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4848A -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848A
KR20160024848A KR1020157033152A KR20157033152A KR20160024848A KR 20160024848 A KR20160024848 A KR 20160024848A KR 1020157033152 A KR1020157033152 A KR 1020157033152A KR 20157033152 A KR20157033152 A KR 20157033152A KR 20160024848 A KR20160024848 A KR 20160024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mote control
remotely controllable
control device
devi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톤 베르너 켈러
로저 도미닉 보지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024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84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그에 따라 리모컨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리모컨의 촬영 기능들이 이용된다. 리모컨은 그것의 내장 이미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는 처리되고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된다. 다른 변형들은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모컨의 위치 및/또는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REMOTE CONTROL PROGRAMMING USING IMAGES}
사람들은 자신의 집에 상이한 리모컨들(remote controls)에 의해 제어되는 점점 증가하는 수의 디바이스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몇몇 회사들은 동일한 제조사로부터의 다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들을 제공한다. 상이한 브랜드들로부터의 디바이스들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몇몇 유형의 범용 리모컨들이 시판중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자신의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해 범용 리모컨을 프로그래밍해야 한다. 그러한 리모컨을 이용하고 있을 때, 어느 디바이스가 제어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각 디바이스는 선택 버튼을 통해 선택되어야 한다.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조작 제어들을 변경하기 위해 선택 버튼들을 이용하지 않고 몇몇 디바이스에 범용 리모컨이 할당된다. 이것은 내장 카메라 및 다른 감지 요소들을 가진 리모컨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단순히 새로운 디바이스의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해 리모컨이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진은 리모컨이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조회 테이블들을 통하여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시각적 인식을 이용함으로써, 단지 디바이스에 리모컨을 겨누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가 제어된다. 어느 디바이스가 제어될 필요가 있는지를 리모컨이 알게 하기 위해 선택 버튼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 대상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 대상의 간략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본 발명 대상의 광범위한 개요는 아니다. 이것은 실시예들의 핵심적/결정적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본 발명 대상의 범위를 묘사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의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의 서두로서 본 발명 대상의 일부 개념들을 간략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그리고 관련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다음의 설명과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실시예들의 소정의 예시적인 양태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 양태들은 본 발명 대상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만을 나타내고, 본 발명 대상는 모든 그러한 양태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대상의 다른 이점들 및 새로운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들과 함께 고려할 때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내장 이미지 디바이스를 가진 리모컨 시스템의 예이다.
도 2는 리모컨을 인식하고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도 3은 리모컨의 무차별 대입 프로그래밍(brute force programming)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리모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가진 전형적인 방을 예시한다.
도 5는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가진 리모컨의 화면을 보여준다.
도 6은 다수의 뷰를 가진 리모컨의 대안 실시예의 예이다.
이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 대상를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발명 대상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 대상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 있다. 다른 사례들에서,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지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소를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례들 및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본 명세서의 모든 진술들은 구조적 균등물들과 기능적 균등물들 모두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알려진 균등물들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되는 균등물들(즉, 구조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개발되는 임의의 요소들)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범용 리모컨(RC)은 다른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맞춤화(customize)될 필요가 있다. 과거에, 이것은 제어될 디바이스들과 관련된 키-숫자(key-number)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었다. 더 스마트한 RC들은 영숫자 키패드를 가지고 있고 브랜드와 모델명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방법은 소위 "학습 모드(learning mode)"이고, 여기서 범용 RC는 원래 RC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직접 기록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은 원격 제어될 원하는 디바이스가 내부 및/또는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내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식되도록 내장 이미지 디바이스를 이용해 제어될 디바이스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RC이다. 만약 인식이 성공하지 않으면, RC는 사용자에게, 어쩌면 더 의미 있는 세부 사항, 타입 플레이트 및/또는 사용자 매뉴얼의 제1면 또는 기타 유사한 것의 또 다른 이미지를 촬영할 것을 요청한다. 디바이스의 이름과 모델을 포함하는 한 장의 종이조차도 성공적인 인식으로 이어져서 올바른 세트의 조작 제어 명령들이 RC에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장 이미지 디바이스(예컨대, 사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104)를 가진 리모컨 시스템(100)이 도 1에 예시되어, RC(102)의 인식 및 제어를 위한 요소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미지 디바이스(104)는 RC 시스템의 기존 요소일 수 있다(예컨대, RC는 RC 가능 소프트웨어를 가진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RC(102)는 원격 제어되는 디바이스들의 시각적 인식을 제공할 이미지 디바이스(104)를 포함한다. 이미지 디바이스(104) 다음으로, RC(102)는 처리 유닛(106), 일부 메모리(108)(예컨대, EPROM) 및 송신기(110)(예컨대, 적외선(IR) 및/또는 무선 주파수(RF))를 포함한다. 적외선은 가시선 제어(line of sight control)를 위해 사용되는 반면 무선 주파수들은 가시선이 이용 가능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프로세서(106)는 RC(102)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어느 디바이스가 RC(102)에 의해 제어될 것인지를 인식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미지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들을 처리한다. 이미지 디바이스(104)는 이전의 기술들보다 덜 불만스럽게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프로그래밍하는(범용 RC를 맞춤화하는) 방식들 및 단일 RC에 의해 제어될 상이한 디바이스들 간을 구별하는 방식들을 포함한다.
