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9836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836A
KR20160029836A KR1020167003173A KR20167003173A KR20160029836A KR 20160029836 A KR20160029836 A KR 20160029836A KR 1020167003173 A KR1020167003173 A KR 1020167003173A KR 20167003173 A KR20167003173 A KR 20167003173A KR 20160029836 A KR20160029836 A KR 20160029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connector
cable
jacket
wir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젭하우저
틸 브레드벅
크리스티안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029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83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되며 케이블(2)의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4)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1)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와이어는 자켓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하우징은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6, 7)을 포함하고 하우징 부분들은 플러그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맞춤 결합되어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하우징 부분들(6, 7)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자켓(1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자켓(12)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와이어는 케이블 자켓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블로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꼬임쌍(twisted-pair) 케이블 및 두 개의 접촉 요소들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꼬임쌍 케이블들은 신호 및 데이터 전송에 관한 기술 분야에서 오래도록 사용되어 왔다. “꼬임쌍(twisted-pair)”은 와이어들(즉, 케이블의 도전체들로 각각이 절연 재킷(insulating jacket)으로 둘러싸인 것)이 그 안에서 쌍으로 함께 꼬여있는 케이블들을 지칭한다. 케이블들은 외부의 교류 자기장들 및 정전 간섭에 대한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며, 이는 외부 장들(fields)를 통한 대칭적인 신호 전송 간섭이 와이어 쌍의 꼬임으로 인해 크게 제거되기 때문이다.
삽입형 커넥터들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방식으로 케이블들과 같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요소들을 함께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꼬임쌍 케이블을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할 때, 와이어들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블 재킷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서 삽입되는 구역에서 제거된다. 와이어들의 도전체들의 단부들은, 그 절연 재킷의 추가적인 박리(stripped)를 이루어, 삽입 커넷터의 접촉 요소들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접촉 요소들은 차례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다. 하우징 내부에서, 즉, 케이블 재킷이 제거되는 구역 내에서, 와이어들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꼬임쌍 케이블의 이러한 구역은 이에 외부 장들(fields)로 인해 증가되는 간섭에 노출된다.
그러한 간섭의 증가를 회피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 내 및 특히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의 차폐를 통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야기하며, 그것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또는 비-전도성인 플라스틱들로만 하우징을 설계하는 경제적인 가능성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블들을 구성하는 사실상 모든 시스템들에서, 삽입형 커넥터 및 케이블 자켓 상의 인장 변형(tensile strain)이 이 연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 와이어들의 접촉 요소들에 대한 연결은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를 생성하는 것에 관련된다. 그러한 시스템 내의 스트레인 릴리프를 통합하는 것은 삽입형 커넥너의 비교적 복잡한 구조 및 이에 따른 비교적 높은 제조 비용은 물론, 시스템의 비교적 복잡한 조립 및 이에 따른 비교적 높은 조립 비용들에 전체적으로 관련된다. 시스템 단위 당 비용은 이에 스트레인 릴리프의 통합을 통해 증가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부터 착안하여,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케이블, 특히 꼬임쌍 케이블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그 단위 비용이 가능한 작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문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및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다른 종속 청구항들의 주요 기술 구성이 되며 본 발명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유형인(generic type)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를 구비하며, 이는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와이어는 재킷에 의해 둘러싸이며,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가능하게 추가의 하우징 구성들에 더하여)이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로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맞대게 배치되며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됨으로써 연결되도록 설계된 하우징 부분들을 포함함으로써 개선되고, 이동으로 인해,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로서, 자켓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일부는, 자켓을 제 위치에 고정(바람직하게 조임)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접속 커넥터들이 함께 삽입될 때, 접속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정의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자켓은 특히, 도전체(전체적으로 와이어로 지칭됨)를 직접 둘러싸는 (와이어)자켓 도는복수의 도전체 또는 와이어를 둘러싸는 케이블 자켓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설계는 와이어 및 접촉 요소 사이의 연결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우징에 대한 자켓의 고정을 제조 및 조립의 관점에서 경제적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우징의 반경 방향 변형이 전체적으로 유연한 자켓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되고, 이는 또한 자켓 내부에서 연장하는 도전체(들)의 조입(clamping)을 야기한다.
하우징 내에서 쟈켓의 고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우징 부분의 반경 방향 변형 부분은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경 방향 변형 동안, 돌출부는 자켓 내부로 침투할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 쉽게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에 일종의 폼피트 고정(form-locking) 연결을 형성한다. 돌출부는 특히 부분적으로 형상이 원형이고 및/또는 단면이 뾰족하게 테이퍼질 수 있다.
