량과 유형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휴대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하나 이상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3. 컨텐츠를 공유할 송신 단말과 근접 통신을 통해 제1 통신 링크를 형성하면, 상기 송신 단말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각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각각에 대하여 연동된 컨텐츠 데이터와 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유형 데이터와 연동된 선컴포넌트와 동일한 컴포넌트를 실행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송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송신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근접 통신보다 최대 전송 용량이 큰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송신 단말과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통신 링크와 상기 제2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공유 데이터 각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6. 제26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7. 제26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및 지그비 통신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096712A 2012-08-31 2012-08-31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Ceased KR20140031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12A KR20140031468A (ko) 2012-08-31 2012-08-31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US14/013,998 US20140065960A1 (en) 2012-08-31 2013-08-29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12A KR20140031468A (ko) 2012-08-31 2012-08-31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468A true KR20140031468A (ko) 2014-03-13

Family

ID=50188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712A Ceased KR20140031468A (ko) 2012-08-31 2012-08-31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65960A1 (ko)
KR (1) KR201400314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182B1 (ko) * 2013-03-25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제어 방법 및 데이터 공유 제어 단말
US9537908B2 (en) * 2013-06-11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borative mobile interaction
KR20150054191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105860A4 (en) * 2014-02-21 2017-03-22 MediaTek Inc. Method to set up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CN103841203A (zh) * 2014-03-14 2014-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US9648652B2 (en) * 2014-04-08 2017-05-09 Paypal, Inc. Facilitating wireless connections using a BLE beacon
US10142767B2 (en) * 2014-04-21 2018-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Bluetooth low ener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82516B2 (en) * 2014-07-01 2016-03-08 Apple Inc. Cooperative power savings among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2238214B1 (ko) * 2014-09-12 2021-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8429A (ko) * 2014-10-24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4272B1 (ko) * 2015-04-30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공유 장치 및 방법
CN105704655A (zh) * 2016-03-29 2016-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之间的媒体数据共享方法及装置
CN105827638A (zh) 2016-05-10 2016-08-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106210262A (zh) * 2016-06-20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片分享方法、装置和移动设备
CN106231432B (zh) * 2016-07-29 2019-08-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分享视频的方法及装置
US9942768B1 (en) * 2016-09-30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ifying a user utilizing gyroscopic movement
CN106487894A (zh) * 2016-10-13 2017-03-08 安徽鼎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共享平台
EP4373205A3 (en) * 2018-09-30 2024-07-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le transfer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3179445B (zh) * 2021-04-15 2023-07-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互动物品的视频分享方法、互动物品
CN115514396B (zh) * 2021-06-23 2023-06-1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nfc的传屏设备连接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822B1 (en) * 2000-11-10 2011-03-08 DMT Licens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trusted and decentralized peer-to-peer network
US20030147369A1 (en) * 2001-12-24 2003-08-07 Singh Ram Naresh Secure wireless transfer of data between different computing devices
SE0300252D0 (sv) * 2003-02-03 2003-02-03 Hamid Delalat Blueguards
US20070213045A1 (en) * 2006-03-10 2007-09-13 Jonas Gunnar Hermansson Electronic equipment with data transfer function using motion and method
US8116223B2 (en) * 2006-11-09 2012-02-14 Iv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matic establishing and disconnecting several wireless connections
US7970350B2 (en) *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S8422944B2 (en) * 2008-08-12 2013-04-16 Sony Corporation Personal function pad
US8498618B2 (en) * 2009-06-22 2013-07-30 Mourad Ben Ayed Systems for intelligent authentication based on proximity
US8112066B2 (en) * 2009-06-22 2012-02-07 Mourad Ben Ayed System for NFC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US8798610B2 (en) * 2010-03-26 2014-08-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rer and server independent parental control on smartphone, managed by the smartphone
US8670935B2 (en) * 2010-08-17 2014-03-11 Blackberry Limited Tagging a location by pairing devices
KR20120052599A (ko) * 2010-11-16 201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모듈 기반의 빠른 기기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2469485A1 (en) * 2010-12-22 2012-06-27 Gemalto SA Communication system
US8775533B2 (en) * 2011-05-20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Auto connect in peer-to-peer network
US8725113B2 (en) * 2012-03-12 2014-05-13 Google Inc. User proximity control of devices
US9008658B2 (en) * 2012-06-06 2015-04-14 Welch Allyn, Inc.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both for out-of-band pairing and physiological data transfer
US9184800B2 (en) * 2012-07-16 2015-11-10 Google Inc. Automated sharing of application data over a near field communication link
US10567534B2 (en) * 2012-08-15 2020-02-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5960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468A (ko) 휴대 단말 및 이의 컨텐츠 공유 방법
EP28871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osition of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3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US10007396B2 (en) Method for executing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60185B2 (en)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KR102064952B1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EP2624601B1 (en) Short-rang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849252B2 (en) Mobile device having messenger function and related supporting method
KR102087010B1 (ko)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302193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JP2014211866A (ja) 携帯端末機のアプリ提供方法、そのための電子装置及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5493069A (zh) 用于分享媒体数据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20150103294A (ko)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3232A (ko)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2073449A (zh) 用于操作移动装置的显示单元的方法和设备
US982602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CN104601205A (zh) 一种内容共享的方法及装置
KR20150019863A (ko) 무선 통신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42318A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1143650A1 (zh) 数据分享的方法、电子设备
CN102377878A (zh) 控制移动终端的通信设置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96746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ring mobile devices
KR20130046482A (ko)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118111A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CN111557089A (zh) 用于使能上下文交互的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0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