이미지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어, 사진 카메라와 같은 단일 프레임 이미지 디바이스일 수 있고/있거나 그것은,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멀티-이미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미지 디바이스(104)가 멀티-이미지들이 가능하다면, 디바이스 결정에 이용될 단일 프레임이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가장 좋은 이미지 등). 결정 프로세스 동안 둘 이상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미지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어, IR 이미지들과 같이 인간의 지각 범위 밖의 주파수들을 캡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열 이미지들도 디바이스의 식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예컨대, 전력 및 증폭기 부품들의 위치와 함께 전력 소비가 어느 유닛이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인지 등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108)는 인식에 이용되는 이미지 디바이스(104)로부터의 패턴들 및/또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RC(102)가 외부 연결(예컨대,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넷에의 무선 연결 및 기타 유사한 것)의 필요 없이 디바이스를 빨리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기능들을 가진 버튼들, 표시기들 및/또는 터치 스크린 및 기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가 포함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둘 이상의 디바이스가 이미지에 기초한 가능성(possibility)일 수 있다면(예컨대, 이더넷 연결이 있는/없는 모델, 동일 모델이지만 다양한 가능한 펌웨어들을 가진 것, 기타 등등) 가능한 RC 식별(identification)들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옵션으로, 대안의/부가적인 센서들(114)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기능은, 예를 들어, 근거리 네트워크(LAN), 블루투스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및 기타 유사한 것과의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리모컨을 위한 인식 및 프로그래밍 사이클의 방법(200)을 묘사한다. 방법(200)은 리모컨이 정상 조작 제어 모드(202)에 있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 후 RC에서 프로그래밍 모드가 선택된다(204). 그 후 RC에 의해 제어되어야 할 디바이스의 이미지가 촬영된다(206). RC는 RC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또는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인식하려고 시도한다(208). 디바이스가 인식되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RC 코드는 자동으로 및/또는 사용자 메뉴 등의 도움을 받아 적응된다(210). 그 후 RC는 정상 조작 제어 모드(예컨대, RC 프로그래밍 모드와는 대조적으로 RC 제어 모드)로 되돌아간다(212).
만약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인식되지 않으면, RC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대안의 이미지들이 제안될 수 있다(214). 이 대안의 이미지 뷰들은 타입 플레이트, 바코드 및/또는 매뉴얼 페이지 및 기타 유사한 것의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RC에 의해 디바이스가 인식되지 않으면, RC는 내장 무선 기능들을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따라서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디바이스와의 대화를 통해 전체 식별(full identification)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해(예컨대, DNLA, 인터넷 또는 다른 유사한 것을 통해)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된 통신으로부터 일부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214). 이것은 여러 정보 중에서도 디바이스 유형(TV, 레코더, DVD 플레이어 등), 회사의 식별자 또는 MAC 주소일 수 있다. 이 부가적인 정보는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들(촬영된 이미지들을 포함함)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인터넷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것, 제조업체의 원격 서버에 연결하는 것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것 등(218)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방법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또는 유선 연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가 RC의 내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식되면(216), RC 제어 코드는 적응되고(210) 그것은 정상 제어 모드로 되돌아간다(212). 그러나, 내장 데이터베이스가 결과를 내지 않으면(216), 외부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인터넷 클라우드, 원격 서버 등)에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218). 만약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인식이 완수되면(220), RC 제어 코드는 디바이스를 위해 프로그래밍되고(210) RC는 정상 제어 모드로 되돌아간다(212).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모두가 디바이스의 인식(220)을 제공하지 못하면, RC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222).