단부 위치에서 하우징 부분들의 영구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 것들은, 단부 위치에서, 스냅 잠금 연결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탈착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스냅 잠금 연결(snap-lock connection)은 (손상 없이) 영구적으로 또는 해제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냅 잠금 연결"은 하우징 부분 상의 돌출부가 다른 하우징 부분의 침강부 내부로 스프링 작용식(spring loaed)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작용하는 폼피트 잠금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냅 잠금 연결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하우징 부분들은 강제 잠금(force-lock) 연결에 의해 단부 위치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들은, 단부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특히 수직하는) 방향으로 탈착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특히, 상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다른 하우징 부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침강부에 연결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 및 그에 연결되며 자켓에 의해 둘러싸이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고 케이블을 포함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에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방식으로 연결되고 자켓의 영역은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 이상 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인, 바람직하게 평행한, 접촉 요소들이 제공된다.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꼬임쌍 케이블의 (적어도) 두 개인 꼬여 있는 와이어들(바람직하게 코어들)에 대한 연결에 적합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내부의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은 꼬임쌍 케이블의 꼬임이 계속되는(즉, 특히 동일한 길이로 놓이도록) 꼬임 배열로 놓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꼬임 배열은, 가능한 멀리, 접촉 요소들 바로 직전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그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꼬임쌍 케이블들의 양호한 전송 특성이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차폐에 대한 어떠한 요구 없이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 크게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하우징은 완전히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어떠한 차폐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하우징 부분들이, 예를 들어, 부분 금속화 코팅과 같은 추가적인 후속 처리가 없이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본 발명에 다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서 자켓을 고정하는 것은 하우징 내부에서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을 꼬임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이미 적절히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케이블 자켓의 꼬임이, (또한) 하우징 내부에서 자켓의 꼬임이 고정되는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추가로, 하우징의 반경 방향 변형이 유연성 자켓을 통해 와이어 가닥 또는 코어들로 전달되어, 그 것들이 꼬임 배열 내에서 조여지고(clamped) 이에 제 위치에 고정되는 지를 특히 유리하게 증명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핀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 들은 그 내부에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이 놓이는 가이드 공간 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의 가이드 공간의 벽들은 의도되는 꼬임 배열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의 공간적인 형상에 상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핀들이,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이 배치되는 가이드 공간에 배열되게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은 이러한 핀들 주위에서 만곡되게 가이드될 수 있고, 이로써, 가이드 공간의 내벽들과 함께,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의 꼬임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핀들은 바람직하게 두 개 접촉 요소들의 종축에 의해 걸쳐진 평면을 횡단하게 특히 수직하게 연장하고, 이 들은 바람직하게 세장형(elongated)이며 특히 원통형이다. 핀들은 두 개의 접촉 요소들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바람직한 대체로 대칭인,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의 가이딩 및 이에 하우징 내부에서 가이딩되는 꼬임쌍 케이블의 와이어 가닥들 또는 코어들의 영역들의 대체로 상응하는 길이를 지지하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기적 특성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상부 하우징 부분이 없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하부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상부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 및 두 개의 꼬인 와이어들(3)을 갖는 (꼬임쌍) 케이블(2)을 포함하고, 케이블(2)은 플러그 커넥터(1)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두 부분으로된 하우징에 더하여, 플러그 커넥터(1)는 두 개의 접촉 요소들(4)를 가지고 이들은 하우징 내 고정 위치들에 장착되며 이는 플러그측(plug-side) 및 케이블측(cable-side) 단부들을 포함한다. 케이블측 단부들 상에서, 접촉 요소들(4)은 각각 압착 연결(crimped connections)에 의해 케이블(2)의 두 개의 와이어들(3) 중 하나의 도전체의 박리된 구역에 연결된다. 플러그측 단부들은 접속 플러그 커넥터(mating plug connector)(미도시)의 상보적인 접촉 요소들에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1)의 소켓형(socket-formed) 접촉 요소들(4)이, 접속 플러그 커넥터의 핀형(pin-formed) 접촉 요소들을 수용하며 이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되고, 이는 접촉 요소들 내의 상응하는 길이 방향 갈라짐(longitudinal split)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내부의 접촉 요소들(4)의 제 위치에서의 고정은, 하우징의 원주형 그루브(circumferential groove) 내에 배열되는, 접촉 요소들(4)의 원주형 돌출부(circumferential projection)(5)를 통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을 포함하며, 이는 도 1에서 하부에 도시된 제1 하우징 부분(6) 및 도 1에서 상부 부분에 도시된 제2 하우징 부분(7)을 포함한다. 각각의 하우징 부분들(6,7)은 플러그측 구역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접촉 요소들(4)는 플러그 커넥터(1)의 조립 상태에서 배열된다. 이 구역에서, 하우징 부분들(6, 7) 간의 분할 평면은 두 개의 접촉 요소들(4)의 종축들(이는, 압착 연결들을 제외하고, 단면이 원형 또는 환형임)이 가로지르는 평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각각의 하우징 부분들(6, 7)은 하우징 내에서 케이블(2)의 구역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케이블측 구역을 또한 포함한다. 이 구역에서, 분할 평면은 두 개의 접촉 요소들(4)의 종축이 가로지르는 평면에 평행하도록 연장한다.