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같은 디바이스를 프로그래밍하는 대안의 방법은 도 3의 예시적인 방법(3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차별 대입"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즉, RC는 이미지 디바이스가 TV 수상기 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302). RC는 TV가 켜질(306) 때까지 이용 가능한 모든 코드들을 거치고(304)(이미지 디바이스에 의해 인식됨)(308, 310) 이어서 자동으로, 예를 들어, 끄는 것, "채널 업/다운"(312), 밝기 제어 등과 같은 추가의 전형적인 코드들을 체크한다. 디스플레이가 반응하면(314), 코드 세트가 검출된다(316). 그렇지 않다면, 디스플레이가 반응할(314) 때까지 또 다른 코드가 시도된다(318). RC가 마이크와 같은 대안 센서(보통 스마트폰이 전화기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를 포함한다면 오디오도 체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가 RC가 그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LAN 연결(예를 들어, 애플의 Airplay 등) 및 기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이미지 식별을 요구하지 않고 RC가 디바이스를 직접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RC가 방 안의 디바이스들을 인식하였고 사용자가 그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RC가 어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RC의 이미지 디바이스가 다시 이용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어하기 위해, RC는 그 디바이스를 겨냥하고 그 디바이스는 TV로 인식된다. 각각의 코드가 TV를 제어하기 위해 전송된다. DVD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해, RC는 그 DVD 플레이어를 겨냥하고, 기타 등등이다. 그 디바이스들은 프로그래밍에 사용된 패턴에 의해 및/또는 내부 및/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각적 특성(디자인)에 의해 인식된다.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TV가 인식되지 않으면, 모델을 식별되지 않은 이미지와 링크하기 위해 "링크-단계"가 행해진다. RC가 텔레비전을 겨냥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보다 사진으로부터 브랜드 및 모델을 인식하는 것이 더 어렵다.
검출 가능성(detecta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조업체에 의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의 정면 패널에 소정의 패턴들이 부가될 수 있다. 그 패턴들은 제품의 이름, 라벨 및/또는 그 제품을 다른 제품들과 구별하는 디자인 요소일 수 있다. 그 요소들은 절대적으로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아도 된다(예컨대, 자외선 및/또는 적외선 요소들).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부가적인 채널들이 디바이스들의 검출 및 구별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RC를 더 융통성 있게 만들기 위해, 자동으로 및/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디바이스에 이미지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RC는 매핑 모드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매핑 모드 동안, 사용자는 이미지(예컨대, 뷰, 경치 또는 심지어 경치 내의 움직임)를 장치 및/또는 모델 및 기타 유사한 것과 짝을 짓는다. 사용자는 소정의 패턴들을 소정의 디바이스들에 할당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가 방 안의 무엇이든(예컨대, 벽 위의 그림, 벽장, 경치 및/또는 TV-신문 및 기타 유사한 것) 가리키고 그것을 더 일찍 인식된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일 사용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RC가 장치 및/또는 항목을 가리킬 때마다, RC는 현재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들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코드-세트를 평가한다. 물체들 및 이미지들의 움직임들 및/또는 경치의 변화들은 디바이스 및/또는 심지어 그 디바이스에 대한 명령에 할당될 대안의 "패턴들"이다. 보통 한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움직이는 것은 움직이는 물체들이 아니고, 그것은 RC이다. 도 4는 리모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가진 전형적인 방(400)을 예시한다. 양호한 선택의 패턴들은 벽장(408) 위에 놓인 텔레비전(402), CD-모음(404), 스피커들(406), DVD 플레이어 및 증폭기(412), 라디오(미도시), 및/또는 램프(410)와 같은 단지 어떤 특정한 것 및 기타 유사한 것과 같이 당신이 거주하고 있는 방의 부분들일 수 있다. 이미지들이 검출될 때, 사용자는 RC 및/또는 제어될 디바이스에 배치된 표시기로부터 성공적인 인식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를 기호 및/또는 "실제" 형태로 묘사하는 피드백이 리모컨의 디스플레이(예컨대, 터치 스크린, LCD 등)에 나타난다면 유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관해 어떤 의문이 있다면, 리모컨은 양쪽 디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수동으로 그것들 간을 구별할 수 있다.
아래 표 1과 도 5는 정교한 RC(예컨대, 스마트폰/모바일 디바이스 및 기타 유사한 것)에서 인식과 할당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의 예이다.
Figure pct00001
사진 인식은 아래와 같이 식별한다:
ㆍ 형태, 위치(벽장 위) 및 로고에 의해 TV
ㆍ 그것들의 특이성들(둥근 스피커들) 및 지면 위의 배치에 의해 스피커들
ㆍ 보관된 CD들의 패턴에 의해 CD-모음
ㆍ 형태 및 로고에 의해 그리고 위치(CD-패턴 아래)에 의해 DVD 및 증폭기
ㆍ 상이한 형태 때문에 램프.
도 5는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예컨대, 터치 스크린)를 가진 RC(504)의 화면(502)의 예(500)를 보여준다. 의심스러운 인식의 경우에, RC(504)는 카메라의 뷰(예컨대, 명령을 포인팅하고 이용할 때 카메라가 가진 뷰)의 이미지(506)를 표시한다. 인식에서 가능한 모호함 때문에, 그것은 선택들 둘레에 박스(508, 510)를 가진 둘 이상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 후 사용자는 어느 장치가 제어되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것이 단순한 디스플레이라면, (예컨대, 각각의 색을 가질 수 있는) 키들(512)이 올바른 박스(508, 510)를 평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가진 RC의 경우에, 각각의 박스는 선택을 위해 터치될 수 있다.
추가 편의를 위해, 일종의 "홀드(hold)" 모드를 갖는 것이 유용하다. 이것은 리모컨이 마지막 제어된 디바이스를 기억하는 "홀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하는 명령들은 디바이스를 되풀이해서 직접 가리킬 필요 없이 동일한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mp3-모음을 랜덤 방식으로 청취하고 있는 경우, 그는 아마 종종 리모컨을 임의의 방향을 가리키게 하면서 일부 곡들을 건너뛰기를 원한다. 이것은 특히 와이파이 및/또는 블루투스 리모컨들에 대해 사실이다. 이 "홀드" 모드는 버튼에 의해 및/또는 단지 마지막 인식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트리거될 수 있다. 리모컨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할당되지 않은 소파를 가리키고 있을 때, 그것은 이전에 인식된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더 유리한 시나리오에서, RC는 방 안에 놓일 때 자동으로 그 방을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그것은 물체들을 가리킬 때 그 특정 방에서 유용한 명령들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방 인식은 RC가 방 안에 놓일 때 체계적으로 이미지들을 촬영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사진들은 내장 가속도계, 타이머에 의해 및/또는 수동으로 그리고 기타 유사한 것에 의해 트리거된다. 이미지 내용은 벽, 가구 및/또는 천장 등일 수 있다. 광각 렌즈(wide-angle lens)를 이용함으로써, 천장조차 많은 인식 가능하고 구별 가능한 물체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제2 이미지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6의 예(60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가리키는 렌즈(604)를 가진 RC(602)는 전방 경로(608)와 천장 경로(610)(즉, 제1 뷰에 대해 대략 90도인 경로)의 뷰를 나누는 미러(606)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부가적인 이미지 디바이스 및/또는 부가적인 미러들을 이용하여, 입체 이미지도 가능하다. 입체 이미지들은 (장치들에 할당되는) 상이한 물체들의 더 양호한 레인징(ranging) 및 더 양호한 검출의 이점을 가진다. WLAN 핫스폿들, GPS 등과 같은 다른 소스들 및/또는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시간 등에 의해 주어진 정보에 의해 위치 정보도 지원될 수 있다.