개개의 케이블측 구역들에서, 각각의 하우징 부분들(6, 7)은 분할 평면에 인접한 네 개의 돌출부들(8)을 형성하고, 여기서 두 개의 돌출부들(8)은 플러그 커넥터의 종축에 대하여 이격되는 각각의 하우징 부분들(6, 7)의 각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 두 개의 돌출부들(8)들 각각의 하우징 구역들(6, 7)의 각 측면 상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침강부(recess)(9)에 대한 제한 위치를 또한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하여,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6, 7)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위치되어, 하우징 부분들(6, 7) 중 하나의 돌출부들(8)이 다른 하우징 부분들(7, 6)의 돌출부들(8)의 옆에 있게 배열된다. 이는 하우징 부분들(6,7)이, 돌출부들(8)이 충돌하지 않으면서 분할 평면을 형성하는 두 하우징 부분들(6, 7)의 접촉 표면들이 접촉할 때까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께 삽입되도록(plugged) 한다. 두 하우징 부분들(6, 7)의 돌출부들(8)은 이에 다른 하우징 부분(7,6)의 침강부들(9) 내에 위치된다.
하우징 부분들(6, 7)은 이어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6, 7)이 도 1에 도시된 단부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연결된다. 이러한 단부 위치 내에서 두 하우징 부분들(6, 7)의 네 개의 돌출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중첩(overlap)된다. 이는 하우징 부분들(6, 7)이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결 분리되는(disconnected)을 방지한다.
하우징 부분들(6, 7)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 분리되는 것은 스냅 잠금 연결(snap-lock connection)에 의해 방지된다. 스냅 잠금 연결은 제2 하우징 부분(7)의 케이블측 단부 영역(10)에 상호 작용하는 제1 하우징 부분(6)의 두 개의 케이블측 돌출부들(8a)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들(8a)은 제1 하우징 부분(6)의 케이블측 단부의 방향에 대해 확장되도록 설계되고, 이에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obliquely) 연장하는 돌출부들(8a)의 접촉 표면들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 부분(7)의 단부 영역(10)은 이러한 접촉 표면들 상으로 밀어지고(pushed), 이로써 단부 영역(10)의 내부 폭이 두 개의 확장된 돌출부들(8a)에 의해 형성되는 최대 폭에 비해 더 작게 된다. 제2 하우징 부분(7)의 단부 영역(10)은 이에, 확장된 돌출부들(8a)의 위로 지나감으로써 탄성적으로 확장되고, 이로써 그 것은 이러한 돌출부들(8a)의 뒤에서 단부 위치 내부로 스냅 잠금(snap)된다.
그러나, 돌출부들(8a) 뒤의 스냅 잠금 상에서, 제2 하우징 부분(7)의 단부 영역(10)은 그 원래의 형상으로 완전히 복귀될 수는 없고 다만,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제1 하우징 부분(6)의 단부 영역(11)의 접촉 표면들에 압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1 하우징 부분(6)은 침강부(9)의 영역에 비해 이러한 접촉 요소들 내의 영역에서 더 큰 폭을 가진다.