이 기술들은 RC가 방에 의존적인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당신이 제어될 디바이스들이 없는 방에서 몸이 좋지 않고 다른 방에 있는 텔레비전을 볼 수는 없지만 그것을 들을 수 있는 경우, 리모컨을 가리키지 않고 볼륨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RC는 이미 현재 당신이 있는 방을 검출하였고 제어될 다른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소정의 거리들 및/또는 상이한 방들에 대해 적절한 통신 경로가 선택된다(예컨대, IR 및/또는 RF)는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디바이스에의 할당을 위해 - 및/또는 할당의 지원을 위해 - 자세(attitude)(가속도계 및 나침반에 의해 검출된 공간각)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아래쪽을 가리키는 것은 바닥 근처의 오디오 기기를 의미하고, 천장을 가리키는 것은 조명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장소와 함께 나침반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특정 디바이스(및/또는 할당된 타겟)를 어드레싱(address)할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실시예들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구성 요소들 또는 방법들의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조합을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의 추가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대상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용어 "포함하다(includes)"가 사용되는 한, 그러한 용어는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이 청구항에서 전이 단어(transitional word)로서 이용될 때 해석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이기 위한 것이다.

Claims (32)

  1. 리모컨 디바이스(remote control device)를 프로그래밍하는 시스템으로서,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식별이 이루어질 때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상기 리모컨을 프로그래밍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이미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의 외부에 존재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데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의 각도를 이용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입체 이미지를 이용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서 발견되는 패턴을 이용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디바이스의 이미지, 디바이스와 관련된 이미지 및 방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바이스는 둘 이상의 뷰를 제공하는 미러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디바이스는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된 식별에 관한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들의 선택(a selection of devices)을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와 짝을 짓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후속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때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식별(identification)을 유지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다른 방에 있을 때 상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비가시선 주파수들(non line-of-sight frequencies)을 전송하는 시스템.
  17. 리모컨 디바이스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리모컨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후속 이미지가 어떤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도 내놓지 않을 때 마지막 식별된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제어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와 관련된 이미지 내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이미지 내의 패턴을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둘 이상의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할 때 조작 제어들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데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의 각도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데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의 가속도계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리모컨 디바이스를 프로그래밍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원격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식별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28. 리모컨 디바이스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트된 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컨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제어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정보는 MAC 주소, 제조업체, 디바이스 유형 및 전형적인 디바이스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0. 리모컨 디바이스로서,
    상기 리모컨에 대해 동일한 명령이 적용될 때 상이한 디바이스들이 상이한 방들에 위치할 때 그 디바이스들을 어드레싱하는 리모컨 디바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방들은 이미지 촬영 디바이스(image taking device)에 의해 검출되는 리모컨 디바이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방들은 상기 리모컨의 상기 이미징 디바이스(imaging device)가 겨냥하는 사용자 정의된 물체들에 의해 검출되는 리모컨 디바이스.
KR1020157033152A 2013-05-20 2013-05-20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Withdrawn KR20160024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3/000981 WO2014188227A1 (en) 2013-05-20 2013-05-20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ing im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848A true KR20160024848A (ko) 2016-03-07

Family

ID=4857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152A Withdrawn KR20160024848A (ko) 2013-05-20 2013-05-20 이미지를 이용한 리모컨 프로그래밍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9990B2 (ko)
EP (1) EP3000233A1 (ko)
JP (1) JP2016524397A (ko)
KR (1) KR20160024848A (ko)
CN (1) CN105247876A (ko)
WO (1) WO2014188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33B1 (ko) * 2008-10-28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메뉴수행 장치 및 방법
CN105741532B (zh) * 2014-12-11 2019-08-16 华为终端有限公司 具有红外遥控功能的终端,以及红外遥控配对方法
CN104572008A (zh) * 2014-12-17 2015-04-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目标内容输出方法及其终端
TWI527000B (zh) * 2014-12-23 2016-03-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紅外線遙控系統及其操作方法
CN105739315B (zh) * 2016-02-02 2019-12-06 杭州鸿雁电器有限公司 一种室内用户电器设备的控制方法与装置
US11256405B2 (en) * 2018-09-24 2022-02-22 Google Llc Controlling a device based on processing of image data that captures the device and/or an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device
KR102765989B1 (ko) * 2020-02-05 202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4016492B1 (en) * 2020-12-18 2025-04-30 Augmented Robotics UG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d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038A (en) 1991-04-17 1997-03-11 Shaw; Venson M. Audio/video transceiver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configuration of incompatibly received or transmitted video and audio information
US7242988B1 (en) * 1991-12-23 2007-07-10 Linda Irene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EP0626635B1 (en) * 1993-05-24 2003-03-05 Sun Microsystems, Inc.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ethod for interfacing to remote devices
US6028537A (en) 1996-06-14 2000-02-22 Prince Corporation Vehicle communication and remote control system
EP1002406B1 (en) 1997-06-25 2005-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gramm guide generation for home networks
US7046161B2 (en) * 1999-06-16 2006-05-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7562128B1 (en) 2000-03-06 2009-07-14 Philips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B connects remote to web site for customized code downloads
US7106209B2 (en) 2003-02-10 2006-09-12 Zilog, Inc. Programm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7046185B2 (en) 2003-06-19 2006-05-16 Contec Corporation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 of programming same
US7005979B2 (en) 2003-06-25 2006-02-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 control transmissions
US7671758B1 (en) 2003-10-02 2010-03-02 Tivo Inc. Remote control programming system
US7363028B2 (en)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8214447B2 (en) * 2004-06-08 2012-07-03 Bose Corporation Managing an audio network
US20110093799A1 (en) * 2004-09-08 2011-04-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device functionality
US7941786B2 (en) 2004-09-08 2011-05-10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figurable controlling device and associated configur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8031270B1 (en) 2006-01-31 2011-10-0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JP2007318380A (ja) * 2006-05-25 2007-12-06 Pioneer Electronic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7318665A (ja) 2006-05-29 2007-12-06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JP2011504710A (ja) * 2007-11-21 2011-02-10 ジェスチャー 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嗜好
WO2010026717A1 (ja) 2008-09-08 201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
US20150293860A9 (en) * 2012-04-04 2015-10-15 ecoAT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ata From A Recycled Electronic Device
US8194191B2 (en) 2009-02-13 2012-06-05 Echostar Technologies L.L.C. Graphically based programming for control devices
WO2011019154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5471850B2 (ja) * 2010-06-02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44407B1 (ko) 2010-11-02 2014-09-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RU2581621C2 (ru) * 2010-12-30 2016-04-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источник свет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вториз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источником света
US8918719B2 (en) 2011-02-14 2014-12-23 Universal Electron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9258508B2 (en) * 2013-03-15 2016-02-0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9990B2 (en) 2017-11-14
CN105247876A (zh) 2016-01-13
WO2014188227A1 (en) 2014-11-27
JP2016524397A (ja) 2016-08-12
US20160073151A1 (en) 2016-03-10
EP3000233A1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990B2 (en)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ing images
CN105607499B (zh) 设备分组方法及装置
JP6318269B2 (ja) 設備の制御方法、設備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記憶媒体
KR102444075B1 (ko) 전자 장치, 주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508199B2 (ja) スマートホーム機器の制御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873033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5597772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9612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9843831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object recognition
JP2016167385A (ja) 携帯端末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20051208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물을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장치
US20140244267A1 (en) Integration of user orientation into a voice command system
JP2012529866A (ja) 動作モードを自動的に決定する携帯端末
US2016006582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ip camera having function of wireless remote controller
JP5762553B2 (ja) 方法、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630413B (zh) 基于置信度的应用特定的用户交互
JP66585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65118A (ja) リモコン機能付き携帯端末及びリモコンサーバ
EP3892069B1 (en) Determining a control mechanism based on a surrounding of a remote controllable device
US98868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control to control multiple devices
JP63877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1993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실내형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JP6585709B2 (ja) ポジショニ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587011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3125472A (ja) 電化製品制御方法および電化製品制御装置ならびに電化製品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