제2 하우징 부분(7)의 단부 영역(10)이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접촉 상태에서 프리텐션됨(pretensioned)으로써, 단부 영역(11) 및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부분(6)의 인접 영역은 반경 방향으로 내부로 변형되고, 이로써, 제1 하우징 부분(6) 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이러한 영역들 내에서 감소된다. 이는 이러한 영역들 내에 위치된 케이블(2)의 케이블 자켓(12)의 조임 고정(clamping fixing)을 야기한다. 이러한 고정은, 한편으로, 접촉 요소들(4) 및 케이블(2)의 도전체들 사이의 연결에 대한 스트레인 릴리프로 작용하며, 다른 한편으로 케이블(2)이 하우징 내부에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하우징 내 케이블(2)의 연결이, 단부 영역(11)의 부근에 배열된, 수용 공간의 벽 내의 원주형(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함) 돌출부(13)을 통해 추가로 개선되고, 이는 뾰족하게 테이퍼(sharply tapering) 단면을 가진다. 제1 하우징 부분(6)의 변형에 의해 이러한 돌출부(13)은 케이블 자켓(12) 내부로 관입되어, 일종의 폼피트 고정(form-locking) 연결을 형성한다.
케이블(2)의 와이어들(3)은 꼬임 배열로 하우징 내부에, 및 케이블 자켓(12)이 박리되어 있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영역 내의 꼬임 배열은 와이어들(3)이 케이블 자켓(12) 내에서 연장하는 것에 최대한 가깝게 상응한다. 접촉 요소들(4) 내에서 도전체들의 삽입측 단부들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들은 하우징 내부에서 차례로 고정되며, 아울러, 케이블 자켓(12)을 조임 고정을 통해 꼬임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 자켓(12)이 박리되어 있는 케이블(2)의 영역 내에서 꼬임 배열이 간섭 받지 않는 것이 적절히 보장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의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6, 7)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플라스틱으로 완전히 형성되고, 이로써, 단순한 기하 구조의 형상이 유리하게 사출 성형(injection moulding)을 가능케 한다. 분할 평면들에 대해 수직하게 지향되는 탈형 장치(demoulding apparatus) 에서, 오직 제2 하우징 부분(7)만이 삽입측 관통 개구들(14)의 형상인 언더컷들(undercuts)를 가지며, 이는 사출 성형 금형 내의 슬라이드(slide)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탈형 침강부(demoulding recesses)(15)를 제공함으로써, 돌출부들(8)에는 탈형 동안 언더컷들을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 내에서 합체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차폐(shielding)는 제공되지 않는다. 와이어들(3)의 꼬임이 실질적으로 접촉 요소들(4)까지 계속되기 때문에, 고주파 신호들에 대한 시스템의 전송 특성은 많은 응용장치들에 대해 충분히 양호하다.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하여, 케이블(2)의 설정된 영역이 케이블 자켓(12)로부터 우선 박리된다. 이러한 영역은 조립 상태에서 케이블 자켓(12)가, 설정된 길이로,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부로 연장하게 하는 치수를 갖는다. 와이어들(3)은 그 삽입측 단부에 있는 설정된 영역들 내의 그 절연체로부터 이후 박리되고, 즉, 와이어들 (3)의 도전체가 이러한 영역들 내의 그 보호 자켓들로부터 박리된다. 도전체들의 박리된 단부들은 이어 조임 고정을 통해 접촉 요소들(4)에 연결된다. 접촉 요소들(4) 및 연관된 케이블 영역은 이어 제1 하우징 부분(6) 내에 놓이고, 이로써 와이어(3)의 노출된 영역의 요구되는 꼬임 배열이 도입된다. 제1 하우징 부분(6)의 단부 영역(11) 내에서 케이블 자켓(12)은 케이블 자켓(12)이 초과 크기이고(oversized)이기 때문에 약하게 조여지며 아울러 스냅 잡금 연결들을 통해 접촉 요소들(4)이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그 것은 두 개의 잠금 래치들(locking latches)(16)에 의해 각각 달성되고, 노출된 와이어들(3)의 꼬임이 풀리는 것이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분(7)은 이어 앞서 기술된 방식으로 제1 하우징 부분(6) 상으로 밀어진다. 제1 하우징 부분(6)의 반경 방향 변형에 의한 하우징 내의 케이블 자켓(12)의 이 때의 단단한 고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취급력(handling forces)가 작용하는 시스템의 이후의 사용 동안에서 조차, 스트레인 릴리프가 실현되고 꼬임 배열에 대한 간섭이 방지된다.

Claims (11)

  1. 하우징 및 케이블(2)의 와이어에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4)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가 케이블 자켓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러그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하여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되며 서로에 대하여 맞대어지게 배치되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6, 7)을 포함하고, 이동에 의해, 상기 자켓(1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하우징 부분들(6, 7)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가 제 위치에서 상기 자켓(12)를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6,7)의 반경 방향 변형 부분은 돌출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은 부분적으로 원형인 형상이고 및/또는 단면이 뾰족하게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들(6, 7)은, 단부 위치에서, 스냅 잠금 연결에 의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분들(6, 7) 중 하나 상의 돌출부(8)가 다른 하우징 부분 내의 침강부(9) 내에 결합되고, 이로써 상기 하우징 부분들(6, 7)은, 단부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플라스틱으로 완전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4)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 및 자켓에 의해 둘러싸이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케이블(2)로 구성되는 시스템.
  9. 제7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 및 자켓에 의해 둘러싸인 두 개의 꼬인 와이어들을 갖는 꼬임쌍 케이블로 구성된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있는 상기 와이어들은 꼬임쌍 케이블의 꼬임이 계속되는 꼬임 배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은 접촉 요소들(4)의 바로 직전까지 꼬임 배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7003173A 2013-07-11 2014-07-08 플러그 커넥터 Withdrawn KR20160029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3006297U DE202013006297U1 (de) 2013-07-11 2013-07-11 Steckverbinder
DE202013006297.5 2013-07-11
PCT/EP2014/001874 WO2015003800A1 (de) 2013-07-11 2014-07-08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836A true KR20160029836A (ko) 2016-03-15

Family

ID=4904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173A Withdrawn KR20160029836A (ko) 2013-07-11 2014-07-08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89062B2 (ko)
EP (1) EP3020101B1 (ko)
JP (1) JP6244020B2 (ko)
KR (1) KR20160029836A (ko)
CN (1) CN105431983B (ko)
CA (1) CA2916797A1 (ko)
DE (1) DE202013006297U1 (ko)
TW (1) TWM488766U (ko)
WO (1) WO20150038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68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5729B (zh) 2012-07-16 2017-08-08 美国北卡罗来纳康普公司 平衡的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US9356439B2 (en) 2013-09-26 2016-05-31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Patch cords for reduced-pair ethernet applications having strain relief units that resist rotational loads and related strain relief units and connectors
EP2874241A1 (de) * 2013-11-18 2015-05-20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 Anschlussleitung
GB2547958B (en) 2016-03-04 2019-1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o-wire plug and receptacle
EP3616269A4 (en) 2017-04-24 2020-11-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US11271350B2 (en) 2017-06-08 2022-03-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BE1025310B1 (de) * 2017-06-12 2019-01-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teil mit verstemmten Kontaktelementen
DE102017125410A1 (de) * 2017-10-30 2019-05-02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Schnittstelle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omotors an einen Kabelbaum sowie Elektromotor
DE102018101431A1 (de) 2018-01-23 2019-07-25 Neutrik Ag Steckverbindung
WO2019147774A1 (en) 2018-01-26 2019-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CN115313074A (zh) 2018-02-26 2022-11-08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仅两导线连接器的电触头
EP3918673A4 (en) * 2019-01-28 2023-02-01 Ardent Concepts Inc. Controlled impedance cable terminations for cables having conductive foil shields
WO2020190758A1 (en) 2019-03-15 2020-09-2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EP4038698A4 (en) 2019-09-30 2023-11-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UPLER FOR SINGLE PAIR CONNECTORS
US12327948B2 (en) 2019-09-30 2025-06-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High density coupling panel
US11075488B2 (en) * 2019-11-25 2021-07-27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US11146010B2 (en) 2019-12-09 2021-10-12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Overmolded contact assembly
US11011875B1 (en) 2019-12-10 2021-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cable braid positioning clip
US10978832B1 (en) 2020-02-07 2021-04-13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US11296464B2 (en) 2020-02-14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mpedance control connector
DE102020104035A1 (de) * 2020-02-17 2021-08-19 HARTING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Biegeschutz
EP3872937B1 (de) * 2020-02-28 2022-02-2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steckverbinders
TWI755092B (zh) * 2020-10-12 2022-02-11 貿聯國際股份有限公司 電子線材的線端連接組件
US12199372B2 (en) 2021-02-26 2025-01-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uplers for single pair connectors
US12308556B2 (en) 2021-06-07 2025-05-20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and wire holding portions
JP2024068277A (ja) * 2022-11-08 2024-05-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527A (en) * 1977-06-23 1978-08-22 Amp Incorporated Strain relief assembly
US4421376A (en) * 1981-11-09 1983-12-20 Amp Incorporated Snap-on cable clamp
JPH079343Y2 (ja) 1990-04-10 1995-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336114A (en) * 1993-05-21 1994-08-09 Wang Ming Y Copper blade securing structure of tail female receptacles
US5601447A (en) * 1995-06-28 1997-02-11 Reed; Carl G. Patch cord assembly
JP3262211B2 (ja) * 1997-01-14 2002-03-04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H11185868A (ja) * 1997-12-18 1999-07-09 Yazaki Corp 圧接コネクタ
US6126478A (en) * 1998-07-01 2000-10-03 Hubbell Incorporated Wiring device with gripping of individual conductors
US6062900A (en) * 1998-11-30 2000-05-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ZIF FFC connector having a strain relief
JP3618569B2 (ja) * 1999-03-01 2005-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US6152770A (en) * 1999-03-26 2000-11-28 Wang; Lien-Sheng Water-proof socket adapter design
JP3681046B2 (ja) * 1999-06-28 2005-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DE10065136C2 (de) 2000-12-29 2003-01-09 Phoenix Contact Gmbh & Co Anschluß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chließen eines mehradrigen Kabels an einen Steckverbinder
US6439920B1 (en) * 2001-09-18 2002-08-27 Surtec Industries Inc. Electronic connector plug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6783402B2 (en) * 2002-08-12 2004-08-31 Surtec Industries Inc. Fast electric connector plug satisfying category 6 standard
TW568403U (en) * 2003-05-09 2003-12-21 Surtec Ind Inc Plug of high-speed electronic connector
US6773309B1 (en) * 2003-05-30 2004-08-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contact retention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elements
US20050106929A1 (en) * 2003-11-17 2005-05-19 Bel Fuse, Ltd. Cable-terminating modular plug
GB0625061D0 (en) * 2006-12-15 2007-01-24 Tyco Electronics Amp Es Sa A connector for use in terminating communications cables
CN201097415Y (zh) * 2007-08-15 2008-08-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CN201440511U (zh) * 2009-03-05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2030462A2 (en) 2010-09-02 2012-03-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for electrical cables
US8702444B2 (en) * 2010-10-18 2014-04-22 Panduit Corp. 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able manager
DE102012015581A1 (de) * 2012-08-07 2014-02-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2007577U1 (de) * 2012-08-07 2012-09-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2111129A1 (de) 2012-11-19 2014-05-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J45-Stecker mit Zugentlastungseinrichtung
DE202013006295U1 (de) * 2013-07-11 2013-09-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ystem mit mehreren Steckverbindern und Mehrfachsteckverbinder
US9057513B2 (en) * 2013-09-16 2015-06-16 Streater LLC Electrical assembly for connecting components of a lighting system for illuminating store shelv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68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0101B1 (de) 2017-07-05
TWM488766U (zh) 2014-10-21
DE202013006297U1 (de) 2013-07-25
CN105431983A (zh) 2016-03-23
CA2916797A1 (en) 2015-01-15
EP3020101A1 (de) 2016-05-18
JP2016524299A (ja) 2016-08-12
US10389062B2 (en) 2019-08-20
US20160164223A1 (en) 2016-06-09
JP6244020B2 (ja) 2017-12-06
CN105431983B (zh) 2019-07-09
WO2015003800A1 (de)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9836A (ko) 플러그 커넥터
US9905978B2 (en)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twisted-pair cable
US9379492B2 (en) Insertion type connector
US9722348B2 (e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lug-in connectors and multiple plug-in connector
US8992251B2 (en) Electrical splice assembly
CN113841302B (zh) 用于屏蔽混合触头组件的触头载体及插接连接器
CN103441344B (zh) 用于传输信号的线缆
KR20130045388A (ko) 차동 데이터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CN109301548B (zh) 具有接地的电缆线束的电缆组件
KR101701587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바디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US11283223B2 (en) Cable connector arrangement, cable connector and pressing means
KR20110089275A (ko) 스타 쿼드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US789201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able loading stop elements
JP5960360B2 (ja) 対称的に装着したプラグコンタクトを有する遮蔽された円形プラグコネクターユニット
US12327954B2 (en) Connector and cable with connector
US20230198187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6200294B2 (ja) 同軸線用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